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050B1 -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050B1
KR101967050B1 KR1020170083344A KR20170083344A KR101967050B1 KR 101967050 B1 KR101967050 B1 KR 101967050B1 KR 1020170083344 A KR1020170083344 A KR 1020170083344A KR 20170083344 A KR20170083344 A KR 20170083344A KR 101967050 B1 KR101967050 B1 KR 101967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exercise
presen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981A (ko
Inventor
박주홍
Original Assignee
박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홍 filed Critical 박주홍
Priority to KR102017008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0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동안 책상에 앉은 상태로 있는 학생이나 직장인이 앉은 자세에서 쉽게 발목, 종아리 및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부분의 운동, 스트레칭 또는 재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MULTIPURPOSE SPORTING MACHINE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본 발명은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동안 책상에 앉은 상태로 있는 학생이나 직장인이 앉은 자세에서 쉽게 발목, 종아리 및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체부분의 운동, 스트레칭 또는 재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교통이 발달함에 따라 도보보다는 주로 자가용이나 대중 교통을 이용하여 운동시간이 현저하게 부족한 상황에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쁜 스케쥴로 인해 별도의 운동시간을 못내고 있는게 현실이다.
이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짧은 시간 운동을 도울 수 있는 운동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휴대가 용이하고, 하체를 좌우로 비틀어 운동할 수 있는 하체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을 훈련시키거나, 재활을 목적으로 설계된 것으로, 특히 하체부분에 대한 운동은 달리기, 걷기, 다리 조이기, 스트레칭 등이 있는데, 양 다리 내외측 및 발목의 근육 또는 힘줄 등을 동시에 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종래의 하체운동기구는 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215호와 같이 시트용 하체운동기가 있으며, 자전거(사이클) 형태의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트용 하체운동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베이스와, 상기 시트베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쿠션부재가 구비된 시트부; 일측이 상기 시트베이스에 연결되는 사이클 몸체와, 상기 사이클 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페달부와, 상기 사이클 몸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받침부가 구비된 사이클 머신부; 및 상기 페달부에 설치된 가압로드에 의해 상기 사이클 몸체에 설치된 해제부재를 해제시켜 상기 사이클 몸체에 구속된 페달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페달부 해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하체운동기구는 그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한번 설치하고나면 운동기구의 이동이 상당히 어려우며,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고가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782호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 지압 겸용 하체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으며, 지압과 동시에 하체운동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아 휴대와 이동이 용이한 운동기구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하체운동기구는 단순히 페달형태의 운동만 가능하여 다양한 운동방법을 실현할 수 없으며, 운동방법이 단순하여 사용자가 쉽게 실증내어 지속적인 운동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스트레칭, 다리 조이기, 걷기 등 다양한 운동방법을 하체운동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발목, 종아리, 대퇴부 등 하체의 전부분에 대한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아서 운동하는데에 편안한 자세를 도모하기 위해 하우징의 플레이트에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인체공학적인 운동기구를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발이 다른 운동기구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운동과 동시에 발바닥의 혈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효과와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하지정맥류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의 회전축에 감속부를 형성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이나 신체적인 특성에 맞게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감속부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체 각 부분에 대한 계획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플레이트에 이송레일을 형성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된 제2회전롤러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이에 다양한 운동방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운동 뿐만 아니라 재활을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는 중앙플레이트(110), 측면플레이트(120) 및 상부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중앙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판(200); 상기 하우징의 측면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회전롤러(3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2회전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플레이트(110)는 전면부가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20)는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200), 제1회전롤러(300) 및 제2회전롤러(400)는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판(200), 제1회전롤러(300) 및 제2회전롤러(400)는 각각의 회전축(210,310,410)상에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610)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의 접촉이 인가되는 감속패드(620)가 구비된 감속부(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송레일(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회전롤러(4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띠(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롤러의 회전축(410)에 각각 체결되며 이송바퀴(710)가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패널(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패널은 탄성부재(7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스트레칭, 다리 조이기, 걷기 등 다양한 운동방법을 하체운동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발목, 종아리, 대퇴부 등 하체의 전부분에 대한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아서 운동하는데에 편안한 자세를 도모하기 위해 하우징의 플레이트에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인체공학적인 운동기구를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발이 다른 운동기구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운동과 동시에 발바닥의 혈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효과와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하지정맥류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의 회전축에 감속부를 형성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이나 신체적인 특성에 맞게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감속부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체 각 부분에 대한 계획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플레이트에 이송레일을 형성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된 제2회전롤러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이에 다양한 운동방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운동 뿐만 아니라 재활을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하체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의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의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의 일측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에 감속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회전롤러에 감속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회전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의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의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의 일측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에 감속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회전롤러에 감속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회전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우징(100), 회전판(200), 제1회전롤러(300), 제2회전롤러(4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플레이트(110), 측면플레이트(120) 및 상부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금속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량을 유지하면서 운동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하부에 지면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정장치가 부설된 캐스터바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플레이트(110)는 전면부가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20)는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플레이트, 측면플레이트 및 상부플레이트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의 경사도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판(200)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판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발을 놓은 후 좌,우로 회전운동(트위스트방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회전판은 특히, 사용자의 발목, 종아리의 근육운동에 적합하며, 고관절 및 허리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롤러(300)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회전롤러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의 직선운동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가 마치 걷는 것과 유사한 운동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롤러(300)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회전롤러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좌,우 방향의 직선운동이 가능한 것으로, 특히 허벅지와 고관절의 근육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0), 제1회전롤러(300) 및 제2회전롤러(400)는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압돌기는 바람직하게는 하부가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하부에 스프링(510)이 형성되어 지압강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압돌기는 운동과 동시에 발바닥의 혈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효과와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하지정맥류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0), 제1회전롤러(300) 및 제2회전롤러(400)는 각각의 회전축(210,310,410)상에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610)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의 접촉이 인가되는 감속패드(620)가 구비된 감속부(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속부(600)는 유압 또는 공압식의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버튼의 조절에 따라, 회전축을 가압하여 고무,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상기 감속패드에 의해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회전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속부는 위와 같은 방식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통상의 자전거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방식이나 또는 디스크브레이크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버튼은 회전판과 제1,2회전롤러의 회전강도를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송레일(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회전롤러(4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띠(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롤러의 회전축(410)에 각각 체결되며 이송바퀴(710)가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패널(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패널은 탄성부재(7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탄성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송레일(131)은 슬라이드패널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베어링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띠(420)는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토클립(toe clip)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패널(700)은 별도의 록킹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록킹을 해제하여 탄성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20)는 고무밴드 또는 탄성스프링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스트레칭, 다리 조이기, 걷기 등 다양한 운동방법을 하체운동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발목, 종아리, 대퇴부 등 하체의 전부분에 대한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아서 운동하는데에 편안한 자세를 도모하기 위해 하우징의 플레이트에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인체공학적인 운동기구를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발이 다른 운동기구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운동과 동시에 발바닥의 혈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효과와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하지정맥류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판 및 제1,2회전롤러의 회전축에 감속부를 형성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력이나 신체적인 특성에 맞게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감속부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체 각 부분에 대한 계획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플레이트에 이송레일을 형성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된 제2회전롤러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이에 다양한 운동방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운동 뿐만 아니라 재활을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중앙플레이트
120 ... 측면플레이트 130 ... 상부플레이트
200 ... 회전판 300 ... 제1회전롤러
400 ... 제2회전롤러 500 ... 지압돌기
600 ... 감속부 610 ... 조작버튼
620 ... 감속패드 700 ... 슬라이드패널
710 ... 이송바퀴 720 ... 탄성부재

Claims (5)

  1. 중앙플레이트(110), 측면플레이트(120) 및 상부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중앙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판(200);
    상기 하우징의 측면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1회전롤러(3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2회전롤러(400);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송레일(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회전롤러(4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띠(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롤러의 회전축(410)에 각각 체결되며 이송바퀴(710)가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드패널(700)을 더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드패널은 탄성부재(7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플레이트(110)는 전면부가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20)는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30)는 상기 중앙플레이트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0), 제1회전롤러(300) 및 제2회전롤러(400)는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0), 제1회전롤러(300) 및 제2회전롤러(400)는 각각의 회전축(210,310,410)상에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610)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의 접촉이 인가되는 감속패드(620)가 구비된 감속부(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5. 삭제
KR1020170083344A 2017-06-30 2017-06-30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KR101967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44A KR101967050B1 (ko) 2017-06-30 2017-06-30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344A KR101967050B1 (ko) 2017-06-30 2017-06-30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81A KR20190002981A (ko) 2019-01-09
KR101967050B1 true KR101967050B1 (ko) 2019-04-08

Family

ID=6501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344A KR101967050B1 (ko) 2017-06-30 2017-06-30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369B1 (ko) * 2021-09-30 2024-04-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303B1 (ko) * 2012-09-06 2013-04-10 주식회사 메디니스 롤러 마사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625U (ko) * 2008-12-20 2010-06-30 박권순 유산소 자동 허리운동 기구
KR101043913B1 (ko) * 2009-08-19 2011-06-29 최우석 발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303B1 (ko) * 2012-09-06 2013-04-10 주식회사 메디니스 롤러 마사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81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163B2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7101330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AU2003250510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US8444580B2 (en) Passive exercise assisting device
US8608624B2 (en) Exercise apparatus for mobility recovery and slimming
CN206463443U (zh)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CN109200536B (zh) 一种上下肢体同步康复训练装置
KR101967050B1 (ko)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WO2017061748A1 (ko) 탈것 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하지 가압용 기기
CN206642277U (zh) 一种神经外科下肢神经康复训练装置
CN211659185U (zh) 一种健美操柔韧训练辅助装置
JP2002078817A (ja) 車軸移動式自転車エルゴメータ
KR20210072174A (ko) 운동용 의자
CN206499630U (zh) 一种关节康复训练床
CN112870638B (zh) 一种心脑血管疾病用康复训练设备
JP2010158506A (ja) 受動式健康器具
KR200478393Y1 (ko) 복합 운동기구
KR20170031591A (ko)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JP3122597U (ja) 脚運動器具
SU1697859A1 (ru) Тренажер
KR102496246B1 (ko)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KR20230085602A (ko) 하체 운동기구
KR101585347B1 (ko) 다리운동 보조장치
JP2001046551A (ja) 総合体育健康器
KR20200145378A (ko) 인장 스프링을 이용한 하체 근력강화 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