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455B1 - 승마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455B1
KR100838455B1 KR1020070046986A KR20070046986A KR100838455B1 KR 100838455 B1 KR100838455 B1 KR 100838455B1 KR 1020070046986 A KR1020070046986 A KR 1020070046986A KR 20070046986 A KR20070046986 A KR 20070046986A KR 100838455 B1 KR100838455 B1 KR 100838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ccentric
upper frame
fram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세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6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제 승마시에 겪게 되는 요동(搖動)과 동일한 요동 운동을 발생시키고, 요동 운동의 속도에 어울리는 소리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승마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마, 운동장치, 체지방

Description

승마 운동장치{Exercising apparatus for horseback rid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동가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승마 운동장치에 구비된 제2 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승마 운동장치에 구비된 편심로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a는 도 1의 승마 운동장치에 구비된 가동가대의 요동 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에 구비된 가동가대의 요동 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하부 프레임 20 : 상부 프레임
30 : 제1 축유니트 40 : 제2 축유니트
60 : 편심로드 70 : 가동가대
100 : 승마 운동장치
본 발명은 승마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제 승마시에 겪게 되는 요동(搖動)과 동일한 요동 운동을 발생시키고, 요동 운동의 속도에 어울리는 소리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승마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 운동장치는 승마시에 승마자가 겪게 되는 요동(搖動)과 유사한 요동 운동을 발생시켜 승마를 할 때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얻기 위한 장치이다.
승마 운동장치는 복근과 허리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유연성과 자세교정에 좋으며, 균형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고, 유산소 운동으로서 복부 비만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승마 운동장치는 말안장에 해당하는 가동가대와, 가동가대를 요동시키는 요동수단을 구비한다. 요동수단은 가동가대를 전후(前後)·상하(上下)로 움직이게 한다. 또한, 요동수단은 가동가대를 전후(前後)·상하(上下)로 움직이게 할 뿐만 아니라, 좌우(左右)로 움직이게 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요동수단은 가동가대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상하·좌우 요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실제 승마시의 요동과는 차이점이 있다. 실제 승마시에는 말안장이 수평을 유지하지 않고 경사진 상태 즉, 말안장의 선단과 후단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변하면서 전후·상하로 요동하게 된다. 또한, 실제 승마시에는 말안장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좌우 요동 즉, 지면과 평행한 상태의 요동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면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의 원호(圓弧)를 그리면서 좌우 요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승마 운동장치는 실제 승마시의 움직임을 완전하게 재현할 수가 없기 때문에 운동효과에 한계가 있다.
한편, 승마 운동장치는 요동 운동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승마 운동장치는 체지방을 연소시켜 복부비만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데, 이러한 운동효과를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느낄 수 있다면 사용자는 승마 운동에 더욱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실제 승마시와 동일한 요동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승마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승마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운동 효과를 가시적으로 느낄 수 있는 승마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 축과, 제1 축에 설치된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축유니트; 제1 축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축과,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축에 설치된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제2 축에 편심되도록 연결되어 제2 축이 회전하면 상부 프레임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 및 선단부는 제1 축에 편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부 프레임에 편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를 구비하고, 가동가대는, 가동가대 본체; 한쪽 끝단은 제1 축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편심부재; 및 한쪽 끝단은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편심부재;를 구비하며, 제1 편심부재와 제2 편심부재는 위상(phase)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가동가대 본체와 체결되어 구동모터가 회전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회전된다.
바람직하게, 제2 축의 끝단에는 제2 축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편심부가 형성되고, 편심로드는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편심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 축과, 제1 축에 설치된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축 유니트; 제1 축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축과,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축에 설치된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제1 축에 편심되도록 연결되어 제1 축이 회전하면 상부 프레임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 및 선단부는 제2 축에 편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부 프레임과 편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를 구비하고, 가동가대는, 가동가대 본체; 한쪽 끝단은 제2 축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편심부재; 및 한쪽 끝단은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편심부재;를 구비하며, 제1 편심부재와 제2 편심부재는 위상(phase)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가동가대 본체와 체결되어 구동모터가 회전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회전된다.
바람직하게, 제1 축의 끝단에는 제1 축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편심부가 형성되고, 편심로드는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편심부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소리는 말울음 소리이다.
또한, 가동가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 프레임에는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승마 운동장치는 손잡이 및 발걸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마 자의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측정기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상기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동가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승마 운동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마 운동장치(100)는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과, 제1 기어(32)를 구비하는 제1 축유니트(30)와, 제1 기어(32)와 맞물리는 제2 기어(42)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40)와, 상부 프레임(20)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60) 및, 제1 축(31)과 상부 프레임(20)에 각각 편심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70)를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10)은 상부 프레임(20)과 회전축(14)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20)은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부 프레임(10)의 바닥면(12)에 발받침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축유니트(30)는 제1 축(31)과, 제1 축(31)에 설치된 제1 기어(32)를 구비한다. 제1 축(31)은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된다. 구동모터(37)의 구동력은 구동모터(37)에 연결된 웜(38)과, 웜(38)에 맞물린 웜휠(39)에 의하여 제1 축(31)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축(31)의 양끝단에는 제1 편심부재(71)가 설치된다.
제2 축유니트(40)는 제2 축(41)과, 제2 축(41)에 설치된 제2 기어(42)를 구비한다.
제2 축(41)은 제1 기어(32)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제2 기어(42)는 제1 기어(32)에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은 웜(38), 웜휠(39), 제1 축(31), 제1 기어(32), 제2 기어(42), 제2 축(41)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축(41)은 상부 프레임(20)의 설치홈에 삽입되는 삽입부(43)와, 한쪽 끝단에 형성된 편심부(44)를 구비한다. 편심부(44)는 제2 축(4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편심로드(60) 상단의 결합공(도 5의 61)에 삽입된다.
편심로드(60)는 하단이 하부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단이 편심부(44)와 결합된다. 편심로드(60)는 x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부 프레임(10)에 설치된다. 따라서, 편심부(44)가 결합공(61)에 삽입되고, 편심부(44)가 제2 축(4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기 때문에 제2 축(41)이 회전되면 편심로드(60)는 x축을 중심 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동하게 되고 편심로드(60)의 상기 회동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20)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x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좌우로 원호(圓弧)를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종래의 승마 운동장치는 가동가대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동가대가 좌우로 움직였지만, 본 발명의 승마 운동장치(100)는 화살표(81)와 같이 가동가대(70)가 x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의 '원호(圓弧)'를 그리면서 좌우 요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승마 운동장치(100)는 실제 승마시의 요동과 동일한 요동을 발생시킨다.
가동가대(70)는 제1 축(31) 및 상부 프레임(20)에 편심되도록 연결된다.
가동가대(70)는 가동가대 본체(78)와, 제1 축(31)의 양끝단과 가동가대 본체(78)의 선단부(先端部)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1 편심부재(71)와, 상부 프레임(20)과 가동가대 본체(78)의 후단부(後端部)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2 편심부재(75)를 구비한다.
가동가대 본체(78)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말안장이다. 비록, 도면에는 평판 형상의 가동가대 본체(78)가 도시되어 있으나, 가동가대 본체(78)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seat)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편심부재(71)는 한쪽 끝단이 제1 축(31)의 끝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이 가동가대 본체(78)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가동가대 본체(78)가 제1 축(31)으로부터 편심되도록 한다.
제2 편심부재(75)는 한쪽 끝단이 상부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이 가동가대 본체(78)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가동가대 본체(78)가 상부 프레임(20)에 편심되도록 한다.
구동모터(37)가 구동되면 제1,2 축(31)(41)이 동시에 회전되고, 가동가대 본체(78)가 제1 축(31)과 상부 프레임(20)에 편심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가동가대 본체(78)가 전후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제2 편심부재(75)는 제1 편심부재(71)와는 그 위상(phase)이 상이하도록 가동가대 본체(78)에 설치된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편심부재(71)가 기울어진 각도(위상)와 제2 편심부재(75)가 기울어진 각도(위상)가 서로 다른 상태에서 가동가대 본체(78)와 체결된다. 제1 편심부재(71)의 위상과 제2 편심부재(75)의 위상이 서로 상이하면 가동가대 본체(78)의 경사가 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가동가대 본체(78)가 전후·상하로 요동한다. 도 7a는 가동가대 본체(78)가 시간에 따라 요동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승마 운동장치(100)는 가동가대 본체(78)의 경사가 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전후·상하로 요동하기 때문에 실제 승마시의 요동과 동일한 요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가동가대 본체(78)의 경사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복부에 더 많은 힘을 주게 되기 때문에 복부비만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는,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동가대 본체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상하로 요동하기 때문에 실제 승마시의 요동과는 차이가 있다.
바람직하게, 승마 운동장치(100)는 구동모터(37)의 회전속도(RPM)에 따라 일정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원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음원부는 구동모터(37)의 회전속도에 따라 사용자가 흥미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메모리 부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소리 예를 들면, 말울음 소리를 발생시킨다.
또한, 승마 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체지방 측정기는 생체임피던스 방식(BIA)으로 체내의 지방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120576호 등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체지방 측정기는 손잡이와 발받침대에 각각 설치된 전극과, 측정된 체지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승마 운동을 하면서 체지방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 효과를 가시적으로 느낄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100)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동모터(37)를 작동시키면 웜(38)과 웜휠(39)을 통하여 제1 기어(32)로 구동력이 전달되고, 제1 기어(32)의 구동력은 제2 기어(42)로 전달된다.
가동가대 본체(78)는 제1 편심부재(71)에 의하여 제1 축(31)에 편심되도록 연결되고 제2 편심부재(75)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20)에 편심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구동모터(37)가 작동되면 가동가대 본체(78)는 전후·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제1 편심부재(71)와 제2 편심부재(75)의 위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가동가대 본체(78)는 경사가 변하면서 전후·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편심로드(60)는 제2 축(42)에 편심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제2 축(42)이 회전되면 편심로드(60)가 x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상부 프레임(20)은 x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일정한 각도의 '원호(圓弧)'를 그리면서 좌우 요동을 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축(31)에 제1 편심부재(71)가 설치되고 제2축(41)에 편심로드(60)가 설치된 승마 운동장치(100)를 설명하였으나, 제1 축의 양끝단에 편심부를 형성하여 제1 축에 편심로드를 설치하고 제2 축에 제1 편심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가동가대 본체의 경사가 변하면서 가동가대 본체가 전후·상하 요동을 함과 동시에 x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의 원호를 그리면서 가동가대 본체가 좌우 요동을 하기 때문에 실제 승마시와 동일한 요동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둘째,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소리 예를 들어, 말울음 소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셋째,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운동 효과를 가시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8)

  1.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 축과, 제1 축에 설치된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축유니트;
    제1 축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축과,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축에 설치된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제2 축에 편심되도록 연결되어 제2 축이 회전하면 상부 프레임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 및
    선단부는 제1 축에 편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부 프레임에 편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를 구비하고,
    가동가대는,
    가동가대 본체;
    한쪽 끝단은 제1 축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편심부재; 및
    한쪽 끝단은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편심부재;를 구비하며,
    제1 편심부재와 제2 편심부재는 위상(phase)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가동가대 본체와 체결되어 구동모터가 회전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축의 끝단에는 제2 축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편심부가 형성되고,
    편심로드는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편심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3.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 축과, 제1 축에 설치된 제1 기어를 구비하는 제1 축유니트;
    제1 축의 후방쪽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축과,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축에 설치된 제2 기어를 구비하는 제2 축유니트;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제1 축에 편심되도록 연결되어 제1 축이 회전하면 상부 프레임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하는 편심로드; 및
    선단부는 제2 축에 편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부 프레임과 편심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가동가대;를 구비하고,
    가동가대는,
    가동가대 본체;
    한쪽 끝단은 제2 축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편심부재; 및
    한쪽 끝단은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쪽 끝단은 가동가대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편심부재;를 구비하며,
    제1 편심부재와 제2 편심부재는 위상(phase)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가동가대 본체와 체결되어 구동모터가 회전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며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축의 끝단에는 제1 축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편심부가 형성되고,
    편심로드는 하부 프레임에 하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편심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는 말울음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가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부 프레임에는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손잡이 및 발걸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마자의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측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장치.
KR1020070046986A 2007-05-15 2007-05-15 승마 운동장치 KR10083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86A KR100838455B1 (ko) 2007-05-15 2007-05-15 승마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86A KR100838455B1 (ko) 2007-05-15 2007-05-15 승마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455B1 true KR100838455B1 (ko) 2008-06-16

Family

ID=3977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986A KR100838455B1 (ko) 2007-05-15 2007-05-15 승마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946B1 (ko) * 2008-12-01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KR101576458B1 (ko) 2008-07-17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1808A (ko) * 2004-10-01 2006-05-1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요동형 운동 장치
KR200424857Y1 (ko) 2006-06-09 2006-08-25 (주)대경산업 운동용 승마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1808A (ko) * 2004-10-01 2006-05-1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요동형 운동 장치
KR200424857Y1 (ko) 2006-06-09 2006-08-25 (주)대경산업 운동용 승마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458B1 (ko) 2008-07-17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KR101501946B1 (ko) * 2008-12-01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010B2 (ja) 揺動型運動装置
JP4483815B2 (ja) 揺動型運動装置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WO2001093961A1 (fr) Dispositif d&#39;entrainement de l&#39;assiette
CN105142739A (zh) 包括可调节脚垫的健身器械及相关方法
TW200930347A (en) Powered exercise equipment
JP4743011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0838455B1 (ko) 승마 운동장치
JP4492655B2 (ja) 揺動型運動装置
CN101164640A (zh) 平衡运动装置
JP2002325860A (ja) 歩行運動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7061180A (ja) 訓練装置
KR100859250B1 (ko) 승마 운동장치
WO2011105411A1 (ja) 運動補助装置
JP4492659B2 (ja) 揺動型運動装置
TW200911324A (en) Shaking type motion apparatus
JP4996162B2 (ja) マッサージ機
KR101604913B1 (ko) 하체 기능회복을 위한 재활훈련 장치
JP5140657B2 (ja) 運動補助装置
KR200436886Y1 (ko) 로데오 운동기구
JP2008011897A (ja) 乗馬型身体鍛練機
JP2009219731A (ja) 受動運動器
JP4831021B2 (ja) 揺動型運動装置
JP6670018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KR100822388B1 (ko) 엘립티컬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