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990B1 -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990B1
KR101619990B1 KR1020140160221A KR20140160221A KR101619990B1 KR 101619990 B1 KR101619990 B1 KR 101619990B1 KR 1020140160221 A KR1020140160221 A KR 1020140160221A KR 20140160221 A KR20140160221 A KR 20140160221A KR 101619990 B1 KR101619990 B1 KR 10161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plate
reciprocating
presen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우
Original Assignee
(주)모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던테크 filed Critical (주)모던테크
Priority to KR102014016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 등속성 운동 기구로써, 가로대와 세로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가로대에 축이 설치되고, 이 축의 단부에 회전롤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롤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진 왕복 이동 유닛; 저면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축수부가 구비된 왕복 이동판; 좌판은 상기 축수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 좌판과 연결되는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부;를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exercising whole body for constant velocity type}
본 발명은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좌우로 또는 회전하며 허리는 물론이고 전신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혈액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신 등속성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허리는 중노동이나 힘든 육체적 훈련 및 잘못된 자세, 활동력부족, 단조롭거나 일반적인 동작 등으로 인하여 허리 근육의 강직이나 긴장을 일으켜 구축을 초래하거나 통증을 일으키기도 하고, 또한 그 허리 내부에 척추가 지나가고 있어 그 척추관절의 손상 등으로 인하여 디스크 등과 같은 질환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하루의 상당한 시간을 앉은 자세로 보내는 현대인들은 잘못된 자세와 허리를 구부린 상태 장시간을 보내게 됨으로써, 허리의 후방의 근간인대, 후종인대, 추간판, 윤상섬유 등의 조직이 지나치게 늘어져 허리의 근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각종 허리 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허리 근육을 강화하고, 이완시키고자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93341호의 운동기는 근래 공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운동기로써,
지면에 고정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단부에 상단의 회전축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발판이 부착된 회전바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부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운동기가 서서 허리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라면 국내 공개실용신안 20-2013-0000458호의 허리 운동 기구는 앉아서 허리 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 운동 기구는 의자에 놓이는 원형의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중심부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면으로 돌출 고정되는 하부 지지 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위치하는 원형의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심부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면으로 돌출 고정되는 상부 지지 핀; 양쪽에 상기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끝단 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내주 면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홈과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브가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경사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하부링; 상기 하부 링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부 시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쿠션; 상기 상부 쿠션의 상면에 부착되는 시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엉덩이를 좌우로 또는 상체를 앞뒤로 움직이며 허리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운동 기구는 운동 효과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앉아서 하는 상기 운동 기구는 좌우 이동폭이 제한되고, 사용자가 직접 힘을 주기 때문에 큰 운동 효과는 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서서 하는 운동기의 경우 사용자가 지탱할 수 있는 수단이 손잡이밖에 없기 때문에 안전 사고의 위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운동 기구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운동하는 사람이 앉는 좌판을 좌우 또는 전후진으로 왕복 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신 등속성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하는 사람이 앉는 의자의 등받이에 요추 받이 유닛을 구비하여, 허리 운동과 함께 요추 받쳐 앉은 자세를 교정하고, 디스크와 같은 허리 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승마 운동이 가능한 전신 등속성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리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고, 허리 근육 강화, 이완, 혈액 순환을 통해 다이어트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신 등속성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운동 기구로써, 가로대와 세로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가로대에 축이 설치되고, 이 축의 단부에 회전롤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롤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진 왕복 이동 유닛; 저면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축수부가 구비된 왕복 이동판; 좌판은 상기 축수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 좌판과 연결되는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부;를 포함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상기 축수부는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은 가이드 레일에 차축을 구비하고, 이 차축을 관통하는 스크류를 구비하며, 이 스크류의 일단에 기어를 구비하여 구동 모터에 연결된 원동 기어와 맞물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며 차축과 이 차축의 상면에 위치하는 왕복 이동판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첫째, 협소한 공간 예를 들어 가정이나 직장에서 허리 운동 및 전신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좌우 왕복 운동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여 허리 주변 근육 강화는 물론이고 근육 이완이 가능하여 운동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은 허리 운동 및 전신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디스크와 같은 허리 병을 예방하고, 아울러 좌판이 좌우 왕복 이동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승마 운동을 통해 운동이 재미있고, 운동 효과를 향상시켜 다이어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명이다.
셋째, 본 발명은 요추 받침 유닛을 구비하여 요추를 교정하고, 앉은 자세를 교정함은 물론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 지지 프레임의 여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의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왕복 이동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왕복 이동 유닛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완충 유닛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일 구성요소 상에 다른 구성요소가 직접 위치한다는 의미는 물론, 상기 일 구성요소 상에 제 3의 구성요소가 더 위치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각 구성요소 또는 부분 등을 제1, 제2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지칭하였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표현된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상대적인 두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허리 운동기구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압, 안마기로도 활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의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왕복 이동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왕복 이동 유닛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완충 유닛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는 등속성으로, 전신 운동은 물론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지지 프레임(100)과, 이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 왕복 이동 유닛(200)과, 왕복 이동판(300)와, 이 왕복 이동판의 상면에 구비된 축수부(400) 및 좌판과 등받이로 구성된 의자부(500)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기 등받이에 요추 받침 유닛(6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운동 기구의 외형을 구성하고, 의자부(500)를 지하며 아울러 상기 왕복 이동 유닛(200)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침대(110)와, 이 받침대 중앙 부위에 설치된 보강대(140)와, 전후방측에 배치되는 상기 받침대(110)의 단부를 연결하며, 운동 방식에 따라 손잡이 역할을 하는 연결대(120) 및 연결대 안쪽에 배치되는 세로대(132)와, 이 세로대(132)를 연결하는 가로대(130)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대(140)와 세로대(130)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 프레임(100)은 하나 실시 예이다. 이 구성 및 형태는 필요에 달리 구성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도 바뀔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왕복 이동 유닛(200) 및 왕복 이동판(300)
상기 왕복 이동 유닛(200)은 좌판(520)을 좌우측 방향으로 자동 이동시켜, 허리 근육의 이완 및 강화, 척추 교정 및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왕복 이동 유닛(200)은 전후방으로 배치된 상기 가로대(130) 각각의 안쪽면에 축(202)이 설치되고, 이 축(202)의 단부에 회전롤(204)을 장착하되, 이들 회전롤과 축은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롤(204)에는 "ㄷ" 또는 "ㄱ" 형상 또는 다른 형태의 가이드 레일(220)이 끼워지는 방식 또는 안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회전롤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용이하게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220)은 전후방측에 배치된 회전롤 각각에 장착되며, 이들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차축(240)으로 연결되며, 이 차축의 상면으로 상기 왕복 이동판(300)이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 좌판(520)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와 힙을 움직이며 허리 운동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왕복 이동판(300)의 양측 단부 또는 저면 양단에 가이드 레일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 이동 유닛(200)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먼저, 상기 차축(240)에 본 발명 왕복 이동 유닛(200)의 제 1 실시 예인 스크류(26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차축(240)의 중앙 또는 차축에서 연장되는 별도의 부재를 관통하는 스크류(260)를 구비하되, 이 스크류(260)의 양단은 세로대(132)에 설치된 축받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스크류의 위치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대(120)에 별도의 가로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260)의 일단은 구동 모터(262)에 직결 또는 도면과 같이 기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 모터(262)가 정·역회전하면, 스크류가 회전하고, 이 스크류(260)를 상에서 차축(240)이 이동함과 아울러 차축과 연결된 가이드 레일(220)이 회전롤 상에서 함께 좌,우측으로 왕복 이동하며, 허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기어는 스크류(260)의 일측 단부에 기어(260a)를 구비하고, 구동 모터(262)의 구동축에 원동기어(262a)를 구비하여, 이들 서로 맞물린 상태이거나 또는 이들 사이에 감속 및 동력 전달을 위해 종동 및 아이들 기어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 이동 유닛(200)의 다른 예로,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차축(240)의 중앙 부위에 실린더의 피스톤을 연결하고, 실린더의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켜 왕복 이동판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형태로 도 6과 같이 랙 기어(280)와 피니언(282)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실시 예는, 상기 차축(240)의 저면에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랙 기어(280)를 설치하고, 모터(284)의 구동축에 상기 랙 기어(280)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82)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과 함께 회동하는 피니언 기어가 랙 기어를 이동시켜 이와 연결된 왕복 이동판(300)과 의자부(500)가 함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축(202)을 가이드 레일(220)에 부착하고, 이 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롤(204)이 가로대(130)에 설치되는 안내판(220a)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물론 이때의 안내판(220a)은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가로대의 길이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왕복 이동판(300) 및 좌판(520)의 이동 과정 중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완충유닛(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충격완충유닛(20)은 첨부된 도 7과 같은 구성으로, 블록(21)과, 이동자(22), 스프링(23) 및 접촉부(24)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블록(21)을 구비하지 않고, 좌,우측으로 배치된 세로대(13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전후방 가장자리 각각에 이동자(22)가 이동할 수 있는 베어링이나 부싱을 구비하여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 접촉부(24)는 고무, 우레탄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도면과 같이 좌판의 이동 중 가이드 레일 또는 차축 저면에서 하향 돌출된 완충판(202)이 이 저 접촉부(24)에 부딪치면 1차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스프링(23)이 2차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21)에 가스 실린더(26)가 설치되어 이동자가 왕복하며 3차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에 부싱 등을 설치하여 이동자가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스 실린더를 구비하지 않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충격완충유닛(20)은 충격 흡수 이외에 왕복 이동판 즉 좌판(52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블록(21)은 지지 프레임(100)의 받침대 또는 받침대 상면에 설치되는 별도의 판재에 세워진다. 이 판재의 상면에 가이드(27)를 세워 블록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상기 블록 또는 가스 실린더의 근접된 위치에 감지 센서(30)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리미트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이동하는 상기 이동자(22)가 여기에 접촉하면 그 신호를 송출하여 모터(262),(284)의 회전 방향을 바꾸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블록(21)의 간격이 좁아지면 좌판(520)의 이동 거리가 좁아지고 반대로 넓어지면 좌판(520)의 이동 거리 역시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21)의 일측면에 실린더(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실린더(28)는 블록(21)을 당기거나 밀어 자동으로 블록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축수부 (400) 및 의자부 (50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축수부(400)는 상기 왕복 이동판(300)의 중앙에 설치되며, 이 축수부에 좌판(510) 저면에 구비된 회전축이 끼워져 이를 중심으로 좌판을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의 좌우 이동과, 회전 운동을 겸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02는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 지지대이고, 504는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지지대로써, 상기 좌판 지지대는 왕복 이동판에 융착 또는 조립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지지대에는 후술하는 요추 받침 유닛의 전자석 등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요추 받침 유닛(600)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 받침 유닛(600)이다.
이 요추 받침 유닛(600)은 등받이(54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등받이의 일부를 절개하여 고무 또는 신축성이 뛰어난 섬유, 천을 구비하고, 그 안쪽에 판 스프링(620)을 구비하되, 이 판 스프링의 상하부는 한 쌍의 롤러(630)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판 스프링(620)은 폭이 넓은 하나의 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폭이 좁은 여러 개의 판 스프링을 일렬로 세워 배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620)의 배면에는 전자석(630) 또는 실린더 등의 이동자에 연결된 밀대(64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요추 받침 유닛(600)은 전자석 등을 가동시키면, 밀대가 이동하고, 이 밀대(640)가 판 스프링을 밀어 요추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판 스프링(620)은 탄성력에 의하여 각(角)지게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곡면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허리를 편 상태에서 요추 부위를 맞대고, 근육을 이완 또는 강화시키며, 나아가 상기 왕복 이동 유닛과, 축수부를 이용하여 좌우, 회전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의자부(500)의 좌판(520)에 앉은 상태에서 컨트롤러를 동작시켜 좌판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한 블록(21)의 간격을 조절하여 자신의 체형에 맞는 좌우 이동 거리를 설정하여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좌판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와 힙을 비틀면, 좌판이 축수부(4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허리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승마 운동을 통한 전신 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연결대(120)를 정면으로 하여 앉은 상태에서 연결대를 잡고, 왕복 이동 유닛을 가동시키면 승마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10 : 운동 기구 20 : 충격 완충 유닛
21 : 블록 100 : 지지 프레임
200 : 왕복 이동 유닛 220 : 가이드 레일
240 : 차축 260 : 스크류
280 : 랙 기어

Claims (4)

  1. 운동 기구로써,
    가로대와 세로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가로대에 축이 설치되고, 이 축의 단부에 회전롤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롤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진 왕복 이동 유닛;
    저면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축수부가 구비된 왕복 이동판;
    좌판은 상기 축수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 좌판과 연결되는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수부는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은 가이드 레일에 차축을 구비하고, 이 차축을 관통하는 스크류를 구비하며, 이 스크류의 일단에 기어를 구비하여 구동 모터에 연결된 원동 기어와 맞물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며 차축과 이 차축의 상면에 위치하는 왕복 이동판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간격을 두고 한쌍의 받침대가 배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단부를 연결하며, 운동 방식에 따라 손잡이 역할을 하는 연결대를 구비하고, 이 연결대의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대와, 이 세로대를 연결하는 가로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는 판재에 가이드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블록의 상부에 가스 실린더를 구비하되, 이 가스 실린더에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고 고무로 제작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접촉부가 구비된 충격완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을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와 인접하여 구동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의 안쪽에 요추 받침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요추 받침 유닛은 등받이의 안쪽에 판 스프링을 구비하되, 이 판 스프링의 상하부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끼워지고, 판 스프링의 배면에 전자석 또는 실린더의 이동자에 연결된 밀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전신 등속성 운동 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 유닛은, 가이드 레일에 차축을 구비하고, 이 차축의 저면에 랙 기어를 설치하되,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구동 모터로 회전시켜 차축 상면에 설치되는 왕복 이동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전신 등속성 운동 기구.

KR1020140160221A 2014-11-17 2014-11-17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KR10161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221A KR101619990B1 (ko) 2014-11-17 2014-11-17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221A KR101619990B1 (ko) 2014-11-17 2014-11-17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990B1 true KR101619990B1 (ko) 2016-05-12

Family

ID=5602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221A KR101619990B1 (ko) 2014-11-17 2014-11-17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76A (ko) * 2018-06-29 2020-01-08 이효택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480B2 (ja) 1998-11-26 2001-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時分割通信方式を用いた時刻配信システム
KR100929157B1 (ko) * 2009-03-13 2009-12-01 임정수 로윙머신 운동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480B2 (ja) 1998-11-26 2001-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時分割通信方式を用いた時刻配信システム
KR100929157B1 (ko) * 2009-03-13 2009-12-01 임정수 로윙머신 운동 보조장치
JP2012519530A (ja) 2009-03-13 2012-08-30 エスエヌエス ケア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ローイングマシン運動補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76A (ko) * 2018-06-29 2020-01-08 이효택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KR102116336B1 (ko) 2018-06-29 2020-05-28 이효택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466B2 (ja) 腹臥位式爬行運動器具
US9457218B2 (en) Whole body exercise device
KR101282300B1 (ko) 허리의 원 궤도 운동이 가능한 전신운동기
CN106619014B (zh) 一种预防脊柱微变形的按摩椅
CN106580630B (zh) 一种坐姿正脊按摩椅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CN206463443U (zh)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MX2011010470A (es) Un dispositivo deslizable para ejercicio abdominal.
CA2759544C (en) Method of passive mechanotherapy and exercise machine for implementation thereof
KR101415105B1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KR100625850B1 (ko) 전신 안마기
KR101031455B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20130005354A (ko) 스텝형 운동기구
KR101619990B1 (ko)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CN102871829A (zh) 双人健身按摩椅
KR101525225B1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KR101506588B1 (ko) 마사지 운동기구
KR20130107600A (ko) 하체회전 운동기구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CN105727518A (zh) 一种电动仰卧起坐健身器
KR101868334B1 (ko) 전신운동기구
KR102630784B1 (ko) 점진적 근육 이완법이 적용된 안마의자의 릴랙스 스트레칭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