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813Y1 -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813Y1
KR200142813Y1 KR2019940001953U KR19940001953U KR200142813Y1 KR 200142813 Y1 KR200142813 Y1 KR 200142813Y1 KR 2019940001953 U KR2019940001953 U KR 2019940001953U KR 19940001953 U KR19940001953 U KR 19940001953U KR 200142813 Y1 KR200142813 Y1 KR 200142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ing
shaft
air spring
assemb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367U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신형인
금호타이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인, 금호타이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형인
Priority to KR2019940001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813Y1/ko
Publication of KR950025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3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positioning or withdrawing springs, e.g. coil or leaf springs
    • B25B27/308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positioning or withdrawing springs, e.g. coil or leaf springs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46Clip clamping 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스프링의 조립시 고무벨로우즈의 상단에 내, 외측 클램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 중앙부 및 하단부에 차례로 나사부(81a) 및 탭부(81b)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개구부(81c)가 형성되어 내측 클램프링(4)의 공기주입구(41)에 상기 탭부(81b)가 나합되도록 된 축(81),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82a)을 통하여 상기 축(81)에 외삽되어 외측 클램프링(5)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된 평판(82), 상기 축(81)의 나사부(81a)에 나합되는 손잡이 너트(83), 그리고 상기 축(81)의 개구부(81c)에 상하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84)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에 의하여 공기 스프링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의 분해도.
제3도는 공기 스프링의 조립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탱크 2 : 고무벨로우즈
4 : 내측 클램프링 5 : 외측 클램프링
6 : 와셔 7 : 너트
21, 22 : 비드부 41 : 공기주입구
42 : 볼트 51 : 삽입공
52 : 체결공 81 : 축
81a : 나사부 81b : 탭부
81c : 개구부 82 : 평판
82a : 관통공 83 : 손잡이 너트
84 : 회전핀
본 고안은 충격완화를 위하여 자동차, 철도차량, 산업기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공기 스프링의 조립을 위한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스프링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만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 제3도에 나타나는 것처럼, 공기탱크(1)의 상부에 고무벨로우즈(2)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의 공기스프링은, 고무벨로우즈(2)의 하단 비드부(21)를 하측 클램프링(3)에 의하여 협지되도록 볼트(31)로 고정하고, 상기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에는 고무벨로우즈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내, 외측 클램프링(4)(5)을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공기스프링의 조립과정중 상기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에 내, 외측 클램프링(4)(5)을 장착하는 종래의 방법은, 공기주입구(41)가 상면 일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42)가 상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된 내측 클램프링(4)을 고무벨로우즈(2)의 내부에 삽입하여 수평배치하고, 상기 공기주입구(41) 및 다수의 볼트(42)와 대응되도록 천공된 삽입공(51) 및 다수의 체결공(52)을 가진 외측 클램프링(5)을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에 위치시킨 다음 외측 클램프링(5)을 눌러 고무벨로우즈(2)를 공기탱크(1)의 상면에 압착시킨 상태에서 내측클램프링(4)의 볼트(42)가 외측 클램프링(5)의 체결공(52)을 통하여 돌출되면 상기 볼트(42)에 와셔(6)를 끼우고 너트(7)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었다. 즉, 내, 외측 클램프링(4)(5)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가 협지되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무벨로우즈(2)를 압착하여 내측 클램프링(4)의 볼트(42)를 외측 클램프링(5)의 체결공(52)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시키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는, 제4도에 나타나는 것처럼, 내, 외측 클램프링(4)(5)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협지되는 비드부(22)의 두께(t)가 공기누출방지를 위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측 클램프링(4)의 볼트(42)의 길이를 길게 하면 볼트(42)를 체결공(52) 상부로 손쉽게 돌출시킬 수 있으리라고 고려되지만 상기 볼트(42)의 길이는 외측 클램프링(5)의 최상면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42)의 길이를 길게하는 것은 곤란하다. 왜냐하면, 공기스프링을 차량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상기 볼트(42)의 길이가 길면 이것 때문에 공기스프링의 접촉면, 즉 외측클램프링(5)의 상면이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내측 클램프링(4)의 볼트(42)의 돌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의 두께(t)를 얇게 하면 내, 외측 클램프링(4)(5)의 조립에 의한 상단 비드부(22)의 협지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고 헐거워져 이 때 생기는 틈으로 공기가 누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도 또한 곤란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기스프링의 조립시 고무벨로우즈의 상단 비드부에 내, 외측 클램프링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스프링의 공기탱크의 상단에 고정된 고무벨로우즈의 상단 비드부에, 공기주입구가 상면 일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가 상면에 결합된 내측 클램프링과, 상기 내측 클램프링의 공기 주입구 및 다수의 볼트와 대응되게 천공된 삽입공 및 다수의 체결공을 가진 외측 클램프링을 조립하기 위한 공기스프링 조립장치에 있어서, 외주면 중앙부 및 하단부에 차례로 나사부 및 탭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클램프링의 공기주입구에 상기 탭부가 나합되도록 된 축,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축에 외삽되어 외측 클램프링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된 평판, 상기 축의 나사부에 나합되는 손잡이 너트, 그리고 상기 축의 개구부에 상하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축을 내측 클램프링의 공기주입구에 나합하여 상기 내측 클램프링을 고무벨로우즈 내에 삽입한 다음 삽입공을 통하여 외측 클램프링을 축에 외삽함과 아울러 평판을 외삽하고, 축의 나사부에 손잡이 너트를 나합하여 이것을 회동하면 내측 클램프링이 상승하여 그 상면이 외측 클램프링의 하면에 밀착되어 외측 클램프링의 체결공의 상부로 내측 클램프링의 볼트가 용이하게 돌출되므로, 이 돌출된 볼트에 와셔를 개재하여 너트를 체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스프링 조립장치에 의하여 공기스프링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하단에 장착볼트(11)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에는 고무패드(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오리피스관(13)이 내장된 공기탱크(1)의 상단에 고무벨로우즈(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벨로우즈(2)의 상, 하단은 비드부(22)(21)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벨로우즈(2)의 중앙 외주면에는 중앙링(23)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중앙링(23)은 공기스프링의 작동시 벨로우즈(2)의 중앙부위의 과도한 팽창을 방지함과 아울러 벨로우즈(2)의 형태를 유지하고, 또한 스프링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무벨로우즈(2)는 하단 비드부(21)를 고무패드(12)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드부(21)의 내면이 가장자리부에 의해 파지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무패드(12)와 하측 클램프링(3)을 볼트(31)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공기탱크(1)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무벨로우즈(2)의 하단 비드부(21)를 공기탱크(1)의 상단에 하측 클램프링(3)에 의하여 고정하는 작업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고무벨로우즈(2) 내에 하측 클램프링(3)을 삽입하여 이것과 고무패드(12)를 볼트(31)로 상호체결하면 되므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공기주입구(41)가 상면 일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볼트(42)가 상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된 내측 클램프링(4)과, 상기 내측 클램프링의 공기주입구(41) 및 다수의 볼트(42)와 대응되게 천공된 삽입공(51) 및 다수의 체결공(52)을 가진 외측 클램프링(5)을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에 조립할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장치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나는 것처럼, 외주면 중앙부 및 하단에 차례로 나사부(81a) 및 탭부(81b)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개구홈(81c)이 형성됨으로써 내측 클램프링(4)의 공기주입구(41)에 상기 탭부(81b)가 나합되도록 된 축(81)과,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82a)을 통하여 상기 축(81)에 외삽되는 평판(82)과, 상기 축(81)의 나사부(81a)에 나합되도록 된 손잡이 너트(83)과, 그리고 상기 축(81)의 개구홈(81c)에 핀(85)에 의하여 상하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8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에 내, 외측 클램프링(4)(5)을 조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내측 클램프링(4)의 공기주입구(41)에 회전핀(84)이 결합된 축(81)의 탭부(81b)를 나합한다. 상기 나합시에는 축(81)과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핀(84)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이것을 잡고 축(81)을 회동시키면 편리하다.
다음에, 축(81)이 나합된 내측 클램프링(4)을 고무벨로우즈(2)의 내부에 비스듬히 삽입하고 내측 클램프링(4)의 가장자리부가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수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다시 축(81)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회전핀(84)을 회동시키고, 삽입공(51)을 통하여 외측 클램프링(8)을 축(81)에 외삽하여 체결공(52)들이 내측 클램프링(4)의 볼트(42)들과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에, 평판(82)을 상기 축(81)에 관통공(82a)을 통하여 외측 클램프링(5)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다음에, 축(81)의 나사부(81a)에 손잡이너트(83)를 나합하여 상기 손잡이 너트(83)를 회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손잡이 너트(83)의 회동에 따라 내측 클램프링(4)이 상승하여 그 상면이 외측 클램프링(5)의 하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내측 클램프링(4)의 볼트(42)들이 외측 클램프링(5)의 체결공(52)들의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내, 외측 클램프링(4)(5)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가 기밀상태로 협지된다.
이 상태에서, 돌출된 볼트(42)에 각각 와셔(6)를 개재하여 너트(7)를 체결함으로써 고무벨로우즈(2)의 비드부(22)에 내, 외측 클램프링(4)(5)을 장착하는 것이 완료된다.
상기한 과정에 있어서, 외측 클램프링(5)과 손잡이 너트(83)와의 사이에 평판(82)을 개재하는 이유는 손잡이 너트(83)의 회동시 너트면을 지지하여 내측 클램프링(4)이 올라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평판(82)이 없다면 내측 클램프링(4)을 끌어당길 수 있는 지지면이 없으므로 평판(82)이 지지대 역할을 해준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장치에 의하여 내, 외측 클램프링(4)(5)을 고무벨로우즈(2)에 조립하는 것을 완료한 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장치를 제거하고, 고무벨로우즈(2)의 외주면 및 공기탱크(1)의 외주면을 오염물질의 침투로부터 보호하도록 고무커버(9)(제3도 참조)의 상단을 외측 클램프링(5)의 가장자리부에 씌움으로써 공기스프링을 조립하는 과정을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공기스프링을 조립하는 과정중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에 내, 외측 클램프링(4)(5)을 조립할 때, 손잡이 너트(83)의 회동만으로 내, 외측 클램프링(4)(5)을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Claims (1)

  1. 공기스프링의 공기탱크(1)의 상단에 고정된 고무벨로우즈(2)의 상단 비드부(22)에, 공기주입구(41) 및 다수의 볼트(42)가 설치된 내측 클램프링(4)과, 이것의 공기주입구(41) 및 다수의 볼트(42)와 대응하게 천공된 삽입공(51) 및 다수의 체결공(52)을 가진 외측 클램프링(5)을 조립하기 위한 공기스프링 조립장치에 있어서, 외주면 중앙부 및 하단부에 차례로 나사부(81a) 및 탭부(81b)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개구부(81c)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클램프링(4)의 공기주입구(41)에 상기 탭부(81b)가 나합되도록 된 축(81),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82a)을 통하여 상기 축(81)에 외삽되어 외측 클램프링(5)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된 평판(82), 상기 축(81)의 나사부(81a)에 나합되는 손잡이 너트(83), 그리고 상기 축(81)의 개구부(81c)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8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스프링 조립장치.
KR2019940001953U 1994-02-02 1994-02-02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KR200142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953U KR200142813Y1 (ko) 1994-02-02 1994-02-02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953U KR200142813Y1 (ko) 1994-02-02 1994-02-02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367U KR950025367U (ko) 1995-09-18
KR200142813Y1 true KR200142813Y1 (ko) 1999-06-01

Family

ID=1937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953U KR200142813Y1 (ko) 1994-02-02 1994-02-02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8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447A (zh) * 2012-11-06 2013-02-13 青岛欧美亚橡胶工业有限公司 橡胶空气弹簧之皮囊、盖板及底座的定位工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447A (zh) * 2012-11-06 2013-02-13 青岛欧美亚橡胶工业有限公司 橡胶空气弹簧之皮囊、盖板及底座的定位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367U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646A (en) Fastening device
JP3954306B2 (ja) めがねフレーム用盗難防止装置
US4264443A (en) Transmission fluid filter
KR200142813Y1 (ko)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JP4213282B2 (ja) ボルトまたはナットの回り止め構造
JP4482284B2 (ja) キャップおよび巻締め治具
JPH0345676Y2 (ko)
JPS6332360Y2 (ko)
JPH0537648Y2 (ko)
JP2603263Y2 (ja) リプレイスネジ構造
JPH08284948A (ja) ボールジョイント装置
JP2572917Y2 (ja) 排水器の取付構造
KR0165195B1 (ko)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JPS5849406Y2 (ja) 空気清浄器
KR200153541Y1 (ko) 분리가능한 지지체를 구비한 압력계
JPH0134154Y2 (ko)
JPS5826417Y2 (ja) 防爆照明器具のソケット台取付装置
JPH0218574Y2 (ko)
JPS6034033Y2 (ja) 精紡機におけるロ−ビングパイプ固定装置
JPS6321504Y2 (ko)
JPS6021859Y2 (ja) ブツシングの固定金具
JPH0572502U (ja) 自動車のホイールキャップ取付構造
JPH0739708Y2 (ja) コーナーポール取付装置
KR200435749Y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차량의 바디 마운팅 러버
JPH03177609A (ja) プラスチック封入ナット/ワッシャ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