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857Y1 - 운동용 승마기구 - Google Patents

운동용 승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857Y1
KR200424857Y1 KR2020060015517U KR20060015517U KR200424857Y1 KR 200424857 Y1 KR200424857 Y1 KR 200424857Y1 KR 2020060015517 U KR2020060015517 U KR 2020060015517U KR 20060015517 U KR20060015517 U KR 20060015517U KR 200424857 Y1 KR200424857 Y1 KR 200424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ing
pair
eccentric
inclined surface
low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대
Original Assignee
(주)대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산업 filed Critical (주)대경산업
Priority to KR2020060015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8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63G19/20Toy animals for riding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상부작동몸체가 하부고정몸체에 대하여 전후,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동작과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시소운동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최대한 느낄 수 있고, 승마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체사이즈를 줄임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운동용 승마기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운동용 승마기구는, 하부고정몸체(20)측에 회전 자유롭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작동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시켜 배치한 한 쌍의 수직축(31)과, 상기 한 쌍의 수직축(31)에 각각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부에 경사면(32a)을 형성한 한 쌍의 편심캠(32)과, 상기 하부고정몸체(20)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편심캠(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3)와, 상기 구동모터(33)의 회전운동을 한 쌍의 편심캠(3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34)와, 상기 각 편심캠(32)에 연동하여 수직축(31)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편심캠(32)의 경사면(32a)에 설치되고 상부작동몸체(10)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지지핀(35)으로 연결된 편심회전브라켓(36)과, 상기 상부작동몸체(10)측에 고정되어 각 편심캠(32)의 경사면(32a)에 구름접촉하는 복수개의 롤러(37)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운동용 승마기구 {HORSEBACK RID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마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마기구의 구동부를 나타낸 주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마기구의 구동부를 나타낸 주요부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승마기구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마기구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작동몸체 11 : 안장부
12 : 손잡이 20 : 하부고정몸체
31 : 수직축 32 : 편심캠
33 : 구동모터 34 : 동력전달기구
35 : 지지핀 36 : 편심회전브라켓
37 : 롤러 41 : 속도검출기
42 : 제어부 43 : 모드스위치
44 : 급제동스위치
본 고안은 운동용 승마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즐기면서 전신운동은 물론 특히 허리강화와 장운동으로 인한 소화기능 강화 및 열량소모로 인한 다이어트 등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운동용 승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는 허리운동 및 유연성 향상, 장운동 유도에 의한 소화기능 향상 심폐기능강화, 골반강화, 신체의 리듬감 형성, 관절염예방, 정신집중력 향상 등에 효과가 있는 운동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중화되어 있지 않고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실정에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승마의 대안으로서 실제로 승마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면서 여러 가지 운동효과를 낼 수 있는 운동용 승마기구가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종래에 제안된 대부분의 운동용 승마기구는, 하부고정몸체에 대하여 상부작동몸체가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시소운동함과 동시에, 소정높이 승하강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동작이 단조로워 실제로 승마하는 기분을 느끼기에는 다소 부족하고 운동효과도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동작을 보다 다양하게 하기 위해 상부작동몸체를 전후방향 뿐만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소정각도 시소운동함과 동시에 전후,좌우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된 승마기구는, 실제로 승마를 즐기는 것과 같은 장점이 있으나, 작동이 다양한 만큼 구성도 매우 복잡하여 승마기구의 전체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고, 부품수의 증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구입시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부작동몸체가 하부고정몸체에 대하여 전후,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동작과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시소운동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최대한 느낄 수 있고, 승마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체사이즈를 줄임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운동용 승마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장부와 손잡이가 구비된 상부작동몸체를 하부고정몸체에 대하여 유동시켜 승마를 즐김과 동시에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용 승마기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몸체측에 회전 자유롭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작동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시켜 배치한 한 쌍의 수직축과, 상기 한 쌍의 수직축에 각각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부에 경사면을 형성한 한 쌍의 편심캠과, 상기 하부고정몸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편심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한 쌍의 편심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각 편심캠에 연동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편심캠의 경사면에 설치되고 상부작동몸체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지지핀으로 연결된 편심회전브라켓과, 상기 상부작동몸체측에 고정되어 각 편심캠의 경사면에 구름접촉하는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되는 운동용 승마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검출기와, 상기 속도검출기로부터 검출된 회전방향 및 속도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한 복수개의 승마작동모드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승마작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를 구비하는 운동용 승마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어부에 구동모터의 구동을 신속히 정지시키는 급제동모드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상부작동몸체의 손잡이에는 상기 급제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급제동스위치를 구비한 운동용 승마기구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운동용 승마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용 승마기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운동용 승마기구는 안장부(11)와 손잡이(12)가 구비된 상부작동몸체(10)와, 바닥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형성된 하부고정몸체(20)로 구성되고, 상부작동몸체(10)와 하부고정몸체(20) 사이에는 상부작동몸체(10)를 하부고정몸체(20)에 대하여 작동시켜 승마하는 것과 같은 느낌과 운동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구동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몸체(20)측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축(3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한 쌍의 수직축(31)은 상부작동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시켜 배치된다. 이 때 수직축(31)의 견고한 설치 및 회전지지를 위해서, 하부고정몸체(20)측에 고정베이스(21)를 고정 설치하고, 이 고정베이스(21)에 수직축(31)을 삽입하여 베어링(22)으로 회전지지 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수직축(31)에는 편심캠(32)이 각각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편심캠(32)의 상부에는 경사면(32a)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직축(31) 및 편심캠(32)은 하부고정몸체(20)의 고정베이스(21)에 설치된 구동모터(33)와 이 구동모터(33)의 회전운동을 수직축(31)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기구(34)에 의해 정방향(반시계방향) 또는 역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동력전달기구(34)는, 구동모터(33)의 구동축(33a)에 고정된 원동기어(34a)와, 이 원동기어(34a)에 이맞물림하는 한 쌍의 종동기어(34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동기어(34a)는 한 쌍의 편심캠(32) 사이에 설치되고, 종동기어(34b)는 각 편심캠(32)의 하부에 수직축(31)과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33)의 회전운동이 원동기어(34a)를 통해 종동기어(34b)로 전달되어 수직축(31) 및 편심캠(32)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종동기어(34b)는 편심캠(32)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한 후,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며, 동력전달기구(34)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를 채용하였지만, 벨트기구나 체인기구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편심캠(32)은 수직축(31)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타원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경사면(32a)에는 수직축(31)과 소정거 리 이격되어 편심회전브라켓(3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편심회전브라켓(36)은 하부에 형성된 편심축(36a)이 편심캠(32)의 경사면(32a)에 삽입 설치되고, 베어링(36b)을 통해 회전(자전) 자유롭게 되어 수직축(31)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작동몸체(10)측과 지지핀(35)으로 연결되어 상부작동몸체(10)가 하부고정몸체(2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시소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편심회전브라켓(36)을 상부작동몸체(10)에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부작동몸체(10)의 하부에 금속재의 고정판(13)을 고정 설치하고, 이 고정판(13)을 절곡하여 형성한 회전지지부(13a)와 편심회전브라켓(36)을 지지핀(35)으로 연결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부작동몸체(10)측과 편심캠(32)측 사이에는 편심캠(32)의 경사면(32a)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개의 롤러(37)가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롤러(37)는 상부작동몸체(10)의 고정판(13)에 고정 설치되고, 편심축(36a)을 중심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양쪽 위치에서 경사면(32a)과 구름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롤러(37)가 설치된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편심축(36a)를 중심으로 하여 3개 또는 4개의 롤러를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3)의 회전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검출기(41)와, 상기 속도검출기(41)로부터 검출된 회전방향 및 속도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한 복수개의 승마작동모드로 구동모터(33)를 구 동시키기 위한 제어부(42)와, 상기 제어부(42)에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승마작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속도검출기(41)는 구동모터(33)에 별개로 설치할 수도 있고, 속도검출기능이 구비된 구동모터(33)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42)에 미리 설정하는 승마작동모드는 다양한 승마동작을 하는 3~4개의 승마모드와, 승마동작을 서서히 정지시키는 1개의 정지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마작동모드는 구동모터(33)의 속도와 회전방향이 다양하게 변화되도록 설정하여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느낌과 다양한 운동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모드스위치(4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작동몸체(10)의 전방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어부(42)에 구동모터(33)의 구동을 정지모드의 정지속도보다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급제동모드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상부작동몸체(10)의 손잡이(12)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급제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급제동스위치(44)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운용용 승마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부작동몸체(10)의 안장부(11)에 앉은 상태에서 모드스위치(43)를 조작하여 승마작동모드중 하나를 동작시키게 되면, 제어부(42)에 미리 설정된 해당 모드가 실행되어 구동모터(33)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모터(33)의 회전운동은 동력전달기구(34)의 원동기어(34a) 및 종동기어(34b)를 통해 수직축(31) 및 편심캠(32)에 전달됨으로써 승마동작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즉, 도 2 및 도 4a에서와 같이 편심회전브라켓(36)의 편심축(36a)이 수직축(31)에 대하여 전방측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부작동몸체(10)가 하부고정몸체(20)에 대하여 전방측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되고, 양쪽의 롤러(37)는 모두 편심캠(32)의 중간높이의 경사면(32a)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부작동몸체(10)는 좌우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편심캠(32)이 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면, 한 쌍의 편심회전브라켓(36)은 전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편심캠(32)에 각각 설치된 것이므로 베어링(36b)에 의해 편심캠(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자전)하여 상부작동몸체(10)가 전방을 지속적으로 향한 상태에서 위치만 수직축(31)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상부작동몸체(10)가 하부고정몸체(20)에 대하여 좌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측의 롤러(37)는 편심캠(32)의 가장 높은쪽 경사면(32a)에 구름접촉하고, 우측의 롤러(37)는 편심캠(32)의 가장 낮은쪽 경사면(32a)면에 구름접촉하게 되므로, 상부작동몸체(10)는 지지핀(35)을 중심으로 하여 우측으로 회전(도 3의 화살표 a 방향)하여 경사면(32a)의 경사각도 만큼 소정각도 경사지게 된다.
이어서 편심캠(32)이 계속 회전하여 도 4c에 도시된 위치가 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부작동몸체(10)가 전방을 지속적으로 향한 상태에서 위치만 수직축(31)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상부작동몸체(10)가 하부고정몸체(20)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양쪽 롤러(37)는 모두 편심캠(32)의 중간높이의 경사면(32a)에 구름접촉하게 되므로, 상부작동몸체(10)는 지 지핀(35)을 중심으로 회전(도 3의 화살표 b방향)하여 다시 좌우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편심캠(32)이 도 4d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부작동몸체(10)가 전방을 지속적으로 향한 상태에서 위치만 수직축(31)의 우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번에는 우측의 롤러(37)가 편심캠(32)의 가장 높은쪽 경사면(32a)에 구름접촉하고, 좌측의 롤러(37)는 편심캠(32)의 가장 낮은쪽 경사면(32a)에 구름접촉하게 되므로, 상부작동몸체(10)는 지지핀(35)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도 3의 화살표 c방향)하여 경사면(32a)의 경사각도 만큼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이어서 편심캠(32)이 도 4a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상부작동몸체(10)는 다시 수직축(31)의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양쪽의 롤러(37)는 모두 편심캠(32)의 중간높이의 경사면(32a)에 구름접촉하게 되므로, 상부작동몸체(10)는 지지핀(35)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도 3의 화살표 d방향)하여 다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심캠(32)이 수직축(31)의 주위를 1회전 하는 동안, 상부작동몸체(10)는 하부고정몸체(20)에 대하여 앞,뒤,좌,우의 사방으로 이동하면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시소운동을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승마동작은 편심캠(32)의 회전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전환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승마운동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2)에는 다양한 승마동작모드가 미리 설정된 것이므로, 사용자 가 다른 모드스위치(43)를 선택하게 되면, 또 다른 승마동작이 실행되므로 다양한 승마 기분과 운동효과를 즐길 수 있으며, 정지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구동모터(33)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감속되면서 정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승마운동을 마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12)에 구비한 급제동스위치(44)는 긴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승마동작중 사용자가 중심을 잃어 떨어질 염려가 있거나 그 외 긴급히 승마동작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조작하게 되면, 구동모터(33)의 구동이 신속히 정지되므로 승마운동중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동용 승마기구에 의하면, 상부작동몸체가 하부고정몸체에 대하여 전후, 좌우의 사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시소운동을 반복하게 되므로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최대한 즐길 수 있으며, 이러한 승마동작에 의해서 전신운동은 물론 특히 허리강화와 장운동으로 인한 소화기능 강화 및 열량소모로 인한 다이어트 등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에 미리 설정한 복수개의 승마동작모드에 의해 싫증나지 않고 다 양한 승마기분과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이러한 승마동작이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승마기구의 전체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도 절감되므로, 사용자의 구입부담이 최소화되어 승마를 하기 어려운 일반인들에게 건강증진을 위해 승마의 대안으로써 널리 보급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안장부(11)와 손잡이(12)가 구비된 상부작동몸체(10)를 하부고정몸체(20)에 대하여 유동시켜 승마를 즐김과 동시에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용 승마기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몸체(20)측에 회전 자유롭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작동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시켜 배치한 한 쌍의 수직축(31)과,
    상기 한 쌍의 수직축(31)에 각각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부에 경사면(32a)을 형성한 한 쌍의 편심캠(32)과,
    상기 하부고정몸체(20)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편심캠(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3)와,
    상기 구동모터(33)의 회전운동을 한 쌍의 편심캠(3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34)와,
    상기 각 편심캠(32)에 연동하여 수직축(31)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편심캠(32)의 경사면(32a)에 설치되고 상부작동몸체(10)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지지핀(35)으로 연결된 편심회전브라켓(36)과,
    상기 상부작동몸체(10)측에 고정되어 각 편심캠(32)의 경사면(32a)에 구름접촉하는 복수개의 롤러(3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3)의 회전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검출기(41)와, 상기 속도검출기(41)로부터 검출된 회전방향 및 속도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한 복수개의 승마작동모드로 구동모터(33)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42)와, 상기 제어부(42)에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승마작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스위치(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2)에 구동모터(33)의 구동을 신속히 정지시키는 급제동모드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상부작동몸체(10)의 손잡이(12)에는 상기 급제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급제동스위치(4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승마기구.
KR2020060015517U 2006-06-09 2006-06-09 운동용 승마기구 KR200424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17U KR200424857Y1 (ko) 2006-06-09 2006-06-09 운동용 승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17U KR200424857Y1 (ko) 2006-06-09 2006-06-09 운동용 승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857Y1 true KR200424857Y1 (ko) 2006-08-25

Family

ID=4177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517U KR200424857Y1 (ko) 2006-06-09 2006-06-09 운동용 승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85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455B1 (ko) 2007-05-15 2008-06-16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승마 운동장치
KR101592410B1 (ko) 2014-01-15 2016-02-05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승마용 운동장치
KR101906894B1 (ko) 2017-09-06 2018-11-06 주식회사 타바코리아 승마용 운동기구 구동장치
KR101906892B1 (ko) 2017-09-06 2018-11-06 주식회사 타바코리아 승마용 운동기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455B1 (ko) 2007-05-15 2008-06-16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승마 운동장치
KR101592410B1 (ko) 2014-01-15 2016-02-05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승마용 운동장치
KR101906894B1 (ko) 2017-09-06 2018-11-06 주식회사 타바코리아 승마용 운동기구 구동장치
KR101906892B1 (ko) 2017-09-06 2018-11-06 주식회사 타바코리아 승마용 운동기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4471B1 (ja) バランス健康機
JP6446702B2 (ja) 自転車型ゲーム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0424857Y1 (ko) 운동용 승마기구
EP1607121A2 (en) Exercise device
KR101094819B1 (ko) 하체근력 및 고관절 강화용 운동기
JP2011056168A (ja) 階段昇り型の運動装置
JP2007044452A (ja) 「運動機器&訓練装置」
JP3683508B2 (ja) 歩行ロボット玩具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JP2007167625A (ja) 運動装置
KR200344972Y1 (ko) 승마용 운동기구
JP2006218045A (ja) 自動ツイスター
KR20130113290A (ko) 놀이기구
JP2530676Y2 (ja) 娯楽用乗物装置
JP2008200433A (ja) ダイエットマシーン
KR200286536Y1 (ko) 선회식 회전 운동기구
JP2003275264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218980411U (zh) 一种旋转木马
KR101764423B1 (ko) 커브트랙장치
KR200407774Y1 (ko) 운동장치
JPH0149496B2 (ko)
KR20040023500A (ko) 선회식 회전 운동기구
KR200251531Y1 (ko) 승마헬스장치
JP2008011897A (ja) 乗馬型身体鍛練機
JP3136255U (ja) 腰部鍛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