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591A -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 Google Patents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591A
KR20170031591A KR1020150141538A KR20150141538A KR20170031591A KR 20170031591 A KR20170031591 A KR 20170031591A KR 1020150141538 A KR1020150141538 A KR 1020150141538A KR 20150141538 A KR20150141538 A KR 20150141538A KR 20170031591 A KR20170031591 A KR 2017003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nkle
support
blood circulation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ublication of KR2017003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적 힘을 이용한 근육운동 기구가 아닌 혈액순환 촉진 연동 기구에 있어서 전체구조를 좌, 우 발판 구조와 이동 구조를 분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체 지지판 중심 부위 앞단에 회전지지대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지지대에 회전축과 동 회전축에 기축을 갖는 수평지지대를 구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대 양단에 구성되는 좌, 우 회전 바퀴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 지지판 후면에 회전대와 연계되어 상, 하 회전 운동을 하는 좌, 우 발판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뒤꿈치를 기축으로 앞발이 상향으로 올리면 종아리 근육이 수축되고 앞발이 아래로 하향 회전하면 이완되므로 이러한 동작을 반복할 시 종아리 근육이 주기적으로 수축 이완이 반복되어 지속적으로 정맥을 펌프 하는 것과 같이 다리 정맥 혈액순환을 도모하고 특히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아파트, 독서실, 사무공간에서 업무를 보면서 동시에 하지 정맥에서 혈액을 상체로 순환시키는 효과를 얻어 정맥의 폐색전증을 예방할 수 있게끔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좌, 우 순차 발목을 연동(連動)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Left-right Sequential Ankles Trainer}
본 발명은 걷는 것과 같은 발목 운동을 유발하여 하지(下肢)로부터 상체로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종래 계단을 올라가는 효과의 스탭터 또는 자전거 페달 구조와 같이 무릎 연골의 근육과 하지 근육을 발달시키는 근육 운동 기구가 아니며
좌, 우 발목을 기축으로 한정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상, 하 60도 각도 이내에서 순차적으로 좌, 우 앞발이 상. 하 방향으로 연동하여 하지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연동 구동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정맥은 동맥처럼 심장박동의 추진력이 없고 특히 다리 정맥혈의 흐름은 발바닥에서 심장으로 중력을 거슬러 올라간다.
이러한 정맥혈은 호흡이나 근육 수축의 힘과 같은 외부의 힘으로 심장 쪽으로 되돌아 가는데 정맥벽에는 판막이라는 것이 곳곳에 있어 혈액이 심장 쪽 한쪽으로만 흐르도록 열리고 거꾸로 흐르면 닫히는 구조로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판막이 고장 나거나 기능이 약해지면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담은 정맥혈이 심장 쪽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다리에 쌓이고 붓고 무겁고 쑤시는 등의 증상을 느끼게 된다.
또한, 비좁은 비행기 좌석에서 오래 앉아 있을 경우 다리 정맥에서 생긴 혈전 때문에 폐 혈관이 막히는 이른바 폐색전증인 이코노미석 증후군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는 도 8의 참고도처럼 하지 정맥(15)에서 하지 움직임이 있어야 펌프 작용에 의해 피가 다리 부분에서 상체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하지 움직임이 없을 경우 정맥의 피 흐름이 정체되고 여기서 혈전이 발생하여 폐 혈관이 막혀 호흡곤란, 실신 등 폐색전증이 발생한다.
종아리를 제2의 심장이라 하며 오래 앉아있으면 혈액이 발끝으로 몰리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발끝으로 내려간 혈액이 다시 올라가지 못하면서 혈관이 늘어난 상태를 하지 정맥류 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자리 걷기 등을 해주는 것이 좋고 꾸준하게 걷는 운동을 해주면 다리 근육을 탄탄하게 해줘 혈관이 늘어나는 하지 정맥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내려간 혈관을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종아리 근육인데 이러한 종아리 근육에 자극을 주는 가장 좋은 운동법이 발목 운동과 걷기 운동이다.
따라서 발목 운동과 걷기 운동이 혼합된 혈액 순환 운동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혈액 순환 운동은 종아리근육을 자극하는 정도 이여야 하고 별도의 물리적 힘이 가해지는 근육운동이 되어서는 안 된다.
즉, 최소 2-3시간 이상 장시간 지속적으로 혈액 순환을 도모해야 하므로 힘이 들어가는 종래 운동기구들은 통상 30분 이상 운동할 경우 체력 소진으로 인해 피로 도가 증가하고 장시간 꾸준히 지속하지 못한다.
종래의 자전거 페달 방식의 운동 기구들은 좌 페달과 우 페달을 360° 회전시키는 운동이므로 운동 반경이 크고, 설치 장소에 제한이 많고 많은 근육운동이 유발되고 프레임 등 보조 구조의 부피가 매우 크다.
종래 스탭퍼 등의 운동기구들은 스프링 또는 가스 쇼바 등 힘을 강제적으로 가압하여 체력을 소모하는 근육 운동이며 오래 할 시 무릎관절에 심각한 장애를 준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장시간 지속적인 혈액 순환 운동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나 가스 쑈바는 장시간 사용 시 열이 발생하고 마모로 인해 소음이 심해 진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3-0014924호는 근육을 단련시키는 근육운동 기구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1-0024755,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5-0021669 는 에어튜브의 강제적인 공기 탄력 반발에 의한 탄성으로 지압을 하는 단순 지압 기기이다.
이건 발명처럼 순차적으로 좌, 우 발을 교차로 연동시키는 기능도 아니며 한번 충전된 공기는 총량적 위치 변동 없이 고정된 내부에서 그대로 물리적 반발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정량 이상의 힘으로 가압해야 하므로 사실상 노약자나 사용자가 체력에 따라 힘을 조정할 수가 없는 단순 에어튜브 위에 지압 장치를 구성한 것에 불과하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10-2014-0101054는 발판스프링 및 등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0117143 와 같은 좌식 하체운동기구는
스프링 구조에 의해 강제적인 힘의 소요가 유발되므로 근육 운동이 유발되고 특히 이에 사용되는 토션 스프링의 구조는 단순히 스프링의 탄성이 주는 반발을 이용한 근육 발달 운동이므로 장시간 사용시 체력적 한계가 수반되며 무릎 연골에 심각한 부담을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 반발에 의한 소음이 상당히 발생하여 사용 장소에 제한이 많았다.
즉,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들은 그 운동의 강도가 스프링, 공기압의 반발 등에 의해 정해진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 구동되는 근육 운동이므로 사용자가 컨디션 또는 체력 정도에 따라 그 운동 강도를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기존의 실내 운동기기들은 모두 물리적인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당한 체력을 소모시키는 근육 발달 운동에 관한 것으로 혈액순환을 못해 다리가 붓는 임신부, 체력운동이 위험한 심장병환자, 무리한 운동력 없이 꾸준한 혈액순환이 요구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사용이 불가능하고 달리 별도의 운동 할 시간이 없는 수험생 및 책상 근무자들에게 혈액을 순환 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14924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20-2001-0024755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4-010105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011714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21669 대한민국 중앙일보 2015. 09, 01일자 (21면) 기사 “하루 5시간 이상 TV보면 폐색전증 위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다리 전체 운동보다도 종아리 근육을 움직여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연동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안으로서 기기 자체가 강제적 힘을 유발하는 구조 없이 부드럽게 연동작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발 뒤꿈치를 기축으로 앞발을 상·하로 구동하되
스프링 및 가스 쇼바 등 별도의 물리적 힘이 요구되는 파워 구조가 없이 좌, 우 발을 좌, 우 순차적으로 교차 구동함으로써 가볍게 걷는 것과 같은 펌프효과에 의해 하지 정맥에서 혈액을 상체로 순환시키는 효과를 유발하고
운동 강도를 사용자의 체력 및 컨디션에 따라 무리하지 않게 자동으로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별도의 조정 기능 없이 체력을 임의 조정 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무릎 연골이나 주변근육에 힘을 주지 않고 마치 가볍게 걷듯이 부드럽게 구동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기 자체가 구동할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정맥류는 장시간 앉아있으면 혈액이 발끝으로 몰리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발끝으로 내려간 혈액이 다시 올라가지 못하므로 해서 발생되는 증상이다.
그러나 내려간 혈액을 올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종아리 근육인데 이러한 종아리 근육에 자극을 주는 가장 좋은 운동법이 발목 운동이다.
이러한 발목 운동은 발 뒤꿈치를 기축(基軸)으로 하여 앞발을 상하 이동하되 한정하지는 않지만 상·하 60도 각도 이내로 구동하게 하며 좌, 우 발을 순차적으로 교차하는 운동하게 한다.
이러한 발목 운동은 펌프효과에 의해 하지 정맥에서 혈액을 상체로 순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체 지지판과 좌, 우 발판구조와 상기, 좌, 우 발판 구조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지지대로 구성되는 좌·우 순차 연동기구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지지대는 회전축(3)과 연계하여 상기 회전축(3)의 좌, 우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수평지지대(4)와
상기 수평지지대(4) 양단에 구비되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 우 바퀴(5, 6)와
상기 좌, 우 바퀴(5, 6)를 상·하 방향으로 30도 이내의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게 하는 상, 하 회전링(7)과
특히 상기 좌, 우 바퀴(5, 6) 상단에 좌, 우 바퀴(5, 6)와 분리하여 구성하되 좌, 우 순차적으로 연동하는 좌, 우 발판(8, 9); 구조로 구성한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수평지지대(4)와 좌, 우바퀴(5, 6)구조를 좌, 우로 분리된 좌, 우 공기 튜프(16R,16L)로 구성하되
상기 좌, 우 공기 튜브(16R, 16L)의 상, 하 방향 중단에 사용자가 발 뒤꿈치를 기축으로 공기 튜브 자체가 상, 하 60도 이내에서 회전하면서 동시에 좌, 우 순차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 곡면 라인(18)을 형성하고
상기 곡면라인(18)이 형성된 좌, 공기 튜브(16L)와 우 공기 튜브((16R) 사이에 경질소재의 공기도과관(17)을 구성하여
상기 좌, 우 지지판(1R, 1L)중 하나를 가압할 시 나머지 하나가 순차적으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발 뒤꿈치를 기축으로 앞발을 상하 이동하되 좌, 우 발을 순차적으로 교차하는 펌프효과에 의해 하지 정맥에서 혈액을 상체로 순환시키는 구조를 제안함에 있다.
또 하나의 방법은 좌, 우 바퀴(5, 6)구조에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상·하 회전 방식을 갖는 스프링구조의 완충 원형 스프링과 결합하여 물리적 탄성을 완충하여 사용자의 체력소모가 없게 하고 구동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제안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2의 (a),(b) 및 도 3의 (b), (c)와 같이 사용자가 좌 발판(8)을 가압할 시 수평지지대(4)의 회전에 의해 우 발판(9)이 연동하여 사각으로 상승하고,
우 발판(9)을 가압할 시 좌 발판(8)이 연동하여 상승하는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좌, 우 발판 (8, 9) 구조의 상, 하 60도 이내 움직임이 순차적으로 자동 연동하게 구성함으로써 마치 편하게 걷는 운동과 같은 효과를 유발한다.
즉 사용자는 발뒤꿈치를 기축으로 앞발의 상, 하 회전 구동이 60도 이내에서 가능하게 함으로서
상기 좌·우 발판(8, 9)이 상향으로 들리면 종아리 근육이 수축되고 좌, 우발판(8, 9)이 하향으로 회전각도로 이동할 시는 종아리 근육이 이완되고 이를 반복하면 하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면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걷기 운동 효과는 좌·우 발판(8, 9)에서 뒤꿈치를 기축으로 앞발이 들어 올려지면 종아리 근육이 수축되고 앞발이 좌·우 발판(8, 9)에서 하향으로 회전하면 종아리 근육이 이완된다.
이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면 종아리 근육이 주기적으로 수축 이완이 반복되는 효과를 얻게 되므로 마치 펌프 효과를 가져와 정맥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발의 상기와 같은 60도 각도 이내의 상, 하 운동은 종아리 근육을 수축하고 이완시키는 작용만 함으로서 별도의 체력을 요하지 않아 장시간 혈액순환운동을 도모할 수 있고 무릎 연골의 영향을 주지 않아 무리를 주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 가스쇼바, 강제적인 공기압 구조와 같은 별도의 강제된 힘의 반발력을 이용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사용자는 가볍게 지속적으로 장시간 연동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좌, 우 연동 작용시 좌·우 발판(8, 9)에 가압하는 힘을 사용자가 임의 조정 함으로써 운동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좌 발판을 누르는 힘은 우 발판에 전달되고 우 발판을 누르는 힘은 좌 발판에 전달하게 하되 별도의 강제된 물리적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체력 수준 컨디션에 따라 운동 힘이 자연스럽게 조정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 하 회전 폭을 작게 구동하면 이에 따라 상·하 회전 작용의 연동작용 구동 폭도 작아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는 편하게 자신의 체력, 컨디션에 맞는 편안한 수준의 걷는 효과를 유발하여 장시간 체력 소모 없이 하지(下肢)의 지속적 혈액 순환을 도모하여 피로 해소와 혈전 방지 및 원기 회복을 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다른 운동 기구들처럼 튜브, 가스 쇼바 공기압의 반발력을 이용하는 힘을 요하지 않으므로 장단지의 근육운동과 무릎 연골의 지장을 피하면서 마치 가볍게 걷듯이 장시간 혈액 순환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좌, 우 발판(8, 9)에 부드러운 탄력소재로 구성된 융기 반구(隆起半球)는 자체 소재의 탄력에 의해 발바닥 용천혈 부분의 지압운동을 하므로 혈액 순환 운동과 병행하므로 그 효과는 배가 된다.
또한, 좌, 우 발판(8, 9)의 순차적 상하 연동(連動)작용이 마찰을 감소하여 매우 부드럽게 연동하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독서실, 사무실, 작업공간, 아파트에서 층간 소음 없이 책상 내부 하단 또는 의자 하단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근육운동이 아닌 혈액순환 연동기구로서 혈액순환을 못해 다리가 붓는 임신부, 체력운동이 위험한 심장병 환자, 무리한 운동력 없이 꾸준한 혈액순환이 요구되는 당뇨병 환자는 물론 달리 운동할 시간이 없는 수험생 및 근무자들에게 공부, 또는 업무를 보면서 동시에 가볍게 걷는 효과로 혈액 순환 효과가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설명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우 발판 가압 시 설명도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좌 발판 가압 시 설명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발판으로 사용 시 설명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우 발판 가압 시 회전축 작용 설명도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좌 발판 가압 시 회전축 작용 설명도
도 4의 (a)는 좌(우)회전 바퀴의 구성설명도
도 4의 (b)는 좌(우)회전 바퀴의 좌·우, 전, 후, 상·하 회전 구조의 설명도
도 5의 (a)는 좌(우)회전 바퀴의 원형 이동시 설명도
도 5의 (b)는 좌(우) 발판의 상·하 원형 회전 설명도
도 5의 (c)는 좌(우)회전 바퀴의 회전 링의 회전 작용 설명도 1
도 5의 (d)는 좌(우)회전 바퀴의 회전 링의 회전 작용 설명도 2
도 6의 (a)는 본 발명을 책상 밑에 설치 사용 시 설명도
도 6의 (b)는 본 발명을 비행기, 열차 등 운송 수단 이용시 사용 설명도
도 6의 (c)는 의자에 앉은 채 사용시 설명도
도 7은 각도 조정장치 사용시 설명도
도 8은 하지 정맥의 혈액 순환 참고도
도 9의 (a)는 발바닥의 용혈 점 설명도
도 9의 (b)는 융기 반구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도 1
도 9의 (c)는 융기 반구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도 2
도 9의 (d)는 융기 반구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도 3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의 예 2에 대한 설명도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의 예 2에 대한 단면 설명도
도 11의 (a)는 실시의 예 2에 대한 구동 설명도 1
도 11의 (b)는 실시의 예 2에 대한 구동 설명도 2
도 11의 (c)는 실시의 예 2에 대한 구동 설명도 3
도 11의 (d)는 실시의 예 2에 대한 구동 설명도 4
도 11의 (e)는 실시의 예 2에 대한 구동 설명도 5
도 11의 (f)는 실시의 예 2에 대한 구동 설명도 6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의 예 3에 대한 구성 및 작동설명도 1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의 예 3에 대한 구성 및 작동설명도 2
도 12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의 예 3의 완충원형 스프링과 회전 바퀴의 결합 설명도
본 발명은 좁은 비행기 좌석, 기차, 버스, 장거리 승차에 탑승한 승객, 책상을 오래 사용하는 근무자, 독서실에서 공부하는 수험생에게 걷기와 같은 발목 운동을 통해 반복적이고 꾸준하게 종아리 근육의 수축 이완 작용을 도모하여 마치 걷는 것과 같은 펌프 효과를 얻는 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혈액순환은 꾸준히 장시간 해야 하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구조 자체가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도면에 의해 하기 실시의 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하부에 파이프 소재 또는 플라스틱 및 금속판 등으로
본체 지지판(1)을 구비하고 본체 지지판(1) 전면 중심에 회전축(3)이 구비된 회전 지지대(2)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축(3)에 수평 지지대(4)를 구비하되 상기 수평 지지대(4)의 중심 부위를 회전축(3)과 연계하여 회전축(3)과 동축(同軸)으로 수평지지대(4)가 상, 하로 회전하게끔 구성한다.
수평지지대(4)의 좌측 단에는 좌 회전바퀴(5)를 우측 단에는 우회전바퀴(6)를 구성한다.
도 2의 (a)와 같이 좌, 우 바퀴(5, 6)와 수평지지대(4)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는 각 각 상, 하로 회전할 수 있는 상, 하 회전링(7)을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 도 2의 (b)와 같이 수평지지대(4) 전단에 좌, 우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7a)을 추가로 구성하여 좌, 우 회전 바퀴(5, 6)가 상, 하. 전, 후. 좌, 우 모든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할 수 있다.
좌, 우 회전 바퀴(5, 6)의 구조 또한 마모성이 강하고 탄성이 풍부하여 이동 시 마찰이 없는 우레탄,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력 소재로 구성하여 구동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부드럽게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다.
도 1. 도 3의(a),(b)와 같이 좌 회전 바퀴(5) 상단에는 좌 발판(7)을, 우 회전 바퀴(6) 상단에는 우 발판(8)을 각각 분리하여 구비한다
좌, 우 발판(7, 8) 후단과 본체 지지판(1) 후단에는 좌, 우 발판(7, 8)이 본체 지지판(1) 후단을 기축으로 상, 하 회전할 수 있는 회전대(10)와 연계한다.
상기 좌·우 발판(7, 8)은 탄력 소재로 구성하고 좌, 우 발판(7, 8) 표면 중심인 소정 위치에 탄력 소재로 표면에서 반구(半球)형태로 돌출하는 융기 반구(11)를 구성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 중 회전요소인 회전축(3)과 수평 지지대(4) 좌, 우 발판(7, 8)의 후면 회전대(10)와 좌, 우 회전 바퀴(5, 6), 회전축 및 수평지지대(4)는 회전 구동 시 부드럽고 소음이 방지되는 베어링과 같은 구조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는 도 7과 같이 본체 지지판(1) 하면 전단에 회전지지대(12)를 구비하고 회전 지지대(12)를 회전하여 세울 시 사용이 편한 각도로 사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시는 회전지지대(12)를 접어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지지대(12)의 회전각도를 임의로 조정하기 위해 회전지지대(12)의 본체 지지판(1) 전면에 각도 조정장치(13)를 형성하여 회전지지대(12)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4의 (a)와 같이 작동을 안 할 시는 좌, 우발 판(8, 9)이 나란히 경사각이 낮은 편안한 발판 구조에서 도 4의 (b)처럼 사용자가 발뒤꿈치를 기축으로 왼발로 좌 발판(7)을 누르면 수평지지대(4)의 좌, 우가 회전하면서 회전축(3)의 기준 하여 반대편인 우 발판(8)을 들어올리게 되고
도 4의 (c)처럼 사용자가 발뒤꿈치를 기축으로 오른쪽 발로 우발판(8)을 누르면 반대편인 좌 발판(7)을 들어올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주는 임의의 자체 힘 만으로 좌·우 발판(7, 8)이 순차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발로 좌 발판(7)을 누르고 우측 발은 힘을 빼면 우발판(8)이 자동으로 올라가고 우 발판(8)을 누르면서 좌측 발에 힘을 빼면 좌 발판(7)이 자동으로 올라간다.
즉, 상기와 같은 운동 효과는 뒤꿈치를 기축으로 앞발이 좌, 우발판(7, 8)에 의해 상향으로 닿으면 종아리 근육이 수축되고 앞발이 하향으로 회전각도로 내려오면 이완되므로 근육이 주기적으로 수축 이완이 반복되어 지속적으로 다리 정맥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좌 발판(7) 또는 우 발판(8)을 순차적으로 누르는 강도대로 반대방향의 좌 발판(7) 또는 우 발판(8)이 같은 강도로 연동되므로 사용자는 연동 운동 강도를 임의 조정하여 마치 도보를 걷는 것처럼 순차적으로 연동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체력. 컨디션에 따라 임의의 힘으로 가볍게 걷는 효과의 연동작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 5의 (a)와 (b)와 같이 좌, 우 발판(8, 9) 하부에서 구동되는 좌, 우측 회전 바퀴(5, 6)가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좌, 우 회전 바퀴(5, 6)를 수평 지지대(4) 좌, 우 양단에 구비되는 상, 하 회전링(7)과 연접하여 좌, 우 회전바퀴 (5, 6)가 전, 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 하 방향으로도 동시에 회전하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지지대(4) 양단을 좌, 우바퀴(5, 6)와 상, 하 회전링(7)으로 이중 구성하고 좌, 우발판(7, 8)과 분리하여 구성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발명이 사용하는 장소는 별도의 운동을 하는 장소가 아닌 아파트의 공부방, 장시간 앉아서 공부하는 독서실, 교실, 오랜 시간 앉아서 업무를 보아야 하는 사무실 등으로 소음이 발생해서는 사용할 수 없는 장소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기가 회전 운동 등 구동하는 마찰 부위에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함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소음을 발생할 소지가 있는 회전 운동은 두 가지이다.
즉 하나의 회전 운동은 도 4의 (a),(b).(c)와 도 5의 (a)와 같이 회전축(3)을 기축으로 수평지지대(4)가 상, 하 방향으로 원형으로 회전하는 회전 작용이고.
또 하나의 회전운동은 도 5의 (b)와 같이 좌·우 발판(8, 9)구조가 회전대(10)를 기축으로 60도 이내에서 작용하는 상, 하 회전운동이다.
상기 두 개의 회전 운동이 하나의 위치에서 접점 되는 위치가 바로 도 3의 (a),(b),(c)와 같이 좌, 우 발판(8, 9) 하면에 좌, 우 회전 바퀴(5, 6)가 접점 되는 M 위치이다.
그런데 이러한 M의 위치는 도 5의 (a)와 같이 좌, 우 회전 바퀴(5, 6)가 회전할 시 a만큼 달라진다.
또한, 도 5의(c)와 같이 좌·우 발판(8, 9)이 회전대(10)를 기축으로 상·하로 회전하는 ∠A만큼 각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달라지는 M 접점의 a의 이동은 좌, 우 회전 바퀴 (5, 6) 좌, 우 이동시 좌, 우 바퀴 (5, 6) 의 회전으로 부드럽게 소음 없이 대응 되게 하고,
M 접점의 ∠A의 각도변화는 상·하 회전링(7)의 상·하 회전 작용에 의해 대응되어 부드럽게 소음 없이 이동되는 것이다.
즉 좌·우 바퀴(5, 6)와 상·하 회전링(7)이 동시에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두 개의 원형 운동에 대한 접점 M이 부드럽게 소음 없이 구동하는 것이다.
도 4와 같이 좌,우바퀴(5, 6)를 좀더 부드럽게 구동시키기 위해 상·하 회전링(7a)에 좌, 우 회전링(7a)을 구성하여 좌·우 회전과 상, 하 회전이 동시에 회전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도 4의 (b)와 (c), (d)와 같이 좌, 우 발판(8, 9)의 상하 회전 운동 각도에 따라 좌, 우 바퀴(5, 6)도 상, 하 회전링(7)에 의해 상, 하로 회전되면서 좌, 우 바퀴(5, 6)가 좌, 우 발판(8, 9) 하부와 밀착되어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탄력 소재로 구성한 좌, 우 바퀴(5, 6)는 이동시 마찰을 감소하여 소음을 줄이고, 부드럽게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좌·우 바퀴(5, 6)가 상·하 운동함에 있어서 바퀴의 많은 면적이 회전하면서 좌·우 발판 (8, 9) 밑에 연접하여야 사용자가 힘이 들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하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상·하 회전링(7)의 상·하 각도의 이동 폭이 과다하면 상기 좌,우 바퀴(5, 6)의 면적이 좌·우 발판(8.9) 하면과 연접되지 않고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회전링(7)의 상·하 회전 폭은 10도 이내가 바람직하며 30도가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0의 (a)와 (b)와 도 11의 (a),(b),(c),(e),(f)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즉 좌·우 발판(8, 9) 하부에 본체 지지판 구조를 좌 지지판(1L), 우지지판(1R)으로 분리하고 그 사이에 좌 공기튜브(16L), 우 공기튜브(16R)를 분리해 구성한다.
상기 좌 공기튜브(16L), 우 공기튜브(16R)의 전면 중앙부위에는 곡면으로 절곡면을 형성한 곡면 라인(18)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우 발판(8, 9)을 교차적으로 누르면 상·하 운동이 되게끔 구성한다.
좌 발판(8)과 좌 지자판(1L)과 좌 공기튜브(16L)로 좌측부분을 구성하고,
우발판(9)과 우지지판(1L)과 우 공기튜브(16R)로 우측부분을 구성하되,
상기 좌 공기튜브(16L)와 우 공기 튜브(16R) 사이에는 공기도과관(17)을 구성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는 좌, 우발판(8, 9)과 좌, 우 지지판(1L, 1R)과 공기도과관(17)을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과 같은 경질구조로 구성하고, 좌, 우 공기튜브(16L, 16R)만 실리콘 고무, 고무, 우레탄과 같이 공기에 대해 연신율이 큰 탄성 소재로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의 예는 실시의 예1 과 같은 논리로 작동하며 같은 목적, 같은 효과를 얻는 것으로서 실시의 예 1의 수평지지대(4)와 좌, 우 바퀴구조 (5, 6) 대신 좌, 우 공기 튜브(16R. 16L)로 대체 구성한 것이다.
도 11의 (a),(b),(c),(d),(e),(f)와 같이 예를 들면 좌 발판(8)과 좌지지판(1R) 한쪽 부분만 눌러 놓고 우 공기튜브(16L)에 공기를 주입해놓으면 도 11의 (a)와 같이 우 공기 튜브(16R)에 공기가 채움으로써. 좌, 우이동 량 만큼의 공기만 채워 사용한다.
사용자는 상기 공기가 채워진 상기 우 공기 튜브(16R) 위에 구성된 우 발판(9)을 발로 누르면 우 공기튜브(16L)의 공기가 공기 도과관(17)을 거쳐 좌 공기튜브(16L)로 이동되고 곡면라인(18)의 작용에 의해 좌발판(8)이 상향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근육운동을 유발할 별도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좌, 발판(8)을 누르면 좌 공기튜브(0에 구성된 곡면라인(18)이 팽창하면서 우 발판(9)이 올라가고 우, 발판(9)을 누르면 곡면라인(18)에 의해 좌 발판(8)이 올라가므로 곡면라인(18)의 구성과 공기가 좌우로 도과하는 도과관의 구성이 공기압을 그대로 이동시키게 하는 구성과 작용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와 같은 실시의 예2의 효과 또한 뒤꿈치를 기축으로 앞발이 좌·우 발판(8, 9)에 의해 상향으로 들리면 종아리 근육이 수축되고 좌,우 발판(8, 9)에 의해 앞발이 하양으로 회전 이동하면 종아리 근육이 이완되므로 이를 반복 시 주기적으로 수축 이완이 반복되어 지속적으로 정맥을 펌프 하는 것과 같이 다리 정맥 혈액 순환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의 상·하 운동이 60도 이내에서 가능하게 각 좌·우 공기튜브(16L,16R) 중단에 좌·우 발판(8, 9)이 앞발이 상하로 운동방향을 갖게끔 앞면이 곡면형태로 구성된 상기 곡면라인(18)과
좌, 우로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하되 이동되는 공기압력에 의해 공기 도과관이 부풀지 않게끔 경질로 구성된 공기도과관(17) 구성이 중요하다.
공기 도과관(17) 외부를 경질로 하는 이유는 가압되는 공기압에 대해 공기 도과관(17)이 확대되지 않고 좌, 우 공기 튜브(16R. 16L)로 상호 공기 이동을 원활히 하게 하기 위함이며 좌 발판(8) 또는 우 발판(9)의 가압 정도에 따라 좌, 우 연동 작용의 구동 힘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소음 없이 가볍게 걷는 것과 같은 혈 액 순환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좌 발판(8)에 의해 가압되는 공기는 공기도과관(17)을 거쳐 우 발판(9)으로 가고 우발판(9)의 공기는 다시 좌 발판(8)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물리적 저항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볍게 걷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통상 걷는 정도의 힘으로 장시간 구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12의 (a)와 같이 좌, 우 발판(6)의 구조는 회전지지대(12)를 기죽으로 상기 본체 지지판(1) 중단 부위에 회전축(3)을 구성한 다음 상기 회전 축(3) 내부로 완충 원형 스프링(19)을 구성하고 완충 원형 스프링(19) 상단에는 좌 바퀴(5) 또는 우바퀴(6)를 구성하고, 완충원형 스프링(19)의 하단 부위는 본체 지지판(1)에 지지하게 구성한다.
12의 (a), 도 12의 (b) 도 12의 (c)와 같이 회전지지대(12)를 기축으로 각각 좌, 우 발판(8)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지지판(1) 중단 부위에 회전축(3)을 구성 한 다음 상기 회전 축(3) 내부로 완충 원형 스프링(19)을 구성하고 완충 원형 스프링(19) 상단에는 좌, 우 바퀴(5)를 구성하고 완충 원형 스프링(19)의 하단 부위는 본체 지지판(1)에 지지하게 구성한다.
도 12의(c)와 같이 이러한 완충원형 스프링(19)구조는 다음과 같이 중 고정부위(19b)는 본체지지판(1)에 고정하고 회전부위(19a)에는 베어링 등에 의한 좌 바퀴(5) 또는 우 바퀴(6)를 구성하고 완충 원형 스프링(19)의 구조 중 원형으로 중첩된 원형 스프링 (19c)의 부분은 스프링 간의 간격을 상호 이격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원형스프링(19c)간의 간격은 좌, 우 발판(8, 9)이 하향될 시 스프링 자체의 탄성을 주는 것이 아니라 원형 스프링(19c)이 감기면서 받은 힘을 완충시킴으로써 부드럽게 상, 하 운동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실시의 예는 도 12의 (a)와 같이 좌, 우 발판(8, 9)에 뒤꿈치(14a)를 회전축(3)을 기축으로 앞발을 누르면 도 12의 (b)와 같이 완충 원형 스프링(19) 상단에 구비된 좌, 우 바퀴(5, 6)가 좌, 우 발판(8, 9) 하부를 타고 회전하면서 하 방향으로 움직이고, 다시 앞발에 힘을 빼면 완충 원형 스프링(19)이 좌, 우 발판(8, 9)을 원위치로 밀어 올림으로써 좌, 우 발판(8, 9) 위의 사용자의 발이 뒤꿈치를 기축으로 상, 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2의 (a), 도 12의 (b)와 같이 좌, 우 발판(8, 9)을 누르면 좌, 우 발판(8, 9)이 완충원형 스프링(19)의 좌, 우 바퀴(5, 6) 부분에 대해 지렛대 작용을 하고 좌, 우 바퀴(5, 6)가 하향할 때 완충원형 스프링(19)의 원형 스프링(19c)의 중첩부분의 간격을 좁혀줌으로써 부드럽게 완충 작용을 하여 스프링 자체의 탄성 반발을 소멸시킨다.
또한 좌, 우 바퀴(5, 6)의 작용 효과는 좌, 우 발판(8, 9)의 바닥 부분과 좌, 우 바퀴(5, 6)의 마찰을 소멸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좌, 우 발판(8, 9)을 연동하는 데에 전혀 스프링의 반발 힘을 받지 않음으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시간 힘 안들이고 소음 없이 혈액 순환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예 1, 2, 3의 회전지지대(3)를 기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좌, 우 앞발의 상, 하 회전 각도는 60도 이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를 벗어나면 발목 인대 등에 무리가 가져와 장시간 펌프 순환 운동을 지속할 수가 없다.
도 9의 (a)처럼 발바닥의 중간 상단 부분에 들어간 부분이 있는데, 이를 용천 혈(11A)이라 한다.
이러한 용천 혈(11a)은 의학적으로 전신의 기운 신경, 혈맥이 한곳에 모이는 혈자리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용천혈은 발바닥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이며 마사지를 하면 전신에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 원기가 회복되어 피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종래 지압관련 제품들은 바닥에 무수히 많은 융기 점을 가늘게 바닥 전면에 무수히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발바닥의 고통을 느끼게 하여 오래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용천혈은 그 부위 전체를 마사지하듯 눌러줘야 효과가 있는 부분으로 종래와 같이 바늘과 같이 눌러서는 전혀 효과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단점을 감안하여 좌, 우 발판(8, 9) 표면에 혈액 순환을 위한 용천혈 부위 전체를 마사지하듯 눌러 줄 수 있게끔 하나의 융기 반구(11)로 구성한다.
이러한 융기 반구는 전체가 반구 형태로 탄력 있는 소재로서 장시간 사용해도 사용자로 하여금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융기 반구(11)의 재질을 실리콘, 고무, 우레탄과 같이 자체 탄성이 높고 부드러운 탄력 소재로 구성하되 그 형태를 도 9의 (c),(b)와 같이 융기 반구(11) 형태로 구성하여 반구의 탄력소재에 발바닥(14) 중 용천혈 부위 전체 부분을 대고 누르면 아주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용천혈에 대한 지압효과가 자체 재질의 탄력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실시의 예1.2, 3에 모두 적용되고 도 9의(b)와 같이 용천혈 부분의 지압운동과 상기 좌, 우 연동 운동에 의한 혈액 순환 운동과 병행할 시 그 효과는 증대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예1.2.3의 예는 모두 회전지지대(2)을 기축으로 사용자의 앞발의 상·하 회전 각도는 한정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상·하 60도 이내로 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각도를 60도 이상으로 할 시는 발목인대의 무리한 인력을 유발하여 무리가 오게 되므로 장시간 혈액순환 연동 운동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의 실시의 예 1, 2.3은 좌, 우 발판(8, 9)과 이에 구성되는 본 발명의 좌, 우의 구성 요소 간격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간격 조정대를 추가 구성하여 좌, 우 발판(8, 9)의 좌, 우 간격을 임의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예 1, 2, 3의 구동 부분에 모터와 연계하여 좌,우발판(8, 9)이 자동적으로 구동하게 하여 힘이 없는 노약자, 임산부, 중환자, 재활운동이 필요한 환자 등이 정맥 혈환 순환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달리 운동할 시간이 없는 수험생 및 책상 근무자, 운동시간이 없는 사용자가 별도의 운동시간을 정하지 않아도 공부 또는 업무를 보거나 작업 중 또는 여행 중이나 TV를 보는 중에도 업무를 보면서 동시에 가볍게 걷는 운동 효과를 주므로 해서 하지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피로 회복, 피로 누적 방지, 폐색전증 방지를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6의 (a)처럼 장시간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는 수험생 또는 사무실 직원 또는 도 6의 (b)와 같이 장시간 좁은 공간에서 여행하는 비행기, 기차, 버스, 승용차 승객 및 혈액순환을 못해 다리가 붓는 임신부, 체력운동이 위험한 심장병환자, 꾸준한 혈액순환이 요구되는 당뇨병 환자에게 무리 없이 혈액 순환 활동이 가능하고
의자에 앉아 일하는 여러 직업사원들이 책상 하부에 설치하고 별도의 운동 시간없이 업무, 또는 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가볍게 걷듯이 혈액순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과와 함께 공부의 집중력, 피로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100. 혈액 순환 구동 장치 1. 본체 지지판 2. 회전지지대 3. 회전축
4. 수평지지대 5. 좌 바퀴 6. 우 바퀴 7. 상, 하 회전링
7a 좌·우 회전링 8. 좌 발판 9. 우 발판 10. 회전대
11. 융기 반구 12. 회전지지대 13. 각도 조정기
14. 발 15. 하지 정맥 16R. 우 공기튜브 16L 좌 공기튜브
17. 공기 도과관 18. 곡면 라인

Claims (6)

  1. 본체 지지판(1)과 좌, 우 발판(8, 9)구조로 구성되는 혈액순환 촉진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 우 발판(8, 9) 구조 하부에 분리되어 구성되는 회전지지대(2);
    상기 회전지지대(2)와 좌, 우 발판 구조(8, 9) 사이에 구성되는 수평지지대(4);와
    상기 수평지지대(4)는 상기 회전지지대(2)의 회전축(3)에 구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대(4) 양단에 구성되어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 하 회전링(7);과
    상기 상·하 회전링(7)에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되는 좌, 우 바퀴(5, 6);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발뒤꿈치를 기축으로 상기 좌·우 발판(8, 9)에 의해 앞발을 상향으로 들리면 종아리 근육이 수축되고 하향으로 내리면 종아리 근육이 이완되는 작용을 반복하여 하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면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구성한 것이 특징인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지지대(4)와 좌, 우바퀴(5, 6)구조를 좌, 우가 분리된 좌, 우 공기 튜브(16R,16L)로 구성하되
    상기 좌, 우 공기 튜브( 16R,16L)의 상, 하 방향 중단에 사용자가 발 뒤꿈치를 기축으로 공기 튜브 자체가 좌, 우 순차적으로 구동하면서 동시에 60도 이내의 각도로 각도로 상, 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곡면 라인(18)을 형성하고
    상기 곡면 라인(18)이 형성된 좌, 공기 튜브(16L)와 우 공기 튜브((16R) 사이에 경질소재로 구성된 공기 도과관(17)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지지판(1) 중단에 회전축(3)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3)에 스프링을 구성하되 일 방은 회전하고 일 방향은 고정되며, 스프링 형태가 원형중첩형태로 구성하되 원형 중첩구조의 스프링 간격은 이격된 형태로 구성된 완충원형스프링(19) 구조에 좌, 우 바퀴 (5, 6)가 결합한 구조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본체 지지판(1) 바닥면 전단에 사용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회전지지대(12)를 구성하여 사용 시 사용 각도를 임의 조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책상 구조와 결합한 것이 특징인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6.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의자 구조와 결합한 것이 특징인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KR1020150141538A 2015-09-11 2015-10-08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KR201700315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91 2015-09-11
KR20150128891 2015-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591A true KR20170031591A (ko) 2017-03-21

Family

ID=5850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538A KR20170031591A (ko) 2015-09-11 2015-10-08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15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1495A (zh) * 2018-08-06 2018-10-19 舒瑜衡 一种腿部按摩器
CN109432713A (zh) * 2018-11-21 2019-03-08 苏州大学附属儿童医院 一种踝泵功能锻炼辅助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669A (ko) 2003-08-25 2005-03-07 (주)이바이오이미지 생체정보 인식 신분조회 시스템 및 신분증 조회단말기
KR20070117143A (ko) 2006-06-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4924A (ko)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KR20140101054A (ko) 2013-02-07 2014-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 반도체 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669A (ko) 2003-08-25 2005-03-07 (주)이바이오이미지 생체정보 인식 신분조회 시스템 및 신분증 조회단말기
KR20070117143A (ko) 2006-06-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4924A (ko)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KR20140101054A (ko) 2013-02-07 2014-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 반도체 소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중앙일보 2015. 09, 01일자 (21면) 기사 "하루 5시간 이상 TV보면 폐색전증 위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1495A (zh) * 2018-08-06 2018-10-19 舒瑜衡 一种腿部按摩器
CN108671495B (zh) * 2018-08-06 2023-12-01 舒瑜衡 一种腿部按摩器
CN109432713A (zh) * 2018-11-21 2019-03-08 苏州大学附属儿童医院 一种踝泵功能锻炼辅助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258145U (zh) 一种康复训练设备以及康复训练系统
JP2992286B2 (ja) 運動装置とその使用方法
KR200494098Y1 (ko) 안마 롤러 구조
CN111672065A (zh) 一种用于偏瘫患者的肢体康复训练器
EP1834620B1 (en) Apparatus for the oscillation of the foot and to activate the blood stream
JP7060350B2 (ja) 下肢血液循環器具
CN103610559A (zh) 伸弯腰腹养生椅
JP6044924B2 (ja) 足首関節運動装置
KR20170031591A (ko)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KR101937482B1 (ko) 보행 재활장치
KR20190029003A (ko) 골반 및 척추 교정을 위한 운동장치
KR20160048458A (ko) 기능성 다리 운동기구
KR102079425B1 (ko) 하지 혈액 순환 기구
CN204364426U (zh) 一种保健智能按摩椅
CN110063873A (zh) 一种多功能的康复训练系统
CN207445130U (zh) 一种康复训练轮椅
RU133416U1 (ru) Реабилитацион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ног
JP4575711B2 (ja) 電動型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3246561U (ja) 健康運動具。
CN215686108U (zh) 一种带脚踏板的办公椅
CN215425869U (zh) 一种脑血管病康复用辅助下肢运动椅
CN109126030A (zh) 一种上肢有氧运动康复器
CN108014454A (zh) 猪鼻子健身瘦腿垫结构及其使用方法
KR101282206B1 (ko) 척추교정기
KR20180046665A (ko) 꺼꾸리 운동장치의 골반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