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710B1 -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710B1
KR100472710B1 KR10-2002-0062647A KR20020062647A KR100472710B1 KR 100472710 B1 KR100472710 B1 KR 100472710B1 KR 20020062647 A KR20020062647 A KR 20020062647A KR 100472710 B1 KR100472710 B1 KR 10047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rotation
rotation prevention
reverse
ratche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851A (ko
Inventor
마츠하시마나부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불필요한 역회전 방지체의 공전방지를 도모하고, 실제로 낚시할 때의 역회전 방지기능의 향상을 도모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조작에 연동 회전하는 회전체에 일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역회전 방지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릴 본체에, 상기 역회전 방지체의 둘레방향으로 설치한 역회전 방지용의 걸음부에 걸고 벗기기 가능한 걸음부재를 장착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음부를, 역회전 방지체의 역회전시에 걸음부재가 걸기가능한 역회전용 걸음부와, 당해 역회전용 걸음부와 대략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치수로 직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역회전 방지체의 정회전시에 상기 걸음부재가 걸기 가능한 정회전용 걸음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FISHING REEL}
본 발명은,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스피닝릴을 비롯하여, 전동릴이나 양 축받이형 릴과 같은 많은 낚시용 릴에,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역회전 방지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2524477 호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릴을 나타내고, 도면 중, 1은 축받이(3)를 통하여 릴 본체(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중공인 플라이어축(회전체)으로, 그 선단측 외주에 로터(7)가 너트(9)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이어축(1)의 후단측 외주에 새겨 설치된 피니언에, 핸들축에 고착한 구동기어가 맞물려 있고, 핸들(11)의 권취조작으로 로터(7)가 낚시줄 권취방향(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7)에는 한 쌍의 지지암(13)이 형성되어 있고, 양 지지암(13)의 선단에, 라인롤러(15)를 장착한 베일아암(17)과 베일홀더(19)를 통하여 반환형상의 베일(21)이, 낚시줄 권취위치와 낚시줄 방출위치에 반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도면 중, 23은 플라이어축(1)을 삽입통과하는 스풀축으로, 당해 스풀축(23)의 로터측 돌출단에 스풀(25)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23)의 후단측에 트래버스기구가 장착되어 있고, 베일(21)을 낚시줄 권취 위치측으로 넘어뜨려서 핸들조작으로 로터(7)를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트래버스기구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트래버스 운동하는 스풀(25)에 낚시줄이 감겨지고, 베일(21)을 낚시줄 방출 위치측으로 반전시켜서 장치를 캐스팅하면, 스풀(25)에 감겨진 낚시줄이 스파이럴형상으로 풀려나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피닝릴(27)은, 로터(7)의 원통부(29)의 내부에, 캐스팅시나 낚시줄의 권취시에 로터(7)의 낚시줄 풀어냄방향(역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장치(31)가 장착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역회전 방지장치(31)의 상세를 나타내고, 이 역회전 방지장치(31)는, 플라이어축(1)의 외주에 장착된 일방향 클러치(33)와, 당해 일방향 클러치(33)의 외주에 끼워맞추어 고정된 통형상의 역회전 방지체(35)와, 당해 역회전 방지체(35)의 외주에 형성된 래칫(37)의 걸음부(69)에 걸기가능한 걸음클릭(39)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래칫(37)사이에는, 걸음클릭(39)의 빠짐방지를 도모하는 절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향 클러치(3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이어축(1)의 외주에 고착된 내륜(41)과, 상기 역회전 방지체(35)가 외주에 부착되는 외륜(43)과, 내, 외륜(4l,43)간에 배치된 복수의 롤러(45)와 스페이서(47), 스프링(49)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륜(41)은 외주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롤러(45)는 스페이서(47)에 의해서 등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외륜(43)의 둘레벽에, 각 롤러(45)에 대응하여 오목부(비쐐기영역)(51)와 이것에 연속하는 경사면(쐐기영역)(53)이 형성되어 있고, 롤러(45)는 각각 스프링(49)에 의해서 경사면(53)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한편, 걸음클릭(39)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38)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55)가 클릭 끝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음클릭(39)은 릴 본체(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부재(57)에 의해서 걸음부(69)와의 걸음방향으로 상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걸음클릭(39)은, 조작바(59)의 선단에 설치한 캠(61)에 의해서 걸음부(69)에 걸고 벗기기 가능하게 제어되고, 조작바(59)의 스프링 걸음부(63)와 릴 본체(5)의 사이에 토션 스프링(65)이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5)의 후방으로 돌출한 조작바(59)에 손잡이(67)가 부착되어 있고, 당해 손잡이(67)를 도 5의 ON 방향으로 조작하면,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38)에 걸어맞춤부(55)가 걸어맞추면서 걸음클릭(39)이 걸음부(69)에 걸리고, 또, 손잡이(67)를 OFF(역회전 가능상태)방향으로 조작하면,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캠(61)이 스프링부재(57)에 저항하여 걸음클릭(39)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걸음부(69)와의 걸음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2524477 호 공보에 개시된 역회전 방지장치(31)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낚시꾼이 손잡이(67)를 ON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역회전 방지상태)로 핸들(11)을 권취 조작하면, 플라이어축(1)의 정회전에 수반하여 롤러(45)가 회전하면서 오목부(51)로 이동하기 때문에, 플라이어축(1)(로터(7))은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지장없이 회전한다.
그리고, 이러한 역회전 방지상태에 있어서, 물고기의 당김으로 낚시줄이 풀려나와서 로터(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라이어축(1)이 동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45)가 경사면(53)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외륜(41,43)사이에 파고들고, 그 쐐기작용으로 플라이어축(1)과 역회전 방지체(35)가 일방향 클러치(33)를 통하여 일체가 되기 때문에, 걸어맞춤부(55)가 절결부(38)에 걸어맞춤하면서, 걸음클릭(39)이 걸음부(69)에 걸려서 로터(7)의 낚시줄 풀어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67)를 OFF방향으로 조작하면, 걸음클릭(39)과 걸음부(69)와의 걸음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기구(31)가 역회전 가능상태로 전환되어 로터(7)가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역회전 방지장치(31)는, 일방향 클러치(33)를 통하여 플라이어축(1)에 연결한 역회전 방지체(35)의 래칫(37)에 걸음클릭(39)을 걸고 벗기기시킴으로써, 역회전 방지상태와 역회전 가능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37)의 형상은, 플라이어축(1)의 역회전시에 걸음클릭(39)이 확실하게 걸리도록 역회전 방지용의 걸음부(69)가, 이것에 대향하는 래칫(37)의 벽면(71)보다 직경방향 외방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기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67)를 OFF방향으로 조작하면, 걸음클릭(39)과 걸음부(69)의 걸음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기구(31)가 역회전 가능상태로 전환되어 로터(7)가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는데, 낚시줄의 권취조작에 따라서, 롤러(45)와 내, 외륜(41,43)과의 마찰로 역회전 방지체(35)는 정회전 방향으로 로터(7)와 함께 회전한다.
이 때문에, 역회전 가능상태에서의 급격, 고속의 권취 조작중에, 손잡이(67)를 조작하여 역회전 방지장치(31)를 역회전 방지상태로 전환하여도, 걸음클릭(39)이 걸음부(69)에 걸리지않고 래칫(37)에 올라타서 역회전 방지체(35)가 공전해버릴 우려가 있고, 이 결과, 순식간에 로터(7)의 역회전 방지를 할 수 없고, 또, 걸음클릭(39)이 충돌하여 접촉한 역회전 방지체(35)의 공전에 의해 걸음클릭(39)이나 래칫(37)이 마모, 손상하여, 역회전 방지기능에 지장을 초래해버리는 등의 과제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이런 종류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개량을 가하여, 불필요한 역회전 방지체의 공전방지를 도모하고, 실제로 낚시할 때의 역회전 방지기능의 향상을 도모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제 1 항에 관한 발명은, 핸들 조작에 연동 회전하는 회전체에 일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역회전 방지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릴 본체에, 상기 역회전 방지체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래칫의 단부에 설치한 역회전 방지용의 걸음부에 걸고 벗기기 가능한 걸음부재를 장착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일단측에 상기 역회전 방지체의 역회전시에 걸음부재가 걸고 벗기기 가능한 역회전용 걸음부와, 상기 래칫의 타단측에 상기 역회전 방지장치의 역회전 가능상태로부터 역회전 방지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역회전 방지체가 정회전 방향으로 고속회전하고 있어도 상기 걸음부재가 걸음하여 역회전 방지체의 정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정회전용 걸음부를, 상기 역회전용 걸음부와 대략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치수로 직경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권취 조작시의 고속 회전시에 역회전 방지장치를 역회전 가능상태에서 역회전 방지상태로 전환하면, 걸음부재가 정회전용 걸음부에 걸려서 역회전 방지체의 공전이 방지되게 된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발명부분을 제외한 역회전 방지장치의 구성은 도 4 이하에 도시하는 종래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오로지 발명부분에 관하여 설명하고, 상기 종래예와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로써 표시한다.
도 1은 청구항 제 1 항에 관한 역회전 방지장치에 이용하는 역회전 방지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역회전 방지체(73)도, 이미 기술한 역회전 방지체(35)와 마찬가지로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일방향 클러치(33)의 외륜(43)의 외주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에,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의 래칫(75)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고, 종래와 마찬가지로 각 래칫(75)의 일단측에, 역회전 방지체(73)의 역회전시에 걸음클릭(39)이 순식간에 걸기 가능한 역회전용 걸음부(77)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각 래칫(75)의 타단측에, 역회전 방지장치의 역회전 가능상태에서 역회전 방지상태로의 전환시에, 역회전 방지체(73)가 정회전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어도 걸음클릭(39)이 순식간에 걸기 가능한 정회전용 걸음부(79)를, 상기 역회전용 걸음부(77)와 대략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치수로 직경방향 외방으로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회전 방지체(73)의 중심(O)으로부터 정회전용 걸음부(79)의 돌출단(P)까지의 치수(L1)와, 역회전 방지체(73)의 중심(O)으로부터 역회전용 걸음부(77)의 돌출단(Q)까지의 치수(L2)는 L1≥L2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는 또한, 도 4의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걸음클릭(39)의 빠짐방지를 도모하는 절결부(81)를 각 역,정회전용 걸음부(77,79)에 인접하여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역회전 방지장치의 역회전 방지체(73)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낚시할 때에 있어서 낚시꾼이 손잡이(67)를 ON 방향으로 조작하면, 걸어맞춤부(55)가 절결부(81)에 걸어맞춤하여 걸음클릭(39)이 역회전용 걸음부(77)에 걸린다. 그리고, 이 상태로, 핸들(11)을 권취 조작하면, 플라이어축(1)의 정회전에 따라서 롤러(45)가 회전하면서 오목부(51)로 이동하기 때문에, 플라이어축(1)(로터(7))은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지장없이 회전한다.
그리고, 이러한 역회전 방지상태에 있어서, 물고기의 당김으로 낚시줄이 풀려서 로터(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라이어축(1)이 동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45)가 경사면(53)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 외륜(41,43)사이에 파고들어, 그 쐐기작용으로 플라이어축(1)과 역회전 방지체(73)가 일방향 클러치(33)를 통하여 일체가 되기 때문에, 걸음클릭(39)에 의해서 로터(7)의 낚시줄 풀어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 손잡이(67)를 OFF 방향으로 조작하면, 걸음클릭(39)과 역회전용 걸음부(77)의 걸음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역회전 방지기구는 역회전 가능상태로 전환되어 로터(7)가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역회전 가능상태에서, 역회전 방지체(73)는 롤러(45)와 내, 외륜(41,43)과의 마찰로 정회전방향으로 로터(7)와 함께 회전하는데,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각 래칫(75)에 역회전용 걸음부(77)와, 당해 역회전용 걸음부(77)와 대략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치수로 직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정회전용 걸음부(79)를 형성했으므로, 역회전 가능상태에서의 급격, 고속의 권취조작 중에, 손잡이(67)를 조작하여 역회전 방지장치를 역회전 방지상태로 전환하면, 걸음클릭(39)의 걸어맞춤부(55)가 정회전용 걸음부(79)에 순식간에 걸려서 로터(7)의 역회전 방지상태로 신속하게 이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역회전 가능상태에서의 급격, 고속의 권취 조작 중에 역회전 방지상태로 이행하여도, 걸음클릭(39)의 걸어맞춤부(55)가 래칫(75)에 올라타서 역회전 방지체(75)가 공전해버리는 일이 없어지고, 순식간에 로터(7)의 역회전 방지상태로 이행하므로, 실제로 낚시할 때의 역회전 방지기능이 지장없이 얻어짐과 동시에, 걸음클릭(39)이 충돌 접촉하여 역회전 방지체(75)가 공회전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걸음클릭(39)이나 래칫(75)이 마모, 손상되는 일도 없어진다.
도 2는 청구항 제 1 항에 관한 역회전 방지장치에 이용하는 역회전 방지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본 실시형태의 역회전 방지체(83)는, 통형상으로 성형된 그 외주에, 상기 래칫(75)과 동일형상의 정,역회전용 걸음부(79,77)를 가지는 2개의 래칫(75)을 180˚의 간격을 벌려서 둘레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양 래칫(75) 사이에, 각각, 일단측에 역회전용 걸음부(85)만을 가지는 래칫(87)을 둘레방향으로 3개씩 설치하여, 각 래칫(75,87)사이에, 걸음클릭(39)의 빠짐방지를 도모하는 절결부(89)를 설치한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정회전용 걸음부(79)는 역회전용 걸음부(79,85)와 대략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치수로 직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도 3은 청구항 제 1 항에 관한 역회전 방지장치에 이용하는 역회전 방지체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역회전 방지체(91)는, 통형상으로 성형된 그 외주에, 도 1의 래칫(75)과 동일형상의 정, 역회전용 걸음부(79,77)를 가지는 2개의 래칫(75)을 180˚의 간격을 벌려서 둘레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각 역, 정회전용 걸음부(77,79)에 인접하여 절결부(93)를 설치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그 밖의 역회전 방지장치의 구성은, 도 4 이하의 종래예와 동일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들의 역회전 방지체(83,91)를 이용한 역회전 방지장치에 의해서도, 역회전 가능상태에서의 급격, 고속의 권취조작 중에, 손잡이(67)를 조작하여 역회전 방지장치를 역회전 방지상태로 전환하면, 걸음클릭(39)의 걸어맞춤부(55)가 정회전용 걸음부(79)에 순식간에 걸려서 로터(7)의 역회전 방지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의 각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역회전 방지장치는, 도 4 이하에서 설명한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2524477호 공보의 역회전 방지장치뿐만 아니라, 그 외에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 3034756호 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로 로터에 제동을 거는 장치에 사용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역회전 방지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제 1 항에 관한 발명은, 역회전 방지체의 둘레방향으로 역회전용 걸음부와 정회전용 걸음부를 병설했으므로, 권취조작시의 고속 회전시에 있어서도, 걸음부재를 역회전 방지체에 확실하게 걸 수 있고, 이 결과, 불필요한 역회전 방지체의 공전을 방지하여 실제로 낚시할 때의 역회전 방지기능을 지장없이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역회전 방지장치에 이용하는 역회전 방지체의 제 1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역회전 방지장치에 이용하는 역회전 방지체의 제 2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역회전 방지장치에 이용하는 역회전 방지체의 제 3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장착한 스피닝릴의 주요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39 걸음클릭 55 걸어맞춤부
73,83,91 역회전 방지체 75,87 래칫
77,85 역회전용 걸음부 79 정회전용 걸음부
81,89,93 절결부

Claims (1)

  1. 핸들 조작에 연동 회전하는 회전체에 일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역회전 방지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릴 본체에, 상기 역회전 방지체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래칫의 단부에 설치한 역회전 방지용의 걸음부에 걸고 벗기기 가능한 걸음부재를 장착한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일단측에 상기 역회전 방지체의 역회전시에 걸음부재가 걸고 벗기기 가능한 역회전용 걸음부와, 상기 래칫의 타단측에 상기 역회전 방지장치의 역회전 가능상태로부터 역회전 방지상태로 전환시에, 상기 역회전 방지체가 정회전 방향으로 고속회전하고 있어도 상기 걸음부재가 걸음하여 역회전 방지체의 정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정회전용 걸음부를, 상기 역회전용 걸음부와 대략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치수로 직경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KR10-2002-0062647A 2001-10-16 2002-10-15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KR100472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8125A JP3854485B2 (ja) 2001-10-16 2001-10-16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JP-P-2001-00318125 2001-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851A KR20030031851A (ko) 2003-04-23
KR100472710B1 true KR100472710B1 (ko) 2005-03-10

Family

ID=1913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647A KR100472710B1 (ko) 2001-10-16 2002-10-15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54485B2 (ko)
KR (1) KR100472710B1 (ko)
CN (1) CN118173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6740B (zh) * 2018-12-19 2020-05-19 安徽天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腐防潮光缆用收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716A (ja) * 1989-07-18 1991-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位置検知装置
JPH0480363U (ko) * 1990-11-27 1992-07-13
JPH0624473U (ja) * 1992-09-08 1994-04-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逆転防止装置
JPH09172920A (ja) * 1995-07-12 1997-07-08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 フィッシ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716A (ja) * 1989-07-18 1991-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位置検知装置
JPH0480363U (ko) * 1990-11-27 1992-07-13
JPH0624473U (ja) * 1992-09-08 1994-04-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逆転防止装置
JPH09172920A (ja) * 1995-07-12 1997-07-08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 フィッシ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1736C (zh) 2004-12-29
JP3854485B2 (ja) 2006-12-06
JP2003116426A (ja) 2003-04-22
KR20030031851A (ko) 2003-04-23
CN1430886A (zh)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3992B1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EP0768030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0472710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JP525488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139290A (ja) 魚釣用リ―ルのロ―タ機構
JP200620415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JP200012571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215531A (ja) 両軸受リール
JP365174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2994151B2 (ja) 逆転防止装置
JP388431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マスターギア
JP2002119182A (ja) 逆転防止装置
KR200163630Y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장치
JP254235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逆転防止装置
JPH119155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331585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4290049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97630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125720A (ja) 魚釣用リール
JP2002058401A (ja) 魚釣用リール
JPH1127603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02474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423316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4350650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2596265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