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355B1 - 복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355B1
KR101656355B1 KR1020160000519A KR20160000519A KR101656355B1 KR 101656355 B1 KR101656355 B1 KR 101656355B1 KR 1020160000519 A KR1020160000519 A KR 1020160000519A KR 20160000519 A KR20160000519 A KR 20160000519A KR 101656355 B1 KR101656355 B1 KR 10165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ertical
block
exercise
guid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두현
Original Assignee
송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두현 filed Critical 송두현
Priority to KR102016000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운동기구로 상체운동, 하체운동, 허리운동은 물론, 마사지 기능까지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하여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그 활용도가 매우 우수하게 하며, 또한, 간편한 조작으로 운동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여 가정에서도 충분한 근력 운동의 수행이 가능하게 하여 운동의 활성화에 따른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운동기구{Complex health apparatus}
본 발명은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운동기구로 상체 운동과 하체운동 및 허리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특히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여 가정 등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 특히, 사무직이나 운전기사 또는 수험생 등과 같이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보내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운동량 특히 하체 운동량이 부족하여 하체 근육이 약해지게 된다.
운동량이 부족한 현대인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격무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운동을 꾸준히 하려면 자신이 재미를 느끼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나,운동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현대인들은 가까운 휘트니스 클럽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헬스클럽에서는 대표적으로 상체의 운동을 수행하는 상체 운동용 벤치 프레스를 비롯한 다수의 하체 운동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헬스클럽을 이용하는 경우 충분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이 또한 상당한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용자로 하여금 꾸준히 수행하지 못하여 그 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현대인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정에서도 쉽게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운동기구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현대인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홈쇼핑 등에서도 다양한 운동기구가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정용 운동기구는 대부분 상체, 하체, 마사지 등 그 운동 부위에 있어서 구분되는 특성상 다양한 운동 효과를 위해 다수의 운동기구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렇게 다수의 운동 기구를 준비하더라도 그 설치 공간의 확보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들은 대부분 헬스클럽에 준하는 운동효과를 요구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들은 그에 준하는 운동효과를 얻지 못하여 이 또한 사용을 기피시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렇다 하더라도 헬스 클럽에 준하는 다수의 운동기구를 가정에 비치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64584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83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하나의 운동기구로 상체운동, 하체운동, 허리운동은 물론, 마사지 기능까지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하여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그 활용도가 매우 우수하게 하기 위한 복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간편한 조작으로 운동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여 가정에서도 충분한 근력 운동의 수행이 가능하게 하여 운동의 활성화에 따른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복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바닥에 중량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초중량체와, 각각의 기초중량체 상부로 수직 입설되며 중간부에는 각각 축수블록을 통해 수평 축설되는 회동축이 형성된 수직지주로 된 양측 한 쌍의 기초 지주부;
각각의 회동축 외측단에 형성되는 제1 회동블록과, 제1 회동블록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는 중량추 설치봉과, 중량추 설치봉에 형성되어 중량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중량조절부와, 일단이 회동블록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는 지지봉과, 상기 중량추 설치봉과 지지봉의 타단이 고정되는 연결블록과, 양측 중량추 설치봉과 지지봉 타단측을 연결하는 한편 "U" 형태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각각의 중량추 설치봉과 지지봉 타단측에 연결 및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 연장대와, 각각의 수직 연장대 하부에서 제1 고정블록에 고정 및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수직 연장대의 상부에 형성된 다리 지지부로 된 제1 운동부;
각각의 회동축 내측단에 형성되는 제2 회동블록과, 일단이 제2 회동블록을 관통하여 노출되며 타측이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는 한편 단부가 상기 제1 고정블록과 연결되는 제2 고정블록에 고정되는 수평 가이드관과, 각각의 수평 가이드관에 내입되어 전방으로 출몰되며 단부가 지지대로 연결되는 수평 출몰대와, 각각의 수직지주 후방에서 기초중량체에 수직 입설되며 대항부에는 수직형 가이드공이 형성된 수직 가이드관과, 각각의 수직 가이드관에 내입되어 수직 출몰되며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다수단의 중량추 고정홈이 형성된 수직 출몰대와, 각각의 수직 가이드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 출몰대와 선택 고정력을 가지는 제2 중량조절부와, 각각의 수평 출몰대와 수직 출몰대를 연결하는 견인 와이어로 된 제2 운동부;
양측의 수직지주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대와, 양측 돌출대를 연결하는 수평봉으로 된 제3 운동부; 및
기초 지주부의 사이 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눕거나 앉거나 올라설 수 있는 벤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는, 상체의 운동과 하체의 운동과 허리의 운동과 마사지가 가능한 제1,2,3 운동부가 일체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 운동기구의 축소에 따른 설치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다양한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중량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제1 운동부를 이용한 상체 및 하체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종아리 및 발닥 등의 마사지의 수행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운동부를 통해서도 상체 및 하체의 근력 운동은 물론, 허리의 근력 운동의 수행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3 운동부를 통해서도 상체의 운동은 물론, 척추의 교정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체와 하체와 허리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여 근력운동 효과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1 중량조절부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손잡이부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다리 지지부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2 중량조절부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견인 와이어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1 운동부를 통한 상체 운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1 운동부를 통한 다리 운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1 운동부를 통한 다리 마사지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2 운동부를 통한 상체 운동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2 운동부를 통한 상체 운동 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2 운동부를 통한 다리 운동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2 운동부를 통한 허리 운동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3 운동부를 통한 상체 운동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제3 운동부를 통한 척추 교정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1)는, 기초 지주부(100)와, 제1 운동부(200)와, 제2 운동부(300)와, 제3 운동부(400)와, 벤치(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 지주부(100)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1)의 바닥에 지지되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중량을 가지면서 바닥에 지지력을 부여하기 위해 중량체 연결대(111)를 통해 전,후방에 위치되는 전,후방 기초중량체(110)(110')가 구성된 것으로, 전,후방 기초중량체(110)(110')는 금속재 블록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바닥에서 양측에 한 쌍이 대항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전방 기초중량체(110)에는 수직지주(120)가 형성된 것으로, 수직지주(120)는 전방 기초중량체(110)의 상부 전방측(도면중 좌측)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며 양측 한 쌍이 대항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직지주(120)에는 그 중간부에서 전방측에 축수블록(130)이 형성되며, 그 축수블록(130)에는 양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회동축(140)이 베어링(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자유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운동부(20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회동 작동에 의해 상체 및 다리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제1 운동부(200)에는, 먼저 각각의 회동축(140) 외측단에 제1 회동블록(210)이 형성된 것으로, 제1 회동블록(210)은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1 회동블록(210)에는 중량추 설치봉(220)이 형성된 것으로, 중량추 설치봉(220)은 봉 형태로 구성되어 그 일단이 제1 회동블록(21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도면중 우측)이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중량추 설치봉(220)에는 하기하는 제1 중량조절부(23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눈금(2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량추 설치봉(220)에는 제1 운동부(200)를 통해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중량을 부여하기 위한 제1 중량조절부(230)가 구성된다.
이때, 제1 중량조절부(230)는, 상기 중량추 설치봉(220)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도 3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관(231)과, 중량추 설치편(232)과, 중량추 고정볼트(233)와, 제1 중량추(234)로 구성된다.
먼저, 가이드관(231)은, 상기 중량추 설치봉(220)을 감사는 한편, 그 중량추 설치봉(220)을 가이드로 하여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관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중량추 설치편(232)은, 상기 가이드관(231)의 하부로부터 하방 돌출되게 구성된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중량추 고정볼트(233)는, 상기 가이드관(231)이 중량추 설치봉(220)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있어 고정력을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관(231)을 관통 나삽되어 상기 중량추 설치봉(220)에 가압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중량추(234)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 판체형 블록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중량을 가지게 구성되며 상기 중량추 설치편(232)에 결합되되, 결합시에는 그 중량추 설치편(232)으로부터 자유 회전력을 가지도록 축설되게 구성된다.
즉, 제1 중량추(234)는, 제1 운동부(200)가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회동 작동시 중량추 설치편(232)에 축설된 것인바, 항시 자중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중량조절부(230)는, 중량추 설치봉(220)에 구성함에 있어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조절시 양측의 중량추 설치봉(220)에 형성된 눈금(221)을 통해 양측이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절함으로 양측에 동일한 중량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다시 제1 운동부(200)는, 각각의 제1 회동블록(210)에는 중량추 설치봉(220)의의 상부로 지지봉(240)이 형성된 것으로, 지지봉(240)는 봉 형태로 구성되어 그 일단이 제1 회동블록(21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방으로 중량추 설치봉(220)과 나란히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나란히 형성되는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의 타단은 연결블록(250)을 통해 연결 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은 U형 지지부(260)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U형 지지부(260)는 "U"자 형태로 절곡된 봉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U형 지지부(260)의 상부 양측에는 각측에 해당하는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이 연결되며, 그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게 구성된다.
즉, U형 지지부(260)는, 상기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은 제1 회동블록(210)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인바, 자중에 의해 항시 하방 회동력을 가지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하방 자유 회동력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에서 바닥에 지지되어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수직 연장대(270)가 구성된 것으로, 수직 연장대(270)는 양측에서 각각의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의 타단측을 연결하는 한편 상부로 수직 연장되고, 하부에는 제1 고정블록(281)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직 연장대(270)에는 손잡이부(280)가 형성된 것으로, 손잡이부(28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손잡이 연장대(282)와, 손잡이 조절블록(283)과, 수직 조절대(284)와, 손잡이 고정볼트(28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 연장대(282)는, 봉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블록(281)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게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 조절블록(283)은, 상기 각각의 손잡이 연장대(282)의 후단에 형성되는 사각 블록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조절대(284)는, 상기 각각의 손잡이 조절블록(283)에 수직 관통되는 한편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285)기 형성된 것으로, 손잡이(285)는 양측에 수직 조절대(284)에 대하여 대항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수직 조절대(284)의 중간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손잡이 고정홈(286)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고정볼트(287)는, 상기 손잡이 조절블록(283)에 나삽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직 조절대(284)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손잡이 고정홈(286)에 끼움 고정되어 수직 조절대(284)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수직 조절대(284)는 손잡이 조절블록(283)으로부터 상,하 슬라이딩 되는 한편 손잡이 고정볼트(287)에 의해 고정력을 가지는 것인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손잡이(285)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다시 제1 운동부(200)는, 각각의 수직 연장대(270)의 상부에는 다리 지지부(290)가 구성된 것으로, 다리 지지부(290)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승강블록(291)과, 승강블록 고정볼트(292)와, 원형 연결봉(293)과, 다리부 연장대(294)와, 다리 지지바(29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블록(291)은, 수직 연장대(270)가 삽입 관통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수직 연장대(270)를 가이드로 하여 상,하 슬라이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 고정볼트(292)는, 상기 승강블록(291)에 나삽 관통되는 한편 상기 수직 연장대(270)를 가압하게 구성된 것으로, 승강블록(291)을 수직 연장대(270)로부터 상,하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수직 연장대(270)에 가압 고정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하 높이 조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 사용하면 된다.
상기 원형 연결봉(293)은, 양측의 승강블록(291)을 연결하게 구성되며, 원형봉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원형 연결봉(293)에는, 마사지롤(293a)이 형성된 것으로, 마사지롤(293a)은 원형 연결봉(293)에서 자유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되며, 합성수지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종라리 부분을 롤링 마사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다리부 연장대(294)는, 상기 각각의 승강블록(291)의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게 구성된다.
상기 다리 지지바(295)는, 상기 각각의 다리부 연장대(294)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서로 대항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제2 운동부(30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운동부(200)와 연계되어 함께 회동 작동하며, 별도로 상체 및 다리 허리 등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제2 운동부(300)에는, 먼저 각각의 회동축(140) 내측단에 제2 회동블록(310)이 형성된 것으로, 제2 회동블록(310)은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 회동블록(310)에는 관통형 관체 형태의 수평 가이드관(320)이 형성된 것으로, 수평 가이드관(320)은 그 일단이 제2 회동블록(310)에 결합되되, 단부가 제2 회동블록(310)의 전방 측으로 노출되게 내입되며, 그 타측단이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수평 가이드관(320)의 타단에는 제2 고정블록(321)이 형성된 것으로, 제2 고정블록(321)은 상기 제1 운동부(200)의 제1 고정블록(281)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 가이드관(320)은 상기 제1 운동부(200)와 제2 고정블록(321)을 통해 연결된 것인바, 제1 운동부(200)가 상,하 회동 작동시 함께 회동 작동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 가이드관(320)의 내측에는 수평 출몰대(330)가 내입 형성된 것으로, 수평 출몰대(330)는 수평 가이드관(320)의 전방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며, 양측 수평 출몰대(330)는 그 전방 단부가 지지대(331)로 연결되어 평 단면상 "ㄷ"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지지대(331)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수평 출몰대(330)가 수평 가이드관(320)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직지주(120) 후방에서 전방 기초중량체(110)에는 관통형 관체 형태의 수직 가이드관(340)이 입설되게 구성되며, 각각의 수직 가이드관(340)의 대항부에는 장공형 수직형 가이드공(34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직 가이드관(340)에는 수직 출몰대(350)가 내입 형성된 것으로, 수직 출몰대(350)는 수직 가이드관(340)의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며, 양측의 대항부에는 상기 수직 가이드관(340)의 가이드공(341)과 연통되도록 수직상으로 다수단을 이루는 중량추 고정홈(351)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직 가이드관(340)의 외둘레에는 제2 운동부(300)의 운동시 중량을 부여하기 위한 제2 중량조절부(360)가 구성된다.
이때, 제2 중량조절부(360)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2 중량추(361)와, 중량추 고정핀(362)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2 중량추(361)는, 중앙이 관통된 "링"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직 가이드관(340)이 관통되어 그 수직 가이드관(34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며, 평상시에는 전방 기초중량체(110)에 거치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양측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제2 중량추(361)에는 상기 수직 출몰대(350)의 중량추 고정홈(351)과 연통되도록 핀 삽입공(361a)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중량추 고정핀(362)은, 상기 제2 중량추(361)의 핀 삽입공(361a)에 삽입되게 구성된 것으로, 핀 삽입공(361a)에 삽입된 중량추 고정핀(362)은 상기 수직 출몰대(350)의 어느 하나의 중량추 고정홈(351)에 삽입되어 수직 출몰대(350)와의 선택 결합력을 부여하여 제2 운동부(300)의 운동시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다시 제2 운동부(300)는, 상기 각각의 수평 출몰대(330)와 수직 출몰대(350)를 연결하는 견인 와이어(370)가 구성된다.
이때, 견인 와이어(37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일단이 수직 출몰대(3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 출몰대(330)에 연결되어 수평 출몰대(330)의 출몰에 따라 수직 출몰대(350)를 상,하 승강시키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견인 와이어(370)를 수평 출몰대(330)와 수직 출몰대(350)와 연결함에 있어서는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부여하는 한편 방향성의 전환을 위해 다수의 제1 내지 제4 도르래(371)(372)(373)(374)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1 도르래(371)는, 상기 수평 가이드관(320)의 후단 하부에서 수평 가이드관(3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수평 가이드관(320)에 축설되어 견인 와이어(370)를 전방으로 방향 전환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2 도르래(372)는, 상기 제2 회동블록(310) 후방 축설되어 제1 도르래(371)로부터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370)를 하방으로 방향 전환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3 도르래(373)는, 상기 수직지주(120)의 후방 하부에 축설되어 제2 도르래(372)로부터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370)를 상방으로 방향 전환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4 도르래(374)는, 상기 수직지주(120)의 후방 상부에 축설되어 제3 도르래(373)로부터 인출되는 견인 와이어(370)를 다시 하방으로 방향 전환하게 구성된다.
즉, 견인 와이어(370)는, 수평 출몰대(330)의 후단으로부터 제1 도르래(371)를 통해 전방으로 방향 전환되고, 다시 제2 도르래(372)를 통해 하방으로 방향 전환되며, 다시 제3 도르래(373)를 통해 상방으로 방향 전환되고, 다시 제4 도르래(374)를 통해 하방으로 인출 및 수직 출몰대(350)의 상단에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 출몰대(330)를 외력을 가해 전방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견인 와이어(370)의 연계 작동에 의해 수직 출몰대(350)에 결합되는 제2 중량추(361)를 견인하여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 운동부(400)는, 상체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제3 운동부(400)는, 먼저 상기 양측 수직지주(120)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대(41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돌출대(411)는 수평봉(410)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상기 수평봉(410)을 이용하여 상체 근력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벤치(500)는, 상기 제1 운동부(200)와, 제2 운동부(300)와, 제3 운동부(400)를 통해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그 보조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벤치프레스 등의 운동 기구에 적용되는 양측에 다리가 형성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벤치로 구성된다.
이때, 벤치(500)는 상기 기초 지주부(100)의 사이 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눕거나 앉거나 올라설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1)는, 제1 운동부(200)와, 제2 운동부(300)와, 제3 운동부(400)를 이용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하여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운동부(200)를 이용한 운동 상태를 살펴보면,
운동을 수행함에 앞서 사용자는 자신이 들어올리 수 있는 중량에 해당하게 제1 중량조절부(230)를 이용하여 중량을 조절하면 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중량의 조절은, 제1 중량추(234)를 이용하여 가능하되, 이는 제1 중량추(234)의 중량추 설치봉(220)의 위치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제1 중량추(234)를 중량추 설치봉(220)에서 전,후 슬라이딩 조절함에 있어,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회동축(140)과 가까우면 비교적 적은 힘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고, 회동축(140)과 멀게되면 큰 힘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제1 중량추(234)의 위치 조절에 따라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량을 조절함에 있어, 양측의 제1 중량추(234)의 위치는 동일하게 설정함으로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위치의 정확한 조절은 각각의 중량추 설치봉(220)에 형성된 눈금(221)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제1 운동부(200)는,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회동 작동에 의해 상체 또는 하체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벤치(500)를 이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먼저, 상체 운동을 위해서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상체가 후방에 위치되도록 벤치(500)에 누운 상태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손잡이부(280)의 손잡이(285)를 파지 후, 통상의 벤치프레스와 같이 팔을 가슴 위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제1 운동부(200)는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상부로 회동 작동하여 상체 즉, 가슴과 팔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체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형은 다양한 것인바, 도 4를 참조하여 그 손잡이부(280)의 수직 조절대(284)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운동부(200)를 이용하여 다리의 운동을 수행시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벤치(500)에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다리 지지부(290)의 다리 지지바(295)의 하부에 위치 시킨 상태에서 그 다리 지지바(295)에 외력을 가해 위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제1 운동부(200)는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상부로 회동 작동하여 다리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체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형은 다양한 것인바, 도 5를 참조하여 승강블록(291)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제1 운동부(200)에서는 상기와 같이 손을 이용한 상체의 운동과 다리를 이용한 하체의 운동 이외에 종아리부의 마사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벤치(500)에 누운 상태에서 다리의 종아리부를 다리 지지부(290)의 연결봉(293)에 형성된 마시지롤(293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하 롤링을 수행함으로 종아리부의 마사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 운동부(300)를 이용한 운동 상태를 살펴보면,
운동을 수행함에 앞서 사용자는 자신이 밀어낼 수 있는 중량에 해당하게 제2 중량조절부(360)를 이용하여 중량을 조절하면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여 중량의 조절은, 제2 중량추(361)를 이용하여 가능하되, 이는 제2 중량추(361)의 수량 조절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제2 중량추(361)의 수량을 선택하여 중량체 중량추 고정핀(362)을 핀 삽입공(361a)에 삽입 및 수직 출몰대(350)에 선택 고정하면 되며, 이러한 선택 고정은 가장 상단의 제2 중량추(361)와 수직 출몰대(350)의 결합력을 부여시에는 비교적 작은 중량을 통한 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아래로 갈수록 제2 중량추(361)의 수량이 증가되어 큰 중량을 통한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량을 조절함에 있어, 양측의 제2 중량추(361)의 수량은 동일하게 설정함으로 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2 운동부(300)는, 지지대(331)를 이용하여 수평 출몰대(330)를 출몰시킴으로 상체 또는 다리 또는 허리의 운동이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벤치(500)를 이용하여 된다.
먼저, 상체 운동을 위해서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벤치(500)에 앉은 상태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지지대(331)를 파지후, 외력을 가해 밀어내는 동작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제2 운동부(300)는 수직 출몰대(35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견인 와이어(370)를 통한 제2 중량추(361)를 들어 올리게 되는 것인바, 상체의 가슴과 팔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체의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지지대(331)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대(331)를 당길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상체의 가슴과 팔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운동부(300)를 이용하여 다리의 운동을 수행시에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벤치(500)에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지지대(331)에 위치 시킨 상태에서 그 지지대(331)에 외력을 가해 밀어내는 동작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제2 운동부(300)는 수직 출몰대(35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견인 와이어(370)를 통한 제2 중량추(361)를 들어 올리게 되는 것인바, 다리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운동부(300)를 이용하여 허리 운동을 수행시에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일어선 상태에서 허리 부분을 지지대(331)에 위치 시킨 상태에서 그 지지대(331)를 허리의 힘을 이용하여 밀어내는 동작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제2 운동부(300)는 수직 출몰대(35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견인 와이어(370)를 통한 제2 중량추(361)를 들어 올리게 되는 것인바, 허리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운동부(400)를 이용한 운동 상태를 살펴보면,
제3 운동부(400)에서는 별도의 중량의 조절 없이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수직지주(120)의 상단에 형성된 수평봉(410)에 매달린 상태에서 통상의 턱걸이와 같이 팔의 힘을 이용하여 상체를 끌어올림을 반복하여 상체의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운동부(400)에서는 도 16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동작 없이 단순히 수평봉(410)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함으로 사용자의 척추 견인을 통해 척추를 곧게 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3 운동부(400)에서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벤치(500)를 두고 매달릴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1)는, 제1,2,3 운동부(200)(300)(400)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신체 부분의 근력 운동 및 마사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하나의 운동기구로 편리하게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복합 운동기구(1)는, 하나의 운동기구에 다양한 운동부가 일체 형성된 것인바, 운동기구의 설치 공간의 확보가 매우 용이하여 가정 등에서도 매우 편리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0 : 기초 지주부 110,110' : 전,후방 기초중량체
111 : 중량체 연결대 120 : 수직지주
130 : 축수블록 140 : 회동축
200 : 제1 운동부 210 : 제1 회동블록
220 : 중량추 설치봉 221 : 눈금
230 : 제1 중량조절부 231 : 가이드관
232 : 중량추 설치편 233 : 중량추 고정볼트
234 : 제1 중량추 240 : 지지봉
250 : 연결블록 260 : U형 지지부
270 : 수직 연장대
280 : 손잡이부 281 : 제1 고정블록
282 : 손잡이 연장대 283 : 손잡이 조절블록
284 : 수직 조절대 285 : 손잡이
286 : 손잡이 고정홈 287 : 손잡이 고정볼트
290 : 다리 지지부 291 : 승강블록
292 : 승강블록 고정볼트 293 : 연결봉
293a : 마사지롤 294 : 다리부 연장대
295 : 다리 지지바
300 : 제2 운동부 310 : 제2 회동블록
320 : 수평 가이드관 321 : 제2 고정블록
330 : 수평 출몰대 331 : 지지대
340 : 수직 가이드관 341 : 수직형 가이드공
350 : 수직 출몰대 351 : 중량추 고정홈
360 : 제2 중량조절부 361 : 제2 중량추
361a : 핀 삽입공 362 : 중량추 고정핀
370 : 견인 와이어 371,372,373,374 : 제1,2,3,4 도르래
400 : 제3 운동부 410 : 수평봉
411 : 돌출대 500 : 벤치

Claims (6)

  1. 바닥에 중량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중량체 연결대(111)를 통해 전,후방에 위치되는 전,후방 기초중량체(110)(110')와, 각각의 전방 기초중량체(110) 상부로 수직 입설되며 중간부에는 각각 축수블록(130)을 통해 수평 축설되는 회동축(140)이 형성된 수직지주(120)로 된 양측 한 쌍의 기초 지주부(100);
    각각의 회동축(140) 외측단에 형성되는 제1 회동블록(210)과, 제1 회동블록(210)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는 중량추 설치봉(220)과, 중량추 설치봉(220)에 형성되어 중량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중량조절부(230)와, 일단이 제1 회동블록(210)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는 지지봉(240)과, 상기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의 타단이 고정되는 연결블록(250)과, 양측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 타단측을 연결하는 한편 "U" 형태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U형 지지부(260)와, 각각의 중량추 설치봉(220)과 지지봉(240) 타단측에 연결 및 상부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 연장대(270)와, 각각의 수직 연장대(270) 하부에서 제1 고정블록(281)에 고정 및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는 손잡이부(280)와, 수직 연장대(270)의 상부에 형성된 다리 지지부(290)로 된 제1 운동부(200);
    각각의 회동축(140) 내측단에 형성되는 제2 회동블록(310)과, 일단이 제2 회동블록(310)을 관통하여 노출되며 타측이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는 한편 단부가 상기 제1 고정블록(281)과 연결되는 제2 고정블록(321)에 고정되는 수평 가이드관(320)과, 각각의 수평 가이드관(320)에 내입되어 전방으로 출몰되며 단부가 지지대(331)로 연결되는 수평 출몰대(330)와, 각각의 수직지주(120) 후방에서 전방 기초중량체(110)에 수직 입설되며 대항부에는 수직형 가이드공(341)이 형성된 수직 가이드관(340)과, 각각의 수직 가이드관(340)에 내입되어 수직 출몰되며 가이드공(341)과 연통되는 다수단의 중량추 고정홈(351)이 형성된 수직 출몰대(350)와, 각각의 수직 가이드관(340)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 출몰대(350)와 선택 고정력을 가지는 제2 중량조절부(360)와, 각각의 수평 출몰대(330)와 수직 출몰대(350)를 연결하는 견인 와이어(370)로 된 제2 운동부(300);
    양측의 수직지주(120)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대(411)와, 양측 돌출대(411)를 연결하는 수평봉(410)으로 된 제3 운동부(400); 및
    기초 지주부(100)의 사이 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눕거나 앉거나 올라설 수 있는 벤치(5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운동부(200)의 제1 중량조절부(230)는,
    각각의 중량추 설치봉(2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관(231);
    가이드관(23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중량추 설치편(232);
    가이드관(231)을 나삽 관통하여 중량추 설치봉(220)을 가압 고정하는 중량추 고정볼트(233); 및
    상부가 중량추 설치편(232) 자유 회동력을 가지도록 축설되는 중량을 갖는 제1 중량추(234)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1 중량조절부(230)는 각각의 중량추 설치봉(2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하며,
    각각의 중량추 설치봉(220)에는 제1 중량추(234)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눈금(221)이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운동부(200)의 손잡이부(280)는,
    각각의 제1 고정블록(28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연장대(282);
    각각의 손잡이 연장대(282)의 후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조절블록(283);
    각각의 손잡이 조절블록(283)에 수직 관통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285)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손잡이 고정홈(286)이 형성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 조절대(284); 및
    손잡이 조절블록(283)에 나삽되어 어느 하나의 손잡이 고정홈(286)에 끼움 고정되어 수직 조절대(284)의 고정이 가능한 손잡이 고정볼트(287)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운동부(200)의 다리 지지부(290)는,
    수직 연장대(270)가 삽입 관통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는 승강블록(291);
    승강블록(291)에 나삽 및 수직 연장대(270)를 가압하여 승강블록(291)을 고정하는 승강블록 고정볼트(292);
    양측 승강블록(291)을 연결하며, 중간부에는 회전형 마사지롤(293a)이 형성된 원형 연결봉(293);
    각각의 승강블록(291)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리부 연장대(294); 및
    각각의 다리부 연장대(294)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리 지지바(295)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제2 운동부(300)의 제2 중량조절부(360)는,
    수직 가이드관(340)이 관통되어 그 수직 가이드관(34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되며, 상기 수직 출몰대(350)의 중량추 고정홈(351)과 연통되는 핀 삽입공(361a)이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2 중량추(361); 및
    어느 하나의 제2 중량추(361)에 형성된 핀 삽입공(361a)에 삽입되는 한편, 수직 출몰대(350)의 어느 하나의 중량추 고정홈(351)에 삽입되어 제2 중량추(361)를 수직 출몰대(350)에 선택 고정하는 중량추 고정핀(36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제2 운동부(300)의 견인 와이어(370)는,
    일단이 수직 출몰대(3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 출몰대(330)에 연결되어 수평 출몰대(330)의 출몰에 따라 수직 출몰대(350)를 상,하 승강시키게 구성하되,
    견인 와이어(370)는, 수평 출몰대(330)의 후단으로부터 수평 가이드관(320)의 후단에서 수평 가이드관(320) 내측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1 도르래(371)와, 제2 회동블록(3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 도르래(372)와, 수직지주(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도르래(373)와, 수직지주(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4 도르래(374)를 통해 수직 출몰대(350)의 상단에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기구.
KR1020160000519A 2016-01-04 2016-01-04 복합 운동기구 KR10165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19A KR101656355B1 (ko) 2016-01-04 2016-01-04 복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19A KR101656355B1 (ko) 2016-01-04 2016-01-04 복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355B1 true KR101656355B1 (ko) 2016-09-09

Family

ID=5693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19A KR101656355B1 (ko) 2016-01-04 2016-01-04 복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3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84B1 (ko) 2009-03-13 2010-06-21 김선길 복합 벤치프레스
KR20100128466A (ko) * 2009-05-28 2010-12-08 박천문 복합 헬스 운동기구
KR101315519B1 (ko) * 2013-04-20 2013-10-07 이주희 복합 운동기구
KR101361368B1 (ko) * 2012-12-18 2014-02-11 강구종 복합 운동기구
KR101380237B1 (ko) * 2013-10-10 2014-04-01 김기성 몸짱 만들기에 사용되는 다기능 헬스 복합 운동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78393Y1 (ko) 2015-06-03 2015-10-01 장원철 복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84B1 (ko) 2009-03-13 2010-06-21 김선길 복합 벤치프레스
KR20100128466A (ko) * 2009-05-28 2010-12-08 박천문 복합 헬스 운동기구
KR101361368B1 (ko) * 2012-12-18 2014-02-11 강구종 복합 운동기구
KR101315519B1 (ko) * 2013-04-20 2013-10-07 이주희 복합 운동기구
KR101380237B1 (ko) * 2013-10-10 2014-04-01 김기성 몸짱 만들기에 사용되는 다기능 헬스 복합 운동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78393Y1 (ko) 2015-06-03 2015-10-01 장원철 복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6782A (en) Multi-purpose exercise enhancing device
US5492518A (en) Exercise apparatus
US8096930B1 (en) Exercise apparatus adapted to facilitate stand-up crunches
CN110721441A (zh) 一种家用综合训练机
KR101665054B1 (ko) 하체 및 복부 단련용 운동기구
EP2907548B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1656355B1 (ko) 복합 운동기구
CA3191417A1 (en) Arm curl fitness apparatus
CN209092621U (zh) 一种多功能健身车
CN110559600A (zh) 一种多功能健身椅
CN206881023U (zh) 一种新型室外按摩运动器材
CN108905046A (zh) 一种多功能家用健身器材
CN105582644A (zh) 臂力推压练习器
JP3211954U (ja) 脚力トレーニング器具
CN211383672U (zh) 一种家用综合训练机
CN220237690U (zh) 一种体育运动健身装置
CN219023144U (zh) 一种膝-肩-前臂旋转肌群力量训练器械
CN109350919A (zh) 一种多功能健身器材
CN221045407U (zh) 双臂式家用多功能健身器材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CN110038263B (zh) 一种大学体育室内健身器
CN214209317U (zh) 一种多功能可调凳
CN213049175U (zh) 一种家用多功能健身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