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238B1 -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238B1
KR101222238B1 KR1020110076897A KR20110076897A KR101222238B1 KR 101222238 B1 KR101222238 B1 KR 101222238B1 KR 1020110076897 A KR1020110076897 A KR 1020110076897A KR 20110076897 A KR20110076897 A KR 20110076897A KR 101222238 B1 KR101222238 B1 KR 10122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phere
sphere
height
disk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1007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기구의 하나인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크의 회전에 의한 이동로드에 연결된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는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에 체결되고, 제1외주연부를 따라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가진 고점구와 제3높이를 가진 저점구가 경사부위로 연결되어 형성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에 접하여 설치되고, 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고점구와 경사부위 및 저점구에 제2외주연부가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가 체결된 체결축을 통해 연결되고, 가이드 롤러에 연동되어 안장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줌과 함께 가이드 롤러의 제2외주연부와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 간의 접촉에 의한 회전 마찰력을 조절시켜 주기 위한 이동로드가 실린더에 내장 구비된 조절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APPARATUS FOR MOVING UP AND DOWN}
본 발명은 운동 기구의 하나인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신의 체중을 안장에 실은 상태에서 회전하는 디스크(Disk)의 제1외주연부에 형성된 볼록한 언덕 형상의 고점구와 오목한 언덕 형상의 저점구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Guide Roller)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롤러에 연동되어 안장을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부터 하체의 근력을 강화시켜 주거나, 하복부 뱃살을 빼주기 위해 런닝머신, 스텝머신 등과 같은 운동기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기구에 대해 살펴보면, 첨부된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출원 제10-2003-0055392호(2003년 08월 11일자 출원)로 출원된 수직 상하 진동 운동기구(이를 '문헌1'이라 한다.)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1을 참조하면, 기계의 작동을 조작하는 콘솔(150a)을 고정시키는 컨트롤 박스(110a), 상기 컨트롤 박스(110a)를 지지하도록 세워진 포스트(120a), 기계를 작동시키는 모든 구동장치가 들어있는 바디(130a), 사용자의 운동시 사용자의 몸을 지탱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140a)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130a)에 들어 있는 구동장치는 사용자의 양발을 올려놓는 발판(170a),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0a), 상기 모터(210a)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양쪽으로 전달하는 샤프트(310a), 상기 샤프트(310a)에 끼워져서 회전력의 회전편차를 줄여주는 카플링(320a), 상기 샤프트(320a)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시켜 발판(170a)에 전달하는 편심축(330a), 상기 편심축(330a)을 고정시키는 편심축 고정프레임(610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발판(170a) 위에 지속적으로 서있는 상태에서 모터(210a)의 회전력에 의해 간접적으로 발판(170a)을 상하 운동시켜 주기 때문에 하체의 근력을 강화시켜 주는 운동기구로는 부족한 점이 있고, 특히 하복부를 중심으로 상체를 상하방향 반복적으로 운동시켜 줄 수 없음에 따라 비만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하복부 뱃살을 빼주기에는 많은 한계성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순히 발판(170a) 위에 서있는 상태에서 역시 모터(210a)의 회전력에 의해 간접적으로 발판(170a)을 상하 운동시켜 주는 단조로운 반복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신의 체중을 안장에 실은 상태에서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에 형성된 볼록한 언덕 형상의 고점구와 오목한 언덕 형상의 저점구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롤러에 연동되어 안장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에 있어서, 상기 안장이 고점구가 위치한 상방향에서 저점구가 위치한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내리막길로 달려 내려오는 스릴(Thrill)감 제공을 통해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운동에 대한 흥미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이로 인해 하체의 근력 강화와 함께 하복부 뱃살도 동시에 빼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에 볼록한 언덕 형상의 고점구를 동일한 크기와 형상 및 동일한 간격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시켜 줌과 함께 오목한 언덕 형상의 저점구를 동일한 크기와 형상 및 동일한 간격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시켜 주는 구성에 의해 안장에 앉아서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운동 주기로 상체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허리강화 운동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복부 뱃살도 동시에 유용하게 빼줄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디스크의 회전에 의한 이동로드에 연결된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는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에 체결되고, 제1외주연부를 따라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가진 고점구와 제3높이를 가진 저점구가 경사부위로 연결되어 형성된 디스크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에 접하여 설치되고, 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고점구와 저점구에 제2외주연부가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가 체결된 체결축을 통해 연결되고, 가이드 롤러에 연동되어 안장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줌과 함께 가이드 롤러의 제2외주연부와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 간의 접촉에 의한 회전 마찰력을 조절시켜 주기 위한 이동로드가 실린더에 내장 구비된 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구성수단 및 과정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신의 체중을 안장에 실은 상태에서 운동을 하기 때문에 하체의 근력을 더욱 강화시켜 줌과 함께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에 형성된 고점구와 저점구를 통과하는 가이드 롤러의 동작에 연동되어 안장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허리운동을 비롯하여 하복부를 중심으로 상체를 상하방향 반복적으로 운동시켜 비만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하복부의 뱃살도 동시에 빼주는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의 체중을 안장에 실은 상태에서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에 형성된 고점구와 저점구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롤러에 연동되어 안장이 고점구가 위치한 상방향에서 저점구가 위치한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내리막길로 달려 내려오는 스릴(Thrill)감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이로 인해 사용자들로 하여금 운동에 대한 흥미 제공을 더욱 유발시켜 주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에 연결된 구동모터로부터 디스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디스크의 제1외주연부에 형성된 고점구와 저점구를 통과하는 가이드 롤러의 동작에 연동되어 안장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하체 장애인들이나 노약자들로 하여금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운동을 비롯하여 하복부를 중심으로 상체를 상하방향 반복적으로 운동시켜 비만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하복부의 뱃살을 빼주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인력을 이용한 수동식으로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인력을 이용한 수동식으로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를 이용한 자동식으로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3실시사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안장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장치가 조형동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안장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장치가 조형동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 및 도 3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다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다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 및 도 3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 및 도 3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다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안장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다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있어서, 디스크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고점구에 추가로 최고점구를 형성시킨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있어서, 디스크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저점구에 추가로 최저점구를 형성시킨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일실시사례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동작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고,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7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신의 체중을 안장(400)에 실은 상태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디스크(Disk)(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볼록한 언덕(丘) 형상으로 형성된 고점구(高點丘)(111)와 오목한 언덕(丘) 형상으로 형성된 저점구(低點丘)(113)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Guide Roller)(2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롤러(200)에 연동되어 조절구(300)를 통해 연결된 안장(400)을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디스크(100)의 회전에 의한 이동로드(Road)(321)에 연결된 안장(400)의 상하방향 이동장치는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Shaft)(510)에 체결되고, 제1외주연부(110)를 따라 상기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1높이(h1)를 가진 고점구(111)와 제3높이(h3)를 가진 저점구(113)가 경사부위(114)로 연결되어 형성된 디스크(100)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접하여 설치되고,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른 고점구(111)와 저점구(113)에 제2외주연부(210)가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200)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200)가 체결된 체결축(220)을 통해 연결되고, 가이드 롤러(200)의 동작에 연동되어 안장(4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줌과 함께 가이드 롤러(200)의 제2외주연부(210)와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 간의 접촉에 의한 회전 마찰력을 조절시켜 주기 위한 이동로드(321)가 실린더(Cylinder)(310)에 내장 구비된 조절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디스크(1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첨부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10)에 크랭크(Crank)(520)를 통해서 연결된 페달(Pedal)(530)로부터 화살표(가) 방향으로 사용자가 발로 밟는 힘을 이용하여 수동식에 의해 첨부된 도 7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100)에 회전 구동력을 화살표(나) 방향으로 전달시켜 주거나, 또는 첨부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10)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800)로부터 자동식에 의해 첨부된 도 7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100)에 회전 구동력을 화살표(나) 방향으로 전달시켜 주게 된다.
다시 말해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회전 구동력을 수동식으로 할 경우에는 정상인들이 사용 가능하고, 자동식으로 할 경우에 있어서는 하체 장애인들이나 노약자들에게 특히 유용할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는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1높이(h1)를 가진 고점구(111)와 제3높이(h3)를 가진 저점구(113)가 적어도 2개소 이상 각각 형성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점구(111)는 첨부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외주연부(110)에 볼록한 언덕(丘)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저점구(113)는 제1외주연부(110)에 오목한 언덕(丘) 형상으로 형성시켜 준 다음 경사부위(114)를 통해서 상기 고점구(111)와 저점구(113)를 연결시켜, 상기 제1외주연부(110)를 볼록하고 오목하게 굴곡된 언덕 형상으로 구성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시에 스릴(Thrill)감을 더욱 느끼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외주연부(110)에는 첨부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점구(111)를 동일한 크기와 형상 및 동일한 간격(d1)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시켜 주고, 또한 상기 제1외주연부(110)에는 첨부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점구(113)를 동일한 크기와 형상 및 동일한 간격(d2)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시켜 주는 구성에 의해 안장(400)에 앉아서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운동 주기로 상체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허리강화 운동을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특히 하복부 뱃살도 동시에 유용하게 빼줄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위(114)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점구(111)와 저점구(113) 사이에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점구(111)의 제1외주연부(110)에는 첨부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2높이(h2)를 가지고 오목한 언덕(丘) 형상의 중점구(中點丘)(112)를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고점구(111)의 제1외주연부(110)에는 첨부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1-1높이(h1-1)를 가지고 볼록한 언덕(丘) 형상의 최고점구(最高點丘)(111-1)를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저점구(113)의 제1외주연부(110)에는 첨부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3-1높이(h3-1)를 가지고 오목한 언덕(丘) 형상의 최저점구(最低點丘)(113-1)를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이때, 상기 고점구(111)에 형성된 최고점구(111-1)를 비롯하여 중점구(112) 및 저점구(113)에 형성된 최저점구(113-1)는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시에 스릴(Thrill)감을 더욱 느끼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고점구(111)와 저점구(113)에 최고점구(111-1), 중점구(112), 최저점구(113-1)를 추가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좀 더 강한 요동(搖動)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하복부의 뱃살을 빼주는 데 한층 더 유용한 작용을 하게 될 것이다.
한편,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외주연부(110)에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1높이(h1)로 형성된 고점구(111), 상기 고점구(111)에 제1-1높이(h1-1)로 형성된 최고점구(111-1), 상기 고점구(111)에 제2높이(h2)로 형성된 중점구(112) 및 상기 제1외주연부(110)에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3높이(h3)로 형성된 저점구(113), 상기 저점구(113)에 제3-1높이(h3-1)로 형성된 최저점구(113-1) 각각에 대한 높이 사례를 보면, 최고점구(111-1)>고점구(111)>중점구(112)>저점구(113)>최저점구(113-1) 순으로 배치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크(100) 제작시에 제1외주연부(110)에 최고점구(11-1), 고점구(111), 중점구(112), 저점구(113), 최저점구(113-1)를 각각 적절하게 배치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강도는 물론 흥미 유발에도 한층 더 유용한 작용을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300)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310)에 내장 설치된 이동로드(321)에 구비된 헤드(Head)(320)에 접하여 체결된 탄성체(330)를 통해서 탄성력을 발생시켜 줌으로써, 가이드 롤러(200)의 제2외주연부(210)와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 간의 접촉에 의한 회전 마찰력을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절하게 조절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다른 일실시 사례로써, 상기 조절구(300)는 탄성체(330) 대신에 실린더(310)에 주입된 가스(Gas)(도시 생략함.)를 사용하여 가이드 롤러(200)의 제2외주연부(210)와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 간의 접촉에 의한 회전 마찰력을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절하게 조절시켜 주는 작용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또 다른 일실시 사례로써 상기 조절구(300)는 탄성체(330) 대신에 실린더(310)에 주입된 오일(Oil)(도시 생략함.)을 사용하여 가이드 롤러(200)의 제2외주연부(210)와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 간의 접촉에 의한 회전 마찰력을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절하게 조절시켜 주는 작용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동식으로 할 경우에는 상기 탄성체(330)의 탄성력 예컨데, 스프링의 탄성력이 큰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가이드 롤러(200)가 디스크(100)의 저점구(113) 위치에서 경사부위(114)를 거쳐 고점구(111)의 오르막 언덕을 올라갈 때는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양의 운동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따라서 적절한 조절구(300)를 사용하여 무리한 운동이 되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롤러(200)는 디스크(100)가 화살표(나)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함에 따라 상기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형성된 고점구(111)와 저점구(113)에 번갈아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화살표(다)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사례로써 상기 가이드 롤러(200)는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형성된 고점구(111)와 상기 고점구(111)에 형성된 중점구(112) 및 저점구(113)에 번갈아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화살표(다)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일실시사례로써 상기 가이드 롤러(200)는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형성된 최고점구(111-1), 고점구(111), 중점구(112), 저점구(113), 최저점구(113-1)에 번갈아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화살표(다)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러(200)가 화살표(다)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하면서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200)가 체결된 체결축(220)을 통해서 연결된 이동로드(321) 또한 화살표(라)((마)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로드(321)에 연장 구비된 연결봉(322)을 통해서 설치된 안장(400)도 화살표(바)(사)와 같이 결국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외주연부(110)와 제2외주연부(210)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별도의 고무나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미끄럼방지 부재를 코팅(Coating)시켜 주가나, 또는 상기 제1외주연부(110)와 제2외주연부(210)를 앞에서 열거한 고무나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사례로써 상기 제1외주연부(110)와 제2외주연부(210) 간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상기 제1외주연부(110)와 제2외주연부(210)에 기어(Gear)를 형성시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크(100)가 체결된 샤프트(51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는 디스크(100) 양쪽으로 조절구(300)가 설치된 바디(Body)(50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500)에 설치된 실린더(310) 및 상기 바디(50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프레임(Frame)(6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디스크(100)의 양쪽으로는 바디(500)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100)의 좌우방향으로 유동을 방지하고 회전동작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수단으로 제1고정링(Ring)(910)이 샤프트(510)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200)의 양쪽으로는 이동로드(321)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 롤러(200)의 좌우방향으로 유동을 방지하고 회전동작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한 수단으로 제2고정링(Ring)(920)이 체결축(220)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장(400)의 상하방향 이동장치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형(造形)동물(1000) 예컨데, 합성수지물이나 금속제 등으로 제작된 조형 말 등에 내장 설치시켜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시에 경마 운동을 하는 분위기를 연출하여 운동효과를 한층 더 올릴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다른 일실시사례로써, 상기 안장(400)의 상하방향 이동장치는 첨부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물이나 금속제 등으로 제작된 프레임(600)에 연결된 지지부(720)를 통해 받침대(700)에 설치시켜 줌으로써, 건물의 실내외에서 장소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을 편리하게 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받침대(700)나 바디(500)에는 별도의 지지부재(도시 생략함.)를 연결하여 손잡이(도시 생략함.) 즉, 핸들을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 디스크(Disk)
110 : 제1외주연부
111 : 고점구
111-1 : 최고점구
112 : 중점구
113 : 저점구
113-1 : 최저점구
114 : 경사부위
200 :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210 : 제2외주연부
220 : 체결축
300 : 조절구
310 : 실린더(Cylinder)
320 : 헤드(Piston Head)
321 : 이동로드(Road)
322 : 연결봉
330 : 탄성체
400 : 안장
500 : 바디(Body)
510 : 샤프트(Shaft)
520 : 크랭크(Crank)
530 : 페달(Pedal)
600 : 프레임(Frame)
700 : 받침대
720 : 지지부
800 : 구동모터
910 : 제1고정링(Ring)
920 : 제2고정링(Ring)
1000 : 조형동물

Claims (10)

  1. 디스크(100)의 회전에 의한 이동로드(321)에 연결된 안장(400)의 상하방향 이동장치에 있어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510)에 체결되고, 제1외주연부(110)를 따라 상기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1높이(h1)를 가진 고점구(111)와 제3높이(h3)를 가진 저점구(113)가 경사부위(114)로 연결되어 형성된 디스크(100);
    상기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접하여 설치되고,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른 고점구(111)와 경사부위(114) 및 저점구(113)에 제2외주연부(210)가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200);
    상기 가이드 롤러(200)가 체결된 체결축(220)을 통해 연결되고, 가이드 롤러(200)에 연동되어 안장(4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줌과 함께 가이드 롤러(200)의 제2외주연부(210)와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 간의 접촉에 의한 회전 마찰력을 조절시켜 주기 위한 이동로드(321)가 실린더(310)에 내장 구비된 조절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는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1높이(h1)를 가지고 볼록한 언덕 형상으로 형성된 고점구(111)와 제3높이(h3)를 가지고 오목한 언덕 형상으로 형성된 저점구(113)를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1외주연부(110)에는 고점구(111)를 동일한 크기와 형상 및 동일한 간격(d1)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함과 함께 저점구(113)도 동일한 크기와 형상 및 동일한 간격(d2)으로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구(111)의 제1외주연부(110)에는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2높이(h2)를 가지고 오목한 언덕 형상으로 형성된 중점구(112)가 적어도 1개소 이상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구(111)의 제1외주연부(110)에는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1-1높이(h1-1)를 가지고 볼록한 언덕 형상으로 형성된 최고점구(111-1)가 적어도 1개소 이상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구(113)의 제1외주연부(110)에는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3-1높이(h3-1)를 가지고 오목한 언덕 형상으로 형성된 최저점구(113-1)가 적어도 1개소 이상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주연부(110)에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1높이(h1)로 형성된 고점구(111), 상기 고점구(111)에 제1-1높이(h1-1)로 형성된 최고점구(111-1), 상기 고점구(111)에 제2높이(h2)로 형성된 중점구(112); 및
    상기 제1외주연부(110)에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제3높이(h3)로 형성된 저점구(113), 상기 저점구(113)에 제3-1높이(h3-1)로 형성된 최저점구(113-1) 각각에 대한 높이는 최고점구(111-1)>고점구(111)>중점구(112)>저점구(113)>최저점구(113-1) 순으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200)는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형성된 고점구(111)와 저점구(113)에 번갈아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200)는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형성된 고점구(111)와 상기 고점구(111)에 형성된 중점구(112) 및 저점구(113)에 번갈아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200)는 디스크(100)의 제1외주연부(110)에 형성된 최고점구(111-1), 고점구(111), 중점구(112), 저점구(113), 최저점구(113-1)에 번갈아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300)는 실린더(310)에 내장 설치된 이동로드(321)에 구비된 헤드(320)에 접하여 체결된 탄성체(330); 또는 실린더(310)에 주입된 가스(Gas); 또는 상기 실린더(310)에 주입된 오일(Oi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00)가 체결된 샤프트(51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해 디스크(100) 양쪽으로 조절구(300)의 실린더(310)가 설치된 바디(500);
    상기 바디(50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프레임(6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위(114)는 고점구(111)와 저점구(113) 사이에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KR1020110076897A 2011-08-02 2011-08-02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KR10122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897A KR101222238B1 (ko) 2011-08-02 2011-08-02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897A KR101222238B1 (ko) 2011-08-02 2011-08-02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238B1 true KR101222238B1 (ko) 2013-01-15

Family

ID=4784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897A KR101222238B1 (ko) 2011-08-02 2011-08-02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2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74B2 (ja) * 1988-08-10 1994-02-02 東京焼結金属株式会社 自転車式運動器具
KR200422621Y1 (ko) 2006-05-18 2006-07-27 이승덕 승마운동 헬스기구
KR20100041904A (ko) * 2008-10-15 2010-04-23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승마 모션 구동장치
KR20100053051A (ko) * 2008-11-12 2010-05-20 홍진레포츠(주) 승마형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74B2 (ja) * 1988-08-10 1994-02-02 東京焼結金属株式会社 自転車式運動器具
KR200422621Y1 (ko) 2006-05-18 2006-07-27 이승덕 승마운동 헬스기구
KR20100041904A (ko) * 2008-10-15 2010-04-23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승마 모션 구동장치
KR20100053051A (ko) * 2008-11-12 2010-05-20 홍진레포츠(주) 승마형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412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9675861B2 (en) Hydro eliminator full body exercise swim machine
CN201415026Y (zh) 一种仿骑马的脚踏健身车
US20050165332A1 (en) Vibrational loading apparatus for mounting to exercise equipment
CN201324472Y (zh) 训练设备
CN104147758B (zh) 踏步式身体放松装置
EP1834620B1 (en) Apparatus for the oscillation of the foot and to activate the blood stream
CN202983060U (zh) 背、腹部健身一体机
CN105080066A (zh) 手臂拉力健身器
KR102000626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장치
CN103301601B (zh) 可调式踏步机
KR101222238B1 (ko) 안장의 상하방향 이동장치
KR200299481Y1 (ko) 승마 겸용 헬스 자전거
KR102077546B1 (ko) 제동 기능을 구비한 액티브 운동 머신
KR101631863B1 (ko) 발끝치기장치
CN203915913U (zh) 踏步式身体放松装置
KR101868334B1 (ko) 전신운동기구
CN201415025Y (zh) 一种仿冲浪运动的健身机
KR101967050B1 (ko)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CN102580284B (zh) 一种跑跳姿势力量训练器
KR101298337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1045433B1 (ko) 전신 운동기구
CN205083944U (zh) 一种锻炼健身机
KR20200117469A (ko) 등산연습 겸용 계단오르기용 스텝 운동기구
CN109107115A (zh) 爬杆健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