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433B1 - 전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전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433B1
KR101045433B1 KR1020090075466A KR20090075466A KR101045433B1 KR 101045433 B1 KR101045433 B1 KR 101045433B1 KR 1020090075466 A KR1020090075466 A KR 1020090075466A KR 20090075466 A KR20090075466 A KR 20090075466A KR 101045433 B1 KR101045433 B1 KR 10104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leg
join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940A (ko
Inventor
이시환
Original Assignee
이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환 filed Critical 이시환
Priority to KR102009007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4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3Free movement, i.e. the only restriction coming from the 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놓여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중앙 지지대, 상기 중앙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팔 동작부 지지대,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 양 끝 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가 인체의 팔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어깨 관절부, 팔꿈치 관절부, 손목 관절부,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어진 팔 동작부, 상기 중앙 지지대의 하단부에서 양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다리 동작부 지지대, 및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 양 끝 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가 인체의 다리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골반 관절부, 무릎 관절부, 발목 관절부, 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어진 다리 동작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특정 신체 부위 또는 그 신체 부위의 활동 범위가 제한적이었던 운동기구에 비하여, 거의 모든 신체 부위를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일정 부하를 조절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그 움직임의 활동 범위에 있어서 크게 제한을 두지 않아, 기존의 운동기구가 제공하지 못했던 다양한 운동 동작 및 스트레칭 동작을 통한 유산소 운동 또는 근력 강화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운동기구, 유산소, 근력, 관절

Description

전신 운동기구 {The whole body sporting goods}
본 발명은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全身)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전신(全身)의 대표적인 관절 즉, 상체에 있어서는 어깨 관절, 팔꿈치 관절, 손목 관절, 그리고 하체에 있어서는 골반 관절, 무릎 관절, 발목 관절 등의 움직임에 일정 부하를 조절한 상태에서 여러 방향과 각도로 움직이는 유산소 운동 또는 근력 강화 운동을 하게 함으로써, 해당 관절 및 해당 관절과 연관된 근육의 운동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는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 대표적인 운동기구에는 스텝퍼, 건강용 싸이클, 팔 운동이 가능한 싸이클, 러닝 머신 등이 있다.
통상 사용되는 스텝퍼는 프레임상에 상하 운동 가능한 발판 일체형의 레버를 쇽업소버와 설치하여 사용자가 좌우 발판을 교대로 움직여 보행하듯이 정해진 위치에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운동기구이다.
기존의 이러한 운동기구로는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84-878 호의 "족답식 운동구", 공고번호 실 1996-2724호의 "족답식 다리운동기구", 공고번호 실 1997-2976호의 "족답식 다리운동기구" 등이 있으나 이들은 발판이 상하로 운동되는 것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리의 운동 반경이 상하로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상체 운동을 겸할 수 없어 전신의 균형적인 유산소 운동 또는 근력 강화 운동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상기 기술한 운동기구를 개선한 출원번호 10-2006-0065637의 “스텝퍼”, 출원번호 20-2005-0006316의 “트위스터 스텝퍼” 등은 스텝퍼의 발판을 수직선상에서 일정한 각의 기울기로 좌우로 구동시켜 골반 및 허리 운동까지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 또한 해당 운동 반경이 일정한 각도로 이미 정해져 있어 만약 허리 운동을 원하지 않고 단지 수직 상하 다리 운동만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는 불만의 원인이 되며, 역시 안정적인 상체 운동을 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 사용되는 건강용 싸이클은 실내에서 싸이클 페달을 밟는 형식으로 하체 운동을 가능하게 한 운동기구이다.
기존의 이러한 운동기구로는 출원번호 10-2003-0083972의 “건강용 싸이클”이 있으나 이는 360도 원 운동이라는 제한된 방향의 다리 운동으로 그 운동 범위 역시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즉, 페달을 밟는 하체 원 운동 외에는 다른 운동 동작 을 취하기 힘들다.
통상 사용되는 팔 운동이 가능한 싸이클은 상기 기술한 건강용 싸이클의 하체 원 운동 기능에 전후 방향의 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운동기구이다.
기존의 이러한 운동기구로는 출원번호 20-2000-0031189의 “전신운동기구”가 있으나 이는 타원 제한된 방향의 다리 운동과 전후 제한된 방향의 팔 운동으로 그 운동 범위 역시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발판을 밟는 하체 운동과 손잡이를 앞뒤로 움직이는 팔 운동 외에는 다른 운동 동작을 취하기 힘들다.
러닝 머신의 경우에는 타 운동기구에 비해 많은 신체 부위를 사용하지만 다리를 좌우로 벌리는 동작과 같은 러닝 머신 상에서의 제한된 동작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달리는 동작에 대한 유산소 운동은 가능하지만 달릴 때의 팔 및 다리 동작에 인위적으로 부하를 가하여 이때 사용되는 근육을 강화시키는 근력 강화 운동은 하기 힘들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 외에 다른 운동기구들 또한 특정 운동 부위만을 운동하게 하거나 또는 그 운동 부위의 운동 반경이 제한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운동기구를 통해 전신을 골고루 움직이는 균형적이고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 또는 근력 강화 운동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신(全身)의 대표적인 관절 즉, 어깨 관절, 팔꿈치 관절, 손목 관절, 골반 관절, 무릎 관절, 발목 관절 등의 유연한 움직임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으며 그 움직임에 대해 일정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기계 관절을 채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동작을 지속적으로 하게 함으로써 전신을 사용한 균형적이고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 또는 근력 강화 운동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놓여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중앙 지지대, 상기 중앙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팔 동작부 지지대,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 양 끝 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가 인체의 팔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어깨 관절부, 팔꿈치 관절부, 손목 관절부,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어진 팔 동작부, 상기 중앙 지지대의 하단부에서 양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다리 동작부 지지대, 및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 양 끝 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가 인체의 다리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골반 관절부, 무릎 관절부, 발목 관절부, 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어진 다리 동작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깨 관절부 및 상기 골반 관절부는 해당 팔 동작부 및 다리 동작부가 수직 선상에 놓인 상태로 봤을 때 일정 범위의 상하 회전, 좌우 회전,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팔꿈치 관절부 및 상기 무릎 관절부는 해당 팔 동작부 및 다리 동작부가 수직 선상에 놓인 상태로 봤을 때 일정 범위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목 관절부 및 상기 발목 관절부는 해당 팔 동작부 및 다리 동작부가 수직 선상에 놓인 상태로 봤을 때 일정 범위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지지대의 상단부는 상기 중앙 지지대 상단부를 양측으로 관통하는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지지대 상단부의 수직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과 수직 이송 공간을 가지며, 또한 이를 위해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는 그 중앙에, 천공된 구멍을 가지며, 상기 중앙 지지대 상단부의 조절구멍과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의 중앙에 천공된 구멍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는 그 양측에 각각 연장된 팔 동작부의 수평 거리 조절을 위해 수평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과 수평 이송 공간을 가지며, 또한 이를 위해 상기 팔 동작부는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는 상기 팔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을 가지며,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의 조절구멍과 상기 팔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는 그 양측에 각각 연장된 다리 동작부의 수평 거리 조절을 위해 수평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과 수평 이송 공간을 가지며, 또한 이를 위해 상기 다리 동작부는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는 상기 다리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을 가지며,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의 조절구멍과 상기 다리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깨 관절부, 상기 팔꿈치 관절부, 상기 골반 관절부, 상기 무릎 관절부에는 해당 관절부의 움직임에 일정 부하를 가하기 위해 해당 관절부의 일측에서 관절부 내부 방향으로 일부 관통되어 관절부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 조절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팔 동작부를 움직일 수 있게 잡기 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 고정부는 사용자의 발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발이 상기 발 고정부에 단단히 밀착 고정될 수 있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존의 특정 신체 부위 또는 그 신체 부위의 활동 범위가 제한적이었던 운동기구에 비하여, 거의 모든 신체 부위를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일정 부하를 조절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그 움직임의 활동 범위에 있어서 크게 제한을 두지 않아, 기존의 운동기구가 제공하지 못했던 다양한 운동 동작 및 스트레칭 동작을 통한 유산소 운동 또는 근력 강화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는 받침대(1), 중앙 지지대(2), 팔 동작부 지지대(51), 팔 동작부(100), 다리 동작부 지지대(52), 다리 동작부(200)를 포함한다.
중앙 지지대(2)는 받침대(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이렇게 연결된 받침대(1)와 중앙 지지대(2)는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 구성 된다. 도 1에서의 받침대(1)는 사용자가 위에서 누르는 하중과 움직일 때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분산 시키기 위해 충분한 넓이로 바닥과 평행되게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 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일정한 굵기, 무게, 강도를 가지는 원통형의 중앙 지지대(2)와 견고하게 결합 되고 있다. 하지만 받침대(1)와 중앙 지지대(2)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중앙 지지대(2)의 상단부는 팔 동작부(100)를 지지하는 팔 동작부 지지대(51)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10)과 수직 이송 공간(11)을 가진다. 이 부분은 차후 도 3을 통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팔 동작부 지지대(51)와 연결되는 팔 동작부(100)의 연결 부분과 다리 동작부 지지대(52)와 연결되는 다리 동작부(200)의 연결 부분이 해당 팔 동작부(100)와 다리 동작부(200)가 중앙 지지대(2)와 거리를 두도록 일정 각도(도1 또는 도 2에서는 90도)로 전방으로 꺾여 나와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할 때 중앙 지지대(2)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운동 동작을 함에 있어서 중앙 지지대(2)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팔 동작부 지지대(51)와 팔 동작부(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중앙 지지대(2) 상단부를 양측으로 관통하는 팔 동작부 지지대(51)는 상하 높이 조절을 위해 그 중앙에 천공된 구멍(15)을 가지며, 상기 설명한 중앙 지지대 상단부의 조절구멍(10)과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의 천공된 구멍(15)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13)를 포함한다. 이 때 고정구(13)는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손쉽게 빼고 끼울 수 있도록 단순히 T자 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돌려서 체결 또는 해체하는 나사 형식으로 구성 되어 중앙 지지대(2)와 팔 동작부 지지대(51)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팔 동작부 지지대(51)는 그 양측에 각각 연장된 팔 동작부(100)의 수평 거리 조절을 위해 수평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20)과 수평 이송 공간(21)을 가지며, 또한 이를 위해 상기 팔 동작부(100)는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51)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는 상기 팔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25)을 가지며,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의 조절구멍(20)과 상기 팔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25)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23)를 포함한다. 이 때 고정구(23)는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손쉽게 빼고 끼울 수 있도록 단순히 T자 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돌려서 체결 또는 해체하는 나사 형식으로 구성 되어 팔 동작부 지지대(51)와 팔 동작부(100)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팔 동작부 지지대(51)와 팔 동작부(100)의 원활한 삽입 연결을 위해 팔 동작부(100)의 삽입 연결 부분의 반경은 팔 동작부 지지대(51)의 삽입 연결 부분의 반경 보다 조금 작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1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팔 동작부(100)는 사용자가 인체의 팔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어깨 관절부(111), 팔꿈치 관절부(112), 손목 관절부(113) 등 여러 개의 관절부를 포함하며, 각 관절부는 일정 범위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 등으로 회전축(91)을 구성하여 체결된다.
어깨 관절부(111) 같은 경우, 상하 회전, 좌우 회전,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세 개의 연결 부분을 가진다. 특히, 상하 회전과 좌우 회전 시에는 사용자가 해당 회전 운동에 대해 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당 관절부의 일측에서 관절부 내부 방향으로 일부 관통되어 관절부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 조절구(71)를 포함한다. 부하 조절구에 대한 설명은 차후 도 5를 통해 자세히 기술한다.
팔꿈치 관절부(112) 같은 경우,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연결 부분을 가지며, 상하 회전 시 사용자가 해당 회전 운동에 대해 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당 관절부에,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능을 하는 부하 조절구(72)를 포함한다.
손목 관절부(113) 같은 경우,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연결 부분을 가진다.
손잡이부(114) 같은 경우, 사용자가 손쉽게 팔 동작부(100)를 움직일 수 있게 손을 통해 손쉽게 감싸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다리 동작부 지지대(52)와 다리 동작부(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의하면, 다리 동작부 지지대(52)는 중앙 지지대(2)의 하단부에 양측으로 관통되어 고정 된다. 하지만 다리 동작부 지지대(52)는 팔 동작부 지지대(51)와 같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다리 동작부 지지대(52)는 그 양측에 각각 연장된 다리 동작부(200)의 수평 거리 조절을 위해 수평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30)과 수평 이송 공간(31)을 가지며, 또한 이를 위해 상기 다리 동작부(200)는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52)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는 상기 다리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35)을 가지며,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의 조절구멍(30)과 상기 다리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35)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33)를 포함한다. 이 때 고정구(33)는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손쉽게 빼고 끼울 수 있도록 단순히 T자 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돌려서 체결 또는 해체하는 나사 형식으로 구성 되어 다리 동작부 지지대(52)와 다리 동작부(200)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다리 동작부 지지대(52)와 다리 동작부(200)의 원활한 삽입 연결을 위해 다리 동작부(200)의 삽입 연결 부분의 반경은 다리 동작부 지지대(52)의 삽입 연결 부분의 반경 보다 조금 작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1 또는 도 4을 참조하면, 다리 동작부(200)는 사용자가 인체의 다리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골반 관절부(211), 무릎 관절부(212), 발목 관절부(213) 등 여러 개의 관절부를 포함하며, 각 관절부는 일정 범위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 등으로 회전축(91)을 구성하여 체결된다.
골반 관절부(211) 같은 경우, 상하 회전, 좌우 회전,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세 개의 연결 부분을 가진다. 특히, 상하 회전과 좌우 회전 시에는 사용자가 해당 회전 운동에 대해 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당 관절부의 일측에서 관절부 내부 방향으로 일부 관통되어 관절부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 조절구(81)를 포함한다. 부하 조절구에 대한 설명은 차후 도 5를 통해 자세히 기술한다.
무릎 관절부(212) 같은 경우,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연결 부분을 가지며, 상하 회전 시 사용자가 해당 회전 운동에 대해 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당 관절부에,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능을 하는 부하 조절구(82)를 포함한다.
발목 관절부(213) 같은 경우,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나의 연결 부분을 가진다.
발 고정부(214) 같은 경우, 사용자의 발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발이 상기 발 고정부(214)에 단단히 밀착 고정될 수 있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4에서는 발 고정부(214)의 발판 일측에 찍찍이가 구비된 줄(215)의 끝이 관통 고정 되고 발 고정부의 발판 타측에 찍찍이가 구비된 줄(215)의 다른 끝을 관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발 크기에 맞게 찍찍이가 구비된 줄(215)을 조절하여 자신의 발을 발 고정부(214)에 밀착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어깨 관절부(111), 팔꿈치 관절부(112), 손목 관절부(113), 손잡이부(114), 골반 관절부(211), 무릎 관절부(212), 발목 관절부(213) 및 발 고정부(214)는 당업자의 사용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어깨 관절부(111), 팔꿈치 관절부(112), 골반 관절부(211), 무릎 관절부(212) 등에 포함된 부하 조절구에 대해서는 차후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부하 조절구의 발췌도 및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5는 어깨 관절부와 관련한다. 부하 조절구는 해당 관절부의 회전 운동에 대해 일정 부하를 조절하는 장치이며, 어깨 관절부(111), 팔꿈치 관절부(112), 골반 관절부(211), 무릎 관절부(212) 등에 포함되어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부하 조절구를 통해 특정 운동 동작 시 부하를 줄이면 해당 운동 동작에 대해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이고 부하를 높이면 해당 운동 동작에 대해 근력 강화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하 조절구(71)는 해당 관절부가 회전 운동을 하는 방향을 직각 방향으로 하는 관절부의 일측에서 관절부 내부로 일부 관통되는 나사를 통해 타측 관절부의 한 면을 압박 함으로써 부하를 조절하게 된다. 즉, 부하 조절구(71)를 죄어 부하 조절구(71)가 관통하지 않는 타측 관절부의 내부 면을 압박 하면 해당 관절부의 움직임에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해당 관절부가 움직일 때 그 부하가 증가되며, 반대로 부하 조절구(71)를 풀면 해당 관절부의 움직임에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해당 관절부가 움직일 때 그 부하가 감소된다. 참고로 부하 조절구(71)는 어느 정도 탄성과 강도를 함께 가지는 강화 고무 재질과 같은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에 사용자가 탑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타측의 팔과 다리를 각각 좌우로 벌렸다 오므리는 동작을 표현한 작동 상태 사시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해당 동작을 위해 대표적으로 어깨, 골반 등을 움 직이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어깨 관절부(111) 및 골반 관절부(211)는 좌우 회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동작과 연관된 신체 부위를 통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해당 관절부의 부하 조절구를 조절하여 부하를 높임으로써 해당 동작과 연관된 신체 부위의 근력 강화 운동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타측의 팔과 다리를 각각 크게 앞뒤로 움직이는 동작을 표현한 작동 상태 사시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해당 동작을 위해 대표적으로 어깨, 골반 등을 움직이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어깨 관절부(111) 및 골반 관절부(211)는 상하 회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동작과 연관된 신체 부위를 통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해당 관절부의 부하 조절구를 조절하여 부하를 높임으로써 해당 동작과 연관된 신체 부위의 근력 강화 운동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사용자는 팔, 다리와 더불어 허리도 같이 운동하게 된다.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계단을 오르는 듯한 하체 스텝핑 동작을 표현한 작동 상태 사시도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해당 동작을 위해 대표적으로 골반, 무릎 등을 움직이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골반 관절부(211) 및 무릎 관절부(212)는 상 하 회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동작과 연관된 신체 부위를 통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해당 관절부의 부하 조절구를 조절하여 부하를 높임으로써 해당 동작과 연관된 신체 부위의 근력 강화 운동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뛰는 동작을 표현한 작동 상태 사시도이다. 도 6e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해당 동작을 위해 대표적으로 어깨, 팔꿈치, 골반, 무릎 등을 움직이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어깨 관절부(111), 팔꿈치 관절부(112), 골반 관절부(211) 및 무릎 관절부(212)는 상하 회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동작과 연관된 신체 부위를 통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해당 관절부의 부하 조절구를 조절하여 부하를 높임으로써 해당 동작과 연관된 신체 부위의 근력 강화 운동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사용자는 팔, 다리와 더불어 허리도 같이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여러 동작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구조상 가장 편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팔 동작부 지지대(51)의 상하 높이를 조절 하거나 팔 동작부(100) 및 다리 동작부(200)의 수평 거리를 조절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팔 동작부 지지대와 팔 동작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다리 동작부 지지대와 다리 동작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의 부하 조절구의 발췌도 및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에 사용자가 탑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타측의 팔과 다리를 각각 좌우로 벌렸다 오므리는 동작을 표현한 작동 상태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타측의 팔과 다리를 각각 크게 앞뒤로 움직이는 동작을 표현한 작동 상태 사시도.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계단을 오르는 듯한 하체 스텝핑 동작을 표현한 작동 상태 사시도.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뛰는 동작을 표현한 작동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받침대 2:중앙 지지대
51:팔 동작부 지지대 52:다리 동작부 지지대
100:팔 동작부 200:다리 동작부
10:중앙 지지대의 조절 구멍 11:수직 이송 공간
15:팔 동작부 지지대의 중앙에 천공된 구멍
13:팔 동작부 지지대를 위한 고정구
20:팔 동작부 지지대의 조절 구멍
21:팔 동작부 지지대의 수평 이송 공간
25:팔 동작부에 천공된 구멍 23:팔 동작부를 위한 고정구
111:어깨 관절부 71:어깨 관절부의 부하 조절구
112:팔꿈치 관절부 72:팔꿈치 관절부의 부하 조절구
113:손목 관절부 114:손잡이부
30:다리 동작부 지지대의 조절 구멍
31:다리 동작부 지지대의 수평 이송 공간
35:다리 동작부에 천공된 구멍 33:다리 동작부를 위한 고정구
211:골반 관절부 81:골반 관절부의 부하 조절구
212:무릎 관절부 82:무릎 관절부의 부하 조절구
213:발목 관절부 214:발 고정부
215:찍찍이가 구비된 줄 91:회전축

Claims (7)

  1.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놓여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중앙 지지대;
    상기 중앙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팔 동작부 지지대;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 양 끝 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가 인체의 팔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어깨 관절부, 팔꿈치 관절부, 손목 관절부,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어진 팔 동작부;
    상기 중앙 지지대의 하단부에서 양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다리 동작부 지지대; 및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 양 끝 단에서 각각 연장되며 사용자가 인체의 다리 동작을 모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골반 관절부, 무릎 관절부, 발목 관절부, 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어진 다리 동작부를 포함하는 전신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관절부 및 상기 골반 관절부는 해당 팔 동작부 및 다리 동작부가 수직 선상에 놓인 상태로 봤을 때 일정 범위의 상하 회전, 좌우 회전,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팔꿈치 관절부 및 상기 무릎 관절부는 해당 팔 동작부 및 다리 동작부가 수직 선상에 놓인 상태로 봤을 때 일정 범위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목 관절부 및 상기 발목 관절부는 해당 팔 동작부 및 다리 동작부가 수직 선상에 놓인 상태로 봤을 때 일정 범위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대의 상단부는 상기 중앙 지지대 상단부를 양측으로 관통하는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지지대 상단부의 수직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과 수직 이송 공간을 가지며, 또한 이를 위해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는 그 중앙에, 천공된 구멍을 가지며, 상기 중앙 지지대 상단부의 조절구멍과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의 중앙에 천공된 구멍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는 그 양측에 각각 연장된 팔 동작부의 수평 거리 조절을 위해 수평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과 수평 이송 공간을 가지며, 또한 이를 위해 상기 팔 동작부는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는 상기 팔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을 가지며, 상기 팔 동작부 지지대의 조절구멍과 상기 팔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는 그 양측에 각각 연장된 다리 동작부의 수평 거리 조절을 위해 수평선 상으로 다수의 조절구멍과 수평 이송 공간을 가지며, 또한 이를 위해 상기 다리 동작부는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 연결되는 상기 다리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을 가지며, 상기 다리 동작부 지지대의 조절구멍과 상기 다리 동작부의 삽입 연결 부분에 천공된 구멍을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관절부, 상기 팔꿈치 관절부, 상기 골반 관절부, 상기 무릎 관절부에는 해당 관절부의 움직임에 일정 부하를 가하기 위해 해당 관절부의 일측에서 관절부 내부 방향으로 일부 관통되어 관절부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 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전신 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팔 동작부를 움직일 수 있게 잡기 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 고정부는 사용자의 발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발이 상기 발 고정부에 단단히 밀착 고정될 수 있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KR1020090075466A 2009-08-15 2009-08-15 전신 운동기구 KR10104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66A KR101045433B1 (ko) 2009-08-15 2009-08-15 전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66A KR101045433B1 (ko) 2009-08-15 2009-08-15 전신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940A KR20110017940A (ko) 2011-02-23
KR101045433B1 true KR101045433B1 (ko) 2011-06-30

Family

ID=4377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466A KR101045433B1 (ko) 2009-08-15 2009-08-15 전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3265A (zh) * 2018-03-30 2018-09-21 东南大学 双侧上肢康复训练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307A (ko) * 2000-09-28 2002-04-04 김해수 전신 운동기구
KR20040031294A (ko) * 2002-10-04 2004-04-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직냉 방식 김치저장고의 냉매관 연결구조
KR200431294Y1 (ko) 2006-08-18 2006-11-23 박영복 전신 운동기구
JP2007097636A (ja)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筋力補助装置
KR100938762B1 (ko) 2007-10-16 2010-01-26 강경모 체형관리를 위한 부위별 집중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307A (ko) * 2000-09-28 2002-04-04 김해수 전신 운동기구
KR20040031294A (ko) * 2002-10-04 2004-04-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직냉 방식 김치저장고의 냉매관 연결구조
JP2007097636A (ja)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筋力補助装置
KR200431294Y1 (ko) 2006-08-18 2006-11-23 박영복 전신 운동기구
KR100938762B1 (ko) 2007-10-16 2010-01-26 강경모 체형관리를 위한 부위별 집중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940A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897B1 (en) Ankle and hip strengthening apparatus
US5176602A (en) Exercise device
KR101952412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445135B1 (ko) 근육 운동 장치
US9517374B2 (en) Air straps
US9675861B2 (en) Hydro eliminator full body exercise swim machine
US20090170672A1 (en) Rehabilitation leg press apparatus and method
US20060258520A1 (en) Exercise cycle assembly
US8808152B1 (en) Exercise resistance machine
US20110294633A1 (en) Exercise apparatus
US5490823A (en) Water therapy and fitness device
US9776035B2 (en) Portable hamstring stretcher/exerciser device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KR102000626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장치
KR101045433B1 (ko) 전신 운동기구
KR101966608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43120A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KR200368296Y1 (ko) 트위스트 스텝퍼
KR101969283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KR200488993Y1 (ko) 가정용 운동기구 키트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WO2012024812A1 (zh) 登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