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645B1 - 승마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645B1
KR100469645B1 KR10-2003-0021867A KR20030021867A KR100469645B1 KR 100469645 B1 KR100469645 B1 KR 100469645B1 KR 20030021867 A KR20030021867 A KR 20030021867A KR 100469645 B1 KR100469645 B1 KR 10046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haft
movement
ro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463A (ko
Inventor
정승주
Original Assignee
정승주
정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주, 정필동 filed Critical 정승주
Priority to KR10-2003-002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645B1/ko
Priority to JP2003345979A priority patent/JP3927530B2/ja
Priority to US10/681,988 priority patent/US6808458B1/en
Priority to TW092132465A priority patent/TWI222381B/zh
Priority to CNB2004100018285A priority patent/CN100515532C/zh
Priority to EP04008608A priority patent/EP1475130B1/en
Priority to DE602004015663T priority patent/DE602004015663D1/de
Priority to AT04008608T priority patent/ATE404260T1/de
Publication of KR2004008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Golf Club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의 중앙 상부에 배치되어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 프레임(1)의 전방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이송부재(20); 프레임(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부재(30); 승강부재(30)에 연결되는 완충부재(40); 프레임(1)의 후방과 중앙부에 설치되어 완충부재(4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1운동부재(50) 및 제2운동부재(60); 이송부재(20)와 제1,제2운동부재(50)(6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재(70); 이송부재(20)의 이송거리와 제1,제2운동부재(50)(60)의 승강높이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80) 및 제1,제2높이조절부재(90)(100);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조절하는 하중조절부재(200);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승마용 운동기구{sports tools for horse riding}
본 발명은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란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이며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인 동시에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키울수 있다.
또한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전신운동으로, 이러한 승마는 타운동과 달리 허리를 곧게 펴고 하는 운동으로 자세교정에 도움이 되고, 또 출렁이는 말 위에 있으면 장기능 강화에도 좋으며, 특히 여성이나 학생의 변비 남성들의 전립선 질환 등에 효과가 있으며, 폐활량 향상과 종아리나 허벅지 등 하체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승마를 하면 상체가 바르게 교정되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정신 집중력과 신체의 리듬감을 기를 수 있으며, 폐활량이 늘어나고 골반이 튼튼해지는 동시에 담력을 키울 수 있으며, 신체 각 부분의 평형감각과 유연성 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다.
이와 같이 승마는 전신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경제적 능력이나 장소와 시간 등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승마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유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승마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모의 승마기구들이 다수 제시되었으나, 종래에 제시된 승마기구들은 단순히 놀이의 유희기능만 제공될 뿐 실제로 말을 타고 달리는 듯한 생동감과는 거리가 멀고 운동감도 거의 얻을 수 없으며, 특히 실제로 말의 리듬과 율동에 근접한 승마동작을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제 달리는 말의 율동과 감각 및 리듬에 가까운 승마동작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생동감 있는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승마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중앙 상부에 말안장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를 배치하되,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안장받침대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이송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안장받침대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승강부재에 완충부재를 연결하되, 상기 프레임의 후방과 중앙부에 완충부재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1운동부재 및 제2운동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이송부재와 제1,제2운동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거리와 제1,제2운동부재의 승강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 및 제1,제2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부재에 안장받침대의 하중강도를 조절하는 하중조절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에 구동부재,거리조절부재와 제1,제2높이조절부재 및 하중조절부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설치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정면예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이송부재와 거리조절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8a,8b,8c는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승강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10a,10b는 도 9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완충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12a,12b,12c는 도 11의 작동상태도.
도 13은 제1운동부재와 제1높이조절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14a,14b,14c는 도 13의 작동상태도.
도 15는 제2운동부재와 제2높이조절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16a,16b,16c는 도 15의 작동상태도.
도 17은 구동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18은 하중조절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프레임 2 : 말안장
10 : 안장받침대 20 : 이송부재
30 : 승강부재 40 : 완충부재
50 : 제1운동부재 60 : 제2운동부재
70 : 구동부재 80 : 거리조절부재
90 : 제1높이조절부재 100 : 제2높이조절부재
200 : 하중조절부재 300 : 컨트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중앙 상부에 배치되어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 상기프레임(1)의 전방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이송부재(20); 상기 프레임(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부재(30); 상기 승강부재(30)에 연결되는 완충부재(40); 상기 프레임(1)의 후방과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완충부재(4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1운동부재(50) 및 제2운동부재(60); 상기 이송부재(20)와 제1,제2운동부재(50)(6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재(70); 상기 이송부재(20)의 이송거리와 제1,제2운동부재(50)(60)의 승강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80) 및 제1,제2높이조절부재(90)(100); 상기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조절하는 하중조절부재(200); 및 이들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의 본체골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은 승마용 운동기구의 작동시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제작되고, 상기 프레임(1)에는 도 1에서와 미관상 내부에 설치된 각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1a)가 구비되고, 또한 프레임(1)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흡음재(1b)가 구비된다.
상기 말안장(2)은 사용자(승마운동을 하려는 사람)가 실제로 말을 타고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이러한 말안장(2)에는 실제 말과 유사한 말모형(2a)이 형성되고, 상기 말안장(2)의 전방 상부에는 손잡이끈(2b)이 구비되며, 상기 말안장(2)의 양측 하부에는 사용자가 발을 지지시킬 수 있도록 발걸이(2c)가 설치된다.
상기 말안장(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마분위기를 높이기 위해 실제 말과 유사한 말모형(2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말모형(2a)뿐만 아니라 사자,호랑이,소,코끼리 등의 다양한 동물모형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안장받침대(10)는 프레임(1)의 중앙 상부에 전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말안장(2)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안장받침대(10)는 말안장(2)을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말안장(2)은 안장받침대(10)에 다수개의 볼트,너트체결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이송부재(20)는 프레임(1)의 전방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부재(20)는 도 7에서와 같이 프레임(1)에 베어링(B1)으로 고정되는 이송레버(21), 상기 이송레버(21)의 상부와 안장받침대(10)에 그 양단이 축(S1)(S2)으로 연결되는 이송로드(22), 상기 이송레버(21)의 하부와 구동부재(70)에 그 상하부가 축(S3)(S4)으로 연결되는 승강레버(23), 상기 승강레버(23)와 거리조절부재(80)에 그 상하부가 축(S5)(S6)으로 연결되는 조절로드(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레버(21)는 대략 'ㄴ'형을 형성되어 그 중앙부가 베어링(B1)을 통해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이송레버(21)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고, 양측 이송레버(21)의 중앙부는 베어링(B1)에 끼워지는 축을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송로드(22)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로드(22)는 이송레버(21)의 양측 수직부 상부와 안장받침대(10)의 전방 양측에 그 양단이 축(S1)(S2)으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 승강레버(23)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레버(23)의 상부는 후술하는 구동부재(70)의 제3링크(78)에 축(S3)으로 연결되고, 승강레버(23)의 하부는 이송레버(21)의 수평부 끝단에 축(S4)으로 연결된다.
상기 조절로드(24)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양측 승강레버(23)의 사이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로드(24)의 상부는 승강레버(23)에 축(S5)으로 연결되고, 조절로드(24)의 하부는 도 2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거리조절부재(80)의 조절너트(83)에 축(S6)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송부재(2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조절부재(80)를 조절하여 조절로드(24)의 하부에 연결된 축(S6)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3링크(78)를 X방향으로 밀면(앞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송부재(20)의 승강레버(23)는 가상선과 같이 작동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때 이송레버(21)의 축(S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는 움직일 수 없고 베어링(B1)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밖에 움직이지 못하므로 상기 승강레버(23)의 상승에 따라 이송레버(21)의 축(S4)이 연동하여 동시에 가상선과 같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이송레버(21)의 축(S1)이 연동하여 가상선과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로드(22)를 화살표와 같이 앞으로 당기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는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3링크(78)를 Y방향으로 당기면(뒤로 이동시키면) 승강레버(23)와 이송레버(21)의 축(S4)이 연동하여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이송레버(21)의 축(S1)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로드(22)를 뒤로 밀기 때문에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는 뒤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3링크(78)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면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이송부재(20)에 의해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가 동시에 연동하여 전후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로드(24)의 축(S6)이 ㉤으로 가깝게 위치할수록 제3링크(78)가 일정한 거리로 좌우 왕복 운동을 하더라고 이송로드(22)의 좌우 이동거리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로드(24)의 축(S6)이 중앙인 ㉢에 위치하게 되면 승강레버(23)는 거의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로드(24)의 축(S6)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 제3링크(78)를 X방향으로 밀면 승강레버(23)와 이송레버(21)의 축(S4)이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이송레버(21)의 축(S1)이 가상선과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로드(22)를 화살표와 같이 뒤로 밀기 때문에 안장받침대(10)는 뒤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3링크(78)를 Y방향으로 당기면 승강레버(23)와 이송레버(21)의 축(S4)이 연동하여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이송레버(21)의 축(S1)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로드(22)를 앞으로 당기기 때문에 안장받침대(10)는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로드(24)의 축(S6)이 ㉠으로 가깝게 위치할수록 제3링크(78)가 일정한 거리로 좌우 왕복 운동을 하더라고 이송로드(22)의 좌우 이동거리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30)는 프레임(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부재(30)는 도 9에서와 같이 프레임(1)에 베어링(B2)으로 고정되어 완충부재(40)와 축(S7)으로 연결되는 구동레버(31) 및 프레임(1)에 베어링(B3)으로 고정되는 종동레버(32), 상기 구동,종동레버(31)(32)의 상부와 안장받침대(10)에 그 상하부가 각각 축(S8)(S9)(S10)(S11)으로 연결되는 승강로드(33)(34), 상기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의 하부에 그 양단이 축(S12)(S13)으로 연결되는 연결로드(35)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레버(31)는 'ㄱ'형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가 베어링(21)을 통해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레버(31)의 상부는 후술하는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에 축(S7)으로 연결된다.
상기 종동레버(32)는 'ㄱ'형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가 베어링(B3)을 통해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승강로드(33)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로드(33)의 상부는 안장받침대(10)의 전방 양측에 축(S8)으로 각각 연결되고, 승강로드(33)의 하부는 구동레버(31)의 상부에 축(S9)으로 연결된다.
상기 승강로드(34)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로드(34)의 상부는 안장받침대(10)의 후방 양측에 축(S10)으로 각각 연결되고, 승강로드(34)의 하부는 종동레버(32)의 상부에 축(S11)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부재(30)의 양측 승강로드(33)(34)는 안장받침대(1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70)의 구동시 안장받침대(1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킨다.
상기 연결로드(35)는 그 양단이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의 하부에 축(S12)(S13)으로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로드(35)는 구동레버(31)의 운동을 종동레버(32)에 전달하므로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는 연동하여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승강부재(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를 하강시키면(아래로 이동시키면) 구동레버(31)의 축(S7)이 동시에 하강하므로 구동레버(31)는 베어링(B2)을 축으로 가상선과 같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구동레버(31)의 하부에 축(S12)으로 연결된 연결로드(35)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축(S13)을 앞으로 당기기 때문에 종동레버(32)는 베어링(B3)을 축으로 가상선과 같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에 축(S9)(S11)으로 각각 연결된 승강로드(33)(34)가 연동하여 동시에 하강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승강로드(33)(34)와 축(S8)(S10)으로 연결되어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는 가상선과 같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를 상승시키면(위로 이동시키면) 구동레버(31)의 축(S7)이 동시에 상승하고, 이에 의해 상기 작동의 역으로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에 각각 축(S9)(S11)으로 연결된 승강로드(33)(34)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승하기 때문에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는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면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승강부재(30)에 의해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40)는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승강부재(30)를 부드럽게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완충부재(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운동부재(50)(60)에 하부가 각각 축(S14)(S15)으로 연결되어 그 상부가 서로 축(S16)으로 연결되는 한조의 제1,제2연결레버(41)(42), 상기 제1,제2연결레버(41)(42)의 상부와 승강부재(30)에 그 상하부가 축(S16)(S7)으로 연결되는 승강로드(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레버(41)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제1연결레버(41)의 상부는 제2연결레버(42)와 승강로드(43)의 상부에 축(S16)으로 연결되고, 제1연결레버(41)의 하부는 후술하는 제1운동부재(50)의 제1운동레버(51)에 축(S14)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레버(42)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제2연결레버(42)의 상부는 제1연결레버(41)와 승강로드(43)의 상부에 축(S16)으로 연결되고,제2연결레버(42)의 하부는 후술하는 제2운동부재(60)의 제2운동레버(61)에 축(S15)으로 연결된다.
상기 승강로드(43)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로드(43)의 상부는 제1연결레버(41)와 제2연결레버(42)의 상부에 축(S16)으로 연결되고, 승강로드(43)의 하부는 승강부재(30)의 구동레버(31)에 축(S7)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완충부재(40)는 제1운동부재(50)와 제2운동부재(60)의 상하 왕복 운동을 완화시켜 승강부재(30)에 부드럽게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완충부재(40)의 상세한 작용은 하기에서 제1운동부재(50),제2운동부재(60)와 같이 설명한다.
상기 제1운동부재(50)는 프레임(1)의 후방에 설치되어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1운동부재(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에 베어링(B4)으로 고정되어 완충부재(40)와 축(S14)으로 연결되는 제1운동레버(51), 상기 제1운동레버(51)와 구동부재(70)에 그 상하부가 축(S17)(S18)으로 연결되는 제1승강레버(52), 상기 제1승강레버(52)와 제1높이조절부재(90)에 그 상하부가 축(S19)(S20)으로 연결되는 제1조절로드(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운동레버(51)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제1운동레버(51)의 후단부는 베어링(B4)을 통해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운동레버(51)의 선단부는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에 축(S14)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승강레버(52)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제1승강레버(52)의 상부는 후술하는 구동부재(70)의 제1링크(76)와 제2링크(77) 사이에 배치되어 제1링크(76)와 제2링크(77)에 축(S17)(S29)으로 각각 연결되고, 제1승강레버(52)의 하부는 제1운동레버(51)에 축(S18)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조절로드(53)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양측 제1승강레버(52)의 사이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조절로드(53)의 상부는 제1승강레버(52)에 축(S19)으로 연결되고, 제1조절로드(53)의 하부는 후술하는 제1높이조절부재(90)의 제1조절너트(93)에 축(S2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운동부재(60)는 프레임(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2운동부재(6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에 베어링(B5)으로 고정되어 완충부재(40)와 축(S15)으로 연결되는 제2운동레버(61), 상기 제2운동레버(61)와 구동부재(70)에 그 상하부가 축(S21)(S22)으로 연결되는 제2승강레버(62), 상기 제2승강레버(62)와 제2높이조절부재(100)에 그 상하부가 축(S23)(S24)으로 연결되는 제2조절로드(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운동레버(61)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제2운동레버(61)의 선단부는 베어링(B5)을 통해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운동레버(61)의 후단부는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에 축(S15)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승강레버(62)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제2승강레버(62)의 상부는 후술하는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와 제3링크(78) 사이에 배치되어 제2링크(77)와 제3링크(78)에 축(S21)(S30)으로 각각 연결되고,제2승강레버(62)의 하부는 제2운동레버(61)에 축(S22)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조절로드(63)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양측 제2승강레버(62)의 사이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조절로드(63)의 상부는 제2승강레버(62)에 축(S23)으로 연결되고, 제2조절로드(63)의 하부는 후술하는 제2높이조절부재(100)의 제2조절너트(130)에 축(S24)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완충부재(40)와 제1,제2운동부재(50)(6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운동부재(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높이조절부재(90)를 조절하여 제1조절로드(53)의 축(S20)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 제1링크(76)를 X방향으로 밀면(앞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승강레버(52)는 가상선과 같이 작동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때 제1운동레버(51)의 축(S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는 움직일 수 없고 베어링(B4)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밖에 움직이지 못하므로 제1승강레버(52)의 상승에 따라 축(S18)이 연동하여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운동레버(51)의 축(S14)이 연동하여 동시에 가상선과 같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가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제1링크(76)를 Y방향으로 당기면(뒤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승강레버(52)와 제1운동레버(51)의 축(S18)이 연동하여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제1운동레버(51)의 축(S14)이 하부로 이동하므로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1링크(76)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면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제1운동부재(50)에 의해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가 동시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조절로드(53)의 축(S20)이 ㉤으로 가깝게 위치할수록 제1링크(76)가 일정한 거리로 좌우 왕복 운동을 하더라고 축(S14)의 상하 이동거리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절로드(53)의 축(S20)이 중앙인 ㉢에 위치하게 되면 제1승강레버(52)는 거의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절로드(93)의 축(S20)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 제1링크(76)를 X방향으로 밀면 제1승강레버(52)와 제1운동레버(51)의 축(S18)이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제1운동레버(51)의 축(S14)이 가상선과 같이 하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는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1링크(76)를 Y방향으로 당기면 제1승강레버(52)와 제1운동레버(51)의 축(S18)이 연동하여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제1운동레버(51)의 축(S14)이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가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조절로드(53)의 축(S20)이 ㉠으로 가깝게 위치할수록 제1링크(76)가 일정한 거리로 좌우 왕복 운동을 하더라고 축(S14)의 상하 이동거리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다음, 상기 제2운동부재(60)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높이조절부재(100)를 조절하여 제2조절로드(63)의 축(S24)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를 X방향으로 밀면(앞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승강레버(62)는 가상선과 같이 작동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때 제2운동레버(61)의 축(S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움직일 수 없고 베어링(B5)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밖에 움직이지 못하므로 제2승강레버(62)의 상승에 따라 축(S22)이 연동하여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운동레버(61)의 축(S15)이 연동하여 동시에 가상선과 같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가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제2링크(77)를 Y방향으로 당기면(뒤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승강레버(62)와 제2운동레버(61)의 축(S22)이 연동하여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제2운동레버(61)의 축(S15)이 하부로 이동하므로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면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제2운동부재(60)에 의해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가 동시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조절로드(63)의 축(S24)이 ㉤으로 가깝게 위치할수록 제2링크(77)가 일정한 거리로 좌우 왕복 운동을 하더라고 축(S15)의 상하 이동거리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러나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조절로드(63)의 축(S24)이 중앙인 ㉢에 위치하게 되면 제2승강레버(62)는 거의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조절로드(63)의 축(S24)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를 X방향으로 밀면 제2승강레버(62)와 제2운동레버(61)의 축(S22)이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제2운동레버(61)의 축(S15)이 가상선과 같이 하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는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를 Y방향으로 당기면 제2승강레버(62)와 제2운동레버(61)의 축(S22)이 연동하여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제2운동레버(61)의 축(S15)이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가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조절로드(63)의 축(S24)이 ㉠으로 가깝게 위치할수록 제2링크(77)가 일정한 거리로 좌우 왕복 운동을 하더라도 축(S15)의 상하 이동거리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상기 제1,제2운동부재(50)(60)의 상하 왕복 운동을 완화시켜 승강부재(30)에 부드럽게 전달하는 완충부재(4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운동부재(60)의 축(S24)과 제1운동부재(50)의 축(20)을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각각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와 제1링크(76)를 뒤로(Y쪽) 당기면 하강하는 축(S15)에 의해 제2연결레버(42)는 가상선과 같이 움직이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하강하는 축(S14)에 의해 제1연결레버(41)는 가상선과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는 가상선과 같이 하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축(S7)의 최고 상승점은 축(S28)이 Y↔X의 중심점에 위치 할 때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와 제1링크(76)를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으로(X쪽) 밀면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는 축(S28)이 Y↔X의 중심점에 도달할 때 실선과 같은 위치로 되며, 중심점에서 X쪽으로 가면 완충부재(40)는 가상선과 같이 작동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승강로드(43)는 가상선과 같이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와 제1링크(76)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면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축(S28)이 Y↔X를 한번 왕복할 때 축(S7)은 2번 상하 운동한다. 이러한 승강로드(43)의 승강작동은 축(S7)을 통해 승강부재(30)의 구동레버(31)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운동부재(60)의 축(S24)과 제1운동부재(50)의 축(20)을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각각 이동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와 제1링크(76)를 앞으로 밀면 상승하는 축(S15)에 의해 제2연결레버(42)는 가상선과 같이 움직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승하는 축(S14)에 의해 제1연결레버(41)는 가상선과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는 가상선과 같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와 제1링크(76)를 뒤로 당기면 상기 동작의 반대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70)의 제2링크(77)와 제1링크(76)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면 완충부재(40)의 승강로드(43)가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승강로드(43)의 승강작동은 축(S7)을 통해 승강부재(30)의 구동레버(31)로 전달된다.
한편, 도 12a,12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2운동레버(61)와 제1운동레버(51)의 축(S15)(S1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축(S7)의 상하 이동거리는 작아지게 되고 축(S28)이 Y↔X를 한번 왕복할 때 축(S7)은 상하 운동을 2번하게 된다. 그러나, 도 12c에서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2운동레버(61)와 제1운동레버(51)의 축(S15)(S14)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축(S7)의 상하 이동거리는 커지며 축(S28)이 Y↔X를 한번 왕복할 때 축(S7)도 상하 운동을 1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운동부재(50)의 축(S20)과 제2운동부재(60)의 축(S24) 위치에 따라 제1,2연결레버(41)(42)와 승강로드(43)의 승강작동은 다양한 변화를 그리면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70)는 이송부재(20)와 제1,제2운동부재(50)(6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부재(70)는 도 2,3,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속기(71a)를 구비하는 구동모터(71), 상기 감속기(71a)에 편심축(72a)으로 연결되는 크랭크(72), 상기 프레임(1)에 그 하부가 베어링(B6)으로 고정되어 크랭크(72)와 축(S25)으로 연결되는 연결암(73), 상기 프레임(1)의 후방에 그 중앙부가 베어링(B7)으로 고정되는 구동레버(74), 상기 연결암(73)과 구동레버(74)의 하부에 그 양단이 축(S26)(S27)으로 연결되는 연결로드(75), 상기 구동레버(74)를 통해 좌우로 왕복 운동하면서 이송부재(20)와 제1,제2운동부재(50)(60)를 작동시키는 제1,제2,제3링크(76)(77)(78)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71)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속기(71a)를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모터(71)와 감속기(71a)는 프레임(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크랭크(72)는 감속기(71a)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되어 연결암(73)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크랭크(73)의 선단부는 감속기(71a)에 편심축(72a)으로 연결되고, 크랭크(72)의 후단부는 연결암(73)에 축(S25)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암(73)은 2개가 한조로 이루어져 그 하부가 베어링(B6)을 통해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암(73)은 크랭크(72)와 연결로드(75) 사이에 배치되어 그 상부 양측이 크랭크(72)의 후단부와 연결로드(75)의 선단부에 축(S25)(S26)으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 구동레버(74)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져 그 중앙부가 베어링(B7)을 통해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레버(74)의 하부는 연결로드(75)의 후단부에 축(S27)으로 연결되고, 구동레버(74)의 상부는 제1운동부재(50)의 제1승강레버(52)에 축(S17)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로드(75)는 연결암(73)의 구동력을 구동레버(74)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로드(75)의 선단부는 연결암(73)에 축(S26)으로 연결되고, 연결로드(75)의 후단부는 구동레버(74)에 축(S27)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링크(76)는 구동레버(74)와 제1운동부재(50)의 제1승강레버(52)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레버(74)의 구동력을 제1승강레버(52)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링크(76)는 구동레버(74)의 상부와 제1운동부재(50)의 제1승강레버(52)에 그 양단이 축(S17)(S28)으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77)는 제1운동부재(50)의 제1승강레버(52)와 제2운동부재(60)의 제2승강레버(6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승강레버(52)의 구동력을 제2승강레버(62)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링크(77)는 제1운동부재(50)의 제1승강레버(52)와 제2운동부재(60)의 제2승강레버(62)에 그 양단이 축(S21)(S29)으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3링크(78)는 제2운동부재(60)의 제2승강레버(62)와 이송부재(20)의 승강레버(23) 사이에 배치되어 제2승강레버(62)의 구동력을 승강레버(23)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3링크(78)는 제2승강부재(60)의 제2승강레버(62)와 이송부재(20)의 승강레버(23)에 그 양단이 축(S3)(S30)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구동부재(7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0)로 구동모터(71)를 구동시키면 감속기(71a)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편심축(72a)이 구동하면서 크랭크(72)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크랭크(72)와 연결암(73)에 연결된 축(S25)이 연결암(73)을 구동시키고, 연결암(73)은 베어링(B6)을 축으로 왕복 회전운동을 수행하면서 축(S26)을 밀고 당기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연결로드(75)는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72)와 연결로드(75)가 일체형일 경우에는 편심축(72a)이 360°회전할 때 감속기(71a)로 크랭크(72)와 연결로드(75)를 밀고 당기는 속도는 같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72)와 연결로드(75)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암(73)에 축(S25)(S26)으로 각각 연결되었기 때문에 크랭크(72)와 연결암(73),연결로드(75)의 작용에 의해서 편심축(72a)이 타원형을 그리면서 연결로드(75)를 밀고 당기는 현상이 된다.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연결로드(75)의 행정거리는 대략 20%정도 감축됨과 동시에 구동모터(71),감속기(71a),크랭크(72),연결암(73)의 회전속도 및 행정거리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말의 율동과 말의 리듬 및 말의 감각과 가까운 승마동작을 연출할 수 있는 부드러운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로드(75)의 좌우 왕복 운동에 의해 구동레버(74)는 베어링(B7)을 축으로 전후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제1,제2,제3링크(76)(77)(78)가 연동하여 제1승강레버(52),제2승강레버(62),승강레버(23)를 동시에 좌우로 왕복 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재(70)의 구동경로는, 구동모터(71)→감속기(71a)→크랭크(72)→연결암(73)→연결로드(75)→구동레버(74)를 거쳐 제1,제2,제3링크(76)(77)(78)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제1,제2,제3링크(76)(77)(78)가 동시에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또한 제1,제2,제3링크(76)(77)(78)의 좌우 왕복 운동을 전달받아 제1승강레버(52),제2승강레버(62),승강레버(23)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80)는 이송부재(20)의 좌우 왕복 이송거리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거리조절부재(80)는 도 7과 도 8a,8b,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모터(81), 상기 모터(81)에 연결되는 나사봉(82), 상기 나사봉(8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83), 상기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절너트(83)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8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81)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81)는 프레임(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나사봉(82)은 조절너트(83)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봉(82)은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체인과 스프로킷을 통해 모터(81)와 연결된다.
상기 조절너트(83)는 나사봉(82)에 나사조립되어 조절로드(24)의 축(S6)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너트(83)는 이송부재(20)의 조절로드(24)에 축(S6)으로 연결된다.
상기 센서(84)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절너트(83)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센서(84)는 컨트롤러(300)를 통해 조절너트(83)의 위치를 알려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거리조절부재(8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트롤러(300)로 거리조절부재(80)의 모터(8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연결된 나사봉(82)이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나사봉(82)에 나사조립된 조절너트(83)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조절로드(24)의 축(S6)을 우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조절너트(83)는 승강레버(23)의 상하 왕복 운동중인 상태에서도 모터(81)를 구동시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절너트(83)의 이동거리는 센서(84)에 의해 감지되므로 사용자는 컨트롤러(300)로 조절너트(83)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트롤러(300)로 거리조절부재(80)의 모터(8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연결된 나사봉(82)이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나사봉(82)에 나사조립된 조절너트(83)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조절로드(24)의 축(S6)을 좌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동하는 거리조절부재(80)를 컨트롤러(300)로 제어하여 조절로드(24)의 축(S6)을 좌우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90)는 제1운동부재(50)의 상하 왕복 승강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높이조절부재(90)는 도 13과 도 14a,14b,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제1모터(91), 상기 제1모터(91)에 연결되는 제1나사봉(92), 상기 제1나사봉(9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조절너트(93), 상기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조절너트(93)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센서(9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모터(91)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모터(91)는 프레임(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나사봉(92)은 제1조절너트(93)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1나사봉(92)은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체인과 스프로킷을 통해 제1모터(91)와 연결된다.
상기 제1조절너트(93)는 제1나사봉(92)에 나사조립되어 제1조절로드(53)의 축(S2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1조절너트(93)는 제1운동부재(50)의 제1조절로드(53)에 축(S20)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센서(94)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조절너트(93)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센서(94)는 컨트롤러(300)를 통해 제1조절너트(93)의 위치를 알려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높이조절부재(9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트롤러(300)로 제1높이조절부재(90)의 제1모터(9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연결된 제1나사봉(92)이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나사봉(92)에 나사조립된 제1조절너트(93)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조절로드(53)의 축(S20)을 좌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조절너트(93)는 제1승강레버(52)의 상하 왕복 운동중인 상태에서도 제1모터(91)를 구동시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조절너트(93)의 이동거리는 제1센서(94)에 의해 감지되므로 사용자는 컨트롤러(300)로 제1조절너트(93)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트롤러(300)로 제1높이조절부재(90)의 제1모터(9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연결된 제1나사봉(92)이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나사봉(92)에 나사조립된 제1조절너트(93)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조절로드(53)의 축(S20)을 우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동하는 제1높이조절부재(90)를 컨트롤러(300)로 제어하여 제1조절로드(53)의 축(S20)을 좌우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100)는 제2운동부재(60)의 상하 왕복 승강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높이조절부재(100)는 도 15와 도 16a,16b,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제2모터(110), 상기 제2모터(110)에 연결되는 제2나사봉(120), 제2나사봉(12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제2조절너트(130), 상기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조절너트(1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모터(110)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모터(110)는 프레임(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나사봉(120)은 제2조절너트(13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2나사봉(120)은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체인과 스프로킷을 통해 제2모터(11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조절너트(130)는 제2나사봉(120)에 나사조립되어 제2조절로드(63)의 축(S24)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2조절너트(130)는 제2운동부재(60)의 제2조절로드(63)에 축(S24)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센서(140)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조절너트(13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센서(140)는 컨트롤러(300)를 통해 제2조절너트(130)의 위치를 알려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높이조절부재(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러(300)로 제2높이조절부재(100)의 제2모터(1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연결된 제2나사봉(120)이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나사봉(120)에 나사조립된 제2조절너트(130)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조절로드(63)의 축(S24)을 우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조절너트(130)는 제2승강레버(62)의 상하 왕복 운동중인 상태에서도 제2모터(110)를 구동시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조절너트(130)의 이동거리는 제2센서(140)에 의해 감지되므로 사용자는 컨트롤러(300)로 제2조절너트(130)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컨트롤러(300)로 제2높이조절부재(100)의 제2모터(1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연결된 제2나사봉(120)이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나사봉(120)에 나사조립된 제2조절너트(130)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조절로드(63)의 축(S24)을 좌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상기 하중조절부재(200)는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구동부재(70) 및 모든 부품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중조절부재(200)는 도 18과 도 19에서와 같이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모터(210), 상기 모터(210)에 연결되는 나사봉(220), 상기 나사봉(22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그 하단이 프레임(1)에 축(S31)으로 고정되는 조절너트(230), 상기 조절너트(230)의 상부와 승강부재(30)에 그 양단이 연결되는 스프링(240),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240)의 장력을 감지하는 무게센서(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210)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210)는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나사봉(220)은 조절너트(230)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봉(220)은 모터(210)에 연결된다.
상기 조절너트(230)는 나사봉(220)에 나사조립되어 스프링(240)을 밀거나 당기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너트(230)의 하부는 프레임(1)에 회동가능하게 축(S31)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승강부재(30)의 종동레버(32)를 탄력적으로 당겨주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240)의 선단부는 종동레버(32)의 하부에 연결되고, 스프링(240)의 후단부는 조절너트(230)에 연결된다.
상기 무게센서(250)는 컨트롤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240)의 장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무게센서(250)는 컨트롤러(300)를 통해 스프링(240)의 장력을 알려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하중조절부재(2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트롤러(300)로 하중조절부재(20)의 모터(2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나사봉(220)이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나사봉(220)에 나사조립된 조절너트(230)는 축(S31)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40)을 좌측으로 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승강부재(30)의 종동레버(32)와 구동레버(31)가 회전하면서 승강로드(34)(43)를 상부로 밀어 올려 안장받침대(10)를 큰 장력으로 받쳐주기 때문에 안장받침대(10)의 하중 강도는 커지게 된다.
이때, 스프링(240)의 장력은 무게센서(250)에 의해 감지되므로 사용자는 컨트롤러(300)로 스프링(240)의 장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트롤러(300)로 하중조절부재(200)의 모터(2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나사봉(220)이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나사봉(220)에 나사조립된 조절너트(230)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40)을 우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승강부재(30)의 종동레버(32)와 구동레버(31)가 회전하면서 승강로드(34)(43)를 하부로 내려 안장받침대(10)를 작은 장력으로 받쳐주기 때문에 안장받침대(10)의 하중 강도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중조절부재(200)는 모터(210)를 정역으로 구동시켜 스프링(240)을 당기거나 늦추면서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재(70)의 작동시 구동모터(71)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든 부품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안장받침대(10)에 적절한 하중강도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300)는 구동모터(71),모터(81),센서(84),제1모터(91),제1센서(94),제2모터(110),제2센서(140),모터(210),무게센서(25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러(300)는 거리조절부재(80)의 모터(81)와 제1,제2높이조절부재(90)(100)의 제1,제2모터(91)(110) 및 하중조절부재(200)의 모터(21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300)에는 각 모터들을 각각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가 설치된다. 이때, 사용자가 승마운동을 즐기는 도중에 용이하게 각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300)는 말안장(2)의 전방에 설치함이 바람직하지만,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컨트롤러(300)를 적당한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승마용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도 5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마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사용자(승마운동을 하려는 사람)의 몸무게에 따라 컨트롤러(300)로 하중조절부재(200)의 모터(210)를 제어하여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즉, 사용자의 몸무게가 70㎏일 경우 컨트롤러(300)로 하중조절부재(200)의 모터(2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양측 승강로드(33)(34)가 안장받침대(10)를 대략 70㎏정도의 하중강도로 받칠 수 있도록 스프링(240)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하중조절부재(200)로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한 후, 사용자가 말안장(2)에 올라 타 승마준비를 한 상태에서 컨트롤러(300)로 구동부재(70)의 구동모터(71)를 구동시키면 구동모터(71)가 구동하고, 구동모터(71)의 구동력은 감속기(71a)→크랭크(72)→연결암(73)→연결로드(75)→구동레버(74)를 거쳐 제1,제2,제3링크(76)(77)(78)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제1승강레버(52)와 제2승강레버(62) 및 승강레버(23)에 축(S17)(S29)(S21)(S30)(S3)으로 각각 연결된 제1,제2,제3링크(76)(77)(78)는 연동하여 동시에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제1링크(76)의 좌우 왕복 운동에 의해 제1운동부재(50)의 제1승강레버(52)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고, 이러한 제1승강레버(52)의 상하 왕복 운동은 제1운동레버(51)에 전달되어 축(S14)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축(S14)에 연결된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제2링크(77)의 좌우 왕복 운동에 의해 제2운동부재(60)의 제2승강레버(62)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고, 이러한 제2승강레버(52)의 상하 왕복 운동은 제2운동레버(61)에 전달되어 축(S15)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축(S15)에 연결된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제1연결레버(41)와 제2연결레버(41)(42)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축(S16)으로 연결된 승강로드(43)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고, 이러한 승강로드(43)의 상하 왕복 운동은 축(S7) 및 연결로드(35)를 통해 승강부재(30)의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에 전달되어 승강로드(33)(34)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승강로드(33)(34)의 상부에 축(S8)(10)으로 연결되어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부드럽게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제3링크(78)의 좌우 왕복 운동에 의해 이송부재(20)의 승강레버(23)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고, 이러한 승강레버(23)의 상하 왕복 운동은 이송레버(21)에 전달되어 이송로드(22)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이송로드(22)에 축(S2)으로 연결된 안장받침대(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함과 아울러 연동하여 전후로도 왕복 운동을 동시에 부드럽게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안장받침대(10)에 고정된 말안장(2)이 전후 및 상하로 부드럽게 마치 파도치는 모양과 같이 왕복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말안장(2)에 올라 탄 사용자는 실제 달리는 말의 율동과 감각 및 리듬에 가까운 승마동작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생동감 있는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말안장(2)에 올라 탄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승마운동을 하면서 컨트롤러(300)로 제1높이조절부재(90)와 제2높이조절부재(100) 및 거리조절부재(80)의 제1모터,제2모터,모터(91)(110)(81)를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축(S20)(S24)(S6)의 위치를 각각 이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높이 및 이동거리가 변화되어 안장받침대(10)가 다양한 변화를 그리면서 다양한 리듬과 박자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축(S20)(S24)(S6)의 위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승마동작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말안장(2)의 다양한 동작 중 그 일예로 제1,제2,제3링크(76)(77)(78)가 좌우로 한번 왕복 운동할 때 안장받침대(10)가 두 번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말안장(2)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제1높이조절부재(90)의 제1조절너트(93)를 ㉣에 위치시키고, 제2높이조절부재(100)의 제2조절너트(130)를 ㉡에 위치시키고, 거리조절부재(80)의 조절너트(83)를 ㉡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구동레버(74)를 화살표 방향(우측)으로 밀면 제1조절너트(93)가 ㉣에 위치하므로 제1운동레버(51)의 축(S14)은 가상선과 같이 상부로 올라간다.
그리고 제2조절너트(130)가 ㉡에 위치하므로 구동레버(74)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제2운동레버(61)의 축(S15)은 가상선과 같이 하부로 내려가고, 또한 거리조절부재(80)의 조절너트(84)가 ㉡에 위치하므로 구동레버(74)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이송레버(21)의 축(S1)은 가상선과 같이 화살표 반대방향(좌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조절너트(93)와 제2조절너트(130) 및 조절너트(84)를 ㉣㉡㉡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부재(70)의 구동레버(74)를 화살표 방향(우측)으로 밀면 제1운동레버(51)와 제2운동레버(61) 및 이송레버(21)의 축(S14)(S15)(S1)은 도 6의 가상선과 같이 각각 작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구동레버(74)를 화살표 반대방향(좌측)으로 당기다면 제1운동레버(51)의 축(S14)과 제2운동레버(61)의 축(S15) 및 이송레버(21)의 축(S1)은 가상선과 반대로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승강부재(30)의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의 가상선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구동레버(74)의 축(S28)이 좌우로 왕복 운동함에 있어 ⓐ와 ⓒ가 왕복거리라 하고 ⓑ가 중심이라면 구동레버(74)의 축(S28)이 ⓑ에 왔을 때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의 끝부분은 최고상승점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제1높이조절부재(90)의 제1조절너트(93)와 제2높이조절부재(100)의 제2조절너트(130)가 서로 대칭위치에 있을 경우, 구동레버(74)가ⓐ방향으로 갈 때 제1운동부재(50)의 제1운동레버(51)는 상승작용을 하고, 구동레버(74)가 ⓒ방향으로 갈 때 제2운동부재(60)의 제2운동레버(61)가 상승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구동레버(74)의 축(S28)이 ⓐ↔ⓒ로 한번 왕복 운동할 때 승강부재(30)의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는 두 번 상하로 반복하여 왕복 운동한다. 즉, 제1운동부재(50)의 제1운동레버(51)와 제2운동부재(60)의 제2운동레버(61)가 반대로 상하 운동할 때, 제1운동레버(51)와 제1연결레버(41) 및 제2운동레버(61)와 제2연결레버(42)가 도 6의 가상선과 같은 각도로 작동되기 때문에 승강부재(30)의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가 두 번 반복하여 왕복 운동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말의 율동과 말의 리듬 및 말의 감각에 가깝게 말안장(2)이 다양한 동작으로 전후 및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제로 말을 타고 승마하는 듯한 유희감과 생동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고가의 말을 이용하지 않고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일반 가정이나 기타 헬스장 등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생동감 있는 승마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동시에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종래 헬스운동과 같이 육체적으로 힘을 들여서 하는 것이 아니고, 말안장(2)에 올라타고 앉아 떨어지지 않도록 중심만 잡으면 자연스럽게 승마운동을 할 수 있고 또한 실제로 말을 타고 승마를하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전신운동 및 신체단련과 유연성을 길러주는 운동을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보다 재미있고 부담없이 즐기면서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제 달리는 말의 율동과 감각 및 리듬에 가까운 승마동작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생동감 있는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실제로 말의 리듬과 율동에 근접한 다양한 승마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2)

  1. 프레임(1)의 중앙 상부에 배치되어 말안장(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 프레임(1)의 전방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이송부재(20); 프레임(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부재(30); 승강부재(30)에 연결되는 완충부재(40); 프레임(1)의 후방과 중앙부에 설치되어 완충부재(4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1운동부재(50) 및 제2운동부재(60); 이송부재(20)와 제1,제2운동부재(50)(6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재(70); 이송부재(20)의 이송거리와 제1,제2운동부재(50)(60)의 승강높이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80) 및 제1,제2높이조절부재(90)(100);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조절하는 하중조절부재(200); 및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를 포함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20)는 프레임(1)에 베어링(B1)으로 고정되는 이송레버(21), 이송레버(21)의 상부와 안장받침대(10)에 그 양단이 축(S1)(S2)으로 연결되는 이송로드(22), 이송레버(21)의 하부와 구동부재(70)에 그 상하부가 축(S3)(S4)으로 연결되는 승강레버(23), 승강레버(23)와 거리조절부재(80)에 그 상하부가 축(S5)(S6)으로 연결되는 조절로드(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0)는 프레임(1)에 베어링(B2)으로 고정되어 완충부재(40)와 축(S7)으로 연결되는 구동레버(31) 및 프레임(1)에 베어링(B3)으로 고정되는 종동레버(32), 구동,종동레버(31)(32)의 상부와 안장받침대(10)에 그 상하부가 각각 축(S8)(S9)(S10)(S11)으로 연결되는 승강로드(33)(34), 구동레버(31)와 종동레버(32)의 하부에 그 양단이 축(S12)(S13)으로 연결되는 연결로드(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40)는 제1,제2운동부재(50)(60)에 하부가 각각 축(S14)(S15)으로 연결되어 그 상부가 서로 축(S16)으로 연결되는 한조의 제1,제2연결레버(41)(42), 제1,제2연결레버(41)(42)의 상부와 승강부재(30)에 그 상하부가 축(S16)(S7)으로 연결되는 승강로드(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승마용 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43)는 승강부재(30)의 구동레버(31)에 축(S7)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부재(50)는 프레임(1)에 베어링(B4)으로 고정되어 완충부재(40)와 축(S14)으로 연결되는 제1운동레버(51), 제1운동레버(51)와 구동부재(70)에 그 상하부가 축(S17)(S18)으로 연결되는 제1승강레버(52), 제1승강레버(52)와 제1높이조절부재(90)에 그 상하부가 축(S19)(S20)으로 연결되는 제1조절로드(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레버(51)는 완충부재(40)의 제1연결레버(41)에 축(S14)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운동부재(60)는 프레임(1)에 베어링(B5)으로 고정되어 완충부재(40)와 축(S15)으로 연결되는 제2운동레버(61), 제2운동레버(61)와 구동부재(70)에 그 상하부가 축(S21)(S22)으로 연결되는 제2승강레버(62), 제2승강레버(62)와 제2높이조절부재(100)에 그 상하부가 축(S23)(S24)으로 연결되는 제2조절로드(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운동레버(61)는 완충부재(40)의 제2연결레버(42)에 축(S15)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70)는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속기(71a)를 구비하는 구동모터(71), 감속기(71a)에 편심축(72a)으로 연결되는 크랭크(72), 프레임(1)에 그 하부가 베어링(B6)으로 고정되어 크랭크(72)와 축(S25)으로 연결되는 연결암(73), 프레임(1)의 후방에 그 중앙부가 베어링(B7)으로 고정되는 구동레버(74), 연결암(73)과 구동레버(74)의 하부에 그 양단이 축(S26)(S27)으로 연결되는 연결로드(75), 구동레버(74)를 통해 좌우로 왕복 운동하면서 이송부재(20)와 제1,제2운동부재(50)(60)를 작동시키는 제1,제2,제3링크(76)(77)(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76)는 구동레버(74)의 상부와 제1운동부재(50)의 제1승강레버(52)에 그 양단이 축(S17)(S28)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77)는 제1운동부재(50)의 제1승강레버(52)와 제2운동부재(60)의 제2승강레버(62)에 그 양단이 축(S21)(S29)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78)는 제2승강부재(60)의 제2승강레버(62)와 이송부재(20)의 승강레버(23)에 그 양단이 축(S3)(S30)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부재(80)는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모터(81), 모터(81)에 연결되는 나사봉(82), 나사봉(8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83),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절너트(83)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너트(83)는 이송부재(20)의 조절로드(24)에 축(S6)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90)는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제1모터(91), 제1모터(91)에 연결되는 제1나사봉(92), 제1나사봉(92)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제1조절너트(93),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조절너트(93)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센서(9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너트(93)는 제1운동부재(50)의 제1조절로드(53)에 축(S20)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100)는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제2모터(110), 제2모터(110)에 연결되는 제2나사봉(120), 제2나사봉(12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제2조절너트(130),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조절너트(1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너트(130)는 제2운동부재(60)의 제2조절로드(63)에 축(S24)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조절부재(200)는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모터(210), 모터(210)에 연결되는 나사봉(220), 나사봉(22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그 하단이 프레임(1)에 축(S31)으로 고정되는 조절너트(230), 조절너트(230)의 상부와 승강부재(30)에 그 양단이 연결되는 스프링(240), 컨트롤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240)의 장력을 감지하는 무게센서(2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40)은 승강부재(30)의 종동레버(32)에 축(S13)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00)는 거리조절부재(80)의 모터(81)와 제1,제2높이조절부재(90)(100)의 제1,제2모터(91)(110) 및 하중조절부재(200)의 모터(21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KR10-2003-0021867A 2003-04-08 2003-04-08 승마용 운동기구 KR10046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867A KR100469645B1 (ko) 2003-04-08 2003-04-08 승마용 운동기구
JP2003345979A JP3927530B2 (ja) 2003-04-08 2003-10-03 乗馬用運動器具
US10/681,988 US6808458B1 (en) 2003-04-08 2003-10-07 Sporting apparatus for horse riding
TW092132465A TWI222381B (en) 2003-04-08 2003-11-19 Sport apparatus for horse riding
CNB2004100018285A CN100515532C (zh) 2003-04-08 2004-01-14 骑马运动装置
EP04008608A EP1475130B1 (en) 2003-04-08 2004-04-08 Sporting apparatus for simulating horse riding
DE602004015663T DE602004015663D1 (de) 2003-04-08 2004-04-08 Sportgerät zur Simulation des Reitens
AT04008608T ATE404260T1 (de) 2003-04-08 2004-04-08 Sportgerät zur simulation des reit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867A KR100469645B1 (ko) 2003-04-08 2003-04-08 승마용 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216U Division KR200354045Y1 (ko) 2004-03-24 2004-03-24 승마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463A KR20040087463A (ko) 2004-10-14
KR100469645B1 true KR100469645B1 (ko) 2005-02-05

Family

ID=3298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867A KR100469645B1 (ko) 2003-04-08 2003-04-08 승마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08458B1 (ko)
EP (1) EP1475130B1 (ko)
JP (1) JP3927530B2 (ko)
KR (1) KR100469645B1 (ko)
CN (1) CN100515532C (ko)
AT (1) ATE404260T1 (ko)
DE (1) DE602004015663D1 (ko)
TW (1) TWI2223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17B1 (ko) * 2013-11-14 2014-07-18 정필동 승마용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6486B2 (ja) * 2003-01-17 2005-06-29 松下電工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
US7175440B1 (en) * 2004-05-19 2007-02-13 Bateman Linda C Ezee boy equine therapeutic and instructional riding aid
GB2420724B (en) * 2004-12-06 2009-09-23 Racewood Ltd Horse simulator
KR100854579B1 (ko) * 2005-07-18 2008-08-26 박진한 승마형 운동기구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
JP4483815B2 (ja) * 2006-03-28 2010-06-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揺動型運動装置
US20070259758A1 (en) * 2006-05-02 2007-11-08 Cian-Chang Zeng Swaying fitness equipment structure
KR100855419B1 (ko) * 2006-05-26 2008-08-2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밸런스훈련장치
US20070287139A1 (en) * 2006-06-07 2007-12-13 Marc Andrew Holm Riding simulator and method of use
JP4788487B2 (ja) * 2006-06-15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
US20080009395A1 (en) * 2006-07-10 2008-01-10 Jung-Wen Tseng Horse-riding type exerciser
US7448953B2 (en) * 2006-08-14 2008-11-11 Chiu-Ku Chen Structure of a horse riding machine
US7670230B2 (en) * 2006-12-13 2010-03-02 Pet Chent Hsu Transmission mechanism for balance training apparatus
US7828665B2 (en) * 2007-01-17 2010-11-09 Jin Chen Chuang Rodeo or riding device
US7828666B2 (en) * 2007-01-17 2010-11-09 Jin Chen Chuang Rodeo or riding device
US20080200268A1 (en) * 2007-01-17 2008-08-21 Jin Chen Chuang Rodeo or riding device
US20080200267A1 (en) * 2007-01-17 2008-08-21 Jin Chen Chuang Rodeo or riding device
US7824274B2 (en) * 2007-01-17 2010-11-02 Jin Chen Chuang Rodeo or riding device
US8801492B2 (en) * 2007-04-27 2014-08-12 Mattel, Inc. Toy track set and relay segments
US8747180B2 (en) * 2007-04-27 2014-06-10 Mattel, Inc. Toy track set and relay segments
DE212008000033U1 (de) * 2007-04-27 2010-01-07 Mattel, Inc., El Segundo Spielzeugschienenset und Auslösesegmente
US8382553B2 (en) * 2007-04-27 2013-02-26 Mattel, Inc. Toy track set and relay segments
US8690632B2 (en) * 2007-04-27 2014-04-08 Mattel, Inc. Toy track set and relay segments
US20090005186A1 (en) * 2007-06-26 2009-01-01 Jung-Wen Tseng Horse-riding simulation device
US20090011393A1 (en) * 2007-07-05 2009-01-08 Han-Sung Lin Balance training device
US11235199B2 (en) 2007-08-17 2022-02-01 Real Ryder, LLC Bicycling exercise apparatus
US7927258B2 (en) * 2007-08-17 2011-04-19 Real Ryder, LLC Bicycling exercise apparatus
TW200938253A (en) * 2007-08-31 2009-09-16 Panasonic Elec Works Co Ltd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US7736240B2 (en) * 2007-12-13 2010-06-15 Jin Chen Chuang Rodeo or riding device
BRPI0913467B1 (pt) * 2008-09-03 2019-09-10 Thorley Ind Llc aparelho para cuidados com bêbes e método para controlar um aparelho para cuidados com bêbes
US7914386B1 (en) * 2009-05-18 2011-03-29 Johns Stanlo J Bucking horse simulator apparatus
KR101220900B1 (ko) * 2010-06-23 2013-01-11 하동원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JP5824508B2 (ja) * 2010-03-31 2015-11-25 ゼナーツ インク 非定型曲線の軌跡を有する様々な3次元波形が生成される体感用ロボット
KR101161608B1 (ko) 2010-10-22 2012-07-03 김미화 승마 시뮬레이터
WO2013025895A1 (en) * 2011-08-16 2013-02-21 Baylor University A six-degree-of-freedom cam-controlled support platform
US9360093B2 (en) 2011-08-16 2016-06-07 Baylor University Six-degree-of-freedom cam-controlled support platform
WO2014153158A1 (en) 2013-03-14 2014-09-25 Icon Health & Fitness, Inc. Strength training apparatus with flywheel and related methods
GB201304800D0 (en) * 2013-03-15 2013-05-01 Greenwood William R Horse riding training aid
EP3028605A1 (en) 2013-03-15 2016-06-08 Thorley Industries LLC Driven infant seat
KR101521025B1 (ko) * 2013-11-14 2015-05-1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자의 3차원 모션분석기반 실시간 코칭시스템
WO2015100429A1 (en) 2013-12-26 2015-07-02 Icon Health & Fitness, Inc. Magnetic resistance mechanism in a cable machine
KR20150084429A (ko) * 2014-01-14 2015-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승마 시뮬레이터 사용자의 의도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63211B1 (ko) * 2014-02-18 2014-11-21 정필동 다 방향 왕복 운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승마 운동 장치 및 승마 운동 방법
WO2015138339A1 (en) 2014-03-10 2015-09-17 Icon Health & Fitness, Inc. Pressure sensor to quantify work
WO2015191445A1 (en) 2014-06-09 2015-12-17 Icon Health & Fitness, Inc. Cabl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readmill
KR101487135B1 (ko) * 2014-07-04 2015-02-04 정필동 승마용 운동기구
CN104248852B (zh) * 2014-09-03 2016-08-24 汕头市美致模型有限公司 一种智能儿童玩具车
CN104249783B (zh) * 2014-09-03 2016-12-28 李准 一种新型智能儿童车
US10258828B2 (en) 2015-01-16 2019-04-16 Icon Health & Fitness, Inc. Controls for an exercise device
US10960267B2 (en) 2015-04-10 2021-03-30 Melissa Jo Montgomery Hippotherapy device
US10953305B2 (en) 2015-08-26 2021-03-23 Icon Health & Fitness, Inc. Strength exercise mechanisms
US10293211B2 (en) 2016-03-18 2019-05-21 Icon Health & Fitness, Inc. Coordinated weight selection
US10625137B2 (en) 2016-03-18 2020-04-21 Icon Health & Fitness, Inc. Coordinated displays in an exercise device
US10561894B2 (en) 2016-03-18 2020-02-18 Icon Health & Fitness, Inc. Treadmill with removable supports
US10493349B2 (en) 2016-03-18 2019-12-03 Icon Health & Fitness, Inc. Display on exercise device
US10272317B2 (en) 2016-03-18 2019-04-30 Icon Health & Fitness, Inc. Lighted pace feature in a treadmill
US10252109B2 (en) 2016-05-13 2019-04-09 Icon Health & Fitness, Inc. Weight platform treadmill
US10441844B2 (en) 2016-07-01 2019-10-15 Icon Health & Fitness, Inc. Cooling systems and methods for exercise equipment
US10471299B2 (en) 2016-07-01 2019-11-12 Icon Health & Fitn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internal exercise equipment components
DE102016213964A1 (de) * 2016-07-28 2018-02-01 Kuka Roboter Gmbh Hippotherapievorrichtung
CN106110618B (zh) * 2016-08-18 2017-10-03 武汉百利恒运动用品有限公司 高仿真骑马机
US10624320B2 (en) * 2016-08-25 2020-04-21 Angular LLC Rider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500473B2 (en) 2016-10-10 2019-12-10 Icon Health & Fitness, Inc. Console positioning
US10376736B2 (en) 2016-10-12 2019-08-13 Icon Health & Fitness, Inc. Cooling an exercise device during a dive motor runway condition
US10661114B2 (en) 2016-11-01 2020-05-26 Icon Health & Fitness, Inc. Body weight lift mechanism on treadmill
TWI646997B (zh) 2016-11-01 2019-01-11 美商愛康運動與健康公司 用於控制台定位的距離感測器
TWI680782B (zh) 2016-12-05 2020-01-01 美商愛康運動與健康公司 於操作期間抵銷跑步機的平台之重量
CN109289182A (zh) * 2017-07-25 2019-02-01 北京枫翼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六自由度体感平台的智能交互骑马机
TWI744546B (zh) 2017-08-16 2021-11-01 美商愛康運動與健康公司 抗軸向衝擊之用於提供扭矩的系統
US10729965B2 (en) 2017-12-22 2020-08-04 Icon Health & Fitness, Inc. Audible belt guide in a treadmill
CN114504785B (zh) * 2022-02-22 2022-12-13 唐晓 一种舞龙舞狮用身体协调性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5292A (en) * 1945-09-29 1949-10-18 Link Aviation Inc Aviation trainer
GB2233913B (en) * 1989-07-03 1994-03-02 Charles Sean Collins Workout horse
US4984986A (en) * 1989-11-07 1991-01-15 Vohnout Vincent J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oarsmen
US5429515A (en) * 1991-06-13 1995-07-04 Greenwood; William R. Horse riding training apparatus
GB2256597B (en) * 1991-06-13 1995-01-11 William Ronald Greenwood Horse riding training apparatus
JP2888464B2 (ja) * 1992-03-04 1999-05-10 株式会社 ナブコ 発馬訓練装置
JPH08117438A (ja) * 1994-10-26 1996-05-14 Etou Denki Kk 動物模型及び動物模型を用いた競争遊技装置
JP2801882B2 (ja) * 1996-02-20 1998-09-21 コナミ株式会社 乗物遊技機
GB2317350B (en) 1996-09-18 2000-04-26 Jonathan James Heyes Horse riding training apparatus
GB9701279D0 (en) * 1997-01-22 1997-03-12 Univ Brunel Active balance apparatus
US6059666A (en) * 1997-02-21 2000-05-09 Namco Ltd. Riding game system
US6162058A (en) * 1998-02-03 2000-12-19 Kumyang Co., Ltd. Motion base device for simulators
US5946721A (en) 1998-03-06 1999-09-07 Equilink, Inc. Apparel for training equestrian riding techniques
WO1999046022A1 (en) * 1998-03-10 1999-09-1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Apparatus for performing hippotherapy
DE19826102C2 (de) * 1998-06-12 2000-08-24 Dietmar Graupne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therapeutischen Geräts für das Training der Rückenmuskulatur durch Simulation der Bewegungen eines Pferd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885460B2 (ja) * 2000-04-07 2007-02-21 松下電工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010106908A (ko) * 2000-05-24 2001-12-07 이완표 동물주행 모의장치
US7070415B2 (en) * 2000-06-07 2006-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Balance training device
GB2363993B (en) * 2000-06-29 2002-11-20 William Ronald Greenwood Polo training apparatus
US6402626B1 (en) * 2001-07-09 2002-06-11 William A. Beaty Bucking machine
US6599198B2 (en) 2001-10-15 2003-07-29 Michael Ettenhofer Training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therapeutic riding in particular
JP2003190347A (ja) * 2001-12-26 2003-07-08 Setsuko Kobayashi 乗馬式骨盤背骨の矯正及び筋力強化トレーニングマシ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117B1 (ko) * 2013-11-14 2014-07-18 정필동 승마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5130B1 (en) 2008-08-13
TW200420331A (en) 2004-10-16
CN1535747A (zh) 2004-10-13
KR20040087463A (ko) 2004-10-14
JP3927530B2 (ja) 2007-06-13
US6808458B1 (en) 2004-10-26
TWI222381B (en) 2004-10-21
EP1475130A1 (en) 2004-11-10
CN100515532C (zh) 2009-07-22
DE602004015663D1 (de) 2008-09-25
ATE404260T1 (de) 2008-08-15
JP2004305698A (ja)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64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US8021276B2 (en) Climber appliance
US7341542B2 (en) Exercise machine
KR100516263B1 (ko) 밸런스 훈련장치
KR20070018205A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0755787B1 (ko) 트레이닝기구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US10471300B2 (en) Elliptical trainer
KR200354045Y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200344972Y1 (ko) 승마용 운동기구
CN103301601A (zh) 可调式踏步机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KR10136614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46320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161608B1 (ko) 승마 시뮬레이터
KR200399535Y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20150049820A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062863B1 (ko) 장애물 비월 승마 훈련기
KR20070053988A (ko) 발목 펌프 운동 장치
KR20100109185A (ko) 운동기구
JP2008113968A (ja) 健康運動器具
KR20110107941A (ko) 승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200396617Y1 (ko) 실외런닝머신
KR101610761B1 (ko)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