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695B1 -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695B1
KR101365695B1 KR1020120023971A KR20120023971A KR101365695B1 KR 101365695 B1 KR101365695 B1 KR 101365695B1 KR 1020120023971 A KR1020120023971 A KR 1020120023971A KR 20120023971 A KR20120023971 A KR 20120023971A KR 101365695 B1 KR101365695 B1 KR 101365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 riding
riding exercise
exercise machine
power sourc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169A (ko
Inventor
유동진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유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진 filed Critical 유동진
Priority to KR102012002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6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jolting substructures

Abstract

사용자가 탈 수 있는 안장부를 구비한 모형을 요동하기 위한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구동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동력원 및 제2 동력원; 상기 제1 및 제2 동력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전후 및 상하로 요동하는 제1 가동부 및 제2 가동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에 양측이 각각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와 연동하는 서포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HORSE RIDING HEALTH MACHINE}
본 발명은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말의 모형을 지지하는 서포팅부를 전후 및 상하 요동이 가능하도록 서포팅부와 연결된 구동부의 일부를 상호 힌지 연결함으로써 구동의 유연함을 극대화하여 실제 말의 모션을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마는 신체의 평형성과 유연성을 길러 올바른 신체의 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이며,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길러주는 정신운동과 동물 애호정신으로 인한 인간애의 희망을 가져다주는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전신운동으로, 허리를 곧게 펴는 자세를 유지하므로 자세교정에 도움이 되고 상하 요동치는 말 위에 앉아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장기에 지속적으로 충격과 진동을 주므로 장 기능 강화에 좋으며 여성이나 학생의 변비 남성들의 전립선 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폐활량 향상과 종아리나 허벅지 등 하체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승마를 하면 상체가 바르게 교정되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정신 집중력과 신체의 리듬감을 기를 수 있으며, 폐활량이 늘어나고 골반이 튼튼해지는 동시에 담력을 키울 수 있으며, 신체 각 부분의 평형감각과 유연성 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다.
이와 같이 승마는 전신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의 사람은 경제적 능력이나 장소와 시간 등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승마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실제 말을 타고 행하는 승마운동을 대신할 수 있는 다양한 승마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승마운동기구는 국내 특허등록 제469645호 및 국내 특허등록 제106486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국내 특허등록 제469645호에 개시된 승마운동기구는 구조가 너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조립 공정은 물론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1064864호에 개시된 승마운동기구는 모션베이스를 전후로 구동할 수 있으나 모션베이스가 소정 길이의 단일프레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장을 상하로 구동하는 모션에 있어서 자연스럽지 못해 전체적으로 실제 말의 모션을 유사하게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가 심플하고, 말의 모형을 지지하는 서포팅부를 전후 및 상하 요동이 가능하도록 서포팅부와 연결된 구동부의 일부를 상호 힌지 연결함으로써 구동의 유연함을 극대화하여 실제 말의 모션을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탈 수 있는 안장부를 구비한 모형을 요동하기 위한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동력원 및 제2 동력원; 상기 제1 및 제2 동력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전후 및 상하로 요동하는 제1 가동부 및 제2 가동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에 양측이 각각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와 연동하는 서포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가동부는 일측이 제1 캠휠을 통해 상기 제1 동력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부는 일측이 제2 캠휠을 통해 상기 제2 동력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동부의 타측과 및 상기 제2 가동부의 타측은 상호 힌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가동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캠휠에 의해 상기 제1 동력원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동력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가동부의 일측은 상기 제2 캠휠에 의해 상기 제2 동력원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동력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동력원의 각 회전축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의 일측은 회전 시작 위치가 각각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동력원의 각 회전축은 동일 회전속도로 구동하거나 상이한 회전속도로 구동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서포팅부는 일측이 제1 힌지축에 의해 제1 가동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힌지축에 의해 제2 가동부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을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형을 지지하는 틸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는 제1 및 제2 힌지축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구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승강시키기 위한 적어도 4개의 승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저면 중앙에 상기 지지프레임과 피봇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4개의 승강부재는 상기 베이스 저면의 4군데 코너부에 각각 1개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 들은 솔레노이드 구조, 공압 구조 및 모터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조를 심플하게 유지하여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서포팅부가 연결된 제1 및 제2 가동부를 상호 힌지 연결함으로써 서포팅부를 상하로 가동할 수 있는 모션을 추가함으로써 전체적인 모션이 실제 말의 모션과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를 기마로봇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가동부와 제1 및 제2 캠휠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축의 회전 시작 위치 및 회전방향에 대한 서로 다른 설정 예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8은 베이스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다수의 승강부재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100)는 지지프레임(1)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지지프레임(1)은 하부프레임(3) 상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프레임(3)은 기마로봇을 이동 및 고정 설치하기 위해 저면에 다수의 휠(5)과 고정부재(7)를 구비한다.
또한,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100)는 말 형상의 모형(9)을 상하좌우로 요동시키기 위해 모형(9)의 내측에서 모형(9)을 지지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모형(9)은 몸통(9a), 목(9b), 및 머리(9c)가 힌지 가능한 한 쌍의 연결로드(10,11)에 의해 각각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동장치(100)는 베이스(110), 제1 및 제2 동력원(120,130), 제1 및 제2 가동부(140,150), 서포팅부(160) 및 틸팅부재(167)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지지프레임(1)의 상판(1a, 도 1 참조) 위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프론트부 및 리어부에 각각 제1 및 제2 동력원(120,130)이 설치된다.
제1 동력원(120)은 제1 가동부(140)가 전후 및 상하로 요동할 수 있도록 제1 가동부(140)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1 동력원(120)은 모터(121)와 감속기(123)를 포함한다.
모터(121)는 베이스(110)의 프론트부에 하향 설치된 모터장착부(122)에 고정 설치된다. 감속기(123)는 모터장착부(122)의 상측에 설치되며, 모터(121)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감속하여 이렇게 감속된 구동력을 제1 캠휠(147)로 전달한다.
상기 감속기(123)는 좌측 및 우측으로 양단이 돌출되는 회전축(127)을 구비한다. 이 경우 회전축(127)의 양단에는 각각 제1 캠휠(147)의 중심이 결합된다. 회전축(127)의 우측 단에 설치되는 제1 캠휠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축(127)의 좌측 단에 설치되는 제1 캠휠(147)와 대칭으로 설치된다.
제2 동력원(130)은 제2 가동부(140)가 전후 및 상하 요동할 수 있도록 제2 가동부(150)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2 동력원(130)은 제1 동력원(130)과 마찬가지로 모터(131)와 감속기(133)를 포함한다.
모터(131)는 베이스(110)의 리어부에 하향 설치된 모터장착부(132)에 고정 설치된다. 감속기(133)는 모터장착부(132)의 상측에 설치되며, 모터(131)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감속하여 이렇게 감속된 구동력을 제2 캠휠(157)로 전달한다.
상기 감속기(133)는 좌측 및 우측으로 양단이 돌출되는 회전축(137)을 구비하고, 회전축(137)의 양단에는 각각 제2 캠휠(157,158)의 중심이 결합된다.
상술한 제1 및 제2 동력원(120,130)의 각 모터(121,131)는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하거나 상이하게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모터(121,1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각 감속기(123,133)의 회전축(127,137)의 회전속도의 경우에도 동일 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감속기(123,133)의 회전축(127,137)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캠휠(147;157,158)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구동력을 제1 및 제2 가동부(140,150)에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가동부(140,150)로 서로 다른 속도의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모형(9)을 지지하는 서포팅부(160)를 전후 및 상하 자재로 다양한 모션(말의 움직이는 속도와 동작에 따른 모션 즉, 평보, 경속보, 좌속보, 구보 및 습보와, 장애물을 뛰어 넘을 때 모션 즉, 점핑, 더블, 트리플 등)을 연출할 수 있다.
제1 가동부(140)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143,144)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연결프레임(145)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보조프레임(143,144)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 일단에 각각 하향 결합되며, 한 쌍의 연결핀(147a)에 의해 한 쌍의 제1 캠휠(147)의 일측과 상호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상기 연결핀(147a)은 감속기(123)의 회전축(127)과 편심되도록 회전축(127)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보조프레임(143,144)과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은 제1 캠휠(147)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전후 및 상하 요동하게 된다.
제2 가동부(150)는 제1 가동부(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가동부(150)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51,152) 및 한 쌍의 보조프레임(153,154)을 구비한다.
한 쌍의 메인프레임(151,152)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연결프레임(155)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한 쌍의 메인프레임(151,152)은 제1 가동부(140)의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과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가동부(140)의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과 제2 가동부(150)의 한 쌍의 메인프레임(151,152)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 경우 좀 더 다양한 기마로봇의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153,154) 한 쌍의 메인프레임(151,152) 일단에 각각 하향 결합되며, 한 쌍의 연결핀(157a,158a)에 의해 한 쌍의 제1 캠휠(157,158)의 일측과 상호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가동부(14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상기 연결핀(157a,158a)은 감속기(133)의 회전축(137)과 편심되도록 회전축(137)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설정된다.
상술한 제1 가동부(140)의 메인프레임(141,142)과 제2 가동부(150)의 메인프레임(151,152)은 타단이 연결축(H)에 의해 상호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서포팅부(160)는 연결프레임(161), 제1 및 제2 힌지축(163,164), 하우징(165) 및 틸팅부재(167)를 포함한다.
연결프레임(161)은 일측 상단부가 제1 힌지축(163)에 의해 제1 가동부(140)의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 상단부가 제2 힌지축(164)에 의해 제2 가동부(150)의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에 힌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서포팅부(140)는 제1 및 제2 가동부(140,150)와 연동하여 전후 및 상하 요동하게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51)에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축(163,164)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구멍(141a,151a)이 형성된다. 제1 힌지구멍(141a)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141,142)의 상호 연결부분이 상하로 절곡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우징(165)은 연결프레임(161)의 일부와 연결됨과 동시에 연결프레임(161)을 감싼다. 상기 하우징(165)은 틸팅부재(167)의 설치장소를 제공한다.
틸팅부재(167)는 하우징(165) 상부에 설치되며, 모형(9) 내측 일부에 고정 결합되는 틸팅플레이트(167a)와 틸팅축(167b)을 포함한다. 틸팅플레이트(167a)는 틸팅축(167b)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틸팅된다. 틸팅축(167b)은 모터(169, 도 1 참조)에 의해 일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반복하여 회전 구동된다. 이 경우 틸팅축(167b)은, 도 4와 같이, 틸팅플레이트(167a)의 저면에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홀더(167c,167d)에 고정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하우징(165)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홀더(165a,165b)에 힌지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에 따라 모형(9)은 틸팅플레이트(167a)의 틸팅 동작에 의해 좌우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다. 이러한 모형(9)의 틸팅 동작은 서포팅부(167)의 전후 및 상하 요동 작동과 결합하여, 모형(9)에 올라타고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말을 타고 있는 기마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100)의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100)는 제1 및 제2 동력원(120,130)을 작동시켜 최종적으로 모형(9)이 전후 및 상하로 요동시키고, 이와 함께 틸팅부재(167)의 모터(169)를 작동시켜 모형(9)을 좌우로 틸팅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요동 및 틸팅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하기에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 동력원(120,130)의 각 모터(121,131)를 구동하면 각 감속기(123,133)의 회전축(127,137)이 회전하고, 각 회전축(127,137)에 의해 제1 및 제2 캠휠(147;157,158)이 회전 구동한다.
제1 및 제2 가동부(120,130)는 제1 및 제2 캠휠(147;157,158)의 회전 시 각 캠힐(147;157,158)을 중심으로부터 회전하는 연결핀(147a;157a,158a)에 의해 제1 및 제2 가동부(120,130)의 한 쌍의 보조프레임(143,144;153,154)이 회전하면서 전후 및 상하로 요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120,130)의 요동에 따라 서포팅부(16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하로 반복해서 요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캠휠(147;157,158)의 일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연결핀(147a;157a,158a)은 회전 시작 위치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팅부(160)가 상하로 요동할 때, 틸팅부재(167)도 함께 동작할 수 있다. 틸팅부재(167)의 틸팅플레이트(167a)는 모터(169)의 구동에 따라 틸팅축(167b)을 중심으로 좌우로 번갈아 틸팅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모형(9)에 올라탄 사용자는 다양한 모션, 바람직하게는 실제 말이 구현할 수 있는 모션을 체험함으로써 효율적인 승마 연습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각 모터(121,131)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도 7과 같이 회전방향을 반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모터(121,131)의 회전속도를 동일 또는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모터(121,13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함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모터(121,131)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제어를 통해 말이 행할 수 있는 다양한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감속기(123,133)의 회전축(127,137)은 각 모터(121,13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또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및 제2 캠휠(147;157,158)의 일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핀(147a;157a,158a)의 회전 시작 위치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110)의 하부에 소정 넓이의 사각형 플레이트(200)를 결합하고, 상기 플레이트(200)와 지지프레임(1)의 상판(1a) 사이에 피봇부재(230)를 설치한다. 상기 피봇부재(230)는 대략 플레이트(200)와 상판(1a)의 중앙에 배치된다. 또한, 플레이트(200)의 4군데 코너부와 상판(1a) 사이에 신축 가능한 승강부재(210)를 설치한다.
상기 4개의 승강부재(210)는 플레이트(200)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승강시키기 위한 구조 예를 들면, 통상의 솔레노이드 구조, 통상의 실린더를 이용한 공압 구조 및 모터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승강부재(210)를 작동시키는 경우, 베이스(110)가 피봇부재(230)에 의해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으로 번갈아 소정 각도 경사지면서 자연스럽게 말의 워킹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형(6)에 올라탄 사용자는 실제 말을 타고 있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운동용 구동장치는 승마운동을 위한 통상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지지프레임 3: 하부프레임
5: 휠 7: 고정부재
9: 모형 10,11: 연결로드
110: 베이스 120: 제1 동력원
121,131: 모터 122,132: 모터장착부
123,133: 감속기 127,137: 회전축
130: 제2 동력원 140: 제1 가동부
141,142,151,152: 메인프레임 143,144,153,154: 보조프레임
147: 제1 캠휠 147a,157a,158a: 연결핀
150: 제2 가동부 157,158: 제2 캠휠
160: 서포팅부 161: 연결프레임
163: 제1 힌지축 164: 제2 힌지축
165: 하우징 167: 틸팅부재
167a: 틸팅플레이트 167b: 틸팅축
167c,167d: 홀더 170: 틸팅부
200: 플레이트 210: 승강부재
230: 피봇부재

Claims (11)

  1. 사용자가 탈 수 있는 안장부를 구비한 모형을 요동하기 위한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동력원 및 제2 동력원;
    상기 제1 및 제2 동력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전후 및 상하로 요동하는 제1 가동부 및 제2 가동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에 양측이 각각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와 연동하는 서포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는 일측이 제1 캠휠을 통해 상기 제1 동력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부는 일측이 제2 캠휠을 통해 상기 제2 동력원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동부의 타측과 및 상기 제2 가동부의 타측은 상호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캠휠에 의해 상기 제1 동력원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동력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가동부의 일측은 상기 제2 캠휠에 의해 상기 제2 동력원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동력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력원의 각 회전축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의 일측은 회전 시작 위치가 각각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동력원의 각 회전축은 동일 회전속도로 구동하거나 상이한 회전속도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부는
    일측이 제1 힌지축에 의해 제1 가동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힌지축에 의해 제2 가동부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을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형을 지지하는 틸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동부는 제1 및 제2 힌지축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구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승강시키기 위한 적어도 4개의 승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저면 중앙에 상기 지지프레임과 피봇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4개의 승강부재는 상기 베이스 저면의 4군데 코너부에 각각 1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 들은 솔레노이드 구조, 공압 구조 및 모터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KR1020120023971A 2012-03-08 2012-03-08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KR10136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971A KR101365695B1 (ko) 2012-03-08 2012-03-08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971A KR101365695B1 (ko) 2012-03-08 2012-03-08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169A KR20120040169A (ko) 2012-04-26
KR101365695B1 true KR101365695B1 (ko) 2014-02-20

Family

ID=4614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971A KR101365695B1 (ko) 2012-03-08 2012-03-08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20B1 (ko) * 2013-03-19 2014-11-03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4618B1 (ko) * 2014-12-26 2015-04-23 주식회사 라이더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KR101514617B1 (ko) * 2014-12-26 2015-04-23 주식회사 라이더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222A (ko) * 2005-07-18 2007-01-24 박진한 승마형 운동기구
JP3132137U (ja) 2007-03-16 2007-05-31 耿男 紀 乗馬型運動器具
KR20090002684U (ko) * 2007-09-13 2009-03-18 퍼니존(주)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200455457Y1 (ko) * 2009-09-09 2011-09-07 이종인 유희용 말을 이용한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222A (ko) * 2005-07-18 2007-01-24 박진한 승마형 운동기구
JP3132137U (ja) 2007-03-16 2007-05-31 耿男 紀 乗馬型運動器具
KR20090002684U (ko) * 2007-09-13 2009-03-18 퍼니존(주)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200455457Y1 (ko) * 2009-09-09 2011-09-07 이종인 유희용 말을 이용한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169A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5532C (zh) 骑马运动装置
EP1884266B1 (en) Balance practicing machine
JP4483815B2 (ja) 揺動型運動装置
JP388546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CN105965514A (zh) 仿生液压四足机器恐龙结构
KR101365695B1 (ko)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CN105209131B (zh) 具有横摆控制的侧向滑移椭圆训练机
MX2007010150A (es) Aparato estimulador del cuerpo con una placa oscilante para pies.
JP2001286578A5 (ko)
KR101051566B1 (ko) 요동형 운동 장치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JP3885819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1330854B1 (ko) 승마 운동기구의 비월장치
CN205085973U (zh) 游戏机器人
JP3983267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0428741Y1 (ko) 요동식 다이어트장치
CN202459977U (zh) 一种可仿地型偏摆车身的健身自行车
KR101161608B1 (ko) 승마 시뮬레이터
KR10136614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JP2530676Y2 (ja) 娯楽用乗物装置
CN216994620U (zh) 仿生四足行走机器人
KR102428156B1 (ko) 승마 시뮬레이터에 모션 고도화를 위한 장치
CN215043244U (zh) 一种双足行走机器人
CN217724552U (zh) 一种虚拟骑马载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