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482B1 - 보행 재활장치 - Google Patents

보행 재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482B1
KR101937482B1 KR1020170105646A KR20170105646A KR101937482B1 KR 101937482 B1 KR101937482 B1 KR 101937482B1 KR 1020170105646 A KR1020170105646 A KR 1020170105646A KR 20170105646 A KR20170105646 A KR 20170105646A KR 101937482 B1 KR101937482 B1 KR 101937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leg
support
rotary shaft
rot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광원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원메디텍 filed Critical (주)광원메디텍
Priority to KR102017010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이 불편한 환자의 보행을 재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보행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환자의 발을 받쳐주는 발 받침판이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다리 받침부가 다리 받침부의 전방에 위치된 드라이빙부에 포함된 구동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굽혀지며 당겨지고 밀어지며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리 받침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발 받침판이 다리 받침부의 굽힘과 펼침 정도에 따라 굽힘 및 펼침의 조절 가능하여, 환자가 보행 훈련을 할 때 다리의 굽힘과 펼침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발목 관절의 굽힘각을 보행 시와 유사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조절 가능한 효과를 발휘하는 보행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 재활장치{Rehabilitation device for walk training}
본 발명은 보행이 불편한 환자의 보행을 재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보행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환자의 발을 받쳐주는 발 받침판이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다리 받침부가 다리 받침부의 전방에 위치된 드라이빙부에 포함된 구동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굽혀지며 당겨지고 밀어지며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리 받침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발 받침판이 다리 받침부의 굽힘과 펼침 정도에 따라 굽힘 및 펼침의 조절 가능하여, 환자가 보행 훈련을 할 때 다리의 굽힘과 펼침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발목 관절의 굽힘각을 보행 시와 유사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조절 가능한 효과를 발휘하는 보행 재활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단위근력 약화나 수술로 인해 보행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장기간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보행에 필요한 관절과 단위근력이 약화되고 굳어지게 된다. 특히, 골절환자는 골유합을 위해 장기간 깁스를 하거나 고정장치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깁스나 고정장치를 푼 후에는 관절과 전체 골격에 갑작스런 움직임을 주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노화로 인한 보행근력이 약화되어 활동성이 저하된 노인, 단위근력약화로 인해 보행능력이 약화된 사람에게는 지속적으로 단위근력을 증가시켜줄 수 있는 운동이 필요하고 골절로 인해 골유합을 시도해 장기간 움직이지 않은 환자들은 점진적으로 관절을 운동시켜 줌으로서 무리 없이 보행을 시도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보행능력은 고관절과 슬관절 및 발목 관절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향상될 수 있고, 이들 각 관절은 부드러운 물렁뼈로 된 관절막과 근육 및 힘줄로 둘러 싸여 있어 보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재활운동장치는 이들 요소에 효과적인 운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요구된다.
다음은 보행 재활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0072호는 보행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훈련자의 등을 지지하고 하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등받이 프레임과, 훈련자의 다리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수단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훈련자의 각 다리를 지지하는 발받침과, 상기 발받침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발받침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는 스크린 프레임이 훈련자 앞쪽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고, 그 프레임에 스크린이 설치된다. 상기 발받침에 부하를 주는 전자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구동수단은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된 실린더장치이다. 상기 발받침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고 상기 발받침의 하부에 고정된 랙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누운 상태로부터 세워진 상태까지 선택할 수 있으므로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훈련자의 상황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무리하지 않고 훈련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실제 보행과 유사한 보행에 따른 환자의 고관절, 슬관절 및 발목 관절의 굽힘각 변화를 적절하게 조절시켜 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1830호(2003.07.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0072호(2008.01.3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7029호(2014.09.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5884호(2016.08.12.)
본 발명은 보행 재활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보행 재활장치는 단순히 평행봉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환자가 평행봉을 잡고 자신의 몸무게를 팔로 지탱하여 보행 훈련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환자 자신의 의지에 의하여 다리 근육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자는 사용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환자 몸무게의 일부를 지탱시켜주며 보행 훈련을 시키는 하네스 시스템을 이용한 장치는 보행에 따른 환자의 고관절, 슬관절 및 발목 관절의 굽힘각 변화를 적절하게 조절시켜 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사람의 다리와 유사한 형태로 굽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재활로봇은 대부분 다리의 고관절과 슬관절의 굽힘각만을 조절해줄 수 있기 때문에, 보행 자세에 따른 발목 관절의 굽힘각 변화로 인한 발의 처짐을 지지해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대; 상기 구조대의 전방에 구비되고, 회전축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드라이빙부; 상부는 상기 구조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굽힘 및 펼침 가능한 중간부분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되며, 하부에는 발 받침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한 쌍의 다리 받침부;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 재활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는 드라이빙부에 포함된 구동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력을 이용하여 한 쌍의 다리 받침부를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시킬 수 있어서, 실제 보행 시와 유사하게 환자 다리의 자연스러운 굽힘 및 펼침을 훈련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특히, 다리 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된 발 받침판이 다리 받침부의 굽힘 및 펼침 정도에 따라 다리 받침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행 자세에 따른 발목 관절의 굽힘각 변화로 인한 발의 처짐을 적절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의 하네스 지지대가 제외된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의 드라이빙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a,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보행이 불편한 환자의 보행을 재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보행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대(10); 상기 구조대(10)의 전방에 구비되고, 회전축(22)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모터(21)를 구비하는 드라이빙부(20); 상부는 상기 구조대(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굽힘 및 펼침 가능한 중간부분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연결되어 회전축(22)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되며, 하부에는 발 받침판(40)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행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는 거시적으로 구조대(10), 드라이빙부(20) 및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전방”이라 함은 구조대(10)의 전방을 의미함과 동시에, 상기 전방은 환자가 보행 재활장치의 발 받침판(40)에 올라섰을 때 환자의 전방을 의미하고, “후방”이라 함은 상기 전방의 반대쪽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대(10)는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의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구성이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하기의 발 받침판(40)에 올라섰을 때 환자의 몸무게를 지탱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구조대(10)에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에는 보행 재활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캐스터(1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조대(10)는 환자가 내측에 일어선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환자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배치되고, 구조대(10)의 전방에는 하기의 드라이빙부(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이 위치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구조대(10)의 상부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착용한 하네스와 같은 고정 벨트의 상단을 걸 수 있는 하네스 지지대(9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하네스 지지대(90)는 마치 철봉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 중간부분은 구조대(10)의 내측에 위치된 환자의 좌측과 우측을 가로지르며 길이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중간부분에서 하향하며 굽혀진 양쪽 부분은 구조대(10)의 상부에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하네스 지지대(90)의 양쪽 부분 각각과 구조대(10) 상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하네스 지지대(9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부재(10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 승하강부재(100)는 복수 개의 실린더가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중첩되는 구성을 하고, 유압, 공압 또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높낮이 조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대(10)의 후방에는 환자가 보행 재활장치의 발 받침판(40)으로 오르거나 내릴 때 잡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80)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라이빙부(20)는 상기 구조대(10)의 전방에 구비되고, 회전축(22)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모터(2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하기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에 당김력과 밀어냄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 각각을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드라이빙부(20)에 구비된 구동모터(21)는 회전축(22)이 정회전 및 역회전되어,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연결된 하기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를 번갈아가며 당기거나 밀어내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드라이빙부(20)는 하기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 각각에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단일의 드라이빙부(20)에 의한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 모두가 번갈아가며 당기거나 밀어낼 수도 있다. 상기 드라이빙부(2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의 다리 받침부(30)에 관한 설명과 연관하여 다시 하겠다.
또한 상기 다리 받침부(30)는 상부는 상기 구조대(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굽힘 및 펼침 가능한 중간부분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연결되어 회전축(22)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되며, 하부에는 발 받침판(40)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한 쌍의 구성으로서, 환자의 양쪽 다리 각각을 다리 받침부(30)의 발 받침판(4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다리 받침부(30)는 보행 재활장치의 발 받침판(40)에 올라선 환자의 다리를 지지시키며 다리를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상부는 구조대(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하부에는 발 받침판(40)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다리 받침부(30)는 환자의 다리 길이와 유사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구조대(10)의 상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다리 받침부(30)의 상부는 환자의 고관절에 해당하는 부분이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간부분은 환자의 슬관절에 해당하는 부분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다리 받침부(30)의 하부에 구비된 발 받침판(40)과 다리 받침부(30) 하부의 체결부분은 환자의 발목 관절에 해당하는 부분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의 전방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연결되어 회전축(22)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이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성의 다리 받침부(30)는 드라이빙부(20)에 포함된 구동모터(21)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중간부분이 전방으로 당겨지거나 후방으로 밀어내지며 굽힘과 펼침이 반복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다리 받침부(30) 중간부분의 굽힘과 펼침으로 인하여 구조대(10)의 상부에서 다리 받침부(30)의 상부가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다리 받침부(30)의 하부와 발 받침판(40)의 체결부분 역시 굽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 받침부(3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더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부에는 환자의 발을 안착시키는 발 받침판(40)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부의 전방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연결되어 회전축(22)의 정회전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회전축(22)의 역회전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하부 다리 받침대(31) 및;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후방에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부는 구조대(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다리 받침대(32);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다리 받침부(30)는 거시적으로 하부 다리 받침대(31)와 상부 다리 받침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는 환자의 슬관절에서 말목 관절 사이에 해당하는 종아리 부분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하부에는 환자의 발을 안착시키는 발 받침판(40)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부의 전방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연결되어 회전축(22)의 정회전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회전축(22)의 역회전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는 환자의 고관절에서 슬관절 사이에 해당하는 대퇴부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후방에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부는 구조대(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드라이빙부(20)의 구동모터(21) 회전축(22)의 정회전에 의하여 전방이동되는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는 발 받침판(40)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다리가 내딛는 형태로 굽혀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태에서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의 역회전에 의하여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가 후방 이동되면,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는 발 받침판(40)이 다시 원위치로 내림과 동시에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상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다리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환자를 보행 훈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와 발 받침판(40)은 하부 다리 받침대(31)와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연결부분(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굽힘과 펼침 정도에 따라 적절한 굽힘각을 가질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 받침판(40)의 전방과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또는 발 받침판(40)의 전방과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 간의 간격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발 받침판(40)이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발 받침판(40)은 후방이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고, 상기 발 받침판(40)의 전방에는 일정 길이의 견인 로드(70)의 하부가 체결되며, 상기 견인 로드(70)의 상부는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또는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와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구성의 견인 로드(70)는 와이어 또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고, 일정의 길이를 유지하여 발 받침판(40)의 전방과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또는 발 받침판(40)의 전방과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 간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서, 다리 받침부(30)의 굽힘과 펼침에 따라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발 받침판(40)의 굽힘각을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의 굽힘각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일반적으로 발목 관절에 힘이 없어서 보행 훈련 시에 다리를 내딛을 때 발목이 쳐지는 문제가 있는데, 상기 구성의 발 받침판(40)을 다리를 내딛는 동작이 이루어질 때 전방이 들어 올려지는 효과를 발휘하여 환자의 발목 쳐짐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된 핸들(6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들(60)에는 상부는 상기 핸들(60)에 체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 받침판(40)의 전방에 체결되는 상기 견인 로드(70)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핸들(60)은 상기 구성의 견인 로드(70)가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 또는 하부 다리 받침대(31)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전방으로 직선 또는 굴절된 상태로 돌출되어 견인 로드(70)의 상부와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전방 또는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전방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다리 받침부(30)가 굽혀지거나 펼쳐질 때 견인 로드(70)가 다리 받침부(30)의 전방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 핸들(60)은 보행 훈련 중인 환자가 잡을 수 있는 지팡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발 받침판(40)은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면 다양한 형태로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는 발 받침판 지지대(33)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더 고정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 받침판 지지대(33)의 상부에는 상기 발 받침판(40)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발 받침판 지지대(33)의 후방과 상기 발 받침판(40)의 후방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발 받침판 지지대(33)는 발 받침판(4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은 길이를 가지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고, 일정 부분이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발 받침판 지지대(33)의 상부에는 상기 발 받침판(40)이 안착되고, 상기 발 받침판(40)의 후방은 발 받침판 지지대(33)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는 구성을 하여, 다리 받침부(30)의 굽힘과 펼침에 따라 상기 발 받침판 지지대(33)의 후방에서 회전 가능한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구성의 발 받침판 지지대(33)는 발 받침판(40)의 하부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여 발 받침판(40)이 안정적으로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드라이빙부(20)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은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이 왕복이동력으로 전환되어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을 전방으로 당기거나 후방으로 밀 수 있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전방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의 이격 간격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중간부분이 회전축(22)에 체결되는 제1 드라이빙 로드(23); 전방은 상기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후방은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드라이빙 로드(24);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제1 드라이빙 로드(23)는 상기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의 이격 간격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중간부분이 회전축(22)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회전축(22)이 정회전하면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일측은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와 반대로 회전축(22)이 역회전하면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일측은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이동되고 타측은 전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일측은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 중 일측 다리 받침부(30)의 전방쪽에 위치되고,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타측은 타측 다리 받침부(30)의 전방쪽에 위치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드라이빙 로드(24)는 상기 제1 드라이빙 로드(23)와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제2 드라이빙 로드(24)는 전방이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일측과 연결되고 후방이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 중 어느 하나의 하부 다리 받침대(31) 상부 전방과 연결되는 구성을 하고, 다른 하나의 제2 드라이빙 로드(24)는 전방이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타측과 연결되고 후방이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 중 다른 하나의 하부 다리 받침대(31) 상부 전방과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드라이빙 로드(24)는 상기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양쪽 말단과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 각각의 하부 다리 받침대(31) 상부 전방 사이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드라이빙 로드(24)의 전방과 후방 각각은 제1 드라이빙 로드(23) 및 하부 다리 받침대(31) 상부의 전방과 볼 조인트와 같은 연결구 형태로 연결되어,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회전에 대하여 제2 드라이빙 로드(24)가 자연스럽게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가지는 링크 브라켓(5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크 브라켓(5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는 상기 제2 드라이빙 로드(24)의 후방,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및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가 순차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 브라켓(50)은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와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구성임과 동시에, 상기 제2 드라이빙 로드(24)의 전방 이동력 및 후방 이동력을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와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 브라켓(5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정의 길이를 가지며 구성되고, 링크 브라켓(50)의 전방에는 상기 제2 드라이빙 로드(24)의 후방이 연결되고, 제2 드라이빙 로드(24)가 연결된 전방에서 후방으로는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및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가 순차적으로 힌지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구성의 링크 브라켓(5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와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는 제2 드라이빙 로드(24)의 전방 이동하면, 전방 이동하는 링크 브라켓(50)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며 하부 다리 받침대(31)와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연결각이 작아지는 형태로 굽힘각이 형성될 수 있고(발을 내딛는 경우); 상기와 반대로 제2 드라이빙 로드(24)가 후방 이동하면, 후방 이동하는 링크 브라켓(50)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며 하부 다리 받침대(31)와 상부 다리 받침재의 연결각이 커지는 형태로 굽힘각(펼침각)이 형성될 수 있다(내딛은 발을 들이는 경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 브라켓(50)의 최후방에, 상부는 상기 구조대(10)의 상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브라켓(50)의 최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 로드(51)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하여, 상기 링크 브라켓(50),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및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가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할 때, 구조대(10)에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로드(51)는 상부는 상기 구조대(10)의 상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브라켓(50)의 최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는 링크 브라켓(50)을 구조대(10)에 항상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링크 브라켓(50)의 “최후방”이라함은 제2 드라이빙 로드(24)의 후방,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및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링크 브라켓(50)에서,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 하부의 후방에 해당하는 링크 브라켓(50)의 후방 일정부분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 후방에는 환자의 슬관절이 위치되는데,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 후방에 환자의 무릎이 보다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무릎 보호대(12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릎 보호대(120)는 다리 받침부(30)의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일정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릎 보호대(120)는 환자의 다리 길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리 받침부(30) 중간부분의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보행 재활장치는 별도로 마련된 구조체 또는 구조대(10) 중 어느 하나의 구성 일정부분에 구비된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 및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라이빙부(20)에 포함된 구동모터(21)의 정회전 및 역회전 여부조절, 상기 승하강부재(1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와상환자를 보행 훈련시킬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에 관한 구체적인 제어방법 및 작동방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구조대 11 : 캐스터
20 : 드라이빙부 21 : 구동모터
22 : 회전축 23 : 제1 드라이빙 로드
24 : 제2 드라이빙 로드 30 : 다리 받침부
31 : 하부 다리 받침대 32 : 상부 다리 받침대
33 : 발 받침판 지지대 40 : 발 받침판
50 : 링크 브라켓 51 : 지지 로드
60 : 핸들 70 : 견인 로드
80 : 손잡이 90 : 하네스 지지대
100 : 승하강부재 110 : 제어부
120 : 무릎 보호대

Claims (7)

  1. 복수 개의 프레임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대(10);
    상기 구조대(10)의 전방에 구비되고, 회전축(22)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는 구동모터(21)를 구비하는 드라이빙부(20);
    하부에는 환자의 발을 안착시키는 발 받침판(40)의 후방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부의 전방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연결되어 회전축(22)의 정회전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회전축(22)의 역회전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하부 다리 받침대(31)과,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후방에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부는 구조대(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다리 받침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와 상부 다리 받침대가 연결되는 중간 부분이 상기 회전축(22)과 연결되어 회전축(22)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전방 및 후방 이동됨으로써 굽힘과 펼침이 가능한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된 핸들(60);
    상부는 상기 핸들(60)에 체결되고 하부는 상기 발 받침판(40)의 전방에 체결되는 견인 로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22)과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전방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다리 받침부(30)의 이격 간격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중간부분이 회전축(22)에 체결되는 제1 드라이빙 로드(23)와, 전방은 상기 제1 드라이빙 로드(23)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후방은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드라이빙 로드(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가지는 링크 브라켓(5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링크 브라켓(5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는 상기 제2 드라이빙 로드(24)의 후방,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상부 및 상기 상부 다리 받침대(32)의 하부가 순차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브라켓(50)의 최후방에는,
    상부는 상기 구조대(10)의 상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하부는 상기 링크 브라켓(50)의 최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 로드(51)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다리 받침대(31)의 하부에는,
    발 받침판 지지대(33)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더 고정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 받침판 지지대(33)의 상부에는 상기 발 받침판(40)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발 받침판 지지대(33)의 후방과 상기 발 받침판(40)의 후방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장치.
KR1020170105646A 2017-08-21 2017-08-21 보행 재활장치 KR10193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46A KR101937482B1 (ko) 2017-08-21 2017-08-21 보행 재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46A KR101937482B1 (ko) 2017-08-21 2017-08-21 보행 재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482B1 true KR101937482B1 (ko) 2019-01-11

Family

ID=6502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646A KR101937482B1 (ko) 2017-08-21 2017-08-21 보행 재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4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619A (ko) 2019-08-29 2021-03-11 (주)레아테크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KR20230038956A (ko) * 2021-09-13 2023-03-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동력 다리 무게 보상 기반 보행 훈련 장치
CN116077894A (zh) * 2022-10-19 2023-05-09 严晓鸥 一种腿部烧伤康复训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95B1 (ko) 2006-09-20 2008-0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
JP2013180063A (ja) 2012-03-01 2013-09-12 Kyb Co Ltd 歩行補助装置
KR101389311B1 (ko) * 2013-06-26 2014-04-25 박이순 보행 훈련 장치
US20150165265A1 (en) * 2013-12-13 2015-06-18 ALT Innovations LLC Multi-Modal Gait-Based Non-Invasive Therapy Platfo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95B1 (ko) 2006-09-20 2008-0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
JP2013180063A (ja) 2012-03-01 2013-09-12 Kyb Co Ltd 歩行補助装置
KR101389311B1 (ko) * 2013-06-26 2014-04-25 박이순 보행 훈련 장치
US20150165265A1 (en) * 2013-12-13 2015-06-18 ALT Innovations LLC Multi-Modal Gait-Based Non-Invasive Therapy Platfor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619A (ko) 2019-08-29 2021-03-11 (주)레아테크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KR20230038956A (ko) * 2021-09-13 2023-03-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동력 다리 무게 보상 기반 보행 훈련 장치
KR102616592B1 (ko) * 2021-09-13 2023-1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동력 다리 무게 보상 기반 보행 훈련 장치
CN116077894A (zh) * 2022-10-19 2023-05-09 严晓鸥 一种腿部烧伤康复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968B1 (ko)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JP5283282B2 (ja) 歩行補助装置
KR101904468B1 (ko) 와상환자용 보행 재활장치
CN106176143B (zh) 一种多姿态下肢康健训练椅
US6666798B2 (en) Therapeutic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AU2011315313B2 (en) Exercise and gait-training apparatus
US73319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titive motion therapy
KR100436899B1 (ko) 스트레치치료기
US6855098B2 (en) Low-resistance exercise and rehabilitation chair
US8602943B2 (en) Exercise apparatus and a brake mechanism
US20070173380A1 (en) Exercise, rehabilitation and mobilization device for paraplegic and motorically handicapped persons
KR101556851B1 (ko) 하지 운동장치
PT2134308T (pt) Aparelho de exercício para indivíduos com deficiência
KR101937482B1 (ko) 보행 재활장치
JP2021508283A (ja) 医療用歩行器
JP3420546B2 (ja) 下肢運動装置
CN105726264A (zh) 一种康健训练机器人
JP2002200193A (ja) 足腰の屈伸トレーニングする際の補助装置。
JP2007111422A (ja) 椅子
KR101797967B1 (ko) 하지 보조 보행기
JP4802336B2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2008237785A5 (ko)
KR102157321B1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KR102079425B1 (ko) 하지 혈액 순환 기구
KR20170031591A (ko) 좌, 우 순차 발목 연동(連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