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684U -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684U
KR20090002684U KR2020070015284U KR20070015284U KR20090002684U KR 20090002684 U KR20090002684 U KR 20090002684U KR 2020070015284 U KR2020070015284 U KR 2020070015284U KR 20070015284 U KR20070015284 U KR 20070015284U KR 20090002684 U KR20090002684 U KR 200900026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ing
support
movable plate
exercise equipment
typ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147Y1 (ko
Inventor
문대선
Original Assignee
퍼니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니존(주) filed Critical 퍼니존(주)
Priority to KR2020070015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14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1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6Athletics, e.g. track-and-field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에 착석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외부로부터 전원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원스위치가 구비되어 승강 운동되는 몸체; 상기 전원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승마자가 탑승하는 상기 몸체를 승강운동시키기 위해 몸체 내부나 하단에 설치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및 회로 등이 내장된 마이컴이 구비되어 각부와 연결설치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착석부 전방에 승마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안전손잡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착석부의 전방 양쪽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체결과 분리가 자유로운 안전벨트가 설치하여 안전한 승마운동을 즐길수 있도록 하고, 구동장치의 내부에는 충격흡수스프링을 설치하여 승마자는 물론 각 장치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운동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승마형 운동기구, 안전벨트, 안전손잡이, 구동장치, 몸체, 충격흡수스프링

Description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which to increase safety}
본 고안은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락 및 운동용으로 제작되어 말을 타는 느낌을 갖도록 제공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있어서, 운동기구에 올라탄 이용자가 운동기구 이용시 낙마로 인한 사고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의 상단 전방에 안전손잡이는 물론 안전벨트를 설치하고, 구동장치에 충격흡수스프링을 설치하여 부드러운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웰빙(Well-being; 참살이)수단으로 다양한 운동기구 및 오락기구, 또는 이들을 결합시킨 형태의 운동기구가 다수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본 고안이 속하는 승마형 운동기구는 종래에는 특정계층에 국한되어 특정한 장소에서만이 즐길 수 있었던 승마를 누구나 쉽게 이용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운동기구이다.
승마를 본떠 만들어진 이러한 승마형 운동기구는 단순한 승마개념에서 탈피하여 각종 전자기기를 접목하여 운동은 물론 게임까지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발 보급되고 있다.
종래에 보급되고 있는 통상의 승마형 운동기구는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및 요동치는 몸체에 이용자가 올라타 전후 및 좌우로 요동하는 운동기구의 메커니즘을 통해 몸의 균형과 신체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승마형 운동기구는 단순한 승강 및 요동 운동을 통해 이용자에게 말을 탄 느낌을 전달하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승마형 운동기구에 올라탄 이용자의 안전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면이 많았다.
즉, 승마형 운동기구를 이용하기 위해 운동기구의 몸체에 올라탄 이용자는 실제 승마와 동일한 느낌을 갖도록 동작되는 운동기구의 요동에 의해 쉽게 균형을 잃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해 이용자가 운동기구에서 몸의 균형을 잃고 낙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될 위험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 개발된 승마형 운동기구의 경우, 그 요동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저속에서 고속으로 이동할수록 운동기구의 빠른 움직임에 적응하지 못한 이용자는 승마형 운동기구에서 몸의 균형을 잃기가 쉬워 더욱 낙마 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또한, 운동기구의 몸체 승강운동을 담당하는 구동장치가 기구적인 메커니즘 에 의해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설계되어 있을지라도, 몸체에 이용자가 탑승하게 되면 승마자의 체중이 구동메커니즘에 그대로 전달되고 구동메커니즘에 전달된 하중은 그대로 승마자에게 다시 충격력으로 되돌아오게 되어 승마자가 운동시에 운동기구의 충격력으로 인해 안락감을 느끼기가 다소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승마형 운동기구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승마형 운동기구 이용자가 몸체에 올라타서 승마운동을 즐길 때 몸의 균형을 잃고 낙마하여 다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승마형 운동기구를 이용할 때, 요동치는 운동기구로부터 발생한 충격이 승마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부드러운 느낌으로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는 상면에 착석부가 구비되고, 어느 일측면에 외부로부터 전원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원스위치가 구비되어 승강 운동되는 몸체; 상기 전원스위치의 턴온 조작에 의해 승마자가 탑승하는 상기 몸체를 승강운동시키기 위해 몸체 내부나 하단에 설치되는 구동장치; 소정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이 구비되어 상기 전원스위치의 턴온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각부와 연결설치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승마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안전손잡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착석부의 전방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체결과 분리가 자유로운 안전벨트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체에는 승마자가 직접 조작하여 몸체의 승강속도와 운동패턴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제어부와 연결된 조작부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일정 높이의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대해 지지대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와 받침대 사이에는 지지대를 통해 받침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장치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내측에는 구동장치의 동작으로 승강되는 몸체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충격흡수스프링이 설치된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는 몸체에 탑승한 승마자가 승마운동시 착석부 전방에 설치된 안전손잡이를 잡고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어 몸체의 승강 및 요동시에 승마자가 낙마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착석부 일측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어 승마형 운동기구를 이용할 때 이용자가 설치된 안전벨트를 자신의 몸 뒷쪽으로 둘러서 승마기구의 상하 및 전후 요동시에 착석부에서 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승마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장치의 동작으로 승강운동하는 몸체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이 구성 각부나 승마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동장치의 내부에 충격흡수스프링이 설치되어 효과적인 충격 완충이나 충격흡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승마자는 부드러운 느낌으로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승마운동기구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7-0002983호(출원일: 2007.02.21)의 승마형 운동기구를 기본구성으로 하면서 승마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추가적인 기술구성을 부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는 통상적으로 승마형 운동기구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전기 및 전자적인 기술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의 특징부를 위주를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A)의 특징부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의 승마형 운동기구(A)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A)는 받침대(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 지지대(20)가 고정 설치되고, 이 지지대(20)의 상단에는 승마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안장이 구비된 착석부(32)와 고삐(31) 및 외부로부터 운동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도시 생략) 등이 구비된 몸체(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30)의 상하 승강 및 좌우 요동을 일으키는 구동장치(40)가 설치되며, 몸체(30)의 외측면에는 승마형 운동기구의 조작명령을 입력하여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도시생략)가 전원스위치와 별도로 또는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장치(40)가 첨부된 도면과 같이 몸체(30)의 내측에 설치된 실시예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몸체(30)와 지지대(20)의 연결구조 등을 감안하여 몸체 외측이나 지지대 하단으로도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몸체(30)의 내측에는 상기 전원스위치나 조작부의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제어부(도시생략)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제어부에는 소정의 전기적인 회로와 프로그램 등이 입력된 마이컴이 구비되어 구동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스위치나 조작부 및 구동 제어부 등과 같은 전기 전자적인 기본 구성 등은 통상의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기본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A)의 일특징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승마자가 탑승하는 몸체(30)의 전방에는 승마자가 착석부(36)에 올라타거나 또는 착석부에 앉아 승마운동을 할 때 신체균형 유지와 낙마를 예방할 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안전손잡이(32)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0)의 상면 착석부(36)의 전방 양쪽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체결과 분리가 자유로운 안전벨트(34)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손잡이(32)는 착석부(36)의 전방 상단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말 모형의 몸체(30)에 올라탄 승마자가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피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되어 승마운동시에 승마자의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그 충격력을 흡수하여 이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34)는 통상 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태의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져, 몸체(30)의 일측단에 고정 설치된 길이조절이 가능한 고정훅크와 그 반대측단에 고정되어 고정훅크가 끼움 결합되는 고정클립으로 구성되어, 착석부(36)에 탑승한 승마자가 자신의 등 뒤쪽을 감싸도록 안전벨트를 둘러메어 몸체(30)의 요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A)의 다른 특징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장치(40)에 승마자의 안락감을 향상과 구동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몸체(30)의 승강운동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화하거나 불쾌감 등을 해소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동작되는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충격흡수스프링(70)이 복수개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에서 몸체(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몸체의 승강운동을 일으키는 상기 구동장치(40)의 상세한 구성 설명을 위해, 도 3 및 도 4에 구동장치의 발췌사시도와 배면도(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몸체(3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상기 구동장치(40)는 하단부가 지지대(20)와 결합되어 지지대(20)의 상단에서 몸체(30)만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단에 지지대(20)와 고정 결합되는 받침판(50)와, 상기 받침판(50)의 상면에서 움직임이 발생되는 가동판(52)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장치(40)는 지지대(2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전체 구동장치를 받쳐주는 받침판(50)과, 상기 받침판(50)의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몸체(30)의 승강운동을 일으키는 가동판(52) 및 상기 받침판(50)과 가동판(52)의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기 위해 설치되는 충격흡수스프링(70)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판(50)은 가동판(52)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가동판(52)에는 몸체(30)의 상하 및 전후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복수의 구동요소 가 일련의 동력전달메커즘에 의해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일정 크기의 평판재로 이루어진 상기 가동판(52)의 상면 중앙부에는 외부에서 인입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모터(54)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54)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동판(52)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5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축(41)이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축(41)의 양단에는 원형의 회전판(42a)(42b)이 결합되어 있어 회전축(4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41)의 중앙부에는 상기 구동모터(54)의 회전축 선단부에 구비된 구동베벨기어(55)와 결합되어 구동모터(5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베벨기어(56)가 설치되며, 일측 회전판의 안쪽 제1회전축(41)상에는 제1회전축(41)의 회전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제1체인기어(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41)과 대향되는 가동판(52) 상면의 타측에는 상기 제1체인기어(46)에 연결된 체인(46a)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체인기어(47)가 구비된 제2회전축(43)이 설치되며, 제2회전축(43)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체인기어(47)로 전달받은 회전력을 또 다른 동력전달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제3체인기어(48)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축(43)의 전방에는 양단에 회전판(44a)(44b)이 구비된 제3회전축(45)이 설치되어지되, 제3회전축(45)의 중앙부에는 전자클러치(49a)가 설치되고 이 전자클러치(49a)의 일측에는 상기 제2회전축(43)의 제3체인기어(4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되 전자클러치(49a)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제3회전 축(45)을 회전시키는 제4체인기어(49)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클러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54)와 제1회전축(41), 제2회전축(43) 및 제3회전축(45)이 결합구성된 가동판(52)의 상방에는 상기 각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몸체(30)를 승강 및 요동시킬 수 있도록 몸체(30)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사각틀 모양의 프레임(60)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60)에는 가동판(52)의 상방에서 상기 각 구동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각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전후단 양측 하단으로 전방회동대(62)와 후방회동대(6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후방회동대(64)의 경우, 그 상단은 프레임(60)의 후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그 하단은 상기 제1회전축(41)의 양단에 구비된 원형의 회전판(42a)(42b)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힌지 고정되어 프레임(60)의 후단이 제1회전축(41)의 회전에 따른 회전판(42a)(42b)의 회전시 상하 및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회동대(62)의 경우, 그 상단은 프레임(60)의 전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그 하단은 제2회전축(43)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대(63)의 타측단과 힌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방회동대(62)와 후방회동대(64)에 의해 프레임(60)의 전·후단이 가동판(52)에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축(41)(43)과 연결되어 그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판(52)의 경우 일측은 상기 받침판(50)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은 제3회전축(45)의 양단에 구비된 회전판(44a)(44b)에 편심되도록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받침판(50)에 힌지 고정된 일정 높이의 승강대(6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지지대(20)의 상단에 구비되는 받침판(50)과 가동판(52) 및 구동장치(40)와 프레임(60)의 설치구조가 도 4의 측면도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동판(52)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 회전축(41)(43)(45)들은 소정의 축받이(부호 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50)과 가동판(52)의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 형상의 충격흡수스프링(70)이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지지대(20)의 상단에 설치된 구동장치(40)의 승강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몸체(30)의 전후 및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에는 소정의 완충장치(80)가 추가로 구비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된 완충장치(80)는 지지대(20)의 저면과 받침대(10)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대(20)의 상단 몸체(30)에서 발생된 승마운동기구의 진동이 하단 받침대(10)에 전달되어질 때, 그 충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승마운동기구의 각 부위의 내구성 향상과 소음발생 등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장치(80)는 지지대(20)의 하단부와 일체로 결합된 일정 크기의 이동판(81)과, 상기 이동판(81)이 받침대(10)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이동판(81)의 저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리니어베어 링(82)이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83)이 받침대(1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83)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판(81)이 멈춤시에 그 충격이 완화되면서 이동이 제한되도록 충격흡수성능이 우수한 탄성재로 이루어진 완충루버(85)가 상기 받침대(10)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83)이 설치된 전후측 중앙부에는 받침대(10)의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내부에 작동유체가 포함된 완충실린더(86)가 일정 길이의 로드 선단부에 결합되어 이동판(81)의 저면에 설치됨으로써 이동판(81)의 전후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대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완충실린더(86)가 끼워져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판(81)의 저면 전후측에는 일정 깊이의 오목홈이 가공되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 도 6의 사용상태도를 참고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승마형 운동기구의 경우, 몸체의 외측에 전원스위치와, 속도조절 및 승강운동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와,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스위치나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명령에 따라 구동장치에 구동에 필요한 명령을 수행하는 구동제어부가 구비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주변기술의 구성이나 동작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로 충분히 실시가능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승마자가 올라타는 몸체(30)는 말 모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그 하단에 설치되는 구동장치(40),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레임(60)의 움직임에 따라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프레임(60)은 가동판(52)에 설치된 복수의 회전축(41)(43)(45)에 따라 전후 및 상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승마자가 탑승한 몸체(30)를 동작시키는 근원은 구동장치(40)의 가동판(52)에 설치된 각 구동요소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하에서는 가동판(52)에 설치된 구동장치(40)의 동작관계 위주로 승마형 운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몸체(30)의 외측에 설치된 전원스위치나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54)가 일정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54)의 회전축(41)에 구비된 구동베벨기어(55)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기어 결합된 종동베벨기어(56)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베벨기어(56)의 회전으로 종동베벨기어(56)가 결합된 제1회전축(41)이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축(41)의 회전으로 제1회전축(41)의 일단에 결합된 제1체인기어(46)와 제1회전축(41)의 양단부에 설치된 원형의 회전판(42a)(42b)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회전축(41)의 제1체인기어(46) 회전으로 제1체인기어(46)에 결합된 체인(46a)이 회전하면서 체인(46a)에 연결된 제2체인기어(47)가 회전되고, 제2체인기어(47)의 회전은 제2회전축(43)과 제3체인기어(48)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되며, 제3체인기어(48)의 회전은 제3회전축(45)에 전달되어 제3회전축(45)의 양단에 구비된 회전판(44a)(44b)을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구동모터(54)의 동작에 따라 가동판(52)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의 회전축과 회전판이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40)의 각 구동부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1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된 회전판(42a)(42b)에 편심되게 일단이 힌지 고정된 후방회동대(64)가 회전판(42a)(42b)에 의해 상하 회동되어 후방회동대(64)에 결합된 프레임(60)과 몸체(30)의 연속적인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2회전축(43)의 회전은 제2회전축(43)의 양단에 결합된 연결대(63)의 타단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대(63)에 결합된 전방회동대(62)와 전방회동대(62)에 결합된 프레임(60) 및 몸체(30)의 상하 및 전후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회전축(45)의 회전은 그 양단에 구비된 회전판(44a)(44b)의 회전을 통해 양측 회전판에 편심 결합된 승강대(66)의 회전을 통해 가동판(52)의 전방을 상하로 운동시키게 되며, 상기 제3회전축(45)은 그 중간부에 설치된 전자클러치에 의해 제2회전축(43)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가동판(52)의 승강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즉, 구동모터(54)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각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회전판과, 연결대의 회전 및 회동을 일으켜 회전판과 연결대에 연결된 전·후방 회동대와 승강대의 회전동작에 따른 프레임과 몸체의 승강운동 및 전후 운동이 일어나도록 하여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40)의 가동판(52) 및 프레임(60)의 승강운동과 전후 움직임을 통해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기구적인 메커니즘에 의 해 일련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면서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유사한 느낌으로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승강운동을 일으키는 가동판(52)의 저면에 복수개의 코일압축스프링 형태의 충격흡수스프링(70)이 구비되어 있어 몸체에 올라탄 승마자는 구동장치의 회전 및 몸체의 승강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받지 않으면서 부드러운 느낌으로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승마자가 승마운동을 할 때, 몸체 전방에 안전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승마자가 이를 양손으로 잡고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어 몸체의 승강운동시 몸체로부터 승마자의 몸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한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몸체의 전방 양측에 안전벨트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어, 승마자는 상기 안전벨트의 일측을 자신의 몸 뒷쪽으로 돌려서 반대측 고정클립에 고정한 후에 승마운동을 즐길 수 있어 몸체의 승강시 승마자의 신체가 착석부에서 후방이나 좌우측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예방하여 승마운동시 낙마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대 상단의 몸체 및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운동이 이루어질 때, 지지대에 전달되는 중량의 충격력이 지지대 하단에 구비된 완충장치에 의해 흡수되어 승마운동기구 전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소음이나 마찰로 인한 기구의 손상 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승마운동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품성이 우수한 제품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의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구동장치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동장치의 결합상태시 일측면도(배면도),
도 5는 지지대 하단에 추가로 구비되는 완충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 승마형 운동기구
10 : 받침대 20 : 지지대
25 : 이동판 30 : 몸체
32 : 안전손잡이 34 : 안전벨트
36 : 착석부 40 : 구동장치
41,43,45 : 제1, 제2, 제3회전축 42a,42b,44a,44b : 회전판
46,47,48,49 : 제1,제2,제3,제4체인기어 46a, 48a: 체인기어
50 : 받침판 52 : 가동판
54 : 구동모터 55,56: 구동,종동베벨기어
60 : 프레임 62 : 전방회동대
64 : 후방회동대 66 : 승강대
70 : 충격흡수스프링 80 : 완충장치

Claims (4)

  1. 상면에 착석부가 구비되고, 외면에 외부로부터 전원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원스위치가 구비되어 승강 운동되는 몸체; 상기 전원스위치의 턴온 조작으로 승마자가 탑승하는 상기 몸체를 승강운동시키기 위해 몸체 내부나 하단에 설치되는 구동장치; 소정의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이 구비되어 상기 전원스위치의 턴온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각부와 연결설치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착석부 전방 양쪽에는 승마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안전손잡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착석부의 전방 양쪽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체결과 분리가 자유로운 안전벨트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승마자가 직접 조작하여 몸체의 승강속도와 운동패턴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제어부와 연결된 조작부가 추가로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일정 높이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대해 지지대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와 받침대 사이에는 몸체의 승강운동시 지지대를 통해 받침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전원스위치 또는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구동되도록 복수의 동력전달수단과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회동대가 설치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을 받쳐주면서 가동판의 상하 및 전후운동을 일으켜 몸체의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가동판의 저면에서 가동판의 일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일정 길이의 승강대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가동판과 받침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충격흡수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2020070015284U 2007-09-13 2007-09-13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200445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284U KR200445147Y1 (ko) 2007-09-13 2007-09-13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284U KR200445147Y1 (ko) 2007-09-13 2007-09-13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684U true KR20090002684U (ko) 2009-03-18
KR200445147Y1 KR200445147Y1 (ko) 2009-07-02

Family

ID=4128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284U KR200445147Y1 (ko) 2007-09-13 2007-09-13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1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68B1 (ko) * 2010-05-20 2012-03-22 김윤희 승마 운동기구
KR101365695B1 (ko) * 2012-03-08 2014-02-20 유동진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KR20210007756A (ko) 2019-07-12 2021-01-20 강성호 돌출 라벨이 있는 종이 봉투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79Y1 (ko) 2004-09-09 2004-12-09 박찬목 벨트 마사지기를 구비한 승마 형 헬스자전거
KR100854579B1 (ko) * 2005-07-18 2008-08-26 박진한 승마형 운동기구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68B1 (ko) * 2010-05-20 2012-03-22 김윤희 승마 운동기구
KR101365695B1 (ko) * 2012-03-08 2014-02-20 유동진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KR20210007756A (ko) 2019-07-12 2021-01-20 강성호 돌출 라벨이 있는 종이 봉투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147Y1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7530B2 (ja) 乗馬用運動器具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US20110312471A1 (en) Climber Appliance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MX2011010470A (es) Un dispositivo deslizable para ejercicio abdominal.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100854579B1 (ko) 승마형 운동기구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
JP5161708B2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CN204709707U (zh) 晃摆运动器材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310647B1 (ko) 점프 기능을 가지는 승마 운동 기구
KR200444410Y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782357B1 (ko) 복합 운동 장치
KR101758200B1 (ko) 운동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150105047A (ko) 승마 동작에 따른 동작 구동장치, 이를 이용한 지능형 헬스케어 승마 운동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CN109908545B (zh) 踩踏式震动装置
KR10136614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JP6511100B2 (ja) 乗馬式フィットネス器具
KR102555146B1 (ko) 탑승형 운동기
JP5038838B2 (ja) 椅子装置
KR101619990B1 (ko)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CN218793836U (zh) 一种儿童用室外健身器材
JP2014151173A (ja) 運動神経等活性化訓練装置
KR101179224B1 (ko) 휴먼에너지를 이용한 운동 및 놀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