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195B1 -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195B1
KR0165195B1 KR1019960016987A KR19960016987A KR0165195B1 KR 0165195 B1 KR0165195 B1 KR 0165195B1 KR 1019960016987 A KR1019960016987 A KR 1019960016987A KR 19960016987 A KR19960016987 A KR 19960016987A KR 0165195 B1 KR0165195 B1 KR 016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support
fixed
fixing
lif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461A (ko
Inventor
윤희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1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195B1/ko
Publication of KR97007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패널 등을 열어서 받치는 리프터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리프터 본체 설치 및 분리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리프터 본체의 고장시에 리프터 본체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드패널, 트렁크 리드, 테일게이트 등의 고정부재(1)에 용접된 너트(2)에 고정나사부(8')가 고정되고 고정부(4)가 고정부재(1)에 접촉되게 지지되는 지지부재(3)에 원형의 지지부(5)를 형성하여 리프터 본체(6)의 끝에 형성된 지지링(7)을 끼운다음 지지부재(3)의 끝에 형성된 나사부(8)에 와셔(9)를 끼우고 캡 너트(10)를 체결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것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부재 3 : 지지부재
5 : 지지부 6 : 리프터 본체
7 : 지지링 8 : 나사부
9 : 와셔 10 : 캡 너트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후드패널, 트렁크 리드, 테일게이트를 열어서 받치는 리프터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드패널, 트렁크 리드, 테일게이트를 열어서 받치기 위한 가스 피프터가 사용되고 있는바, 상기한 가스 리프터의 일단은 후드패널, 트렁크 리드, 테일게이트에 지지시키고 타단은 보디에 지지시켜서 리프터의 양단이 회전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프터 지지구조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터 본체(20)의 일단에 볼 조인트 하우징(21)을 형성하여 고정부(23)가 형성된 볼 조인트(22)를 스프링 링(24)으로 고정하고, 볼 조인트(22)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부(25)를 후드패널, 트렁크 리드, 테일게이트와 같은 고정부재(26)에 용접된 너트(27)에 고정한 것이다.
따라서 리프터 본체(20)와 볼 조인트(22)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조립공정에서 볼 조인트(22)에 형성된 고정부(23)를 스패너 등으로 회전시켜 리프터 본체(20)를 고정부재(26)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킬 때 리프터 본체(20)와 고정부재(26) 사이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볼 조인트(22)를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리프터 본체(20)의 고장시에 이를 교환할 경우에도 리프터 본체(20)와 볼 조인트(22)를 함께 폐기하여야 하므로서 경제적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리프터 본체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리프터 본체의 고장시에 리프터 본체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리프터 본체의 끝에 형성된 지지링을 끼운 다음 지지부재의 끝에 형성된 나사부에 와셔를 끼우고 캡 너트를 체결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패널, 트렁크 리드, 테일게이트 등의 고정부재(1)에 용접된 너트(2)에 고정나사부(8')가 고정되고 고정부(4)가 고정부재(1)에 접촉되게 지지되는 지지부재(3)에 원형의 지지부(5)를 형성하여 리프터 본체(6)의 끝에 형성된 지지링(7)을 끼운 다음 지지부재(3)의 끝에 형성된 나사부(8)에 와셔(9)를 끼우고 캡 너트(10)를 체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제2도와 같이 테일게이트 등의 고정부재(1)에 용접된 너트(2)에 지지부재(3)에 형성된 고정나사부(8')를 고정부(4)를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켜서 고정부(4)가 고정부재(1)에 접촉되게 지지부재(3)를 고정하고, 지지부재(3)에 형성된 원형의 지지부(5)에 리프터 본체(6)의 끝에 형성된 지지링(7)을 끼운 다음 지지부재(3)의 끝에 형성된 나사부(8)에 와셔(9)를 끼우고 캡 너트(10)를 체결하면 리프터 본체(6)가 지지부재(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리프터 본체(6)의 지지가 완료되고, 조립공정 또는 정비시에 리프터 본체(6)를 분해할 때에는 캡 너트(10)만 풀면 지지부재(3)는 고정부재(1)에 고정된 상태로 리프터 본체(6)가 지지부재(3)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리프터 본체와 지지부재를 별개로 만들어 지지부재를 고정부재에 고정한 후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부에 리프터 본체의 끝에 형성된 지지링을 끼운 다음 나사부에 캡 너트를 체결하므로서 지지부재와 리프터 본체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리프터 본체의 고장시에 이를 분리할 때에도 캡 너트만 풀고 지지부재는 고정된 상태에서 리프터 본체만을 교환하므로서 경제적인 이점 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부재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리프터 본체의 끝에 형성된 지지링을 끼운 다음 지지부재의 끝에 형성된 나사부에 와셔를 끼우고 캡 너트를 체결한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KR1019960016987A 1996-05-20 1996-05-20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KR016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987A KR0165195B1 (ko) 1996-05-20 1996-05-20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987A KR0165195B1 (ko) 1996-05-20 1996-05-20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461A KR970075461A (ko) 1997-12-10
KR0165195B1 true KR0165195B1 (ko) 1999-01-15

Family

ID=1945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987A KR0165195B1 (ko) 1996-05-20 1996-05-20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78B1 (ko) 2018-08-03 2019-02-28 이진견 전후 요동방식을 이용한 숯불 커피 로스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78B1 (ko) 2018-08-03 2019-02-28 이진견 전후 요동방식을 이용한 숯불 커피 로스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461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9699B1 (en) Bolt
JPH04505195A (ja) 自動車のヒンジ
KR0165195B1 (ko) 차량용 리프터 지지구조
JP3606350B2 (ja) 車両用ワイパー装置
KR100191025B1 (ko) 자동차의 도어 스트라이커 취부구조
JPH0218574Y2 (ko)
KR100323083B1 (ko)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물
KR200193851Y1 (ko) 캡 오버형 자동차의 엔진 룸 커버 고정구조
KR200142813Y1 (ko) 공기 스프링 조립장치
KR0124376Y1 (ko) 차량의 카울취부클립
KR0158348B1 (ko) 피로시험용 부시취부구조
KR200161599Y1 (ko) 연료 필터 고정 구조(Structure for fixing fuel filter)
KR200144181Y1 (ko)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틴 취부구조
JP2536358Y2 (ja) 自動車のホイールカバー取付構造
KR200155662Y1 (ko) 스포일러의 취부구조
KR200257785Y1 (ko) 차량에어콘의응축기용모터방진구조
KR0125718Y1 (ko) 자동차의 엔진 장착용 방진구
KR200145854Y1 (ko) 자동차의 악셀레이터 케이블 고정구
KR200141037Y1 (ko) 차량의 경음기작동 스위치장치
KR19980044577U (ko) 볼트 탈거용 지그
KR0114071Y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잠금장치
JPH0739708Y2 (ja) コーナーポール取付装置
KR19980033881U (ko) 선바이저 고정용 리테이너 구조
JPH10306838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アッパサポート構造
KR0135147Y1 (ko) 자동차용 상부 제동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