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555B1 -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555B1
KR0138555B1 KR1019950062535A KR19950062535A KR0138555B1 KR 0138555 B1 KR0138555 B1 KR 0138555B1 KR 1019950062535 A KR1019950062535 A KR 1019950062535A KR 19950062535 A KR19950062535 A KR 19950062535A KR 0138555 B1 KR0138555 B1 KR 013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let
clip
fuel
lower portion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693A (ko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555B1/ko
Publication of KR97003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주변플랜지(12)하부의 주변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클립(14) 및 클립지지부(15)를 지니며, 일측면하부에서 하우징(21)을 지니는 연료주입구(10) 및 상기 연료주입구(10)의 하부의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힌지(22)에 의해 상기 연료주입구(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주입구 뚜껑(20)으로 구성되며, 연료주입구(10)가 상기 클립(14)에 의해 차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주입구 조립체를 차체에 장착시 볼트 또는 용접결합이 생략될 수 있어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제1도는 종래의 연료주입구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 조립체의 배치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의 배면도.
제5a도는 클립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장착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와 주입구 뚜껑사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주입구 12 : 플랜지
14 : 클립 16 : 클립상부면
20 : 연료주입구뚜껑 21 : 하우징
22 : 힌지 24 : 핀
본 발명은 연료주입구 조립체, 특히 연료주입구 지지패널을 생략한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후방좌측 또는 우측면에는 운전석에서 원격조정되는 연료주입구가 설치되어 연료를 공급받는다. 이같은 종래의 연료주입구의 상세한 단면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료주입구 조립체에서는 차체의 내측패널(A)과 외측패널(B)사이에 연료주입구패널(C)이 제공된다.
이 연료주입구패널(C)은 연료파이프(D)가 관통되는 측면내측패널(A)에 용접되며, 주유소의 연료주유구가 관통되는 개구부의 주변이 외측패널(B)에 부착된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덮개가 상기 연료주입구패널(C)의 일측면에 힌지 또는 탄성결합되어 주입구를 개폐시킨다.
이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먼저 연료주입구패널(C)을 여러번의 용접공정을 거쳐 내측패널(A)과 외측패널(B)사이에 접합시키고, 연료파이프(D)를 설치한 후 별도로 뚜껑을 다시 힌지 또는 탄성결합시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불편할 뿐 아니라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해 왔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를 고대해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주입구패널과 연료주입구뚜껑을 일체화시킨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해결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주변플랜지하부의 주변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클립 및 클립 지지부를 지니며, 일측면하부에서 하우징을 지니는 연료주입구 및 상기 연료주입구의 하부의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힌지에 의해 상기 연료주입구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주입구 뚜껑으로 구성되는 일체형 연료주입구 조립체가 제공된다. 주변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클립(clip)이 일체성형되어 있고 중앙에 연료파이프가 장착되며, 상기 클립에 의해 차체패널에 장착되는 연료주입구 및 상기 연료주입구의 일측부에 클립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연료주입구 덮개로 구성되는 연료주입구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연료주입구와 클립은 플라스틱으로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 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연료주입구(10)와 연료주입구뚜껑(20)은 힌지(2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료주입구(10) 및 뚜껑(20)이 상호접하는 양단에는 각각 잠금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연료파이프캡이 볼트에 줄로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같은 일부구조는 통상적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도면에서 중요하게 고찰될 사항은 연료주입구(10)와 뚜껑(20)이 일체로 힌지 연결된다는 것인바, 상기 힌지(22)는 일단부가 뚜껑에 용접되며, 타단부는 상세히 후술되는 하우징(21)내측에서 핀(24)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 조립체가 차체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연료주입구 조립체(1)가 간단히 차체에 장착됨을 알 수 있다. 즉 연료주입구(10)의 주변플랜지(12)에 일체로 형성된 4개의 클립에 의해 차체에 직접 장착된다. 따라서 내측패널을 연료주입구(10)의 하부면까지 연장시켜 그곳에 연료주입구를 용접하는 공정이 생략된다. 또한 일측부에는 하우징(21)이 제공되는바, 이 하우징내에서 상기 힌지(22)가 핀결합되어 회동운동한다.
이같은 클립장착방식이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연료주입구(10)의 주변플랜지(12) 하부에는 그 연료주입구(10)의 상부주변을 따라 다수의 클립(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10)은 상기 연료주입구(10)의 상부주변을 따라 일체로 성형된 클립지지부(15)에 하부변이 지지되어 있다. 클립(14)은 정상상태에서는 클립지지부(15)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클립(14)은 적정탄성을 지녀 클립지지부(15)에 고정된 하부변에 대해 탄성회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클립(14)이 주입구 주변에 일체로 형성되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립의 재료로는 적정탄성 및 체결력을 지니는 재료가 선택되며, 본 출원에서는 플라스틱이 바람직한 재료이다.
또한 상기 클립은 상기 클립지지부 및 연료주입구에 한번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이를 각각 분리성형하여 일체로 조립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5a도 및 5b도에는 클립(14)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연료주입구(10) 주변에 배치된 클립지지부(15)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돌출된 클립(14)이 차체(2)의 장착구멍 하부상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차체의 상부에는 연료주입구(10)의 주변플랜지가 접촉된다.
제6도에는 연료주입구(10)와 연료주입구뚜껑(20)간의 연결구조가 단면도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뚜껑(20)의 하부면 일측부에는 힌지(22)의 일단부가 용접되어 있으며 힌지(20)의 타단부는 핀(24)에 의해 연료주입구하부의 하우징(21)에 핀(24)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힌지(22)는 굴곡형이며, 개·폐시 핀(24)의 축에 대해 회동한다. 즉, 힌지(22)는 핀(24)을 회동축으로 하여 하우징(21)의 개구부 범위내에서 회동한다.
이같은 구조에 따른 연료주입구 조립체의 장착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구(10)의 주변플랜지(12) 하부의 외측원주변을 따라 다수의 클립(14) 및 클립지지부(15)를 일체로 성형한다. 또한 상기 연료주입구(10)에 연료주입구뚜껑(20)을 일체로 장착시킨다. 물론 연료주입구(10)와 뚜껑(20)의 결합에는 힌지가 이용된다.
이같은 조립된 연료주입구 조립체를 차체의 외측패널에 장착시키는바,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F)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차체패널(2)의 장착구(5)에 삽입한다. 이때 삽입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상기 장착구(5)에 돌출클립(14)의 하부외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후 계속적인 삽입이 진행되면 장착구멍(5)에 의해 클립(14)이 연료주입구(10)의 내측을 향해 회동한다. 이후 장착구멍(5)이 클립(14)의 상부면(16)을 지나게 되면 클립(14)은 원래의 정상적인 상태로 탄성회동되어 클립의 상부면(16)이 장착구멍(5)의 외측주변과 접하게 된다. 이같은 장착구조는 차체의 장착구멍이 연료주입구의 플랜지(12)와 클립(14)에 의해 2중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매우 견고한 장착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연료주입구는 그 성형방법이 신규할 뿐만 아니라 차체의 장착방법이 매우 용이한 것으로 주시된다. 즉, 연료주입구(10) 자체의 장착용클립(14)을 일체로 성형할 뿐 아니라 뚜껑 또한 힌지에 의해 연료주입구에 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그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이같은 연료조립체를 차체에 장착할 때도 별도의 용접공정 또는 볼트공정이 회피될 수 있어 재료가 절약되며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이 뛰어난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주변플랜지(12) 하부의 주변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클립(14) 및 클립지지부(15)를 지니며, 일측면하부에서 하우징(21)을 지니는 연료주입구(10); 및 상기 연료주입구(10)의 하부의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힌지(22)에 의해 상기 연료주입구(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주입구 뚜껑(2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입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4)은 상기 연료주입구(10) 외측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며, 차체패널에 대해 상기 연료주입구플랜지(12)와 2중 장착되며, 상기 클립(14)과 연료주입구(10)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입구 조립체.
KR1019950062535A 1995-12-29 1995-12-29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KR013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535A KR0138555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535A KR0138555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693A KR970035693A (ko) 1997-07-22
KR0138555B1 true KR0138555B1 (ko) 1998-04-30

Family

ID=1944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535A KR0138555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8944A (zh) * 2014-11-06 2015-03-25 上海众达汽车冲压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箱盖内板的冲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8944A (zh) * 2014-11-06 2015-03-25 上海众达汽车冲压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箱盖内板的冲压方法
CN104438944B (zh) * 2014-11-06 2016-01-13 上海众达汽车冲压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箱盖内板的冲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693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512A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with a noise and vibration-damping fastener
JPH0988937A (ja) 回転体の枢支軸構造
KR0138555B1 (ko) 개선된 연료주입구 조립체
JPH07142119A (ja) カバー部材付きコネクタ
JPH0534259Y2 (ko)
KR200141609Y1 (ko) 자동차 도어힌지의 장착구조
KR19980034855U (ko) 연료주입구 하우징의 취부구조
KR200156225Y1 (ko) 자동차 트림 장착 체결구
KR200148149Y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덮개의 힌지핀 고정구조
KR960007401Y1 (ko) 에어크리너의 취부구조
KR200148152Y1 (ko) 자동차용연료주입부보강판의취부구조
KR970001534Y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연결구조
KR0118624Y1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안전핀 설치구조
KR200142813Y1 (ko)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JPH0454298Y2 (ko)
KR0134525Y1 (ko) 자동차의 도어체결용 힌지구조
KR0116694Y1 (ko) Lp가스 차량의 가스 봄베 취부구조
JP2585361Y2 (ja) ワイパーピボット部のシール構造
KR970004421Y1 (ko) 도어섀시의 몰딩재 취부구조
KR19980074763A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구조
KR19980037533A (ko) 연료 필라 리드 힌지 고정구조
KR200185247Y1 (ko) 와이퍼의 피봇 하우징 고정 클립
KR0139411Y1 (ko) 도어 힌지 장착용 브래킷
KR19980062894A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구조
KR19990030316U (ko) 차량용 연료탱크에의 연료 파이프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