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333B1 - 승마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333B1
KR100899333B1 KR1020070104269A KR20070104269A KR100899333B1 KR 100899333 B1 KR100899333 B1 KR 100899333B1 KR 1020070104269 A KR1020070104269 A KR 1020070104269A KR 20070104269 A KR20070104269 A KR 20070104269A KR 100899333 B1 KR100899333 B1 KR 100899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pedestal
shaft
motor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946A (ko
Inventor
전기만
이운하
임중혁
김종출
Original Assignee
(주)마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키 filed Critical (주)마이키
Priority to KR102007010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3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요동운동과 전후경사운동 이외에 좌우경사운동을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승마를 하는 것과 동일한 운동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요동, 전후경사 이외에도 좌우경사 및 좌우요동 운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 말에 탄 것과 동일한 느낌을 가지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승마, 운동기구, 요동운동, 경사, 감속

Description

승마형 운동기구{HORSE RIDING TYPE SPORT OUTFIT}
본 발명은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요동운동과 전후경사운동 이외에 좌우경사운동과 좌우요동운동을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승마를 하는 것과 동일한 운동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승마형 운동기구는 사람이 탑승하여 운동기구의 운동에 따라 몸의 균형을 잡고, 신체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기구이다.
건강관리와 엔터테인먼트의 결합이 부각되면서 종래의 단조로운 동작을 하는 운동기구 대신에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유사한 동작을 하는 기구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주로 스포츠와 연관된 게임 플랫폼으로서 일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주로 스키, 보드, 자전거 등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사람의 동작을 이용한 조정성(steering)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해외 업체들의 기술들이 다수 개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51809호 "요동형 운동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앉는 좌석을 요동시켜 운동효과를 얻는 장치로서, 전후로 왕복하면서 요동을 하는 안장에 전후 경사운동을 추가하여 좀 더 복잡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를 위해 대좌를 요동운동시키는 두 개의 연결링크(5a, 5b)를 구비하고, 이 중에서 후방에 위치한 연결링크(5b)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13)의 동작에 의하여 전방링크(5a)와 후방링크(5b)가 전후의 각 하축핀(7a 7b)을 중심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대좌(4)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다.
대좌(4)는 두 개의 링크(5a, 5b)에 의하여 거리가 일정한 상태에서 왕복운동을 하므로, 결과적으로 대좌(4)는 약간의 회전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후방링크(5b)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가운데를 승강기구(50)로 연결하고 있다. 승강기구(50) 내부는 스크류와 웜휠, 웜휠과 맞물린 웜기어로 이루어지며, 웜기어에는 모터가 연결된다. 모터의 회전에 따라 웜기어가 회전하면 스크류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후방링크(5b) 전체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후방링크(5b)가 길어지면 안장 후방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반대로 짧아지면 안장이 뒤로 기울어지게 된다.
종래기술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후 경사를 조절하면서 대좌(4)를 전후축 둘레에서 좌우요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경사를 조절할 경우에는 승강기구(50)와 후방링 크(5b)가 일체형이므로, 사람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과도한 부하가 걸릴 소지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전후방향 경사와 좌우요동운동을 구현하고 있지만, 좌우요동운동은 베이스(8)와 가동발판(6)의 좌우 어느 한 면을 연결하는 편심로드(21)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구현되므로,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요동하는 왕복운동만 가능하였다.
따라서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진 채 요동운동을 하도록 제어하기가 어려우며, 회전의 정도에 따라 경사의 각도가 변화하는 요동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우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동작되지 않기 때문에 말이 방향전환할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실감나는 좌우경사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 말을 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낼 수 없어서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승마형 운동기구의 안장이 전후요동, 전후경사 이외에도 좌우경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실감나는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승마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경사 및 좌우경사를 구현하기 위하여 구동링크와 별개의 스크류 모터로 이루어진 경사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운동기구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 또는 좌우 경사각도를 유지한 채 요동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실감나는 운동이 가능해지며, 경사각의 크기와 경사운동 속도 등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복잡한 운동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마형 운동기구로서,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대좌와; 상기 하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전후경사수단과; 상기 하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하는 상부대좌와; 상기 상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시키는 전후요동수단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장고정판과; 상기 안장고정판을 상기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좌우경사수단과; 상기 안장고정판 위에 고정되는 안장;을 포함한다.
상기 전후요동수단은 상기 하부대좌 상에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와 평행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의 양측말단에 고정된 풀리와; 일단이 상기 풀리에 편심된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대좌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와; 일단이 좌우방향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대좌의 하부면에 유닛 베어링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주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경사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부대좌의 말단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후경사 구동바와; 구동축이 상기 전후경사 구동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전후경사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경사 구동바가 연결되는 힌지의 중심축과 상기 지지대 상부에 형성된 좌우방향 샤프트의 중심축은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경사수단은 일단이 상기 안장고정판의 측단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경사 구동바와; 상기 상부대좌 상에 설치되며, 구동축이 상기 좌우경사 구동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좌우경사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경사 구동바가 연결되는 힌지의 중심축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형성된 전후방향 샤프트의 중심축은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경사모터와 상기 좌우경사모터는 구동축이 상기 구동축의 가상 중심축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스크류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요동수단은 상기 풀리와 상기 주모터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주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풀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요동, 전후경사 이외에도 좌우경사 및 좌우요동 운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 말에 탄 것과 동일한 느낌을 가지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말이 좌우로 방향전환하는 것과 동일한 느낌을 가지면서 운동을 할 수 있고, 보다 복잡한 운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이하, '운동기구'라 함)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와 4b는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100)는 전체적으로 승마시에 사용하는 말안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하부에는 내부장치를 지탱하는 베이스(102)가 구비된다. 베이스(102) 바닥에는 운동충격을 흡수하는 방진스프링(104)이 다수 개 설치된다.
내부에 구성된 구동장치 위에는 안장(106)이 얹어지는데, 사용자는 전후, 좌우로 요동하는 안장(106) 위에 앉아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안장(106)은 견고한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하중을 줄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안장(106) 좌우측에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등자(108)가 설치되며, 전방에는 운동기구(100)의 전원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110)가 구비된다.
모니터(110)에는 운동의 속도와 요동의 크기, 전후 또는 좌우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도면 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동작의 조절은 모니터(110)에 연결된 고삐(112)를 이용하여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장(106)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내부구성요소에는 전후요동운동을 일으키는 전후요동수단, 전후 또는 좌우 경사운동을 일으키는 전후경사수단 및 좌우경사수단 등이 포함된다.
운동기구(100)의 각종 구동장치는 베이스(102) 상면의 중앙부에 위쪽으로 돌출된 지지대(114) 상에 설치된다. 지지대(114)는 기둥 모양으로 설치되는데,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부분이므로 견고한 재질로 제작된다.
지지대(114)는 각종 운동수단을 고정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둥 모양이 아니라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대(114)의 상부에는 하부대좌(116)가 설치된다. 하부대좌(116)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인 평면의 금속재로 만들어지며, 본원 승마형 운동기구(100)의 전 후경사운동을 하는 부분이다.
하부대좌(116)는 지지대(114)의 상부 말단에 좌우방향 샤프트(118)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우방향 샤프트(118)는 운동기구(100)의 좌우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며, 좌우방향 샤프트(118)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부대좌(116)가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 회전하면서 전후경사운동을 한다.
본원 운동기구(100)의 전후경사운동은 전후경사수단에 의하여 구현되는데, 전후경사수단은 전후경사 구동바(120)와 전후경사모터(124)로 구성된다.
전후경사 구동바(120)의 일단은 하부대좌(116)의 전방 또는 후방 말단에 힌지(122)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122)의 중심축은 좌우방향 샤프트(118)의 중심축과 평행한 상태이다.
전후경사 구동바(120)의 타단은 베이스(102) 상면에 설치된 전후경사모터(124)의 승강축에 고정된다. 전후경사모터(124)는 베이스(102) 상면에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나 베어링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하부대좌(116)는 베이스(102)에 대하여 전후경사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전후경사모터(124)는 승강축을 상하로 오르내리게 하는 스크류 모터의 일종으로서, 전후경사모터(124)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과 전후경사 구동바(120)가 아래위로 움직이면서 하부대좌(116)의 일측 말단을 아래위로 움직인다. 하부대좌(116)는 좌우방향 샤프트(118)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운동기구(100)의 전후경사운동이 만들어진다.
운동기구(100)의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전후경사모터(124)의 회전량,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면서 전후경사의 각도와 상태, 경사운동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하부대좌(116)의 상부에는 전후요동운동을 하는 상부대좌(140)가 설치되는데, 전후요동운동을 일으키는 전후요동수단은 하부대좌(116) 위에 설치된다.
상부대좌(140) 역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인 금속재 평판으로서, 견고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요동운동을 일으키는 주된 동력은 주모터(126)에서 나온다. 주모터(126)는 베이스(102)의 상면에 방진고무(128)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방진고무(128)는 주모터(126)의 회전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모터(126)의 회전축에는 1차감속 소풀리(도면 미도시)가 축착되며, 좌우방향 샤프트(118)의 일측에는 1차감속 대풀리(130)가 축착되는데, 1차감속 소풀리와 1차감속 대풀리(130)는 벨트(132)에 의하여 연결된다. 벨트(132)는 회전속도나 소음 등을 감안하여 타임벨트나 체인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1차감속 대풀리(130)는 1차감속 소풀리에 비하여 지름이 훨씬 큰 풀리로서, 주모터(126)에서 전달되는 회전운동의 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좌우방향 샤프트(118)의 타측에는 2차감속 소풀리(134)가 축착되며, 1차감속 대풀리(130)와 2차감속 소풀리(134)는 좌우방향 샤프트(118)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하부대좌(116) 상에는 좌우방향 샤프트(118)와 평행한 상태에서 회동가 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136a)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2차감속 대풀리(136)가 설치된다.
2차감속 소풀리(134)와 2차감속 대풀리(136) 역시 벨트(132)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2차감속 소풀리(134)와 2차감속 대풀리(136)는 주모터(126)에서 발생한 회전력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약 주모터(126)의 회전속도가 적절한 형태의 요동운동을 일으킬 정도로 충분히 느리다면 이와 같은 감속풀리(130, 134, 136)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벨트(132)에는 적절한 장력을 일으키기 위한 텐셔너(138)가 소정의 개수만큼 설치될 수 있다.
주모터(126)의 회전에 따라 1차감속 소풀리, 1차감속 대풀리(130), 2차감속 소풀리(134), 2차감속 대풀리(136)가 동시에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전술한 상부대좌(140)는 두 개의 링크에 의하여 하부대좌(116)와 연결된다.
먼저 상부대좌(140) 전방 하부면에는 한 쌍의 제1링크(142)의 일단이 고정설치되는데, 제1링크(142)의 타단은 두 개의 2차감속 대풀리(136)에 편심된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크랭크 암을 형성한다.
또한 한 개의 제2링크(144)의 일단은 좌우방향 샤프트(118)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대좌(140)의 하부면에 유닛 베어링 등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주모터(126)를 회전시키면 2차감속 대풀리(136) 가 회전하면서 제1링크(142)의 끝부분이 2차감속 대풀리(13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의 원 위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대좌(140)는 제1링크(142)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도 5는 전후요동운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두 개의 링크의 움직임에 따른 상부대좌(140)의 움직임 경로가 잘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승마형 운동기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운동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주모터(126)의 속도가 빨라지면 말이 빨리 달리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속도의 변화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부대좌(140)의 위쪽에는 안장고정판(146)이 설치된다. 안장고정판(146)은 안장(106)이 고정되는 밑받침이 되는 부분으로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복잡한 운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안장고정판(146)은 상부대좌(140)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148)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전후방향 샤프트(148)는 그 중심축이 상부대좌(140)의 표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운동기구(100)의 전후방향으로 놓여진다.
좌우경사운동은 좌우경사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좌우경사수단은 좌우경사 구동바(150)와 좌우경사모터(154)로 구성된다.
안장고정판(146)은 전후방향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 회전운동을 한다. 즉, 전후방향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안장고정판(146)이 좌우경사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좌우경사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안장고정판(146)의 일측단에는 힌지(152) 등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경사 구동바(150)의 일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좌우경사 구동바(150)의 타단은 좌우경사모터(154)의 승강축에 고정된다. 좌우경사모터(154)는 상부대좌(140)의 일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안장고정판(146)은 상부대좌(140)에 대하여 경사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좌우경사모터(154)도 전후경사모터(124)와 마찬가지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이 아래위로 오르내리는 스크류 모터이다. 전후경사와 마찬가지로 승강축이 올라가면 좌우경사 구동바(150)도 올라가면서 안장고정판(146)의 일측부를 밀어올리게 되고, 전후방향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안장고정판(146)이 회전하면서 반대쪽이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안장고정판(146)의 좌우경사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안장고정판(146)에는 안장(106) 고정을 위한 볼트(도면 미도시)가 체결되는 체결공(도면 미도시)이 다수 형성될 것이며, 안장(106) 내부 벽면에도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리브(도면 미도시)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통상적인 좌식 운동기구에 널리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와 6b는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와 뒤로 기울어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대좌(116)의 후방부에 연결된 전후경사모터(124)의 승강축이 상승하면 좌우방향 샤프트(118)를 중심으로 반대쪽인 전방부가 하강하면서 앞쪽으로 안장(106)이 기울어진다.
반대로 승강축이 하강하면 전방부가 상승하면서 뒤쪽으로 안장(106)이 기울어진다.
만약 전후경사모터(124)와 전후경사 구동부(120)가 하부대좌(116)의 전방부에 연결되었다면 이와 반대의 운동이 이루어질 것이다.
제어부에서는 운동의 난이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경사각도와 유지시간, 경사변화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운동의 흥미를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7a와 7b는 좌측과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각각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좌우경사운동도 전후경사운동과 마찬가지로 좌우경사모터(154)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안장고정판(146)이 전후방향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하는 방향으로 안장(106)이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실제 말을 타고 회전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b는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
도 5는 전후요동운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도 6b는 뒤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도 7a는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후면도.
도 7b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후면도.

Claims (6)

  1. 삭제
  2.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대좌와;
    상기 하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전후경사수단과;
    상기 하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하는 상부대좌와;
    상기 상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시키는 전후요동수단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장고정판과;
    상기 안장고정판을 상기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좌우경사수단과;
    상기 안장고정판 위에 고정되는 안장;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요동수단은
    상기 하부대좌 상에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와 평행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의 양측말단에 고정된 풀리와;
    일단이 상기 풀리에 편심된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대좌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링크와;
    일단이 좌우방향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대좌의 하부면에 유닛 베어링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주모터;를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경사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부대좌의 말단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후경사 구동바와;
    구동축이 상기 전후경사 구동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전후경사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경사 구동바가 연결되는 힌지의 중심축과 상기 지지대 상부에 형성된 좌우방향 샤프트의 중심축은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경사수단은
    일단이 상기 안장고정판의 측단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경사 구동바와;
    상기 상부대좌 상에 설치되며, 구동축이 상기 좌우경사 구동바의 타단에 연 결되는 좌우경사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경사 구동바가 연결되는 힌지의 중심축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형성된 전후방향 샤프트의 중심축은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경사모터와 상기 좌우경사모터는
    구동축이 상기 구동축의 가상 중심축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스크류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요동수단은
    상기 풀리와 상기 주모터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주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풀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KR1020070104269A 2007-10-17 2007-10-17 승마형 운동기구 KR100899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269A KR100899333B1 (ko) 2007-10-17 2007-10-17 승마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269A KR100899333B1 (ko) 2007-10-17 2007-10-17 승마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946A KR20090038946A (ko) 2009-04-22
KR100899333B1 true KR100899333B1 (ko) 2009-05-26

Family

ID=4076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269A KR100899333B1 (ko) 2007-10-17 2007-10-17 승마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209B1 (ko) 2013-03-05 2014-11-21 정필동 승마용 운동기구
CN105142743A (zh) * 2013-04-30 2015-12-09 Pjb有限公司 曲柄式骑马运动器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91B1 (ko) * 2012-04-02 2014-06-17 유한회사 대흥 승마용 운동기구
CN105413180B (zh) * 2015-12-29 2017-11-24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循电刷轨道式多自由度游乐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677A (ja) * 2005-06-27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0432262Y1 (ko) * 2006-09-18 2006-11-30 위-메이 치우 승마머신
KR100859250B1 (ko) 2007-03-14 2008-09-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승마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677A (ja) * 2005-06-27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0432262Y1 (ko) * 2006-09-18 2006-11-30 위-메이 치우 승마머신
KR100859250B1 (ko) 2007-03-14 2008-09-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승마 운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209B1 (ko) 2013-03-05 2014-11-21 정필동 승마용 운동기구
CN105142743A (zh) * 2013-04-30 2015-12-09 Pjb有限公司 曲柄式骑马运动器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946A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64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US3432164A (en) Exercising machine
JP5319110B2 (ja) 運動装置の動作に抵抗するための補助的な抵抗アセンブリ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KR20100136531A (ko) 운동 장치
KR101051545B1 (ko) 요동형 운동 장치
JP2009106664A (ja) 他動運動機器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090305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CN101164640A (zh) 平衡运动装置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JP5161708B2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US7311646B2 (en) Reciprocating exercise apparatus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100853809B1 (ko)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KR101758200B1 (ko) 운동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090044650A (ko) 승마형 운동기구
KR200444410Y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36614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46320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161608B1 (ko) 승마 시뮬레이터
JP6511100B2 (ja) 乗馬式フィットネス器具
KR101077490B1 (ko) 승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