KR19990002590A -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590A
KR19990002590A KR1019970026238A KR19970026238A KR19990002590A KR 19990002590 A KR19990002590 A KR 19990002590A KR 1019970026238 A KR1019970026238 A KR 1019970026238A KR 19970026238 A KR19970026238 A KR 19970026238A KR 19990002590 A KR19990002590 A KR 19990002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ler
filler door
supporter
open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관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7002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590A/ko
Publication of KR1999000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590A/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필러도어의 개방 및 밀폐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반복적인 개방 및 밀폐동작에 의해서도 항시 안정된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 밀폐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료 필러 도어(1)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하단부에는 관통구멍(11a,12a)을 갖는 제1힌지편(11,12)이 연장 형성된 제1서포터(10)와; 일측면이 필러 하우징(2)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그 중심면에는 상·하부에 걸림홈(21a,21a)을 갖는 지지편(21,22)이 연장 형성되고, 상·하단부에는 제1힌지편(11,12)에 형성된 관통구멍(11a,12a)과 대응되는 관통구멍(23a,24a)을 갖는 제2힌지편(23,24)이 연장된 제2서포터(20)와; 제1,2힌지편(11,12,23,24)의 관통구멍(11a,12a,23a,24a)으로 체결되는 힌지핀(30)과; 일측 중심면이 제2서포터(20)의 걸림홈(21a,22a)이 걸림되고, 그 양단이 서포터(10)의 관통구멍(11a,12a)이 형성된 제1힌지편(11,12)의 일측면에 걸림 고정되어, 연료 필러 도어(1)의 개방각도에 따라 내,외측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토오션부(41)가 마련된 토오션 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 록크식 연료 필러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 또는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연료는 바디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연료탱크에 저장한 상태에서 엔진에 일정량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연료탱크에 주기적으로 연료를 공급하여 충만시킨 상태에서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은 연료탱크 내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요소로써 바디측면에 연료주입구를 마련하여 이를 통해 주유소 등에서 주유원이 연료를 주입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바디측면에 마련된 연료주입구는 이물질의 유입방지와 기타 화기(火氣)로 부터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동차 내의 릴리스 핸들 어셈블리와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를 릴리스 케이블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연료 필러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거나 또는 비 록크식으로 연료 필러 도어의 내,외측으로 푸쉬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시키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일반적으로 비 록크식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바, 연료 필러 도어(1)는그 내측면에 마련된 힌지편(1a)이 필러 하우징(2) 상에 그 일단이 고정된 힌지 브라켓(3)의 타단과 힌지핀(4)을 통해 결합됨으로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힌지 브라켓(3)과 연료 필러 도어(1) 사이에는 소정곡률로 만곡되어 연장된 판 스프링(5)의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보조 힌지핀(6)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필러 도어(1)를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판 스프링(5)이 연료 필러 도어(1)가 소정각도 개방된 시점에서 그 탄성부여 방향이 반대로 즉, 개방시점으로 전환되면서 연료 필러 도어(1)의 완전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연료 필러 도어(1)의 개방 및 밀폐과정에서 판 스프링(5)의 양단이 힌지 결합된 부위에서 심한 소음이 발생되게 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특히 반복적인 연료 필러 도어(1)의 개방 및 밀폐동작에 의해 판 스프링(5)에 피로현상이 발생됨으로서 연료 필러 도어(1)의 개방 및 밀페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심하게는 판 스프링(5)이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 및 밀폐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반복적인 개방 및 밀폐동작에 의해서도 항시 안정된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 밀폐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는, 자동차의 바디 일측면에 위치된 연료 필러 도어를 필러 하우징을 중심으로 개방 및 밀폐시킴에 있어서,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하단부에는 관통구멍을 갖는 제1힌지편이 연장 형성된 제1서포터와; 그 일측면이 연료 필러 하우징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그 중심면에는 상·하부 걸림홈을 갖는 지지편이 연장 형성되고, 상·하단부에는 제1힌지편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대응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제2힌지편이 연장된 제2서포터와; 상기 제1,2힌지편의 관통구멍으로 체결된 힌지핀과; 그 일측 중심면이 상기 제2서포터의 걸림홈이 걸림되고, 그 양단이 상기 서포터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힌지편의 일측면에 걸림 고정되어,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각도에 따라 내,외측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토오션부가 마련된 토오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료 필러 도어 2:필러 하우징
10,20:제1,2서포터 11,12,23,24:제1,2힌지편들
11a,12a,23a,24a:관통구멍 21,22:지지편
21a,22a:걸림홈 30:힌지핀
40:토오션 스프링 41:(이중)토오션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는, 크게 제1,2서포터(10,20)와 힌지핀(30) 및 토오션 스프링(40)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제1서포터(10)는, 연료 필러 도어(1)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그 상·하단부에는 관통구멍(11a,12a)이 형성된 힌지편(11,12)이 연장 형성된다.
제2서포터(20)는 필러 하우징(2)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중심면에는 걸림홈(21a,22a)을 갖는 지지편(21,22)이 연장 형성되고, 그 상·하단부에는 전술한 제1서포터(10)의 힌지편(11,12)에 형성된 관통구멍(11a,12a)과 대응되는 관통구멍(23a,24a)이 형성된 제2힌지편(23,24)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제1,2서포터(10,20)이 힌지편(11,12,23,24)의 관통구멍(11a,12a,23a,24a)으로는 힌지핀(30)이 결합됨으로써 연료 필러 도어(1)는 필러 하우징(2)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진다.
한편, 토오션 스프링(40)은 중심면이 제2서포터의 지지편(21,22)에 형성된 걸림홈(21a,22a)에 끼워 삽입되어 걸림되며, 특히 상·하 양단은 제1서포터(10)의 힌지편(11,12) 일측면에 각각 걸림 고정된다.
또한 연료 필러 도어(1)를 개방 각도에 따라 내·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토오션부(41)가 마련된다.
이때 토오션부(41)는, 지지편(21,2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부에 이중으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한 바, 이는 좀더 강한 탄성력을 연료 필러 도어(1)에 부여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료 필러 도어(1)가 밀폐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션 스프링(40)은 토오션부(41)에 의해 화살표를 표시된 바와 같이 연료 필러 도어(1)를 내측으로 가하는 힘(Pa)(Ma)을 받게 된다.
이는 토오션 스프링(40)의 일단이 제1서포터(10)의 힌지편(11,12)에 걸림 고정된 상태가 힌지점을 중심으로 내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느 정도 연료 필러 도어(1)를 개방시키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션 스프링(40)에 의한 힘(Pb)(Mb)과 힌지점이 일치되는 시점에 위치되게 된다.
이 시점에서는 연료 필러 도어(1)는 내·외측으로 탄성력을 받는 힘이 같은 상태이기 때문에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지된 상태에서 연료 필러 도어(1)를 좀더 개방시키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션 스프링(40)에 의한 힘(Pc)(Mc)의 방향이 힌지점의 외측에 위치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연료 필러 도어(1)는 외측으로 힘을 받게 되어 필러 하우징(2)으로부터 개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연료 필러 도어(1)는 힌지점과 토오션 스프링(40)에 의한 힘의 방향이 일치되는 시점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가하는 힘의 방향이 전환되어 개방 및 밀폐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각도에 따라 내·외측으로의 가하는 힘이 전환되는 토오션 스프링을 통해 연료 필러 도어를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된 것이어서,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 및 밀폐 과정에서의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반복적인 개폐 동작에 의해서도 탄성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개폐동작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바디 일측면에 위치된 연료 필러 도어를 필러 하우징을 중심으로 개방 및 밀폐시킴에 있어서;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하단부에는 관통구멍을 갖는 제1힌지편이 연장 형성된 제1서포터와; 그 일측면이 연료 필러 하우징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그 중심면에는 상·하부 걸림홈을 갖는 지지편이 연장 형성되고, 상·하단부에는 제1힌지편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대응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제2힌지편이 연장된 제2서포터와;
    상기 제1,2힌지편의 관통구멍으로 체결된 힌지핀과; 그 일측 중심면이 상기 제2서포터의 걸림홈이 걸림되고, 그 양단이 상기 서포터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힌지편의 일측면에 걸림 고정되어,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각도에 따라 내,외측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토오션부가 마련된 토오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션 스프링은, 상기 제2서포터의 지지편을 중심으로 이중 토오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KR1019970026238A 1997-06-20 1997-06-20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KR19990002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238A KR19990002590A (ko) 1997-06-20 1997-06-20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238A KR19990002590A (ko) 1997-06-20 1997-06-20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590A true KR19990002590A (ko) 1999-01-15

Family

ID=6598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238A KR19990002590A (ko) 1997-06-20 1997-06-20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5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700B1 (ko) * 2006-07-28 2008-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버터블 차량의 탑 커버 지지구조
US9024448B2 (en) 2012-07-17 2015-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er semiconductor molding die,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KR102249860B1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700B1 (ko) * 2006-07-28 2008-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버터블 차량의 탑 커버 지지구조
US9024448B2 (en) 2012-07-17 2015-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er semiconductor molding die,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KR102249860B1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2590A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KR20010018950A (ko) 차량 슬라이딩도어의 안전록 장치
KR100501353B1 (ko) 자동차용 연료 도어장치
KR200184765Y1 (ko) 자동차의 일체형 연료필러캡
KR100418670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의 덮개구조
KR970001458Y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개폐도어 탄발장치
KR0120246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KR100521792B1 (ko) 자동차용 연료필라도어의 개방유지장치
KR19980011114U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의 힌지 구조(a hinge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car)
KR0118300Y1 (ko)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KR100219949B1 (ko) 퓨얼필러도어의 힌지 결합구조
KR20030086631A (ko) 회전 슬라이드 방식의 연료필러 도어 개폐구조
KR0124273Y1 (ko) 연료탱크 필러 도어
KR0157378B1 (ko) 퓨얼 필러 도어의 캡 결합상태 확인장치
KR200158295Y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기구
KR100534393B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구조
KR0119720B1 (ko)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방장치
KR200197203Y1 (ko) 연료필러 캡 조립체
KR19980047086U (ko) 승용차의 연료주입필러의 뚜껑구조
KR0138555B1 (ko)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KR0139428Y1 (ko) 연료필러 캡 고정장치
KR100401583B1 (ko) 필러리드 개폐용 브라켓트
KR100534309B1 (ko) 자동차용 연료필라도어의 결합구조
KR0134399Y1 (ko) 자동차 콘솔박스의 구조
KR19980053151U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