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003B1 - 승마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003B1
KR101236003B1 KR1020120085177A KR20120085177A KR101236003B1 KR 101236003 B1 KR101236003 B1 KR 101236003B1 KR 1020120085177 A KR1020120085177 A KR 1020120085177A KR 20120085177 A KR20120085177 A KR 20120085177A KR 101236003 B1 KR101236003 B1 KR 10123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plate
horizontal
ho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옥
전유리나
Original Assignee
전유리나
이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유리나, 이순옥 filed Critical 전유리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말 모형을 갖는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하측은 피지지체인 바닥면에 지지되며 골격 기능을 하는 지지 프레임; 하측에 위치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회전운동을 상, 하 수직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 운동부; 상기 수직 운동부와 연결 설치되며 수직 운동부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도약하는 도약부; 상기 도약부의 상측에 상, 하로 양분 설치되는 비월부; 상기 비월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비월부의 동작에 의해 사방으로 요동치는 요동부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피고정체인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수직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되 각각 제1,2 개구부를 갖춘 제1,2 수평 프레임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하측은 피고정체인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말 모형을 갖는 본체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골격의 기능을 갖도록 다수의 수직 바와 수평 판재에 의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 판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유동 판재; 그 몸체는 상기 프레임 높이의 대략적인 중간 정도의 높이에 배치된 수평 판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그 로드의 끝 부분은 상기 유동 판재의 한쪽 끝 하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축설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판재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축에 의해 상기 유동 판재와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유동 판재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복수 개의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상, 하측과 상응하는 위치인 상기 유동 판재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봉과 볼 조인트로 구비된다.

Description

승마 운동기구{stationary for ride a horse}
본 발명은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마 운동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승마 운동기구에 별도의 도약 기능과 점프기능 그리고 비월 기능과 방향 전환 등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현실감 있게 승마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라 함은 살아 움직이는 말과 함께하는 운동으로 말의 움직임에 적응하면서 신체적 적응능력을 발전시켜 균형 감각을 발달시키고 몸의 유연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이다.
승마는 또 말의 성격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말을 안정시키는 방법을 알고 승마를 할 때 말과 정서적 교감을 나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과 대담성을 일깨워주는 정신적 운동도 된다.
승마는 신체를 바르게 교정해 주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신체의 리듬감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는 효과와 정신 집중력을 기르고 폐활량이 늘어나며 담력을 길러주고 또 여성들에게는 몸매 관리에 좋고 골반이 튼튼해지며 전신 율동으로 위장병 등 소화기 계통의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승마의 단점은 아직까지 대중화되지 않아서 비용이나 시간이 많이 든다는 점, 승마 가능한 장소까지의 이동거리와 배우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비되며 자마를 소유하기 힘든 상황일 뿐만 아니라 낙마시 부상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승마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로 말을 타지 않은 상태에서 그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승마 운동기구는 말 형상의 조형물 내부에 별도의 진동장치 등을 설치한 것으로 실제 말이 달리다가 도약하는 도약 기능 등은 부여되지 않아 박진감과 현실감 있게 승마 운동기구를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승마 운동기구에 실제 주마시 도약의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현실감과 박진감을 부여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의 도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마 운동기구에 주마를 한 상태에서 승마 운동을 할 때 때 말의 머리 부분이 고삐의 동작에 의해 움직이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좀더 현실감 있게 승마 효과를 부여함은 물론 타제품과의 경쟁력에서도 신장될 수 있으며, 제품의 다양화와 다변화를 욕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의 도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말 모형을 갖는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하측은 피지지체인 바닥면에 지지되며 골격 기능을 하는 지지 프레임; 하측에 위치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회전운동을 상, 하 수직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 운동부; 상기 수직 운동부와 연결 설치되며 수직 운동부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도약하는 도약부; 상기 도약부의 상측에 상, 하로 양분 설치되는 비월부; 상기 비월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비월부의 동작에 의해 사방으로 요동치는 요동부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피고정체인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수직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되 각각 제1,2 개구부를 갖춘 제1,2 수평 프레임으로 구비된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지지 프레임은, 피고정체인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수직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되 각각 제1,2 개구부를 갖춘 제1,2 수평 프레임으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수직 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 측 상방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그 축이 상기 구동 모터의 축과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2 개구부를관통하는 크랭크 로드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도약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제1,2 도약판; 상기 제1,2 도약판의 사이에 게재된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제1 도약판의 하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 로드의 끝 부분이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변형 예는, 상기 비월부는, 상기 제2 도약판의 하측에 장착된 제2 구동 모터; 상기 제2 도약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그 하측에 상기 제2 구동 모터와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부가 고정축에 의해 전동 설치된 휠을 갖춘 제3 수평 프레임; 상기 제2 도약판과 상기 제3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복수 개의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상, 하측과 상응하는 위치인 상기 제2 도약판과 상기 제3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봉과 볼 조인트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5 변형 예는, 상기 요동부는, 상기 제3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며 하방에 다수의 지지 프레임이설치된 지지 판; 상기 제3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 측에는 한 쌍의 감속 풀리를 갖춘 감속기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감속 풀리와 바에 의해 연결된 스프링 완충부; 일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현가되고 타측은 상기 감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6 변형 예는, 상기 감속 풀리는 그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향하여 각각 중심 거리가 다르게 배열된 복수 개의 고정 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바는 한쪽은 상기 고정 홀에 편심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스프링 완충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 휠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하측은 피고정체인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말 모형을 갖는 본체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골격의 기능을 갖도록 다수의 수직 바와 수평 판재에 의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 판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유동 판재; 그 몸체는 상기 프레임 높이의 대략적인 중간 정도의 높이에 배치된 수평 판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그 로드의 끝 부분은 상기 유동 판재의 한쪽 끝 하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축설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판재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축에 의해 상기 유동 판재와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유동 판재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복수 개의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상, 하측과 상응하는 위치인 상기 유동 판재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봉과 볼 조인트로 구비된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승마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시 실제 주마시 도약 및 비월의 동작을 할 때 승마자에게 부여되는 느낌을 그대로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실감과 박진감을 부여할 수 있다.
둘째, 승마 운동기구에 주마를 한 상태에서 승마 운동을 할 때 때 말의 머리 부분이 고삐의 동작에 의해 움직이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좀더 현실감 있게 승마 효과를 부여함은 물론 타제품과의 경쟁력에서도 신장될 수 있으며, 제품의 다양화와 다변화를 욕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장치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약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약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지지 프레임과 수직 운동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약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월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월부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동부와 방향 전환부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동부와 방향 전환부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에서 적용되는 도약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약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약 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의 도약장치의 본체(10)는 말 모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의 형상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지지 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20)은 하측은 피지지체인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20)은 피고정체인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과 상기 고정 프레임(21)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22)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2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수직 프레임(22)의 간격을 유지하되 각각 제1,2 개구부(23a)(24a)를 갖춘 제1,2 수평 프레임(23)(24)으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하측에 위치된 상기 프레임, 즉 상기 고정 프레임(21)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23)에는 회전운동을 상, 하 수직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 운동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 운동부(30)는 상기 고정 프레임(21)의 일 측 상방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31), 상기 제1 수평 프레임(23)의 상측에 구비되며 그 축이 상기 구동 모터(31)의 축과 벨트(32)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크랭크(33) 그리고 상기 크랭크(33)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24)에 형성된 상기 제2 개구부(24a)를 관통하며 후술하는 도약부와 결합되는 크랭크 로드(34)로 구비된다.
또 상기 수직 운동부(30)의 상측에는 수직 운동부(30)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도약(또는 점핑)하는 도약부(40)가 설치된다.
상기 도약부(4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22)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제1,2 도약판(41)(42)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도약판(41)의 하측 면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24)의 상측 면과 면 접촉되며 상기 제1,2 도약판(41)(42)의 사이에는 완충 스프링(43)이 게재된다.
또 상기 제1 도약판(41)의 하측 중앙부는 상기 제2 개구부(24a)를 관통한 상기 상기 크랭크 로드(34)의 끝 부분이 결합되는 결합부(44)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약부(40)의 상측에는 비월부(50)가 상, 하로 양분 설치된다.
상기 비월부(50)는 실제로 승마할 경우 말이 장애물을 뛰어 넘을 때의 동작 및 근육 움직임과 같은 느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비월부(50)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약판(42)의 하측에 장착된 제2 구동 모터(51)와, 상기 제2 도약판(42)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그 하측에 상기 제2 구동 모터(51)와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부(52)가 고정축(53)에 의해 전동 설치된 휠(54)이 설치된 제3 수평 프레임(55)이 구비된다.
또 상기 제2 도약판(42)과 상기 제3 수평 프레임(55)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스프링(56)이 탄력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56)의 내측에는 지지봉(57)이 구비되며 그 지지봉(57)의 상, 하단부는 각각 상기 제2 도약판(42)과 상기 제3 수평 프레임(55)의 내측에 볼 조인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비월부(50)의 상측에는 상기 비월부(50)의 동작에 의해 사방으로 요동치는 요동부(60)가 구비된다.
상기 요동부(60)는 실제로 말에 승마했을 때 안장이 놓여지는 위치인 말의 등 근육이 움직이는 동작과 동일한 움직임 동작을 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요동부(60)는 도 8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수평 프레임(55)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며 하방에 다수의 지지 프레임(62)이 설치된 지지 판(61)과, 상기 제3 수평 프레임(55)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 측에는 한 쌍의 감속 풀리(64)를 갖춘 감속기(63)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감속 풀리(64)와 바(65)에 의해 연결된 스프링 완충부(66) 및 일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현가되고 타측은 상기 감속기(63)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 모터(67)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속 풀리(64)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 홀(68)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고정 홀(68)은 그 중심과 감속 풀리(64)의 중심과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바(65)는 한쪽은 상기 감속 풀리(64)에 편심 형성된 상기 고정 홀(68)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완충부(66)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 휠(69)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요동부(60)에는 상기 본체(10)의 머리 부분, 즉, 외형이 말의 형상을 갖는 본체(10)의 머리 부분이 방향을 설정된 각도만큼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70)가 구비된다.
상기 방향 전환부(70)는 상기 지지 판(61)의 일 측 상방에 배열된 상부 지지 판(71)과, 상기 지지 판(61)과 상기 상부 지지 판(71)의 사이에 배치된 제1,2 지지부(72)(73)과, 상기 제1,2 지지부(72)(73)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74)과, 상기 지지 판(61)과 상기 상부 지지 판(71)의 한쪽 끝에 서로 연결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2 연결부(75)(76) 그리고 상기 제 1,2 연결부(75)(76)를 상호 연결하는 볼 조인트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도면 표현이 생략되고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것이다.
또 이들 동작은 각 기능별로 따로따로 동작되거나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지만 일괄적으로 동시 동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약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 예에서 적용되는 프레임은 상기 제1 실시 예와 달리 다수의 수직 바(120)와 수평 판재(110)에 의해 프레임(100)의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동 판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다.
또 상기 프레임(100) 높이의 대략적인 중간 정도의 높이에 배치된 수평 판재의 상측에는 구동부(200)의 기능을 하는 전기 실린더의 몸체(210)가 일부 유동 가능하도록 축설되며 그 로드(220)의 끝 부분은 상기 유동 판재(130)의 한쪽 끝 하단부에 마찬가지로 유동 가능하게 축설된다는 점이다.
물론, 구동부(200)의 기능을 하는 상기 전기 실린더뿐만 아니라 유, 공압 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그 동작 속도와 빠른 명령에 의한 신속한 동작은 다소 기대할 수 없고 또 소음이 유발되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으니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 제2 실시 예의 특징은, 상기 유동 판재(130)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축을 매개로 제2 수평 프레임(140)이 설치되며, 상기 유동 판재(130)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140)의 사이에는 상술했던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스프링(150)이 탄력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150)은 그 상, 하측이 각각 상기 지지봉(151)과 볼 조인트(152)에 의해 상기 유동 판재(130)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140)의 사이에 지지된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승마를 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본체(10)는 다소 하측으로 이동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승마를 하다가 도면 표현을 생략한 스위치를 동작시키거나도면 표현을 생략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말이 점프하는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수직 운동부(30)가 구동한다.
즉, 수직 운동부(30)가 동작되면 상기 구동 모터(31)가 구동하며 그 축에 연결된 상기 벨트(32)를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크랭크(33)가 동작되며 그 크랭크 로드(34)를 승,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 로드(34)는 승, 하강되며 그 로드와 연결된 상기 도약부(40)의 제1 도약판(41)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거나 자중에 의해 내려오게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크랭크 로드(34)의 상, 하 직진운동과 그에 연동하는 상기 제1,2 도약판(41)(42)의 완충 작용에 의해 승마할 때와 유사한 도약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구동 모터(31)의 구동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항상 구동하거나 단속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또 이때 만약 상기 비월부(50)가 동시 동작되면 비월부(50)의 상기 제2 구동 모터(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된 상기 휠(54)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3 수평 프레임(55)은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일 방향과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2 구동 모터(51)는 정회전을 하거나 역회전을 하는 스테핑 모터로 구비되어 정, 역회전을 반복하게 되고 상기 제3 수평 프레임(55)이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지지 봉(57)과 그 지지 봉(57)을 연결하는 볼 조인트의 구조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56)은 상기 제3 수평 프레임(55)이 상기 제2 도약판(42)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토록 원상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결국 사용자는 제2 구동 모터(51)의 정, 역회전 동작에 의해 승마할 때와 유사한 언덕길을 오르거나 내리막 길을 내려가는 기분뿐만 아니라 점프하는 비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동작과 연속하여 상기 요동부(60)의 제3 구동 모터(67)가 구동하면 그 구동력은 상기 감속기(63)로 전달되고 감속기(63)에 축설된 한 쌍의 감속 풀리(64)는 회전하며 상기 바(65)를 크랭크 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바(65)의 한 쪽에 축설된 상기 회동 휠(69)은 상기 감속 풀리(64)에 편심 형성된 상기 고정 홀(68)에 축설된 구조에 의해 상기 제3 수평 프레임(55) 과 상기 지지 판(61)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62)에 장착된 제3 구동 모터(67)는 하나로 되어 크랭크 운동을 하며 상기 스프링 완충부(66)에 의해 승마한 상태에서 말이 걸을 때 발생하는 출렁이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기의 동작과 연속하여 도면 표현을 생략한 고삐를 잡아당기며 상기 방향 전환부(70)를 동작하면 상기 볼 조인트(77)를 축으로 상기 상부 지지판(71)이 상측으로 들썩이며 말의 머리가 위로 젖혀지게 된다.
물론 상기의 상태에서 잡아당겼던 고삐를 놓게 되면 상기 지지 판(61)과 상기 상부 지지판(71)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7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위로 젖혀졌던 말 머리는 원위치 되면서 스프링(74)의 탄성에 의해 출렁이게 된다.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고삐를 좌,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잡아당기면 상기했던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볼 조인트(77)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 및 거리만큼 방향도 전환되며 이들 동작은 도면 표현을 생략한 통상적인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로 말을 승마한 상태와 유사한 승마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연속하여 동작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비월부와 요동부 그리고 방향 전환부의 동작을 별도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동작은 도면 표현을 생략한 모니터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영상되는 말이 달리는 영상과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각각 상황에 맞게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약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인 도 11과 같이 상기 전기 실린더(2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로드(220)는 진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동 판재(130)는 그 중앙에 축설된 축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며 출렁이는 동작을 진행하고 동시에 스프링(150)을 매개로 상기 유동 판재(130)의 상측에 배치된 제2 프레임(140) 역시 출렁거리게 된다.
따라서 승마자, 즉,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말이 도약 그리고 비월하는 느낌과 동작을 생동감 있게 부여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지지 프레임
21 ; 고정 프레임 22 ; 수직 프레임
23, 24 ; 제1,2 수평 프레임 23a, 24a ; 제1,2 개구부
30 ; 수직 운동부 31 ; 구동 모터
32 ; 벨트 33 ; 크랭크
34 ; 크랭크 로드 40 ; 도약부
41, 42 ; 제1,2 도약판 43 ; 완충 스프링
44 ; 결합부 50 ; 비월부
51 ; 제1 구동 모터 52 ; 고정부
60 ; 요동부 63 ; 감속기
64 ; 감속 풀리 65 ; 바
66 ; 스프링 완충부 67 ; 제3 구동 모터
100 ; 프레임 110 ; 수평 판재
120 ; 수직 바 130 ; 유동 판재
140 ; 제2 수평 프레임 150 ; 스프링
151 ; 지지 봉 152 ; 볼 죠인트
200 ; 구동부 210 ; 전기 실린더의 몸체
220 ; 전기 실린더의 로드

Claims (9)

  1. 말 모형을 갖는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하측은 피지지체인 바닥면에 지지되며 골격 기능을 하는 지지 프레임;
    하측에 위치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회전운동을 상, 하 수직 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 운동부;
    상기 수직 운동부와 연결 설치되며 수직 운동부의 운동력을 전달받아 도약하는 도약부;
    상기 도약부의 상측에 상, 하로 양분 설치되는 비월부;
    상기 비월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비월부의 동작에 의해 사방으로 요동치는 요동부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피고정체인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수직으로 다수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수직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되 각각 제1,2 개구부를 갖춘 제1,2 수평 프레임으로 구비된 승마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 측 상방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그 축이 상기 구동 모터의 축과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2 개구부를관통하는 크랭크 로드로 구비된 승마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약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제1,2 도약판;
    상기 제1,2 도약판의 사이에 게재된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제1 도약판의 하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 로드의 끝 부분이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비된 승마 운동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월부는,
    상기 제2 도약판의 하측에 장착된 제2 구동 모터;
    상기 제2 도약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그 하측에 상기 제2 구동 모터와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부가 고정축에 의해 전동 설치된 휠을 갖춘 제3 수평 프레임;
    상기 제2 도약판과 상기 제3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복수 개의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상, 하측과 상응하는 위치인 상기 제2 도약판과 상기 제3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봉과 볼 조인트로 구비된 승마 운동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는,
    상기 제3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며 하방에 다수의 지지 프레임이설치된 지지 판;
    상기 제3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 측에는 한 쌍의 감속 풀리를 갖춘 감속기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감속 풀리와 바에 의해 연결된 스프링 완충부;
    일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현가되고 타측은 상기 감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속 풀리는 그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향하여 각각 중심 거리가 다르게 배열된 복수 개의 고정 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바는 한쪽은 상기 고정 홀에 편심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스프링 완충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 휠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구.
  7. 하측은 피고정체인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말 모형을 갖는 본체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골격의 기능을 갖도록 다수의 수직 바와 수평 판재에 의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 판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유동 판재;
    그 몸체는 상기 프레임 높이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 배치된 수평 판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그 로드의 끝 부분은 상기 유동 판재의 한쪽 끝 하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축설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판재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축에 의해 상기 유동 판재와 연결되는 제2 수평 프레임;
    상기 유동 판재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탄력 설치된 복수 개의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상, 하측과 상응하는 위치인 상기 유동 판재와 상기 제2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봉과 볼 조인트로 구비된 승마 운동기구.
  8. 삭제
  9. 삭제
KR1020120085177A 2012-03-19 2012-08-03 승마 운동기구 KR101236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551 2012-03-19
KR20120027551 2012-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003B1 true KR101236003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177A KR101236003B1 (ko) 2012-03-19 2012-08-03 승마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0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011B1 (ko) * 2013-06-10 2015-01-26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KR20170018176A (ko) 2015-08-06 2017-02-16 전성식 승마 운동기구
KR101754895B1 (ko) 2015-06-24 2017-07-07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KR101804487B1 (ko) * 2015-12-23 2017-12-05 에스엠로보틱스 주식회사 승마 운동기구의 입체적인 동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192A (ko) * 2008-12-01 2010-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KR100977046B1 (ko) 2008-11-12 2010-08-19 홍진레포츠(주) 승마형 운동기구
KR100996592B1 (ko) * 2010-06-08 2010-11-25 베르아델 승마클럽(주)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188136B1 (ko) 2010-06-08 2012-10-05 김주혁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46B1 (ko) 2008-11-12 2010-08-19 홍진레포츠(주) 승마형 운동기구
KR20100062192A (ko) * 2008-12-01 2010-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KR100996592B1 (ko) * 2010-06-08 2010-11-25 베르아델 승마클럽(주)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188136B1 (ko) 2010-06-08 2012-10-05 김주혁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011B1 (ko) * 2013-06-10 2015-01-26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KR101754895B1 (ko) 2015-06-24 2017-07-07 박중언 승마 운동 기구
KR20170018176A (ko) 2015-08-06 2017-02-16 전성식 승마 운동기구
KR101804487B1 (ko) * 2015-12-23 2017-12-05 에스엠로보틱스 주식회사 승마 운동기구의 입체적인 동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5130B1 (en) Sporting apparatus for simulating horse riding
AU2009257210B2 (en) Stationary articulated bicycle
JP4483815B2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0996592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CN101375817A (zh) 摇摆式运动装置
US9757609B2 (e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simulation of physical exercises with legs and arms
KR101188137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330854B1 (ko) 승마 운동기구의 비월장치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CN206508500U (zh) 骑马机结构
KR101225914B1 (ko) 승마 운동기구의 도약장치
KR101161608B1 (ko) 승마 시뮬레이터
KR101365695B1 (ko)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KR10136614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267964B1 (ko) 레이싱 코너링 시뮬레이션 장치
KR101225814B1 (ko) 승마 운동기구
KR101421117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077490B1 (ko) 승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20000030492A (ko) 소형 3차원 동작기구 및 이 동작기구를 구비하는 승마용시뮬레이터
KR10146320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CN101375819A (zh) 摇摆式运动装置
KR102628171B1 (ko) 승마용 운동기구
CN106994235A (zh) 骑马机结构
KR101267963B1 (ko) 커빙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