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250B1 - 승마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250B1
KR100859250B1 KR1020070025162A KR20070025162A KR100859250B1 KR 100859250 B1 KR100859250 B1 KR 100859250B1 KR 1020070025162 A KR1020070025162 A KR 1020070025162A KR 20070025162 A KR20070025162 A KR 20070025162A KR 100859250 B1 KR100859250 B1 KR 10085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eccentric
uni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세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63G19/04Toy animals for riding with eccentric wheels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후 상하운동의 진폭과 가동가대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고, 실제 승마시와 유사한 좌우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승마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승마 운동장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축과, 제1 축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축유니트; 제1 기어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축과,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축에 설치된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 제2 기어의 후방에 설치된 제3 축과, 제2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3 축에 설치된 제3 기어를 구비하는 제3 축유니트;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제2 축과 편심되도록 연결되어 제1 기어 또는 제2 기어가 회전하면 상부 프레임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 및 전후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1,3 축과 편심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를 구비한다.
승마, 운동장치

Description

승마 운동장치{Exercising apparatus for horseback rid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승마 운동장치의 제1,2,3 기어와 높이조절 유니트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승마 운동장치의 제1,2,3 축유니트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2 축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승마 운동장치의 편심로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9와 도 10은 각각 도 1의 승마 운동장치의 높이조절 유니트를 이용하여 제3 축유니트의 높이를 조절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의 높이조절 유니트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승마 운동장치의 높이조절 유니트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하부 프레임 20 : 상부 프레임
30 : 제1 축유니트 40 : 제2 축유니트
50 : 제3 축유니트 60 : 편심로드
70 : 가동가대 80 : 높이조절 유니트
100 : 승마 운동장치
본 발명은 승마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후 상하운동의 진폭과 가동가대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고, 실제 승마시와 유사한 좌우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승마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 운동장치는 승마시에 승마자가 겪게 되는 요동 운동을 발생시켜 승마를 할 때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승마 운동장치는 복근과 허리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유연성과 자세교정에 좋으며 균형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고, 유산소 운동으로서 복부 비만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승마 운동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13472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승마 운동장치들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편심회전축에 말안장 즉, 가동가대를 설치하여 전후 상하 요동이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전후 상하운동 뿐만 아니라 좌우 운동이 가능한 승마 운동장치도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승마 운동장치의 좌우 운동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마 운동장치는 전후 상후 운동의 진폭과 가동가대의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없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상기 승마 운동장치는 그 요동운동이 실제 승마시의 움직임과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실제 승마시와 유사한 좌우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승마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 상하운동의 진폭과 가동가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승마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축과, 제1 축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축유니트; 제1 기어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축과,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축에 설치된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 제2 기어의 후방에 설치된 제3 축과, 제2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3 축에 설치된 제3 기어를 구비하는 제3 축유니트;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제2 축과 편심되도록 연결되어 제1 기어 또는 제2 기어가 회전하면 상부 프레임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 및 전후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1,3 축과 편심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마 운동장치는, 제3 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높이조절 유니트는, 제2 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축이 설치되는 회동 부재; 및 회동 부재를 제2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제3 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높이조절부재는, 회동부재의 하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 스크루; 높이조절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웜; 및 웜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높이조절부재는 실린더이다.
여기에서, 가동가대는, 가동가대 본체; 한쪽 끝단은 제1 축의 끝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링크부재가 제1 축에 편심되도록 하는 제1 편심부재; 한쪽 끝단은 제3 축의 끝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가동가대 본체와 제3 축이 편심되도록 하는 제2 편심부재; 및 한쪽 끝단이 제1 편심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 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마 운동장치(100)는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과, 제1 기어(32)를 구비하는 제1 축유니트(30)와, 제1 기어(32)와 맞물리는 제2 기어(42)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40)와, 제2 기어(42)와 맞물리는 제3 기어(52)를 구비하는 제3 축유니트(50)와, 상부 프레임(20)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60) 및, 제2,3 축유니트(40)(50)와 편심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70)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10)은 상부 프레임(20)이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 프레임(20)과 연결된다.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은 사용자가 승마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부 프레임(10)의 바닥면(12)에 발받침대(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축유니트(3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축(31)과, 제1 축(31)에 설치된 제1 기어(32)를 구비한다. 제1 축(31)은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된다. 구동모터(37)의 구동력은 구동모터(37)에 연결된 웜(38)과, 웜(38)에 맞물린 웜휠(39)에 의하여 제1 축(31)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축(31)의 양끝단에는 제1 편심부재(71)가 설치된다.
제2 축유니트(40)는 제2 축(41)과, 제2 축(41)에 설치된 제2 기어(42)를 구비한다.
제2 축(42)은 제1 기어(32)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제2 기어(42)는 제1 기어(32)에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축(41)은 상부 프레임(20)의 설치홈에 삽입되는 삽입부(43)와, 한쪽 끝단에 형성된 편심부(44)를 구비한다. 편심부(44)는 제2 축(4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편심로드(60) 상단의 결합공(도 7의 61)에 삽입된다.
편심로드(60)는 하단이 하부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단이 편심부(44)와 결합된다. 편심로드(60)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따라서, 편심부(44)가 결합공(61)에 삽입되고, 편심부(44)가 제2 축(4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기 때문에 제2 축(41)이 회전되면 편심로드(60)는 x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동하게 되고 편심로드(60)의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20)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x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제3 축유니트(50)는 제3 축(51)과, 제3 축(51)에 설치된 제3 기어(52)를 구비한다. 제3 축(51)은 제2 기어(42)의 후방쪽에 설치되고, 제3 기어(52)는 제2 기 어(42)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제3 축(51)의 양끝단에는 제2 편심부재(75)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제3 축(51)은 회동부재(82)에 설치된다. 회동부재(82)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가동가대(70)는 제1,3 축(31)(51)과 편심되도록 연결된다.
가동가대(70)는 가동가대 본체(78)와, 제1 축(31)의 양끝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1 편심부재(71)와, 제3 축(51)의 양끝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된 제2 편심부재(75)와, 제1 편심부재(7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72)를 구비한다.
가동가대 본체(78)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말안장이다. 비록, 도면에는 평판 형상의 가동가대 본체(78)가 도시되어 있으나, 가동가대 본체(78)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seat)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편심부재(71)는 한쪽 끝단이 제1 축(31)의 끝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이 링크부재(7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링크부재(72)는 한쪽 끝단이 제1 편심부재(7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이 가동가대 본체(78)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 편심부재(75)는 한쪽 끝단이 제3 축(51)의 끝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이 가동가대 본체(78)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가동가대 본체(78)가 제3 축(51)에 편심되도록 한다.
구동모터(37)가 구동되면 제1,2,3 축(31)(41)(51)이 동시에 회전되고, 가동 가대 본체(78)가 제1,3 축(31)(51)에 편심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가동가대 본체(78)가 전후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승마 운동장치(100)는 제3 축(5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유니트(80)를 구비한다. 높이조절 유니트(80)는 제2 축(41)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부재(82)와, 회동부재(82)를 제2 축(41)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높이조절부재(84)를 구비한다.
회동부재(82)에는 제3 축(51)이 설치된다. 높이조절부재(84)는 회동부재(82)를 회동시켜 제3 축(51)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높이조절부재(84)로는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84)가 수축되면 회동부재(8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3 기어(52)는 제2 기어(42)에 맞물린 채로 제2 기어(4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84)가 수축되면 가동가대 본체(78)의 후방이 전방보다 낮게 되도록 경사지게 된다. 제3 기어(52)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편심부재(75)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실린더(84)가 수축되면 제1 축(31)과 제1 편심부재(71)는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부재(72)가 제1 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84)의 수축 전에는 동일한 위상을 가지던 제1 편심부재(71)와 제2 편심부재(75)가 실린더(84)의 수축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상(phase)을 가지게 된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던 제1,2 편심부재(71)(75)가 실린 더(84)의 수축에 의하여,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게 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84)가 팽창되면 회동부재(8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3 기어(52)는 제2 기어(42)에 맞물린 채로 제2 기어(4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84)가 팽창되면 가동가대 본체(78)의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되도록 경사지게 된다. 제3 기어(52)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편심부재(75)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실린더(84)가 팽창되면 제1 축(31)과 제1 편심부재(71)는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링크부재(72)가 제1 축(3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84)의 팽창 전에는 동일한 위상을 가지던 제1 편심부재(71)와 제2 편심부재(75)가 실린더(84)의 팽창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상(phase)을 가지게 된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던 제1,2 편심부재(71)(75)가 실린더(84)의 팽창에 의하여,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게 된다.
실린더(84)가 수축 또는 팽창되지 아니한 상태 즉, 도 2의 상태에서는 가동가대 본체(78)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상하 운동을 하게 되지만, 실린더(84)가 수축 또는 팽창되어서 제1,2 편심부재(71)(75)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게 되면 가동가대 본체(78)의 전후 상하운동의 진폭이 커지고, 전후 상하 운동시에 가동가대 본체(78)의 전방과 후방의 높이가 변하기 때문에 즉, 가동가대 본체(78)의 경사각이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욱 큰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의 높이조절 유니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높이조절 유니트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높이조절 유니트(80a)는 회동부재(82)의 하면에 설치된 높이조절 스크루(81a)와, 높이조절 스크루(81a)의 둘레에 설치된 웜휠(83a)과, 웜휠(83a)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85a)을 구비한다.
웜휠(83a)의 내주면에는 높이조절 스크루(81a)의 나사산과 형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웜휠(83a)이 회전되면 높이조절 스크루(81a)가 회전된다. 미설명 참조부호 87a는 웜(85a)과 웜휠(83a)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박스이다.
한편, 높이조절 유니트(80a)는 웜(85a)과 웜휠(83a)를 통하여 높이조절 스크루(81a)로 구동력이 전달되지만, 웜(85a)과 높이조절 스크루(81a)를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웜(85a)으로부터 높이조절 스크루(81a)로 구동력이 직접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88a)를 이용하지 않고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웜(85a)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100)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동모터(37)를 작동시키면 웜(38)과 웜휠(39)을 통하여 제1 기어(32)로 구동력이 전달되고, 제1 기어(32)의 구동력은 제2,3 기어(42)(52)로 전달된다.
가동가대 본체(78)는 제1 편심부재(71)와 링크부재(72)에 의하여 제1 축(31)에 편심되도록 연결되고 제2 편심부재(75)에 의하여 제3 축(51)에 편심되도록 연결 되기 때문에 제1,3 축(31)(51)이 회전하면 가동가대 본체(78)는 전후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편심로드(60)는 제2 축(42)에 편심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제2 축(42)이 회전되면 편심로드(60)가 x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부 프레임(20)도 x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기존의 승마 운동장치는 수평으로 좌우 운동을 하였지만, 본 발명의 승마 운동장치(100)는 x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씩 좌우로 회전하기 때문에 실제 승마시의 움직임과 더욱 유사해지고 따라서, 더욱 큰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84)를 수축시키면 제3 기어(52)가 제2 기어(4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동가대 본체(78)의 후방이 전방에 비하여 낮게 된다. 또한, 제1,2 편심부재(71)(75)의 위상(phase)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84)를 팽창시키면 제3 기어(52)가 제2 기어(4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동가대 본체(78)의 후방이 전방에 비하여 높게 된다. 또한, 제1,2 편심부재(71)(75)의 위상(phase)이 서로 달라지기 때문에 전후상하 운동의 진폭이 더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84)를 수축 또는 팽창시키면, 실린더(84)가 수축 또는 팽창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가동가대 본체(78)의 전후상하 운동의 진폭이 커지게 되고 가동가대 본체(78)의 전방과 후방의 높이가 변하기 때문에 더욱 큰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x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씩 좌우로 회전하기 때문에 실제 승마시의 움직임과 더욱 유사해지고 따라서, 더욱 큰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가동가대 본체의 전후상하 운동의 진폭이 커지게 되고 가동가대 본체의 전방과 후방의 높이가 변하기 때문에 더욱 큰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하부 프레임(10);
    하부 프레임(10)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20);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된 제1 축과, 제1 축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축유니트(30);
    제1 기어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된 제2 축과,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축에 설치된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40);
    제2 기어의 후방에 설치된 제3 축과, 제2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3 축에 설치된 제3 기어를 구비하는 제3 축유니트(50);
    하부 프레임(10)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제2 축과 편심되도록 연결되어 제1 기어 또는 제2 기어가 회전하면 상부 프레임(20)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60); 및
    전후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1,3 축과 편심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3 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유니트(80)를 더 구비하고,
    높이조절 유니트(80)는,
    제2 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축이 설치되는 회동 부재; 및
    회동 부재를 제2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제3 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높이조절부재는,
    회동부재의 하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 스크루;
    높이조절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웜; 및
    웜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높이조절부재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가대(70)는,
    가동가대 본체;
    한쪽 끝단은 제1 축의 끝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링크부재가 제1 축에 편심되도록 하는 제1 편심부재;
    한쪽 끝단은 제3 축의 끝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가동가대 본체와 제3 축이 편심되도록 하는 제2 편심부재; 및
    한쪽 끝단이 제1 편심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KR1020070025162A 2007-03-14 2007-03-14 승마 운동장치 KR10085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162A KR100859250B1 (ko) 2007-03-14 2007-03-14 승마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162A KR100859250B1 (ko) 2007-03-14 2007-03-14 승마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250B1 true KR100859250B1 (ko) 2008-09-18

Family

ID=4002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162A KR100859250B1 (ko) 2007-03-14 2007-03-14 승마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2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33B1 (ko) 2007-10-17 2009-05-26 (주)마이키 승마형 운동기구
KR100977046B1 (ko) 2008-11-12 2010-08-19 홍진레포츠(주) 승마형 운동기구
KR101463211B1 (ko) * 2014-02-18 2014-11-21 정필동 다 방향 왕복 운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승마 운동 장치 및 승마 운동 방법
KR101501946B1 (ko) * 2008-12-01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1A (ko) * 2003-07-16 2005-01-25 지용구 운동용 승마기구
KR20050076106A (ko) * 2004-01-19 2005-07-26 김정옥 승마운동기구용 넓적다리 운동장치
KR20060002583A (ko) * 2004-07-02 2006-01-09 지용구 운동용 승마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1A (ko) * 2003-07-16 2005-01-25 지용구 운동용 승마기구
KR20050076106A (ko) * 2004-01-19 2005-07-26 김정옥 승마운동기구용 넓적다리 운동장치
KR20060002583A (ko) * 2004-07-02 2006-01-09 지용구 운동용 승마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33B1 (ko) 2007-10-17 2009-05-26 (주)마이키 승마형 운동기구
KR100977046B1 (ko) 2008-11-12 2010-08-19 홍진레포츠(주) 승마형 운동기구
KR101501946B1 (ko) * 2008-12-01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KR101463211B1 (ko) * 2014-02-18 2014-11-21 정필동 다 방향 왕복 운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승마 운동 장치 및 승마 운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8413B2 (en) Rocking exercise apparatus
US7608017B2 (en) Balance exercise machine
US7775939B2 (en) Balance exercise machine
US7338412B2 (en) Rocking exercise apparatus
CN103025390B (zh) 一种具备车座的摆角调整装置的健身脚踏车
KR100859250B1 (ko) 승마 운동장치
KR101559551B1 (ko) 관절 운동 장치
TWI586406B (zh) 橢圓爬坡機
JP2008264320A (ja) 運動補助装置
TW202000269A (zh) 振動健身機
JP4743011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4770592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CN101164640A (zh) 平衡运动装置
JP2010110610A (ja) 脊椎矯正装置
TWM567628U (zh) Vibration fitness machine
JP2008264319A (ja) 運動補助装置
JP2008149029A (ja) 椅子型運動器具
JP4915557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0838455B1 (ko) 승마 운동장치
KR200487923Y1 (ko) 복합 헬스기구
JP5140657B2 (ja) 運動補助装置
JP4041898B2 (ja) 足関節運動装置
JP4788479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1933180B1 (ko) 전신운동기구
JP6670018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