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176A - 승마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176A
KR20170018176A KR1020150111055A KR20150111055A KR20170018176A KR 20170018176 A KR20170018176 A KR 20170018176A KR 1020150111055 A KR1020150111055 A KR 1020150111055A KR 20150111055 A KR20150111055 A KR 20150111055A KR 20170018176 A KR20170018176 A KR 20170018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rse
base
ro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식
Original Assignee
전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식 filed Critical 전성식
Priority to KR102015011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8176A/ko
Publication of KR2017001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제1,2 감속 모터; 상기 제1,2 감속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직경이 다른 제1,2 회전판; 한쪽 끝단 부가 상기 제1,2 회전판의 둘레 면에 편심 장착되며 무게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제1,2 로드를 갖춘 제1,2 완충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되되 상기 제1,2 완충부가 끼워지며 좌, 우 이탈을 방지하는 장홈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제2 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2 로드의 출몰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그 일단 부는 상기 제1,2 로드 끝단 부에 장착되고 타단 부는 말 모형의 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그 축에 제1 풀리와 제1 회전판이 축설된 제1 감속 모터; 상기 제1 감속 모터와 이격 설치되며 제2 풀리와 제2 회전판; 상기 제1,2 풀리에 연결된 벨트; 한쪽 끝단 부가 상기 제1,2 회전판의 둘레 면에 편심 장착되며 무게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제1,2 로드를 갖춘 제1,2 완충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되되 상기 제1,2 완충부가 끼워지며 좌, 우 이탈을 방지하는 장홈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제2 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2 로드의 출몰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그 일단 부는 상기 제1,2 로드 끝단 부에 장착되고 타단 부는 말 모형의 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마 운동기구{stationary for ride a horse}
본 발명은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마 운동기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제품의 이동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제조 단가를 낮추어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라 함은 살아 움직이는 말과 함께하는 운동으로 말의 움직임에 적응하면서 신체적 적응능력을 발전시켜 균형 감각을 발달시키고 몸의 유연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이다.
승마는 또 말의 성격을 이해하며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말을 안정시키는 방법을 알고 승마를 할 때 말과 정서적 교감을 나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과 대담성을 일깨워주는 정신적 운동도 된다.
승마는 신체를 바르게 교정해 주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신체의 리듬감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 집중력을 기르고 폐활량이 늘어나며 담력을 길러주고 또 여성들에게는 몸매 관리에 좋고 골반이 튼튼해지며 전신 율동으로 위장병 등 소화기 계통의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승마의 단점은 아직까지 대중화되지 않아서 비용이나 시간이 많이 든다는 점, 승마 가능한 장소까지의 이동거리와 배우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비되며 본인 소유의 말을 소유하기가 경제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낙마시 부상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 출원 등록된 특허등록 제 1397756호 승마운동 기구의 작동방법, 특허등록 제1330854호 승마 운동기구의 비월장치, 특허등록 제1225914호 승마 운동기구의 도약장치, 특허등록 제1236003호 승마 운동기구, 특허등록 제1225814호 승마 운동기구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들은 실제 승마를 했을 때와 근접한 느낌도 들고, 승마 운동기구를 타고 운동을 할 때 승마 운동기구의 동작이 신체로 그대로 전달되어 뱃살을 빼거나 전신 운동에 상당한 도움이 되는 반면 여러 가지 기능을 갖고 유기적으로 결합 된 기계장치에 의해 제조 단가가 비싸다는 결점이 있다.
또 승마 운동 기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계 장치들의 무게가 무거워 제품의 이동 및 설치에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236003 B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승마 운동기구의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어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마 운동기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무게를 경량화 함으로써 제품의 이동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제1,2 감속 모터; 상기 제1,2 감속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직경이 다른 제1,2 회전판; 한쪽 끝단 부가 상기 제1,2 회전판의 둘레 면에 편심 장착되며 무게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제1,2 로드를 갖춘 제1,2 완충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되되 상기 제1,2 완충부가 끼워지며 좌, 우 이탈을 방지하는 장홈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제2 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2 로드의 출몰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그 일단 부는 상기 제1,2 로드 끝단 부에 장착되고 타단 부는 말 모형의 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그 축에 제1 풀리와 제1 회전판이 축설된 제1 감속 모터; 상기 제1 감속 모터와 이격 설치되며 제2 풀리와 제2 회전판; 상기 제1,2 풀리에 연결된 벨트; 한쪽 끝단 부가 상기 제1,2 회전판의 둘레 면에 편심 장착되며 무게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제1,2 로드를 갖춘 제1,2 완충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되되 상기 제1,2 완충부가 끼워지며 좌, 우 이탈을 방지하는 장홈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제2 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2 로드의 출몰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그 일단 부는 상기 제1,2 로드 끝단 부에 장착되고 타단 부는 말 모형의 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승마 운동기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을 경량화하여 제품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승마 운동기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계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승마 운동기구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의 제1,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100)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비교적 높게 설치한 후 베이스(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기계 부품들이 말 모형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제1,2 감속 모터(10)(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상기 제1,2 감속 모터(10)(20)의 축에는 제1,2 회전판(11)(21)이 설치된다.
상기 제1,2 회전판(11)(21)의 둘레 면에는 제1,2 로드(31)(41)를 갖춘 제1,2 완충부(30)(40)의 한쪽 끝단 부가 편심되며 장착된다.
또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장 홈(51)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50)가 설치되고 상기 장 홈(51)에는 상기 제1,2 완충부(30)(40)(또는 제1,2 로드31,41)가 끼워지며 좌, 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2 로드(31)(41)에는 후술하는 제1,2 로드(31)(41)의 출몰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6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충격 흡수부(60)는 제1 로드(31)와 장착되고 충격 흡수 로드(61)는 제2 로드(41)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로드(31)(41)의 끝단 부에는 탄성부(70), 즉, 스프링의 일단부가 장착되고 타단 부는 말 모형의 본체와 연결되어 말 본체를 현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성부(70)는 말 모형의 앞 뒤쪽에, 즉, 말의 앞다리 부근과 뒷다리 부근에 골고루 분산되어 말이 달릴때의 느낌을 느끼게 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에서의 제1,2 완충부(30)(40)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부(60)는 쇼크 업소버 또는 가스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쇼크 업소버와 가스 스프링은 말 모형의 무게 그리고 성인의 몸무게를 고려하여 그 하중에 견딜 정도의 것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제1 실시 예의 제1 감속 모터(20)의 축에 제1 풀리(12)와 제1 회전판(11)을 설치하고 상기 제2 감속 모터(20)가 설치된 위치에는 제2 풀리(22)와 제2 회전판(21)을 설치하되 상기 제1,2 풀리(12)(22)는 벨트(70)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2 풀리(12)(22)를 대신하여 스프라켓 휠을 설치하고 상기 벨트 대신에 체인을 설치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별도의 도면 표현을 생략하였지만 상기 제1,2 감속 모터(10)(20)의 구동 속도는 도면 표현을 생략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 속도가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이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면표현을 생략한 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2 모터(10)(20)가 구동하면 그 축에 설치된 제1,2 원판(11)(21)이 회전하고 동시에 제1,2 원판(11)(21)의 가장자리에 편심으로 설치된 상기 제1,2 완충부(30)(40)가 상, 하측으로 운동한다.
이때 상기 충격 흡수부(60)와 충격흡수 로드(61)는 압축 신장을 반복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압축 신장을 반복하며 길이가 수시로 변하는 제1,2 로드(31)(41)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탄성부(70)는 압축, 신장되며 말 모형을 상, 하측으로 출렁이게 하여 실제의 말이 달릴 때의 근육 동작, 즉, 말이 달릴 때 앞다리가 점프하고 뒷다리가 내딛는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사용자의 신체로 전달되어 박진감 있게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1 모터(10)가 회전하면 그 축에 설치된 제1 풀리(12)(또는 스프라켓 휠)의 회전력을 벨트(80)(또는 체인)에 의해 상기 제2 풀리(22)로 전달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승마 운동을 즐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 제1,2 모터 11, 21 ; 제1,2 원판
12, 22 ; 제1,2 풀리 30, 40 ; 제1,2 완충부
31, 41 ; 제1,2 로드 50 ; 이탈 방지부
51 ; 장 홈 60 ; 충격 흡수부
61 ; 충격 흡수 로드 70 ; 탄성부
80 ; 벨트 100 ; 베이스

Claims (2)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제1,2 감속 모터;
    상기 제1,2 감속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직경이 다른 제1,2 회전판;
    한쪽 끝단 부가 상기 제1,2 회전판의 둘레 면에 편심 장착되며 무게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제1,2 로드를 갖춘 제1,2 완충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되되 상기 제1,2 완충부가 끼워지며 좌, 우 이탈을 방지하는 장홈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제2 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2 로드의 출몰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그 일단 부는 상기 제1,2 로드 끝단 부에 장착되고 타단 부는 말 모형의 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
  2.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그 축에 제1 풀리와 제1 회전판이 축설된 제1 감속 모터;
    상기 제1 감속 모터와 이격 설치되며 제2 풀리와 제2 회전판;
    상기 제1,2 풀리에 연결된 벨트;
    한쪽 끝단 부가 상기 제1,2 회전판의 둘레 면에 편심 장착되며 무게의 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제1,2 로드를 갖춘 제1,2 완충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되되 상기 제1,2 완충부가 끼워지며 좌, 우 이탈을 방지하는 장홈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제1 로드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제2 로드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2 로드의 출몰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 및
    그 일단 부는 상기 제1,2 로드 끝단 부에 장착되고 타단 부는 말 모형의 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
KR1020150111055A 2015-08-06 2015-08-06 승마 운동기구 KR20170018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55A KR20170018176A (ko) 2015-08-06 2015-08-06 승마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55A KR20170018176A (ko) 2015-08-06 2015-08-06 승마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76A true KR20170018176A (ko) 2017-02-16

Family

ID=5826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055A KR20170018176A (ko) 2015-08-06 2015-08-06 승마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81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03B1 (ko) 2012-03-19 2013-02-21 전유리나 승마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03B1 (ko) 2012-03-19 2013-02-21 전유리나 승마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8462A (en) Stair climbing exercise apparatus utilizing drive belts
ES2886540T3 (es) Dispositivo para entrenamiento vibratorio
US20220203159A1 (en) Simulated rowing machine
US20170252594A1 (en) Exercise Machine
KR20170018176A (ko) 승마 운동기구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KR101485011B1 (ko) 승마 운동 기구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US20060223682A1 (en) Dynamic low impact plyometric exercise device
US20200330818A1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Exercises
CN105194841A (zh) 一种健身攀岩机
KR101782357B1 (ko) 복합 운동 장치
KR20130107600A (ko) 하체회전 운동기구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EP2243458B1 (de) Schwingungs-Fitness-Plattform
CN208081487U (zh) 一种带按摩功能的腰部运动装置
CN203842274U (zh) 高仿真骑马运动机
KR101225914B1 (ko) 승마 운동기구의 도약장치
CN203388072U (zh) 一种动物跑笼
KR101589052B1 (ko) 박동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CN110772752A (zh) 一种多功能的体育田径用训练装置
CN204618764U (zh) 一种步行康复训练轨迹模拟器
KR101589051B1 (ko) 박차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KR101222238B1 (ko)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KR101804487B1 (ko) 승마 운동기구의 입체적인 동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