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290A -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290A
KR20130113290A KR1020120035749A KR20120035749A KR20130113290A KR 20130113290 A KR20130113290 A KR 20130113290A KR 1020120035749 A KR1020120035749 A KR 1020120035749A KR 20120035749 A KR20120035749 A KR 20120035749A KR 20130113290 A KR20130113290 A KR 2013011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ember
gear
rail
boa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김록영
Original Assignee
김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영 filed Critical 김록영
Priority to KR102012003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290A/ko
Publication of KR2013011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육관 등을 포함하는 실내는 물론, 공원이나, 놀이공원 등의 야외에서 익스트림 스포츠의 일종인 스케이트 보드에 타는 것과 동일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놀이기구{A RIDE}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육관 등을 포함하는 실내는 물론, 공원이나, 놀이공원 등의 야외에서 익스트림 스포츠의 일종인 스케이트 보드에 타는 것과 동일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익스트림 스포츠(Extreme Sports)는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여러 가지 묘기를 펼치는 레져스포츠를 일컬으며, X게임, 위험스포츠, 극한스포츠라고도 한다. 이러한 익스트림 스포츠로는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 인-라인 스케이팅(In-line skating), BMX(Bicycle Motocross), 웨이크보드(Wakeboard), 인공암벽등반(Sport Climbing)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의 익스트림 스포츠 중에서 스케이트 보드, 인-라인 스케이팅은 간단한 장비와 구조물만 있으면, 장소와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스케이트 보드, 인-라인 스케이팅은 비숙련자들이 즐기기에는 여전히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비숙련자들이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을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육관 등을 포함하는 실내는 물론, 공원이나, 놀이공원 등의 야외에서 익스트림 스포츠와 같은 스릴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놀이기구에 탑승한 탑승자의 움직임에 따라 무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구간과, 바닥구간의 양측에서 상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레일;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장치; 및 이동장치를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이동장치는, 대차와, 대차에 설치되어 레일에 접동되는 롤러부 및 대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대차유닛; 및 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드부재와, 보드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및 보드부재가 회전되도록 그 보드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보드유닛을 포함하며, 구동장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브라켓과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대차유닛을 움직이게 하는 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장치는, 보드부재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되며, 그 보드부재의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롤러; 회전롤러와 연동되어 구동되며, 회전롤러와 연결되는 제1기어와, 제1기어의 상부에 치합되며 대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지는 베벨기어; 일단부는 대차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거치대; 및 제2기어의 상부에 연결되며, 보드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은 보드부재의 하부면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기어는 제1기어보다 회전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장치는 제1기어와 제2기어 사이에 치합되며, 대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속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한 쌍의 제1,2원웨이클러치로 이루어지되, 제1원웨이클러치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보드부재에 고정되고, 제2원웨이클러치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제2기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드부재의 기울어짐을 차단하여 그 보드부재의 회전을 차단하는 회전차단장치를 더 포함하되, 회전차단장치는, 회전롤러를 기준으로 보드부재의 양측 하부에 각각 위치되며, 보드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실린더; 및 한 쌍의 실린더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제어스위치를 포함하되, 한 쌍의 실린더는 제어스위치의 온 상태에 따라 보드부재의 기울어짐에 맞춰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상방향으로 구동되면, 다른 하나의 실린더는 하방향으로 구동되며, 제어스위치의 오프 상태에 따라 보드부재를 수평으로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장치는 보드부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스토퍼는 대차에 고정되며, 보드부재에는 회전에 따라 스토퍼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기구를 탑승하는 것이 아닌 스케이트 보드형 놀이기구의 탑승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놀이기구에 탑승한 탑승자의 움직임에 따라 무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레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대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대차유닛과 레일과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대차유닛과 구동장치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보드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회전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보드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베벨기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증속기어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거치대를 나타낸 정면도 및 거치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회전축과 보드부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회전차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레일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레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는 유원지와 같은 실외 또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놀이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레일(10)과, 상기 레일(1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장치(20)와, 상기 이동장치(20)를 상기 레일(10)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자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상기 레일(10)은 바닥구간(S1)과, 이 바닥구간(S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상승되는 경사구간(S2)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구간(S1)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상기 레일(10)은 반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10) 상에는 상기 이동장치(20)의 이동에 따라 그 이동장치(20)의 작동을 위해 연결되는 각종 전선(미도시)이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선용 트레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바라볼 때 바닥구간(S1)이 S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10)의 바닥구간(S1)이 S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통상 '바이킹'이라고 지칭하는 놀이기구와 같이 스윙프레임이 결합되어 원호형상의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이동장치(20)가 스윙프레임의 결합 없이 상기 구동장치(30)에 의해서만 상기 레일(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상기 레일(10)이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경사구간에서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구간(S1)에서도 전후방향으로 요동되는 스릴감을 느낄 수 있다.
또는, 상기 레일(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바닥구간(S1)과, 상기 경사구간(S2)을 갖되, 좌,우대칭이 아닌 좌,우 비대칭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10)이 좌우 비대칭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탑승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서로 다른 스릴감을 느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대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대차유닛과 레일과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대차유닛과 구동장치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장치(20)는 상기 레일(10) 상에서 실질적으로 이동되는 대차유닛(40)과, 상기 대차유닛(4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드유닛(5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대차유닛(40)은 대차(41), 롤러부(42), 피동부(43)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4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5)과, 상기 상판(45)의 양 측면 하부에 결합되는 측판(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부(42)는 상기 레일(10) 상에서 상기 대차유닛(4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대차유닛(40)의 이동시 상기 대차유닛(40)이 상기 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롤러부(4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41b)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 브라켓(47)과, 이 롤러 브라켓(47)에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4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롤러(48)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10)의 상,하부에 접촉되어 구름운동 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롤러(48)는 상기 대차유닛(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대차유닛(40)의 상하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42)는 상기 대차(41)의 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10)의 측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 하는 보조롤러(49)를 더 포함하는데, 이때의 상기 보조롤러(49)는 상기 대차유닛(40)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한편, 상기 레일(10)로부터 그 대차유닛(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피동부(43)는 상기 구동장치(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대차유닛(40)이 상기 레일(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피동부(4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41)의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브라켓(44)으로, 상기 브라켓(44)은 상기 바닥구간(S1)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장치(30)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3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유닛(40)을 상기 레일(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장치(30)는 상기 레일(10)의 전 구간에 걸쳐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구간(S1)에 복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이동장치(20)가 상기 구동장치(3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경사구간(S2)으로 상승되고, 상기 구동장치(30)에 의해 상승된 이동장치(20)는 자중에 의해 다시 반대방향으로 하강되기 때문에 그 구동장치(30)가 상기 레일(10)의 전구간에 걸쳐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의 구동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대차유닛(4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피동부(43)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그 피동부(43)와의 접촉면에서 생기는 마찰력으로 상기 대차유닛(40)을 상기 레일(10) 상에서 이동하게 하는 롤러 형상의 접동부재(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대차유닛(40)은 그 대차유닛(40)이 상기 구동장치(30)의 상부에 위치될 때, 상기 구동장치(30)의 상기 접동부재(32)와 상기 대차유닛(40)의 상기 브라켓(44)이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접촉됨으로써 상기 접동부재(32)의 회전력이 상기 브라켓(44)에 전달되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1)와 상기 접동부재(32)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31)의 회전력을 상기 접동부재(32)로 전달하며, 일반적인 형태의 구동풀리, 종동풀리 및 벨트를 포함하는 풀리조립체(3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동부재(32)의 하부에는 상기 대차유닛(40)의 브라켓(44)과의 사이에서 원활하게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보드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회전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보드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베벨기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증속기어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거치대를 나타낸 정면도 및 거치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회전축과 보드부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보드유닛(50)은 상기 대차(41)의 상판(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드부재(51)와, 상기 보드부재(51)의 상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상기 보드부재(51)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스릴감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52)와, 상기 보드부재(51)가 회전되도록 그 보드부재(5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보드부재(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45)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상판(45)에는 상기 보드부재(5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45a)이 형성된다.
상기 안전장치(52)는 상기 보드부재(51)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손잡이(53a) 등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53)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을 지지하기 위한 안전벨트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드유닛(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41) 상에 회전 및 요동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드유닛(50)은 상기 대차유닛(40)이 상기 레일(10)의 특정 위치 예를 들면, 상기 경사구간(S2)에서 탑승자의 턴 동작에 의해 요동운동과 회동운동이 일어남으로써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더욱 느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회전장치(60)는 상기 보드부재(51)가 상기 대차(4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보드부재(51)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되고 그 보드부재(51)의 요동운동 즉, 상,하 기울어짐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롤러(61), 상기 회전롤러(61)와 연동되어 구동되며, 그 회전롤러(61)와 연결되는 제1기어(62a)와, 제1기어(62a)의 상부에 치합되며 상기 대차(4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기어(62b)로 이루어지는 베벨기어(62), 일단부는 상기 대차(4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롤러(6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거치대(63) 및 제2기어(62b)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보드부재(51)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5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6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64)는 베어링 또는 증속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기어(62b)에는 고정축(65)이 구비되며, 그 고정축(65)은 상기 대차(41)에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6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회전롤러(61)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제1기어(62a)가 연결되며, 상기 보드부재(51)의 중앙부에 위치되되, 상기 레일(10)과 평행을 이루거나, 직교를 이루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롤러(6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회전롤러(61)를 중심으로 상기 보드부재(51)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그 보드부재(51)의 기울어짐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드부재(51)는 상기 회전롤러(6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벨기어(62)가 회전되며, 그 베벨기어(62)의 회전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드부재(51)는 그 보드부재(51)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회전롤러(6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이동하면, 그 보드부재(51)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일측으로 편심되어 기울어지면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그 기울어짐에 연동되어 상기 베벨기어(62)가 구동된다.
상기 베벨기어(6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54)이 상기 연결부재(64)에 의해 빠르게 회전되면서 상기 보드부재(51)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롤러(61)는 외주면에 상기 보드부재(51)와의 마찰 저항이 증대될 수 있는 고무 등의 마찰부재(6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62a)의 회전각보다 상기 제2기어(62b)의 회전각이 클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어(62a)의 직경보다 상기 제2기어(62b)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1기어(62a)의 잇수보다 상기 제2기어(62b)의 잇수가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62a)와 상기 제2기어(62b) 사이에 치합되며, 상기 대차(41) 또는 상기 피동부(4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속기어(7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속기어(72)는 회전축(73)을 구비하며, 그 회전축(73)은 상기 대차(41) 또는 상기 피동부(43)에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7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거치대(6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내측으로 거치홈(63b) 형성되고, 그 거치홈(63b)으로 상기 회전롤러(61)가 거치되면서, 상기 회전롤러(61)는 상기 거치대(63)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회전축(54)은 상단부가 상기 보드부재(51)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6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는, 상기 거치대(6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대차(41) 또는 상기 피동부(43)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베어링(63a)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61)의 타단부로는 돌출되는 회동축(61b)이 구비되며, 그 회동축(61b)이 상기 베어링(63a)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회전롤러(61)는 상기 거치대(6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드부재(51)는 상기 회전롤러(61)의 외주면을 따라 기울어짐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54)의 상단부와 힌지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보드부재(51)와 상기 회전축(54)과의 힌지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드부재(51)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51a)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54)의 상부는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51a) 사이로 인입된 후, 고정핀 등의 결합구(51b)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51a)에 힌지결합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보드부재(5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54) 상에서 기울어짐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이나, 증속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원웨이클러치(64a,64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원웨이클러치(64a,64b) 중 어느 하나의 원웨이클러치(64a)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보드부재(51)에 고정되고 , 다른 하나의 원웨이클러치(64b)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대차(41)에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원웨이클러치(64a,64b)는 상기 보드부재(51)의 작은 기울어짐이나, 상기 베벨기어(62)의 작은 구동에도 그 베벨기어(62)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보드부재(51)의 회전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보드부재(51)의 회전력이 향상되는 정도는 그 보드부재(51)가 적어도 180도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로 이해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회전장치(60)는 상기 보드부재(5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보드부재(5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대차(41) 또는 상기 피동부(43)에 고정되고, 상기 보드부재(51)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70)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편(71)이 형성된다.
상기 보드부재(51)는 회전시 상기 걸림편(71)이 상기 스토퍼(70)에 접촉되면서 회전이 차단되며, 그 차단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거나, 다시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편(71)의 개수는 상기 레일(10)의 길이나, 상기 놀이구(1)의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걸림편(71)의 개수에 따라, 하나일 경우에는 상기 보드부재(51)의 회전이 360도로 회전이 제한되며, 2개일 경우 180도로 제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에서 회전차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보면, 놀이기구(1)는 상기 보드부재(51)의 기울어짐을 차단하여 그 보드부재(51)의 회전을 차단하는 회전차단장치(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차단장치(80)는 상기 회전롤러(61)를 기준으로 상기 보드부재(5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보드부재(5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실린더(81) 및 상기 한 쌍의 실린더(81)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제어스위치(8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실린더(81)는 내부의 유체가 상호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유체관(83)에 의해 연결되고, 그 한 쌍의 유체관(83) 중 어느 하나의 유체관에는 개폐밸브(84)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밸브(84)는 상기 제어스위치(82)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개폐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스위치(82)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개폐밸브(84)가 닫히면서 상기 한 쌍의 유체관(83)을 통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상기 한 쌍의 실린더(81)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때에는, 상기 보드부재(51)에 탑승한 탑승자가 일측으로 이동하더라도 그 보드부재(51)는 기울어짐이 없이 수평인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스위치(82)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개폐밸브(84)가 개방되며, 상기 보드부재(51)의 기울어짐에 연동하여 그 기울어지는 방향에 위치되는 실린더가 하강 구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유체관(83)을 통해 유체가 이동되며, 그 유체에 의해 다른 쪽 실린더가 승강 구동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한 쌍의 실린더(81)는 상기 제어스위치(82)의 온 상태에 따라 상기 보드부재(51)의 기울어짐에 맞춰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하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한 쌍의 유체관(83)을 통해 유체가 이동되면서 다른 하나의 실린더는 상방향으로 승강 구동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놀이구(1)는 탑승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보드부재(51)가 기울어짐 없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놀이기구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놀이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구동장치(30)의 구동모터(31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31)가 작동되면 풀리조립체(33)에 의해 접동부재(32)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대차유닛(40)의 초기위치는 상기 브라켓(44)이 상기 접동부재(32)와 접한 상태로 대기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대차유닛(40)은 상기 접동부재(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44)의 접촉면에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경사구간(S2)에서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대차유닛(40)은 일정 구간 상승된 후 다시 상기 대차유닛(40)을 포함하는 상기 이동장치(20)의 자중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하강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대차유닛(40)이 상기 경사구간(S2)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장치(30)는 상기 대차유닛(40)의 상기 바닥구간(S1)에서의 이동을 보조한다.
이어서 상기 대차유닛(40)이 상기 바닥구간(S1)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반대편 상기 경사구간(S2)에 근접하면 다시 반대편에 설치된 상기 구동장치(30)에 의해 반대편 상기 경사구간(S2)에 상승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장치(20)는 상기 바닥구간(S1)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장치(30)의 구동력 및 상기 이동장치(20)의 자체 자중에 의해 U자 형상의 상기 레일(10) 상에서 좌우로 반복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상기와 같이 이동장치(20)가 상기 레일(10) 상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익스트림 스포츠의 턴동작을 느낄 수 있도록 보드유닛(50)이 회전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이동장치(20)의 상기 대차유닛(40)이 상기 레일(10)의 상기 경사구간(S2)에 상승되었다가 하강될 때 상기 보드유닛(50)을 회전시키야 되는데,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상기 보드부재(51)의 상부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회전롤러(6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보드부재(51)가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회전장치(60)의 회전력에 의해 원활하게 스케이트 보드의 턴동작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기구를 탑승하는 것이 아닌 스케이트 보드형 놀이기구의 탑승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일 20 : 이동장치
30 : 구동장치 31 : 구동모터
32 : 접동부재 33 : 풀리조립체
40 : 대차유닛 41 : 대차
42 : 롤러부 43 : 피동부
44 : 브라켓 45 : 상판
50 : 보드유닛 51 : 보드부재
52 : 안정장치 54 : 회전축
55 : 회전력조절부재 60 : 회전장치
61 : 회전롤러 62a : 제1기어
62b : 제2기어 62 : 베벨기어
63 : 거치대 64 : 연결부재
65 : 고정축 70 : 스토퍼
71 : 걸림편 80 : 회전차단장치
81 : 실린더 82 : 제어스위치
83 : 유체관 84 : 개폐밸브

Claims (8)

  1.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를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장치는,
    대차와,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접동되는 롤러부 및 상기 대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대차유닛; 및
    상기 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드부재와, 상기 보드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및 상기 보드부재가 회전되도록 그 보드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보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브라켓과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대차유닛을 움직이게 하는 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보드부재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되며, 그 보드부재의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와 연동되어 구동되며, 상기 회전롤러와 연결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대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거나 상기 피동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지는 베벨기어;
    일단부는 상기 대차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거치대; 및
    상기 제2기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보드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보드부재의 하부면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보다 회전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사이에 치합되며, 상기 대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속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의 제1,2원웨이클러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원웨이클러치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보드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2원웨이클러치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2기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구.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재의 기울어짐을 차단하여 그 보드부재의 회전을 차단하는 회전차단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차단장치는,
    상기 회전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보드부재의 양측 하부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보드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실린더; 및
    상기 한 쌍의 실린더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제어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실린더는 상기 제어스위치의 온 상태에 따라 상기 보드부재의 기울어짐에 맞춰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상방향으로 구동되면, 다른 하나의 실린더는 하방향으로 구동되며, 상기 제어스위치의 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보드부재를 수평으로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구.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보드부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대차에 고정되며, 상기 보드부재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구.
KR1020120035749A 2012-04-05 2012-04-05 놀이기구 KR20130113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49A KR20130113290A (ko) 2012-04-05 2012-04-05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49A KR20130113290A (ko) 2012-04-05 2012-04-05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290A true KR20130113290A (ko) 2013-10-15

Family

ID=4963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749A KR20130113290A (ko) 2012-04-05 2012-04-05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2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5746A (zh) * 2015-07-27 2017-05-24 深圳市前海正玺新能源科技开发工程有限公司 一种轨道系统及应用该轨道系统的太阳能电站清洁用机器人
CN113226504A (zh) * 2019-01-07 2021-08-06 环球城市电影有限责任公司 用于操纵载运器的系统和方法
KR102329542B1 (ko) * 2021-06-17 2021-11-23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스윙 바이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5746A (zh) * 2015-07-27 2017-05-24 深圳市前海正玺新能源科技开发工程有限公司 一种轨道系统及应用该轨道系统的太阳能电站清洁用机器人
CN106695746B (zh) * 2015-07-27 2019-09-20 深圳市前海正玺新能源科技开发工程有限公司 一种轨道系统及应用该轨道系统的太阳能电站清洁用机器人
CN113226504A (zh) * 2019-01-07 2021-08-06 环球城市电影有限责任公司 用于操纵载运器的系统和方法
KR102329542B1 (ko) * 2021-06-17 2021-11-23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스윙 바이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6619A1 (en) Bicycle exercise apparatus
US9039576B2 (en) Curved track simulation device
JP6706782B2 (ja) 自体推進力の提供が可能なスケートボード
CN101161222A (zh) 运动装置
KR101677440B1 (ko) 자전거 운동장치
KR20120009488A (ko) 슬라이딩 복부 운동 기구
KR20130113290A (ko) 놀이기구
KR101438904B1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KR20070000084A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KR101135568B1 (ko) 자전거 주행 연습기
KR101301242B1 (ko) 하체회전 운동기구
KR101093751B1 (ko) 사이클링 운동기구
KR200424857Y1 (ko) 운동용 승마기구
KR101811777B1 (ko) 트레드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20130113551A (ko) 놀이기구
KR20130113550A (ko) 놀이기구
KR100868496B1 (ko) 운동기구
CN107519647B (zh) 一种基于vr的健身器
KR101594683B1 (ko) 연동형 그네
KR20060028948A (ko)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CN106494543B (zh) 平面运动休闲自行车
CN101721788B (zh) 健身器
KR101764423B1 (ko) 커브트랙장치
KR20130009717A (ko) 통돌이 놀이기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