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93Y1 - 복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393Y1 KR200478393Y1 KR2020150003548U KR20150003548U KR200478393Y1 KR 200478393 Y1 KR200478393 Y1 KR 200478393Y1 KR 2020150003548 U KR2020150003548 U KR 2020150003548U KR 20150003548 U KR20150003548 U KR 20150003548U KR 200478393 Y1 KR200478393 Y1 KR 2004783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ercise
- frame
- exercise device
- main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체 근력운동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메인 운동기구와 상기 메인 운동기구는 상부의 일부를 덮는 보조 운동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운동기구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상호 대응되되 양측단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바퀴;와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공;과 상호 대응되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메인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보조 운동기구는 양단이 절곡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상면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며 일정 길이를 가진 지지판; 및 상호 대응되는 상기 지지판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경사를 가진 안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근력운동 및 균형잡힌 몸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복합 운동기구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전신 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운동량의 강도를 조절 할 수 있고, 특정 부위의 운동이 가능하고 균형운동을 하여 사용자의 몸의 균형 또한 잡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운동기구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상호 대응되되 양측단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바퀴;와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공;과 상호 대응되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메인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보조 운동기구는 양단이 절곡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상면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며 일정 길이를 가진 지지판; 및 상호 대응되는 상기 지지판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경사를 가진 안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근력운동 및 균형잡힌 몸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복합 운동기구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전신 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운동량의 강도를 조절 할 수 있고, 특정 부위의 운동이 가능하고 균형운동을 하여 사용자의 몸의 균형 또한 잡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과 균형운동을 위한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을 하기 위해 체력단련장이나 운동장 등을 찾아가서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시간과 장소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인 단일의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상체 또는 하체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운동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운동기구는 다양한 종류가 안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운동을 행할 시 사용되는 근육 부위가 상이하여 단일의 운동기구로 상체 및 하체, 복근 등을 동시에 근력강화를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슬라이드 운동기구는 상체근육만을 강화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하체근육의 강화를 위해서는 별도의 기구를 구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슬라이드 운동기구는 바퀴가 하나로 구성되어 균형을 맞추기가 힘들고 운동중 안전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복합적인 운동을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문헌(1) 및 문헌(2)에서는 단일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하체 운동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장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 원가가 높고 사용시 고장도 잦아져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이 필요로 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체와 하체의 운동을 고루 이루어지게 하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운동 강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신체 부위별 및 선택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균형운동을 통해 신체의 균형을 맞추고, 기본 스트레칭 및 누워서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운동을 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정량의 중량으로 무게를 맞추고 다수의 바퀴로 안전사고 예방을 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하체 근력운동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메인 운동기구와 상기 메인 운동기구는 상부의 일부를 덮는 보조 운동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운동기구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상호 대응되되 양측단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바퀴;와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공;과 상호 대응되는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메인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보조 운동기구는 양단이 절곡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상면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며 일정 길이를 가진 지지판; 및 상호 대응되는 상기 지지판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경사를 가진 안착부가 형성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발판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하부 일측에 반구의 완충홈이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고리;와 상기 고정고리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와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판이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협소한 장소에서도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의 운동 강도 조절 및 균형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보관 및 유지가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일부 저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 내지 도10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일부 저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 내지 도10은 본 고안인 복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11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하체 근력운동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메인 운동기구(110)와 상기 메인 운동기구(110)의 상부를 덮는 보조 운동기구(120)를 포함하는 복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 운동기구(110)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는 프레임(10)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10)은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4)이 상호 대응되며, 상기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4)의 사이에는 구동바퀴(18)가 양측단 내부에 각각 결합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회동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바퀴(18)는 우레탄 소재로 바퀴로 회전이나 이동시 소음이 적고 바닥 긁힘을 최소화 하며, 움직임이 부드럽고 충격흡수가 좋은 효과가 있다.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14)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공(16)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16)에 가로 방향으로 각각 삽입되는 메인 손잡이(2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제2 프레임(14)의 상기 연결공(16)에 삽입되되, 상기 제1 프레임(12)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20)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걸이부(22)와 상기 걸이부(22)와 탈착이 가능한 신축 로프(24)를 구성한다.
이는, 상기 신축 로프(24)가 결합되는 상기 걸이부(22)의 타측으로 연결 가능한 곳에 묶거나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손잡이(20)의 상부를 덮는 보조 운동기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의 상면에는 발판(26)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발판(26)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26)에 올랐을 시에 지압 및 미끄럼 방지 등에 효과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발판(26)의 양측 상면에 상호 대응되며 일정 길이를 가진 지지판(32)이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상기 지지판(32)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34)를 구성한다.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메인 손잡이(20)를 덮어 안착되며, 상기 메인 손잡이(20)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부(2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의 절곡된 일측면을 절개하여 형성된 안착부(3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걸이부(22)가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와 서로 마찰이 없이 이격되도록 상기 안착부(30)를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14)의 중앙부 내측으로 내부에 경사를 가진 안착부(36)가 형성되는 안착부재(13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130)는 V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의 배면에는 통상의 체결볼트(44)와 체결너트(46)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부(38)와 상기 완충부(38)의 하부 일측에 반구의 완충홈(40)을 포함하는 완충부재(140)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를 상기 메인 손잡이(20)의 상부를 덮되, 상기 완충홈(40)이 메인 손잡이(20)의 상부에 안착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가 상기 메인 운동기구(110)를 덮었을 때 보조 운동기구(120)의 유동방지 및 상기 손잡이(20)와의 마찰로 인한 스크레치 현상을 방지함에 효율적인 것이다.
도시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를 제거한 상태에서 할 수 있는 운동으로 사용자가 무릎을 꿇은 자세에서 상기 메인 운동기구(110)의 메인 손잡이(20)를 잡고 앞뒤로 할 수 있는 운동이다.
이는, 사용자의 반복적인 운동으로, 복근 및 어깨, 척추기립근, 팔 등의 상체 운동에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골반 및 전신 스트레칭까지 효과가 있고, 상기 신축 로프(24)를 외부에 매달거나 결합하여 운동의 강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시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워 발 뒷꿈치 부위를 상기 안착부재(130)의 안착부(36)에 안착하여 앞뒤로 할 수 있는 운동이다.
이는, 사용자의 반복적인 운동으로, 상기 신축 로프(24)를 제거시에는 스트레칭 효과가 있으며, 상기 신축 로프(24)를 사용시에는 다리 근련운동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와 결합시 할 수 있는 운동으로 앞서 도시된 도 4와 비슷한 자세로 하되, 상기 보조 손잡이(34)가 상기 메인 손잡이(20)보다 상부에 있어 같은 운동으로 또 다른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상기 발판(26)에 올라서서 한발만으로 중심을 잡는 균형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을 통하여 전신 운동 및 특정 부위별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복합 운동기구(100)는 일정 중량을 가지며, 이는 사용자의 운동량의 효율을 높이고, 운동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프레임(14)의 일측으로 고정고리(54)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고리(54)는 V형상의 상기 안착부(36)의 중앙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고리(54)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고리(52)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고리(52)와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50)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50)의 끝단부는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36)에 안착되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판(48)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이동부재(15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150)는 상기 안착부(36)의 상부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도시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리의 근력운동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누워서 상기 안착부(36)에 양발을 올려놓되, 상호 대응되는 상기 이동판(48) 사이에 올려 상기 프레임(10)을 향해 반복적으로 밀어주어 하체근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으로 인해 발목 및 종아리, 허벅지, 골반, 허리 등의 하체근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호 마주보는 상기 이동판(48)의 내측으로 상기 스프링(50)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호 마주보는 상기 이동판(48)을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하체 근력을 높이고, 하체의 근육을 균형 잡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프레임 12: 제1 프레임
14: 제2 프레임 16: 연결공
18: 구동바퀴 20: 메인 손잡이
22: 걸이부 24: 신축 로프
26: 발판 28: 체결공
30: 수용홈 32: 지지판
34: 보조 손잡이 36: 안착부
38: 완충부 40: 완충홈
42: 연결공 44: 체결볼트
46: 체결너트 48: 이동판
50: 스프링 52: 연결고리
54: 고정고리 100: 복합 운동기구
110: 메인 운동기구 120: 보조 운동기구
130: 안착부재 140: 완충부재
150: 이동부재
10: 프레임 12: 제1 프레임
14: 제2 프레임 16: 연결공
18: 구동바퀴 20: 메인 손잡이
22: 걸이부 24: 신축 로프
26: 발판 28: 체결공
30: 수용홈 32: 지지판
34: 보조 손잡이 36: 안착부
38: 완충부 40: 완충홈
42: 연결공 44: 체결볼트
46: 체결너트 48: 이동판
50: 스프링 52: 연결고리
54: 고정고리 100: 복합 운동기구
110: 메인 운동기구 120: 보조 운동기구
130: 안착부재 140: 완충부재
150: 이동부재
Claims (4)
- 상하체 근력운동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메인 운동기구(110)와;
상기 메인 운동기구(110)는 상부의 일부를 덮는 보조 운동기구(120)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운동기구(110)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응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은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4)이 상호 대응되되 양측단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바퀴(18)와;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14)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공(16)과;
상호 대응되는 상기 연결공(16)에 삽입되는 메인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걸이부(22)와;
상기 보조 운동기구(120)는 양단이 절곡되고 상면에 형성되는 발판(26)과;
상기 발판(26)의 상면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며 일정 길이를 가진 지지판(32) 및;
상호 대응되는 상기 지지판(32)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보조 손잡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14)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경사를 가진 안착부(36)가 형성되는 안착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6)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부(38);와
상기 완충부(38)의 하부 일측에 반구의 완충홈(40)이 형성되는 완충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호 대응되는 상기 제2 프레임(14)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고정고리(54);와
상기 고정고리(54)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고리(52);와
상기 연결고리(52)와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프링(50); 및
상기 스프링(50)과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36)에 안착되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판(48)이 형성되는 이동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548U KR200478393Y1 (ko) | 2015-06-03 | 2015-06-03 | 복합 운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548U KR200478393Y1 (ko) | 2015-06-03 | 2015-06-03 | 복합 운동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8393Y1 true KR200478393Y1 (ko) | 2015-10-01 |
Family
ID=5434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3548U KR200478393Y1 (ko) | 2015-06-03 | 2015-06-03 | 복합 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39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6355B1 (ko) | 2016-01-04 | 2016-09-09 | 송두현 | 복합 운동기구 |
KR20200037505A (ko) | 2018-10-01 | 2020-04-09 | 장근용 | 무게조절이 가능한 운동기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833Y1 (ko) | 2001-08-31 | 2002-06-29 | 김진우 | 팔다리 운동기구 |
KR200299332Y1 (ko) | 2002-08-13 | 2003-01-03 | 양철순 | 조정이 가능한 경사판 하체 운동구 |
US6626807B1 (en) | 2000-11-17 | 2003-09-30 | Total Tiger, Inc. | Exercise equipment |
KR200436374Y1 (ko) | 2007-03-08 | 2007-08-09 | 조영희 | 허리 운동기구 |
-
2015
- 2015-06-03 KR KR2020150003548U patent/KR20047839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26807B1 (en) | 2000-11-17 | 2003-09-30 | Total Tiger, Inc. | Exercise equipment |
KR200279833Y1 (ko) | 2001-08-31 | 2002-06-29 | 김진우 | 팔다리 운동기구 |
KR200299332Y1 (ko) | 2002-08-13 | 2003-01-03 | 양철순 | 조정이 가능한 경사판 하체 운동구 |
KR200436374Y1 (ko) | 2007-03-08 | 2007-08-09 | 조영희 | 허리 운동기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6355B1 (ko) | 2016-01-04 | 2016-09-09 | 송두현 | 복합 운동기구 |
KR20200037505A (ko) | 2018-10-01 | 2020-04-09 | 장근용 | 무게조절이 가능한 운동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67163B2 (en) |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 |
US8632445B2 (en) |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 |
CA2796270C (en) | Exercise apparatus | |
US7637855B2 (en) | Unsteady exercise platform having resistance bands | |
EP2537564B1 (en) |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 |
US20060128539A1 (en) | Low impact exercise system | |
TWM503920U (zh) | 健身球椅 | |
US9278252B1 (en) | Abdominal exercise machine | |
US10456620B1 (en) | Squat and spinal fitness and rehabilitation device | |
JP6999953B2 (ja) |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 |
US7601109B2 (en) | Abdominal exercise device | |
WO2018205018A1 (en) | Seated exercise device | |
KR101875338B1 (ko) |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 |
KR101057316B1 (ko) | 줄 당기기 운동기구 | |
KR200478393Y1 (ko) | 복합 운동기구 | |
US9155674B2 (en) | Chair utilizing self-weight traction | |
US11224780B2 (en) | Machine for assisted physical activity exercise | |
KR101578447B1 (ko) | 하체 운동기구 | |
US20190118024A1 (en) | Folding exercise chair | |
KR102535761B1 (ko) | 스마트 체어 | |
KR20100000660U (ko) | 다목적 슬라이드 운동기구 | |
KR101654760B1 (ko) | 다기능 운동기구 | |
KR101768999B1 (ko) | 하체운동기구 | |
KR102570514B1 (ko) | 마사지 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운동기구 | |
KR102696850B1 (ko) | 다기능 복합 운동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