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903B1 -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903B1
KR100470903B1 KR10-2002-0042541A KR20020042541A KR100470903B1 KR 100470903 B1 KR100470903 B1 KR 100470903B1 KR 20020042541 A KR20020042541 A KR 20020042541A KR 100470903 B1 KR100470903 B1 KR 10047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rotary brush
brush
floor
fi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556A (ko
Inventor
도히켄이치로
모리타아키히로
마츠하시히로미치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44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for conveying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55Bea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용 흡입구 본래의 성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벽 가장자리 청소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바닥용 흡입구를 제공한다.
흡입구 본체(1)의 앞벽을 범퍼(20)로 형성함과 동시에 회전 브러시 (11)를 범퍼(20)측에 함께 배치한다. 또한 상기 범퍼(20)는 피청소면을 향해 매달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느러미부(21)를 갖고, 상기 회전 브러시(11)는 그 회전 궤적이 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에 접합 혹은 근접한 위치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FLOOR INHALER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용의 바닥용 흡입구에 관련하여 특히 회전 브러시를 구비한 바닥용 흡입구에 있어서 벽 가장자리 청소의 성능 향상에 관한 것이다.
전기 청소기용의 바닥용 흡입구는,내부에 전동 송풍기나 집진실(集塵室)을 갖는 청소기 본체에 호스나 연장관을 이용하여 탈착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회전 브러시(brush) 부착 바닥용 흡입구에는,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 2-10971호 공보(A47L 9/4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의 앞 부분 양측에 앞바퀴가 설치되어 있다.또,흡입구 본체내에 수납된 회전 브러시가 접하는 흡입구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흡입구 본체의 앞벽에 걸쳐서 10 ~ 15mm의 썰매형태를 이루고 이 부분이 융단등에 흡착할 때에 미끄럼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흡입구 본체 케이스 그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흡입구 본체 앞벽의 외주에는 실내의 벽면이나 가구등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범퍼가 장착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바닥용 흡입구로 벽 가장자리 청소를 고려한 경우 벽면으로부터 상기 기술한 앞벽의 썰매형태부분까지의 쓰레기를 흡입할 수 없었다. 즉,벽면과 회전 브러시와의 사이에 상기 기술하는 것처럼 앞벽의 썰매형상부분이나 앞바퀴나 범퍼 등이 개재하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가 벽 가장자리 부근까지 도달하지 않고 융단등에 엉겨 붙었던 실보푸라기 등의 쓰레기를 흡수하여 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닥용 흡입구의 앞면측을 개방하면 회전 브러시를 벽 가장자리에 가장 가깝게 접근 할 수 있지만,흡인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바닥용 흡입구 본래의 성능이 손상된다.
상기에서,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바닥용 흡입구 본래의 성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벽 가장자리 청소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바닥용 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 그 흡입구 본체내에 형성된 회전 브러시 수납실과 상기 흡입구에 접하게 하여 회전 브러시 수납실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된 회전 브러시를 구비하고,상기 흡입구 본체의 앞벽을 탄성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브러시는 그 회전 궤적이 상기 탄성체에 접합 혹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상기 탄성체로서 범퍼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상기 범퍼는 피 청소면을 향해 매달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느러미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상기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체나 블레이드를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상기 범퍼의 지느러미부에 홈형의 박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상기 회전 브러시의 회전 중심보다 위에 위치하고,상기 범퍼의 지느러미부의 부착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상기 회전 브러시는 그 회전 방향이 상기 범퍼의 지느러미부에 대해서 선단부가 위에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 도 9 는,본원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바닥용 흡입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이고,본 실시 형태의 흡입구 본체(1)는 상부 케이스 (2),하부 케이스(case)(3),이들 상하부 케이스(2, 3)사이에 주위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동관(4),이 회동관(4)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접속관(5)등으로 구성되고 이 접속관(5)이 미도시된 청소기 본체에 연결된 호스나 연장관에 접속되어 사용된다.
상기 흡입구 본체(1)의 하면 앞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개구되는 흡입구(7)가 형성되고,그 위쪽에 회전 브러시 수납실(8)이 형성되어 있다.이 회전 브러시 수납실(8)안에는 길고 짧은 2종의 브러시(brush)체( 또는 블레이드(9a, 9b)가 심체(心體)(10)에 나선형으로 장착된 회전 브러시(11)가 상기 흡입구(7)에 접하게 한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흡입구 본체(1)의 상기 회전 브러시 수납실(8)의 뒤측에는 도5,도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1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12) 및 그 제어부(13)등이 내장되어 있다.회전 브러시(11)는 상기 모터(12)에 전달 벨트(14)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도1의 화살표X가 가리키는 반 시계 회전 방향(바닥용 흡입구의 전진 방향에 대해 정회전)에 회전 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브러시(11)의 회전축 양단부(15)에는 베어링부(16)가 장착되어 있고,양 베어링부(16)는 케이스(case)(3)의 양측에 형성된 장착부(17)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흡입구(7)의 뒤측 바닥면에는 흡입구(7)의 길이로 나누어 바닥 닦는 브러시(18)가 장착되어 있고 이 바닥 닦는 브러시(18)는 마루 바닥 등을 닦는 효과외에 흡입구(7) 뒤측에서 공기가 다량으로 흡입되어 흡인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실(seal)기능이나 전진시에 흡입되지 않았던 쓰레기가 뒤측으로 빠지는 것을 막는 기능등을 갖는다.
그리고,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바닥용 흡입구 본래의 성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회전 브러시(11)를 가능한 한 앞쪽에 배치하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case)(3)로 이루어지는 본체 케이스에는 종래와 같은 썰매형상을 갖는 앞벽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 앞벽을 범퍼(20)로 형성하고 있다.이 범퍼(20)는 전면으로부터 양측면에 걸쳐 장착되어 있지만 전면측에는 피청소면을 향하여 매달린 탄성체(연질 염화 비닐등)로 이루어진 지느러미부(21)를 가지고 있다.또 회전 브러시(11)는 그 긴 쪽의 브러시(brush)체(9a)의 회전 궤적이 상기 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에 접합된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이것에 의해 회전 브러시(11)가 회전하면 브러시(brush)체(9a)는 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에 접촉하여 지느러미부(21)를 진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느러미부(21)를 범퍼(20)에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에는 횡방향으로 홈형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육도부(박육부(薄肉部))(22)가 형성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탄성도를 늘려 진동되기 쉬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 브러시(11)의 회전 중심보다 위에 위치하고,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의 부착 이음부분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23)가 갖추어져 있고,회전 브러시(11)의 부하를 증대하는 경우 없이 범퍼(20)의 지느러미부(21)가 내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본 실시 형태의 흡입구 본체(1)의 바닥면측으로는 접속관(5)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종래와 동일한 뒷바퀴(25)가 갖춰져 있지만,흡입구 본체(1)의 앞 부분 양측에는 상기 기술한 구성에 의한 스페이스의 관계로 앞바퀴는 구비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기모포(起毛布)(26)가 장착되어 있다.
또,흡입구 본체(1)의 상부 케이스(2) 상면에는 회동관(4)에 대응하는 위치로 돌출하는 돌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벽 가장자리를 청소할 때에는 도 10,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닥용 흡입구를 범퍼(20)가 벽면에 닿도록 누를 때에 벽면과 회전 브러시(11) 선단과의 거리(A치수)및 벽면과 회전 브러시 (11)의 접지점(接地点)간의 거리(B 치수)가 최소가 되기 때문에 벽가장자리의 청소 성능이 향상된다.
여기에 대하여 종래 기술을 적용한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11)앞에 앞벽의 썰매형상부분(30)과 앞바퀴(31)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A치수는 10~15mm가 되고, 그것보다 큰 B치수 사이에는 회전 브러시(11)의 브러시(brush)체(또는 블레이드 9)가 피 청소면에 닿지 않기 때문에 융단등에 엉겨 붙었던 실보푸라기 등의 쓰레기를 흡입 할 수없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A치수 및 B치수가 최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융단에 엉겨 붙었던 실보푸라기 등의 쓰레기를 벽 가장자리까지 긁어내어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범퍼(20)의 지느러미부(21)가 회전 브러시(11)의 긴 쪽의 브러시(brush)체(9a)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범퍼(20)의 지느러미부 (21)가 진동하여 마치 회전 브러시와 같이 작용하여 융단에 엉겨 붙었던 실보푸라기 등의 쓰레기를 벽 가장자리의 구석까지 긁어 내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에 접하는 회전 브러시(11)의 브러시(brush)체(9a)가 나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범퍼(20)의 지느러미부 (21)에 항상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지느러미부(21)를 파도형태로 진동시킴과 동시에 회전 브러시(11)에 한번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회전 속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11)자체의 성능을 손상시키는 경우 없이,범퍼(20)의 지느러미부(21)가 안정된 진동에 의해 융단위의 쓰레기를 구석구석까지 효율적으로 긁어 낼수있다.
또,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에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홈형의 육도부(22)를 형성한 것에 의해 지느러미부(21)의 진동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지느러미부(21)에 의해 융단상의 쓰레기를 긁어 내는 작용이 커져 벽 가장자리 청소의 효율이 또한 향상된다.
또,회전 브러시(11)의 회전 중심보다 위에 위치하고 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의 부착 이음부분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23)를 구비한 것에 의해 회전 브러시(11)는 주로 탄성을 가지는 범퍼(20)의 지느러미부 (21)에 접하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11)에 걸리는 부하가 절감된다.
또한,평소 융단 위를 청소할 때에는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인력에 의해 융단이 흡입구(7) 안으로 들어올려 범퍼(20)의 지느러미부 (21)의 선단이 융단에 접촉되어 청소하려는 바닥용 흡입구를 앞으로 밀면 지느러미부(21)가 회전 브러시(11)쪽으로 쏠려지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11)의 부하가 증대되는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술한 지지 부재(23)에서 지느러미부(21)의 부착 이음부분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지느러미부(21)가 부착 이음부분에서 내측으로 쏠리는 것을 규제 할 수있으므로 회전 브러시(11)부하가 또한 절감된다.
그런데,상기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11)가 전진 방향에 대해서 역회전(도 13의 시계방향)하면 내측으로 쏠리려고 하는 범퍼(20)의 지느러미부(21)를 아래에서 위로 긁어 올리도록 회전하게 되므로 지느러미부(21)와 접촉할 때 저항이 커지고,본 실시 형태와 같은 모터(12)에 의해 구동된 회전 브러시(11) 즉 파워 브러시라도 저항이 커지는 것에 의해 전류값이 커지고 전기세의 낭비나 회전 브러시(11)의 모터(12)의 부하가 커지고,내구성이나 온도 상승등의 문제가 생긴다.또,모터를 이용하지 않는 터빈 브러시나 흡수되는 외기를 블레이드 등으로 받아 회전하는 방식의 회전 브러시라면 충분한 회전력을 얻을 수 없게 되므로 쓰레기를 취하는 성능이 저하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용 흡입구의 전진 방향에 대해서 회전 브러시(11)가 도 13의 화살표 X로 나타나게 정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파워 브러시에 있어서도 범퍼(20)의 지느러미부(21)와의 접촉 저항이 작아지는 것에 의해 회전 브러시(11) 모터(12)의 전류값을 내리게 할 수 있고 전기세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또,모터(12)의 부하가 경감하는 것에 의해 내구성의 저하나 온도 상승을 억제 할 수 있다. 또 터빈 브러시나 흡수되는 외기를 블레이드 등으로 받아 회전하는 방식의 회전 브러시라면 정회전에 의해 회전 브러시의 회전이 순조롭게 되고 쓰레기를 취하는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역회전이면 쓰레기를 앞으로 날리는 우려가 있지만 정회전이라면 이와 같은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썰매형태의 앞벽을 없게 구성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주의가 필요한 것은 회전 브러시(11)의 파손이나 변형이다.즉,청소 도중에 일시적으로 바닥용 흡입구가 뒤집어졌을 때 부주의로 밟은 경우 회전 브러시(11)를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힘이 더해져 파손 또는 변형되어 버리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 대책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닥용 흡입구를 뒤집어 놓았을 때, 회전 브러시(11)측이 확실하게 낮아져 충분한 경사를 이루도록 흡입구 본체(1)의 상면측으로 돌출부(27)를 형성하고,또 회전 브러시(11)의 브러시(brush)체(9a)가 흡입구 본체(1) 바닥면보다 돌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발로 밟을려고 할 때 발이 먼저 돌출한 브러시(brush)체(9a)에 닿아 바닥면 경사를 따라서 앞측으로 미끄러져 가고,회전 브러시(11)가 화살표 Y의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11)의 심체(10)에 직접 힘이 부가되지 않아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심체(10)를 발포ABS 수지등의 탄성을 가지며 가소성 변형이 어려운 재료로 형성함과 동시에,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뒤집었을 때 심체(10)의 외 주위 하부와 그 바로 아래의 회전 브러시 수납실(8) 천정면간의 C 치수를 심체(10)의 탄성 변형량 이내로 제한하는 것으로 파손이나 변형을 확실하게 막을수 있다.
또한,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11)를 그 선단부가 범퍼 (20)의 지느러미부(21)에 접합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청소시에만 흡인력에 의해 내측으로 쏠리려는 지느러미부(21)에 닿는 정도로 근접시키면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 본체의 앞벽을 탄성체로 형성함과 동시에,회전 브러시를 상기 탄성체에 접합 혹은 근접한 위치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탄성체를 진동시켜 마치 회전 브러시와 같이 작용시킬수 있으므로 융단에 엉겨 붙었던 실보푸라기 등의 쓰레기를 벽 가장자리의 구석까지 긁어 내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또 회전 브러시가 종래보다도 앞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벽 가장자리 청소 성능이 향상된다.상기 탄성체로서는 범퍼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는 피 청소면을 향하여 매달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느러미부를 갖고,그 지느러미부에 회전 브러시를 접합 혹은 근접시킬 수 있다.
또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brush)체나 블레이드를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서 범퍼의 지느러미부에 평소 부분적으로 접촉해서 지느러미부를 파도형으로 진동시키는 동시에 회전 브러시에 한번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회전 속도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범퍼의 지느러미 부가 안정 된 진동에 의해 융단상의 쓰레기를 구석구석까지 효율적으로 긁어 낼수있다.
또,상기 범퍼의 지느러미부에 홈형의 박육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지느러미부의 진동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지느러미부에 의한 쓰레기를 긁어 내는 작용이 커지고 벽 가장자리 청소의 효율이 또한 향상된다.
또,회전 브러시의 회전 중심보다 위에 위치하여 범퍼의 지느러미부의 부착 이음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회전 브러시는 주로 탄성을 갖는 범퍼의 지느러미부에 닿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에 걸리는 부하가 절감됨과 동시에 범퍼의 지느러미부가 부착 이음부분에서 내측에 쏠리는 것을 규제 할 수 있으므로 회전 브러시의 부하가 또한 절감된다.
또,상기 회전 브러시는 그 회전 방향이 상기 범퍼의 지느러미 부에 대해서 선단부가 위에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흡인에 의해 내측으로 쏠리려고 하는 지느러미부에 대해 아래로부터 위에 긁어 올리는 것은 아니고,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지느러미부와의 접촉 저항이 작아지고 파워 브러시라면 그 모터의 전류값을 내릴 수 있어 전기세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또 모터의 부하가 경감되는 것에 의해 내구성의 저하나 온도 상승을 억제 할 수 있다.또 터빈 브러시라면 회전이 순조롭게 되고 쓰레기를 취하는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닥용 흡입구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닥용 흡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닥용 흡입구의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닥용 흡입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닥용 흡입구의 상부 케이스를 분리해서 본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닥용 흡입구의 상부 케이스를 분리하고 회전 브러시가 보이도록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바닥용 흡입구의 정면측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의 범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의 회전 브러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바닥용 흡입구를 이용한 벽 옆 청소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바닥용 흡입구를 이용한 벽 옆 청소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10의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한 바닥용 흡입구를 이용한 일반적 청소시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뒤집혀진 상기 실시 형태의 바닥용 흡입구가 밟힌 경우에 회전 브러시에 더해지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뒤집혀진 상기 실시 형태의 바닥용 흡입구를 나타내는 중앙 종단면도이다.
* 주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 흡입구 본체 2: 상부 케이스
3 : 하부 케이스(case) 4: 회동관(回動管)
5 : 접속관 7: 흡입구
8 : 회전 브러시 수납실
9a, 9b : 브러시부재(또는 블레이드(blade))
10 : 심체 11 : 회전 브러시
12 : 모터 13 : 제어부
14 : 전달 벨트 18 : 바닥 닦는 브러시
20 : 범퍼 21 : 지느러미부
22 : 육도부(박육부:薄肉部) 23 : 지지 부재
25 : 뒷바퀴 26 : 기모포(起毛布)
27 : 돌출부

Claims (7)

  1.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 본체와,그 흡입구 본체내에 형성된 회전 브러시 수납실과,상기 흡입구에 접하게 하여 회전 브러시 수납실내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수납되는 회전 브러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 본체의 앞벽을, 피 청소면을 향해 매달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범퍼로 형성하고,
    상기 범퍼는 지느러미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지느러미부에 홈형의 박육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 브러시는 그 회전 궤적이 상기 범퍼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brush)체나 블레이드를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의 회전 중심보다 위에 위치하고,상기 범퍼의 지느러미 부의 부착 이음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는,그 회전 방향이 상기 범퍼의 지느러미 부에 대해서 선단부가 위에서 아래를 향해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2-0042541A 2001-07-24 2002-07-19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KR100470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22871A JP3789782B2 (ja) 2001-07-24 2001-07-24 電気掃除機用床用吸込具
JPJP-P-2001-00222871 2001-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56A KR20030011556A (ko) 2003-02-11
KR100470903B1 true KR100470903B1 (ko) 2005-03-10

Family

ID=1905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541A KR100470903B1 (ko) 2001-07-24 2002-07-19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89782B2 (ko)
KR (1) KR100470903B1 (ko)
CN (1) CN1180741C (ko)
TW (1) TWI2249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2553B2 (ja) * 2003-07-09 2011-04-20 株式会社東芝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4607683B2 (ja) * 2005-06-24 2011-01-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4958168B2 (ja) * 2007-09-18 2012-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掃除機用の吸入口体
JP5388782B2 (ja) * 2009-09-30 2014-01-15 株式会社東芝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3220309A (ja) * 2012-04-19 2013-10-28 Sharp Corp 吸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掃除機
EP3071085B1 (en) 2013-11-21 2017-04-26 Koninklijke Philips N.V. Cleaning device having a nozzle for cleaning a surface
WO2017096717A1 (zh) 2015-12-10 2017-06-15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立式吸尘器
CN106963285A (zh) * 2017-04-28 2017-07-21 苏州市海朋电子商务有限公司 吸尘器吸嘴
CN108185911A (zh) * 2018-03-23 2018-06-22 深圳市兴龙辉科技有限公司 一种地耙组件
CN111358377B (zh) * 2020-04-28 2021-06-01 安徽省春谷3D打印智能装备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改变气流方向来清理死角处的扫地机器人辅助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574A (en) * 1988-01-25 1988-07-19 The Singer Company Light plate for vacuum cleaner
JPH04352929A (ja) * 1991-05-29 1992-12-08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JPH05309057A (ja) * 1992-05-13 1993-11-22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H05329071A (ja) * 1992-05-29 1993-12-14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9990054822A (ko) * 1997-12-26 1999-07-15 최진호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의 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574A (en) * 1988-01-25 1988-07-19 The Singer Company Light plate for vacuum cleaner
JPH04352929A (ja) * 1991-05-29 1992-12-08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JPH05309057A (ja) * 1992-05-13 1993-11-22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H05329071A (ja) * 1992-05-29 1993-12-14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9990054822A (ko) * 1997-12-26 1999-07-15 최진호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의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8570A (zh) 2003-02-26
CN1180741C (zh) 2004-12-22
JP3789782B2 (ja) 2006-06-28
KR20030011556A (ko) 2003-02-11
TWI224960B (en) 2004-12-11
JP2003033305A (ja) 200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492B1 (ko) 표면청소장치
US7013521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4801516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737458B2 (ja) 叩き用回転ローラを具備した真空掃除機用吸込ブラシ組立体
JP2004141536A (ja) 床用吸込具
KR100470903B1 (ko) 전기 청소기용 바닥용 흡입구
KR20090009425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JP393740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4085466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1120472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05317212A (ja) 電気掃除機の床ブラシ
JP3323999B2 (ja) 電気掃除機
JP4103095B2 (ja) 電気掃除機
JPH1189759A (ja) 床用吸込具
JP2003033306A (ja) 電気掃除機用床用吸込具
JP2003093288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144822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공기를 이용한 바퀴 회전장치
JP4147551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み具
KR200181851Y1 (ko) 회전솔 진공청소기
JP2004237127A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H0642595Y2 (ja) 掃除機用吸入口
JPH119521A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JP2005013525A (ja) 電気掃除機
JPH07178018A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KR20014487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