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294Y1 - 전신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전신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294Y1
KR200431294Y1 KR2020060022155U KR20060022155U KR200431294Y1 KR 200431294 Y1 KR200431294 Y1 KR 200431294Y1 KR 2020060022155 U KR2020060022155 U KR 2020060022155U KR 20060022155 U KR20060022155 U KR 20060022155U KR 200431294 Y1 KR200431294 Y1 KR 200431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haft
exercise
pedal shaft
moun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복
Original Assignee
박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복 filed Critical 박영복
Priority to KR2020060022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2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하나의 운동기구로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가 조절되기 때문에 다양한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는 하부다이와, 하부다이의 상부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지지대와, 한 쌍의 바디지지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에서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면서 각각 선회공이 형성된 한 쌍의 선회브라켓을 가지는 베이스부;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함체 형상을 가지며 일단면 중앙부분에는 선회공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선회축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면 상에는 안장이 형성된 바디와, 바디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페달축 및 제 2 페달축을 가지는 페달운동부; 및 바디지지대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측면이 바디지지대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블록과, 장착블록의 타단면 상에서 장착블록 내로 보스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상하작동기어와, 상하작동기어를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타단이 바디의 일단면과 연결되는 스크루축과, 장착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하작동기어를 회전시켜 스크루축을 신장 또는 압축 시키는 경사조절모터를 가지는 경사조절부로 이루어진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신 운동기구{WHOLE BODY TRAINING EQUIP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신 운동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페달운동부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경사조절부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전신 운동기구 110 : 베이스부
112 : 하부다이 114 : 바디지지대
116 : 연결플레이트 118 : 선회브라켓
120 : 선회공 130 : 페달운동부
132 : 바디 134 : 제 1 페달축
136 : 제 2 페달축 138 : 선회축
140 : 안장 142 : 손잡이
144 : 발판 146 : 제 1 풀리
148 : 제 2 풀리 150 : 벨트
152 : 장력조절대 154 : 장력조절나사
156 : 장력조절롤러 160 : 경사조절부
162 : 장착블록 164 : 상하작동기어
166 : 보스 168 : 스크루축
170 : 경사조절모터 172 : 암나사
174:수나사 176 : 제 1 힌지공
178 : 제 2 힌지공 180 : 힌지브라켓
182 : 힌지 184 : 모터회전축
186 : 구동기어
본 고안은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하체운동과 연동하여 상체운동을 할 수 있는 페달운동부 및 마찬가지로 베이스부에 장착되면서 페달운동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운동기구로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달운동부의 경사가 조절되기 때문에 다양한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체력증진에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대부분 자전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페달을 구르는 사용자가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페달 운동기구들은 단지 페달을 구르는 동작만을 반복하 여 유도할 뿐, 팔이나 어깨 등에 대한 운동효과는 거의 없으며, 종래 페달 운동기구에 구비된 손잡이는 단순히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그 결과, 종래 페달 운동기구는 하체 단련만을 하기 때문에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흥미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항상 같은 자세로 운동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하체운동과 연동하여 상체운동을 할 수 있는 페달운동부 및 마찬가지로 베이스부에 장착되면서 페달운동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운동기구로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달운동부의 경사가 조절되기 때문에 다양한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부다이와, 하부다이의 상부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지지대와, 한 쌍의 바디지지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에서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면서 각각 선회공이 형성된 한 쌍의 선회브라켓을 가지는 베이스부;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함체 형상을 가지며 일단면 중앙부분에는 선회공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선회축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면 상에는 안장이 형성된 바디 와, 바디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페달축 및 제 2 페달축을 가지는 페달운동부; 및
바디지지대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측면이 바디지지대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블록과, 장착블록의 타단면 상에서 장착블록 내로 보스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상하작동기어와, 상하작동기어를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타단이 바디의 일단면과 연결되는 스크루축과, 장착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하작동기어를 회전시켜 스크루축을 신장 또는 압축 시키는 경사조절모터를 가지는 경사조절부로 이루어진 전신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하체운동과 연동하여 상체운동을 할 수 있는 페달운동부 및 마찬가지로 베이스부에 장착되면서 페달운동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운동기구로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달운동부의 경사가 조절되기 때문에 다양한 자세에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신 운동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100)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하체운동과 연동하여 상 체운동을 할 수 있는 페달운동부(130) 및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면서 페달운동부(130)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160)를 구비한다.
먼저, 베이스부(110)는 하부다이(112)와, 하부다이(112)의 상부면 상에서 하부다이(112)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지지대(114)와, 한 쌍의 바디지지대(114)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116)를 구비하는데, 연결플레이트(116)의 상부면 양측에는 연결플레이트(116)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선회브라켓(118)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 쌍의 선회브라켓(118)에는 각각 선회공(12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부(110)에는 페달운동부(130) 및 경사조절부(160)가 장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페달운동부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다시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페달운동부(130)는 일단면이 선회브라켓(118) 사이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디(132)와, 바디(132)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페달축(134) 및 제 2 페달축(136)을 구비한다.
바디(132)는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함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바디(132)의 일단면 중앙부분에는 바디(132)의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선회축(138)이 일체로 형성되며, 바디(132)의 타단면 상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140)이 장착된다. 이때, 선회축(138)의 각각의 단부는 선회브라켓(118)에 형성된 선회공(120)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1 페달축(134) 및 제 2 페달축(136)은 바디(132)의 상부 및 하부에 인접한 측면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바디(132)의 양측면으로 노출된다. 이렇게 바디(132) 의 양측면 상으로 노출된 제 1 페달축(134)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42)가 장착되며, 제 2 페달축(136)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얹어지는 발판(144)이 장착된다. 이때, 제 1 페달축(134) 및 제 2 페달축(136)에는 제 1 페달축(134)과 연동되게 제 2 페달축(136)이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 풀리(146) 및 제 2 풀리(148)가 장착되고, 제 1 풀리(146) 및 제 2 풀리(148)는 벨트(150)가 연결되는데, 제 1 풀리(146), 제 2 풀리(148) 및 벨트(150)는 바디(132)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페달운동부(130)는 사용자가 제 1 페달축(134) 및 제 2 페달축(136)을 회전시키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대(152)를 더 구비하는데, 장력조절대(152)의 일단은 바디(132)의 일단면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바디(132)의 내부로 절곡되어 벨트(150) 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장력조절대(152)의 일단에 인접하게는 장력조절대(152)를 관통하여 바디(132)의 일단면 상에 밀착되는 장력조절나사(154)가 체결되며, 장력조절대(152)의 타단에는 벨트(150)를 가압하는 장력조절롤러(156)가 배치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경사조절부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경사조절부(160)는 바디지지대(114)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측면이 바디지지대(114)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블록(162)과, 장착블록(162)의 타단면 상에서 장착블록(162) 내로 보스(166)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상하작동기어(164)와, 상하작동기어(164)를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타단이 바디(132)의 일단면과 연결되는 스크루축(168)과, 장착블록(162)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하 작동기어(164)를 회전시켜 스크루축(168)을 신장 또는 압축 시키는 경사조절모터(170)를 구비한다.
이때, 상하작동기어(164)의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172)가 형성되고, 스크루축(168)의 외주면 상에는 암나사(172)에 대응하는 수나사(174)가 형성되는데, 스크루축(168)의 타단에는 바디(132)의 일단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공(176)이 형성되며, 바디(132)의 일단면 상에는 제 2 힌지공(178)이 형성된 힌지브라켓(180)이 장착되고, 제 2 힌지공(178) 및 제 1 힌지공(176)에는 힌지(182)가 결합되는데, 힌지브라켓(180)은 선회축(138)의 하측에 장착된다.
한편, 경사조절모터(170)의 모터회전축(184)에는 상하작동기어(164)와 맞물리면서 상하작동기어(164)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186)가 장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전신 운동기구(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우선 베이스부(110)에 장착된 경사조절부(160)를 작동시켜 페달운동부(130)의 경사를 조절한다. 페달운동부(130)의 조절은 사용자의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페달운동부(130)의 손잡이(142)를 발판(144) 보다 낮게, 또는 손잡이(142)를 발판(144) 보다 높게 또는 손잡이(142)와 발판(144)은 동일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페달운동부(130)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경자조절모터(170)를 작동시킨다. 경사조절모터(170)가 작동되면, 모터회전축(184) 및 모터회전축(184)에 장착된 구동기어(186)는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186)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기어(186)와 맞물려 있는 상하작동기어(164)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상하작동기어(164)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작동기어(164)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루축(168)은 바디(132) 측으로 신장하게 되고, 그 결과 바디(132)는 선회축(138)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즉, 스크루축(168)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74)가 상하작동기어(164)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72)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회전하는 암나사(172)에 의해서 수나사(174)가 형성된 스크루축(168)은 바디(132) 측으로 신장된다.
이와 같이 바디(132)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로 선회하면, 경사조절모터(17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사용자는 안장(140)에 앉아 양손으로는 손잡이(142)를 잡고, 양 발은 발판(144)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손잡이(142) 또는 발판(144)을 회전시키면서 운동을 실시한다. 손잡이(142) 및 발판(144)이 장착된 제 1 페달축(134) 및 제 2 페달축(136)은 제 1 풀리(146), 제 2 풀리(148) 및 벨트(150)로 연결되어 있어 손잡이(142) 또는 발판(144)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켜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조건 따라 벨트(150)의 장력을 조절하여 손잡이(142) 및 발판(144)을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장력조절대(152)에 장착된 장력조절나사(154)를 조이면 장력조절롤러(156)는 벨트(150)를 가압하게 되고, 반대로 장력조절나사(154)를 풀면 장력조절롤러(156)는 벨트(150)에서 이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신 운동기구(100)는 손잡이(142) 및 발판(144)이 장착된 바디(132)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선회시킨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어 다양한 자세에서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142)가 장착된 제 1 페달축(134) 및 발판(144)이 장착된 제 2 페달축(136)에 벨트(150)가 연결되는 제 1 풀리(146) 및 제 2 풀리(148)를 장착함과 아울러 벨트(15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대(152)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벨트(150)의 장력을 조절하여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142) 또는 발판(144) 중 어느 하나만 회전하더라도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하부다이와, 상기 하부다이의 상부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지지대와, 한 쌍의 상기 바디지지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면서 각각 선회공이 형성된 한 쌍의 선회브라켓을 가지는 베이스부;
    내부가 중공된 수직한 함체 형상을 가지며 일단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선회공에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선회축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면 상에는 안장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페달축 및 제 2 페달축을 가지는 페달운동부; 및
    상기 바디지지대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측면이 상기 바디지지대에 고정 결합되는 장착블록과, 상기 장착블록의 타단면 상에서 상기 장착블록 내로 보스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상하작동기어와, 상기 상하작동기어를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타단이 상기 바디의 일단면과 연결되는 스크루축과, 상기 장착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상하작동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루축을 신장 또는 압축 시키는 경사조절모터를 가지는 경사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운동부의 상기 제 1 페달축 및 상기 제 2 페달축은 상기 바디의 상부 및 하부에 인접한 측면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상기 바디의 양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바디의 양측면 상으로 노출된 상기 제 1 페달축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장착되며, 상기 제 2 페달축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얹어지는 발판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페달축 및 상기 제 2 페달축에는 상기 제 1 페달축과 연동되게 상기 제 2 페달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 풀리 및 제 2 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는 벨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풀리, 상기 제 2 풀리 및 상기 벨트는 상기 바디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운동부는 상기 제 1 페달축 및 상기 제 2 페달축을 회전시키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장력조절대의 일단은 상기 바디의 일단면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로 절곡되어 상기 벨트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력조절대의 일단에 인접하게는 상기 장력조절대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일단면 상에 밀착되는 장력조절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장력조절대의 타단에는 상기 벨트를 가압하는 장력조절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기어의 내주면 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축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루축의 타단에는 상기 바디의 일단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 1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단면 상에는 제 2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브라켓이 상기 선회축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힌지공 및 상기 제 1 힌지공에는 힌지가 결합되고, 상기 경사조절모터의 모터회전축에는 상기 상하작동기어와 맞물리면서 상기 상하작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운동기구.
KR2020060022155U 2006-08-18 2006-08-18 전신 운동기구 KR200431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155U KR200431294Y1 (ko) 2006-08-18 2006-08-18 전신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155U KR200431294Y1 (ko) 2006-08-18 2006-08-18 전신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294Y1 true KR200431294Y1 (ko) 2006-11-23

Family

ID=4177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155U KR200431294Y1 (ko) 2006-08-18 2006-08-18 전신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2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15B1 (ko) * 2007-02-21 2008-02-18 박영복 전신운동장치
KR101045433B1 (ko) 2009-08-15 2011-06-30 이시환 전신 운동기구
WO2019088535A1 (ko) * 2017-11-02 2019-05-09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하체 재활 치료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15B1 (ko) * 2007-02-21 2008-02-18 박영복 전신운동장치
KR101045433B1 (ko) 2009-08-15 2011-06-30 이시환 전신 운동기구
WO2019088535A1 (ko) * 2017-11-02 2019-05-09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하체 재활 치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6811B (zh) 具多種運動型態的複合式運動機
US10220246B2 (en) Portable sit-stand elliptical exercise machine
US5330402A (en) Exercising device
US20120322625A1 (en) Health bicycle with arm exercise function
US20090111663A1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JP3142056U (ja) 多方向揺動運動器具
KR200431294Y1 (ko) 전신 운동기구
KR20110004642U (ko) 복합 운동기구
KR20100072407A (ko) 페달운동기구
CA2620304C (en) Swinging waist-twisting fitness equipment
KR200479150Y1 (ko) 실내용 자전거형 운동기구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KR200348843Y1 (ko) 상체운동이 가능한 건강자전거
KR200416280Y1 (ko) 상,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스텝퍼 운동기구
CN220276214U (zh) 一种健身器械
KR200351859Y1 (ko) 전신 운동용 트위스트 머신
KR20080003892U (ko) 다방향 회전 운동기구
KR200302168Y1 (ko) 진자운동기구
CN217961220U (zh) 一种新型登山机
KR200368296Y1 (ko) 트위스트 스텝퍼
KR200396988Y1 (ko) 기마 운동기
TWM465941U (zh) 肢體復健器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KR200144082Y1 (ko) 폐달식 전신 운동기구
TWM537916U (zh) 高抬腳踏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