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860B1 -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860B1
KR102249860B1 KR1020190137798A KR20190137798A KR102249860B1 KR 102249860 B1 KR102249860 B1 KR 102249860B1 KR 1020190137798 A KR1020190137798 A KR 1020190137798A KR 20190137798 A KR20190137798 A KR 20190137798A KR 102249860 B1 KR102249860 B1 KR 10224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rod catch
charging door
hou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도어의 개폐방식을 전동식 오픈 구조에서 수동조작에 의한 스윙거동 개폐식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수량을 축소함과 더불어 부품의 중량을 절감하고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는 차체패널에 대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하방향의 스윙거동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도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충전도어를 상하방향 스윙거동형 개폐방식으로 설치하는 힌지 조립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충전도어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조절하는 록킹기구, 및 상기 록킹기구에 대한 열림조작을 위한 푸쉬버튼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Swing motion open and closed type charging door devic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충전식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충전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도어의 개폐방식을 전동식 오픈 구조에서 수동조작에 의한 스윙거동 개폐식 구조로 변경하여 구성 부품의 수량을 축소하고 부품의 중량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전기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에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를 탑재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구현하는 것으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를 반드시 구비해야 한다.
이와 같은 충전포트는 차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도어를 매개로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전기자동차는 충전도어의 개폐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개폐 장치를 구비하게 되는 데, 종래 대부분의 전기자동차용 충전도어의 개폐 장치는 전동 구동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주로 차실내에 위치한 개방용 버튼을 조작하여 충전도어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존의 전동 구동식 충전도어의 개폐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전동식 구성을 위해 부품의 수량도 많아지게 되고, 그에 따른 전체 부품의 중량 증대와 함께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므로,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63058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전도어의 개폐방식을 전동식 오픈 구조에서 수동조작에 의한 스윙거동 개폐식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수량을 축소함과 더불어 부품의 중량을 절감하고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패널에 대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하방향의 스윙거동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도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충전도어를 상하방향 스윙거동형 개폐방식으로 설치하는 힌지 조립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충전도어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조절하는 록킹기구, 및 상기 록킹기구에 대한 열림조작을 위한 푸쉬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충전도어는 상기 푸쉬버튼을 장착하는 관통구멍을 갖춘 외측도어부, 및 상기 외측도어부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록킹기구를 설치하는 내측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도어부는 상기 힌지 조립체의 가동힌지를 고정하며, 상기 록킹기구의 록킹로드캐치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힌지, 상기 충전도어에 설치되는 가동힌지, 상기 고정힌지와 상기 가동힌지 사이를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힌지아암, 상기 고정힌지와 상기 힌지아암의 일단부 사이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 및 상기 고정힌지와 상기 힌지아암의 일단부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아암에 대해 열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힌지와 상기 힌지아암은 각각 상기 토션스프링의 자유단부에 대한 지지를 위해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푸쉬버튼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충전도어를 닫힘상태로 전환하는 록킹로드캐치, 및 상기 충전도어의 내측도어부에 대해 상기 록킹로드캐치를 잠금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로드캐치는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의 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충전도어를 닫힘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로드캐치는 상기 푸쉬버튼의 경사 가압부와 접촉하여 연동하는 경사 수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로드캐치는 상기 푸쉬버튼과의 연동을 위해 상기 경사 수압부를 갖추고서 상기 하우징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로드캐치, 및 상기 제1로드캐치와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드캐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1로드캐치와 제2로드캐치는 각각 상기 리턴스프링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매개로 잠금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1로드캐치와 상기 제2로드캐치 사이를 연동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의 치합을 위해 상기 제1로드캐치와 상기 제2로드캐치에 각각 구비되는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충전도어의 내측도어부에 대해 상기 록킹로드캐치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마운팅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로드캐치와 상기 제2로드캐치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받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충전도어의 내측도어부는 상기 록킹로드캐치를 수용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록킹로드캐치의 자유단부를 삽입하는 체결구멍과 교통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는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충전도어에 대한 개폐방식을 기존의 전동 구동식 개폐 구조에서, 푸쉬버튼의 가압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되는 록킹기구를 매개로 수동조작에 의한 스윙거동 개폐식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충전도어의 개폐식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필요 부품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체 부품의 중량을 감소하며 그에 따른 부품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는 충전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 방식을 기존의 차실내 버튼 조작에서 충전도어에 구비되는 푸쉬버튼에 의한 외부 조작의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충전도어를 개폐 조작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는 푸쉬버튼의 가압조작에 의해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록킹기구와, 하우징과 충전도어 사이에 설치되는 4절 링크구조의 힌지 조립체를 매개로 충전도어에 대한 개폐를 상하방향의 스윙거동형 개폐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충전설비와 충전도어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에 대한 닫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에서 충전도어를 구성하는 외측도어부만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에서 충전도어를 구성하는 외측도어부와 내측도어부의 전체부위를 제거하여 하우징에 대한 록킹기구의 체결상태, 및 힌지 조립체의 설치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록킹기구와 내측도어부 사이의 구성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록킹기구와 힌지 조립체 각각에 대한 구성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록킹기구와 힌지 조립체 각각에 대한 구성관계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로서, 특히 힌지 조립체는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에 대한 열림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에 대한 열림상태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는 차체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0)에 대해 충전도어(20)를 상하방향의 스윙거동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에 대한 상기 충전도어(20)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록킹기구(30),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충전도어(20)를 상하방향 스윙거동형 개폐방식으로 설치하는 힌지 조립체(40), 및 상기 록킹기구(30)에 대한 열림조작을 위한 푸쉬버튼(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것으로, 충전용 소켓을 비롯한 충전용 기기(미도시)의 외부 노출을 위해 중앙부위가 천공된 형태의 개구부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전도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스윙거동형의 개폐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푸쉬버튼(50)을 장착하는 외측도어부(21), 및 상기 외측도어부(21)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측도어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도어부(21)는 중앙부위에 상기 푸쉬버튼(50)의 장착을 위해 천공된 형태의 관통구멍(21a)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도어부(22)는 상기 외측도어부(21)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면부위에 상기 록킹기구(30)를 동작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내측도어부(22)는 상기 록킹기구(30)의 록킹로드캐치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도어부(22)는 배면부위에 상기 힌지 조립체(40)의 가동힌지(4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록킹기구(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한 상기 충전도어(20)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푸쉬버튼(50)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어 상기 충전도어(20)를 닫힘상태로 전환하는 록킹로드캐치(31), 및 상기 충전도어(20)의 내측도어부(22)에 대해 상기 록킹로드캐치(31)를 잠금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3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록킹로드캐치(31)는 상기 푸쉬버튼(50)의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록킹로드캐치(31)의 자유단부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체결구멍(11)에 삽입되어 상기 충전도어(20)를 닫힘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록킹로드캐치(31)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버튼(50)의 경사 가압부(51)와 접촉하여 연동하는 경사 수압부(3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록킹로드캐치(31)는 제1로드캐치(34)와 제2로드캐치(35)를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로드캐치(34)는 상기 푸쉬버튼(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푸쉬버튼(50)과의 연동을 위해 상기 경사 수압부(33)를 갖추고, 자유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위치한 체결구멍(11)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로드캐치(35)는 상기 제1로드캐치(34)와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자유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위치한 체결구멍(11)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로드캐치(34)와 제2로드캐치(35)는 각각 상기 리턴스프링(32)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10)의 체결구멍(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잠금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로드캐치(34)와 제2로드캐치(35) 사이의 연동은 도 4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36)와 랙기어(37)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데, 상기 피니언기어(36)는 상기 충전도어(20)의 내측도어부(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랙기어(37)는 상기 피니언기어(36)와의 치합을 위해 상기 제1로드캐치(34)와 상기 제2로드캐치(35)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피니언기어(36)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로드캐치(34)와 상기 제2로드캐치(35)는 상기 피니언기어(36)와 상기 랙기어(37) 사이의 치합에 의해 열림방향 또는 잠금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도어(20)는 내측도어부(22)에 상기 록킹로드캐치(31)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래킷(23)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브래킷(23)은 상기 제1로드캐치(34)와 상기 제2로드캐치(35)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적정의 위치에 구비됨은 물론이고, 상기 제1로드캐치(34)와 상기 제2로드캐치(35)는 상기 마운팅브래킷(23)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받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8)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도어(20)의 내측도어부(22)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로드캐치(31)를 구성하는 제1로드캐치(34)와 제2로드캐치(35)를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관통구멍(24)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24)은 상기 록킹로드캐치(31)를 구성하는 제1로드캐치(34)와 제2로드캐치(35)의 자유단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하는 체결구멍(11)과 교통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 조립체(40)는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에 대해 상기 충전도어(20)를 상하방향 스윙거동형 개폐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서 양측부위에 설치되는 고정힌지(41), 상기 충전도어(20)의 내측도어부(22)에서 상기 고정힌지(41)와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가동힌지(42), 상기 고정힌지(41)와 상기 가동힌지(42) 사이를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힌지아암(43), 상기 고정힌지(41)와 상기 한 쌍의 힌지아암(43) 중 적어도 하나의 힌지아암(43)의 일단부 사이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44), 및 상기 고정힌지(41)와 상기 힌지아암(43)의 일단부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힌지(41)에 대해 상기 힌지아암(43)을 항상 열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4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45)의 양측 자유단부는 상기 고정힌지(41)의 돌출부(41a)와 상기 힌지아암(43)의 돌출부(43a)에 대해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바, 이는 상기 토션스프링(45)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힌지아암(43)이 열림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특히, 상기 힌지 조립체(4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한 상기 충전도어(20)의 개폐방식을 상하방향의 스윙거동 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해 4절 링크구조로 구성되는 데, 이는 2개의 힌지아암(43)이 상기 고정힌지(41)와 상기 가동힌지(42)에 대해 각각 독립된 힌지지점을 가지도록 힌지 결합됨과 더불어, 각각의 힌지아암(43)이 상기 충전도어(20)의 상하방향 스윙거동형 개폐를 위해 적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다만, 4절 링크구조에 의한 스윙거동 방식의 선회운동은 공지된 사안이므로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푸쉬버튼(50)은 상기 록킹기구(30)에 대한 열림조작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로드캐치(31)의 경사 수압부(33)와의 접촉에 따른 상기 록킹기구(30)의 작동을 위해 자유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 가압부(51)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경사 가압부(51)와 상기 경사 수압부(33)의 형성방향은 상기 푸쉬버튼(50)의 가압조작에 의해 상기 록킹기구(30)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잠금방향으로 동작하여 닫힘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설정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50)은 상기 충전도어(20)의 외측도어부(21)에 형성되는 관통구멍(21a)에 대해 복원스프링(52)을 매개로 탄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외측도어부(21)의 관통구멍(21a)은 상기 복원스프링(52)의 탄성에 의해 상기 푸쉬버튼(5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별도의 걸림 구조물(미도시)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는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충전도어(20)에 대한 개폐방식을 기존의 전동 구동식 개폐 구조에서, 푸쉬버튼(50)의 가압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되는 록킹기구(30)를 매개로 수동조작에 의한 스윙거동 개폐식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충전도어(20)의 개폐식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필요 부품의 수량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체 부품의 중량을 감소하며 그에 따른 부품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푸쉬버튼(50)의 가압에 의해 록킹기구(30)의 록킹로드캐치(31)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체결구멍(11)으로부터 제1로드캐치(34)와 제2로드캐치(35)의 자유단부가 외부로 이탈되어 충전도어(20)의 잠금상태는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힌지 조립체(40)는 토션스프링(45)이 구현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충전도어(20)를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는 충전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 방식을 기존의 차실내 버튼 조작에서 충전도어(20)에 구비되는 푸쉬버튼(50)에 의한 외부 조작의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충전도어(20)를 개폐 조작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는 푸쉬버튼(50)의 가압조작에 의해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록킹기구(30)와, 하우징(10)과 충전도어(20) 사이에 설치되는 4절 링크구조의 힌지 조립체(40)를 매개로 충전도어(20)에 대한 개폐를 상하방향의 스윙거동형 개폐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충전설비와 충전도어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하우징 11-체결구멍
20-충전도어 21-외측도어부
21a-관통구멍 22-내측도어부
23-마운팅브래킷 24-관통구멍
30-록킹기구 31-록킹로드캐치
32-리턴스프링 33-경사수압부
34-제1로드캐치 35-제2로드캐치
36-피니언기어 37-랙기어
38-연장부 40-힌지조립체
41-고정힌지 41a-돌출부
42-가동힌지 43-힌지아암
43a-돌출부 44-힌지핀
45-토션스프링 50-푸쉬버튼
51-경사가압부 52-복원스프링

Claims (12)

  1. 차체패널에 대해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하방향의 스윙거동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도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충전도어를 상하방향 스윙거동형 개폐방식으로 설치하는 힌지 조립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충전도어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를 조절하는 록킹기구; 및
    상기 록킹기구에 대한 열림조작을 위한 푸쉬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도어는 상기 푸쉬버튼을 장착하는 관통구멍을 갖춘 외측도어부, 및 상기 외측도어부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록킹기구를 설치하는 내측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도어부는 상기 힌지 조립체의 가동힌지를 고정하며, 상기 록킹기구의 록킹로드캐치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힌지;
    상기 충전도어에 설치되는 가동힌지;
    상기 고정힌지와 상기 가동힌지 사이를 힌지 결합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힌지아암;
    상기 고정힌지와 상기 힌지아암의 일단부 사이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 및
    상기 고정힌지와 상기 힌지아암의 일단부 사이의 힌지 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아암에 대해 열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와 상기 힌지아암은 각각 상기 토션스프링의 자유단부에 대한 지지를 위해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푸쉬버튼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충전도어를 닫힘상태로 전환하는 록킹로드캐치; 및
    상기 충전도어의 내측도어부에 대해 상기 록킹로드캐치를 잠금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킹로드캐치는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의 체결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충전도어를 닫힘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록킹로드캐치는 상기 푸쉬버튼의 경사 가압부와 접촉하여 연동하는 경사 수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록킹로드캐치는
    상기 푸쉬버튼과의 연동을 위해 상기 경사 수압부를 갖추고서 상기 하우징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로드캐치; 및
    상기 제1로드캐치와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드캐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1로드캐치와 제2로드캐치는 각각 상기 리턴스프링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매개로 잠금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캐치와 상기 제2로드캐치 사이를 연동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의 치합을 위해 상기 제1로드캐치와 상기 제2로드캐치에 각각 구비되는 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충전도어의 내측도어부에 대해 상기 록킹로드캐치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마운팅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캐치와 상기 제2로드캐치는 상기 마운팅브래킷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받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전도어의 내측도어부는 상기 록킹로드캐치를 수용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록킹로드캐치의 자유단부를 삽입하는 체결구멍과 교통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KR1020190137798A 2019-10-31 2019-10-31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KR10224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98A KR102249860B1 (ko) 2019-10-31 2019-10-31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98A KR102249860B1 (ko) 2019-10-31 2019-10-31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860B1 true KR102249860B1 (ko) 2021-05-10

Family

ID=7591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98A KR102249860B1 (ko) 2019-10-31 2019-10-31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86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590A (ko) * 1997-06-20 1999-01-15 박병재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JP2011255779A (ja) * 2010-06-09 2011-12-22 Nifco Inc ロック装置
KR20130081583A (ko) * 2012-01-09 2013-07-17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1315580B1 (ko) * 2012-06-29 2013-10-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듀얼 암레스트 힌지구조
US20140152026A1 (en) * 2012-11-30 2014-06-05 Omar Cinco Configurable latch assembly
KR20150032922A (ko) * 2013-09-17 2015-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KR101630589B1 (ko) 2012-07-05 2016-06-1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차량의 충전 포트 장치
JP5972657B2 (ja) * 2012-05-11 2016-08-17 株式会社ニフコ グローブボックス
JP2018065532A (ja) * 2016-10-21 2018-04-26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ィラーリッド構造体
KR20180100761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캠스 전기차용 충전포트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590A (ko) * 1997-06-20 1999-01-15 박병재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JP2011255779A (ja) * 2010-06-09 2011-12-22 Nifco Inc ロック装置
KR20130081583A (ko) * 2012-01-09 2013-07-17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로킹탭을 포함하는 잠금장치
JP5972657B2 (ja) * 2012-05-11 2016-08-17 株式会社ニフコ グローブボックス
KR101315580B1 (ko) * 2012-06-29 2013-10-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듀얼 암레스트 힌지구조
KR101630589B1 (ko) 2012-07-05 2016-06-1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차량의 충전 포트 장치
US20140152026A1 (en) * 2012-11-30 2014-06-05 Omar Cinco Configurable latch assembly
KR20150032922A (ko) * 2013-09-17 2015-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JP2018065532A (ja) * 2016-10-21 2018-04-26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ィラーリッド構造体
KR20180100761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캠스 전기차용 충전포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95494B (zh) 用于机动车门的把手装置
RU25585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и закрывания крышки
CN101906913A (zh) 用于全开铰链的锁定部件
RU2668409C2 (ru) Сегментированная задняя дверь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RU2456423C2 (ru)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бельной фурнитуры
KR102176317B1 (ko) 전기자동차의 상하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KR102540440B1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249860B1 (ko)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US9428944B1 (en) Articulating closure mechanism for non-aligned closure panels
US20210172219A1 (en) Door handle assembly of a vehicle door
CN213477972U (zh) 一种厨房电器门的翻板结构及厨房电器
KR20240002524A (ko) 차량도어용 힌지시스템
CN201037345Y (zh) 一种门铰链
KR200470874Y1 (ko) 운전석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2474828B1 (ko) 회전 손잡이 구조를 갖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CN109236080B (zh) 用于烹饪装置的铰链组件和烹饪装置
CN205259750U (zh) 滑移门锁机构
KR100535505B1 (ko) 차량 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의 압축 코일 스프링 적용구조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JP4566491B2 (ja) 窓用電気作動装置
KR200368918Y1 (ko) 턴/틸트식 창호시스템의 개폐구동장치
KR20200041004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N215421045U (zh) 家用电器
CN113445868B (zh) 炉门组件以及烤箱
CN214463571U (zh) 一种面板和门扇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