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496B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496B1
KR100868496B1 KR1020070028726A KR20070028726A KR100868496B1 KR 100868496 B1 KR100868496 B1 KR 100868496B1 KR 1020070028726 A KR1020070028726 A KR 1020070028726A KR 20070028726 A KR20070028726 A KR 20070028726A KR 100868496 B1 KR100868496 B1 KR 10086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exercise
gear
exercise devic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707A (ko
Inventor
강남섭
문상수
Original Assignee
강남섭
문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섭, 문상수 filed Critical 강남섭
Priority to KR102007002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49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헬스용 자전거를 모노레일에 접목시켜 단순 반복되는 헬스용 자전거의 지루함을 개선하여 운동효과를 높이도록 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기어홀이 형성된 모노레일;상기 모노레일 위에 배치되며, 안장이 설치된 안장프레임과, 손잡이가 설치된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부;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며, 이동부를 모노레일 위에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구동장치는 모노레일의 기어홀에 대응된 치(齒)가 형성된 메인롤러와, 양측에 페달부가 설치되며 페달부의 구름으로 인해 동력이 발생되는 체인기어와, 이 체인기어의 동력을 메인롤러에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헬스용자전거, 모노레일, 방향전환부, 운동효과향상, 재미

Description

운동기구{apparatus for health}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노레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동장치 및 이동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메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모노레일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모노레일 10a : 가이드홀
10b : 롤러홈 11 : 직선바
11a : 결합돌기 13 : 라운드바
13a : 결합홈 15 : 받침대
30 : 이동부 31 : 몸체
32,70 : 안장프레임 32a,70a : 안장
33 : 손잡이 프레임 34 : 방향전환부
34a : 회동축 34b : 전,후방부재
34c : 보조롤러 50 : 체인기어
51 : 구동축 52 : 페달부
60 : 체인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헬스용 자전거를 모노레일에 접목시켜 단순 반복되는 헬스용 자전거의 지루함을 개선하여 운동효과를 높이도록 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대인들에게는 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운동의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과 실외에서 할 수 있는 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에서 할 수 있는 운동으로는 각종 구기종목과, 등산, 조깅, 사이클링 등이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으로는 공간의 제약을 감안할 때, 러닝머신, 헬스용 자전거, 벤치프레스 등이 있으며, 각종 헬스장비를 이용한다.
이 중, 헬스용 자전거는 실내 운동중, 러닝머신과 더불어 대중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헬스용 자전거는 자전거의 원리를 이용하여 다리 근육 강화는 물론, 전신운동을 하는 유산소 운동기구로서 일반자전거와는 다르게, 페달링을 하더라도 앞으로 전진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헬스용 자전거는 기후에 관계없이 일반자전거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헬스용 자전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진 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페달링만 함으로써, 운동효과는 있을 수 있지만, 운동의 재미를 느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실내 운동의 특성상, 실외에서 하는 운동과 달리 공간의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한 곳에서만 반복적인 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재미는 반감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운동에 금방 싫증을 느끼게 되고, 운동을 중도에 포기함으로써 효율적인 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덧붙여, 일반 가정의 경우, 헬스용 자전거뿐 아니라 대부분의 실내용 헬스기구는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방치된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효과뿐 아니라 운동하는 재미를 더하여 운동효과를 배가시키도록 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기어홀이 형성된 모노레일;상기 모노레일 위에 배치되며, 안장이 설치된 안장프레임과, 손잡이가 설치된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부;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며, 이동부를 모노레일 위에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구동장치는 모노레일의 기어홀에 대응된 치(齒)가 형성된 메인롤러와, 양측에 페달부가 설치되며 페달부의 구름으로 인해 동력이 발생되는 체인기어와, 이 체인기어의 동력을 메인롤러에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는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하되, 방향전환부는 이동부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는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롤러에 대응되는 모노레일에는 그 대응된 부위를 따라 롤러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노레일은 일직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곡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모노레일은 복수의 개별체가 서로 조립되며, 곡선일 경우, 모노레일은 일직선으로 형성된 복수의 직선바와, 곡선으로 형성된 복수의 라운드바가 조립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안장이 설치된 안장프레임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 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10)과, 이동부(30)와,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노레일(10)은 이동부(3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레일이다.
모노레일(10)은 일직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곡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곡선으로 구성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모노레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체로 구성된 후 상호간에 조립으로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직선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개별체로 구성된 후, 상호간에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내에 설치되는 특성상, 실내공간의 크기가 각각의 실내마다 다르고, 사용하지 않거나 운반시에 모노레일(10)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모노레일(10)의 조립을 다양한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모노레일(10)은 상부에 형성된 기어홀(10a)과 롤러홈(1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노레일(10)은 직선으로 이루어진 직선바(11)와, 곡선으로 이루어진 즉, 말굽 형태의 라운드바(13)로 구성된다.
물론, 라운드바(13)의 형태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또한, 기어홀(10a)은 모노레일(10)의 상부에 다수 형성된다. 상기 기어 홀(10a)은 이동부(30)가 모노레일(10)을 지날 때, 후술하는 메인롤러가 회전하면서 롤러기어가 차례로 삽입되는 곳이다.
또한, 롤러홈(10b)은 이동부(30)가 모노레일(10)을 지날 때, 후술하는 보조롤러가 가이드 되는 곳이며, 모노레일(10)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롤러홈(10b)이 형성됨으로써, 보조롤러가 가이드 되어 이동부(30)의 이동시 안정감이 확보된다.
또한, 직선바(11)와 라운드바(13)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바(11)에 결합돌기(11a)가 형성되고, 라운드바(13)에 결합홈(13a)이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11a)의 측면에는 체결홀(h1)이 형성된다. 체결홀(h1)은 직선바(11)가 라운드바(13)에 결합된 후, 상호간에 나사체결되기 위한 구성이며 이 체결홀(h1)에 대응되는 라운드바(13)에도 체결홀(h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노레일(10)의 저면에는 받침대(15)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받침대(15)는 모노레일(10)의 저면으로부터 양측으로 외향 연장되며 여러 환경 등으로 인해 모노레일(10)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동부(30)의 안정감 있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부(30)는 사용자가 구동장치를 통해 동력을 발생하여 사용자와 함께 이동되는 수단이며, 모노레일(30)의 위에 배치된다.
이동부(30)는 몸체(31)와, 안장(32a)이 설치된 안장프레임(32)과 손잡이(33a)가 설치된 손잡이 프레임(33)과, 방향전환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에는 안장프레임(32), 손잡이 프레임(33), 방향전환부(34)가 결합된다.
또한, 몸체(31)에는 몸체(31)로부터 상방 및 하방을 향한 상,하부 브라켓(31a,31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안장프레임(32)과 안장(32a) 사이에는 사용자에 가해지는 진동 등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스프링(32b)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 프레임(33)은 사용자가 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방향전환부(34)는 이동부(30)가 모노레일(10)의 라운드바(13)를 지날 때, 이동부(30)의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몸체(31)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방향전환부(34)는 회동축(34a)과, 전,후방부재(34b)와, 보조롤러(3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부재(34b)와 후방부재(34b)는 몸체(31)의 전,후방에 각각 회동축(34a)으로 결합되며, 이 회동축(34a)을 중심으로 전,후방부재(34b)는 회동이 가능해진다.
이때, 회동축(34a)과 전,후방부재(34b) 사이에는 회동축(34a)의 더 원활한 회동을 위한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롤러(34c)는 이동부(30)가 모노레일(10) 위에서 안정감 있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부(30)의 안정성을 확보해준다.
즉, 이동부(30)가 모노레일(10) 위에서 진행될 때, 특히, 이동부(30)의 방향전환시에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보조롤러(34c)가 어느 한쪽을 지지함으로써, 이동부(30)가 모노레일(10)을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보조롤러(34c)는 모노레일(10)의 롤러 홈(10b)에 배치되어 이 롤러 홈(10b)을 따라 구름 되며, 전,방향 부재(34b)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다음으로, 구동장치는 이동부(30)를 모노레일(10) 위에서 구동시키며, 메인롤러(40)와, 체인기어(50)와 체인(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롤러(40)는 모노레일(10) 위에 배치되며, 중간 외주면을 따라 치(齒) 역할을 하는 복수의 롤러기어(41)가 형성된다.
이 롤러기어(41)는 메인롤러가 회전될 때, 모노레일(10)의 기어홀(10a)에 차례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롤러기어(41)는 상기 기어홀(10a)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인롤러(40)에는 이 메인롤러(40)를 관통하는 축이 결합되며, 이 축(42)은 이동부(30)의 하부브라켓(31b)에 결합된다.
한편, 메인롤러(40)의 축(42)에는 메인기어(43)가 설치된다. 메인기어(43)는 체인기어(50)의 동력을 전달받아 메인롤러(40)의 축(42)을 회전시킨다.
이때, 체인기어(50)는 동력을 발생하며 이동부(30)의 상부브라켓(31a)에 설치된다. 이때, 상부브라켓(31a)에는 구동축(51)이 설치되고, 이 구동축(51)에 상기 체인기어(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51)의 양측에는 페달부(52)가 각각 설치되고, 이 페달부(52)의 구름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축(51) 및 체인기어(50)가 회전된다.
페달부(52)는 구동축(51)의 양측에 결합된 페달암(52a)과, 이 페달암(52a)의 단부에 설치된 페달(52b)을 포함한다.
또한, 체인(60)은 체인기어(50)의 구동력을 상기 메인롤러(40)에 전달하며, 체인기어(50)와 메인기어(43)에 감겨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의한 운동기구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모노레일(10)을 구성하는 직선바(11)에 구동장치가 설치된 이동부(30)를 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방향전환부(34)에 설치된 보조롤러(34c)는 구르면서 직선바(11)의 롤러홈(10b)에 배치되고, 메인롤러(40)는 롤러기어(41)가 모노레일(10)의 기어홀(10a)에 차례로 삽입되면서 회전된다.
이후, 직선바(11)의 양단부에는 모노레일(10) 개별체를 각각 결합시킨다. 이때, 라운드바(13) 및 직선바(11)를 적절히 사용하여 모노레일(10)의 경로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직선바(11)의 결합돌기(11a)는 라운드바(13)의 결합홈(13a)에 삽입되며 직선바(11) 및 라운드바(13)의 체결홀(h1,h2)은 서로 대응된다. 이후, 체결부재(미도시)를 체결홀(h1,h2)에 통과시켜 직선바(11)와 라운드바(13)를 결합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부(30)와 모노레일(10)의 결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안장(32a)에 착석하여 페달(52b)을 구른다.
이때, 사용자는 양발을 번갈아가며 페달암(52a)을 회전시키면 체인기어(50)가 회전되고, 여기서 발생된 회전력은 체인(60)을 통해 메인롤러(40)의 메인기어(43)로 전달된다.
이후, 메인기어(43)가 회전됨에 따라 메인롤러(40) 역시 회전되면서 전방을 향해 나아간다.
이때, 메인롤러(40)는 롤러기어(41)가 모노레일(10)의 기어홀(10a)을 따라 삽입되면서 회전된다.
한편, 메인롤러(40)가 전진 됨에 따라 메인롤러(40)에 연결된 몸체(31) 역시 전진하면서 이동부(30)를 이동시킨다.
이후, 이동부(30)는 직선바(11)를 거쳐 라운드바(13)에 도달하여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방향전환부(34)의 전방부재(34b)는 회동축(34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이동부(30)는 전방부재(34b)의 회전에 의해 라운드바(13)를 따라 원활하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후방부재(34b) 역시, 전방부재(34b)와 동일한 작용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모노레일(10)의 조립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즉, 모노레일(10)의 직선바(11)와 라운드바(13)를 다양한 형태로 조립시켜 사용자의 운동환경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동에 대한 재미를 더욱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30)에 안장(70a)이 설치된 안장프레임(70)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외에 다른 사람을 추가로 착석시켜 운동량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락적인 기능을 가미시킨 것이다.
이때, 추가로 설치된 안장(70a)에는 유아 등의 착석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에 의하면 구동장치가 설치된 이동부가 모노레일에 설치됨으로써, 공간이 협소한 실내에서도 일반자전거가 실외에서 주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동부에는 보조롤러가 설치된 방향전환부가 구비됨으로써, 이동부의 원활한 방향전환은 물론, 이동부의 방향전환시에 이동부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동부에 또 하나의 안장프레임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유아 등을 태울 수 있어 운동량이 증가 될 뿐 아니라 오락 기능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복수의 기어홀이 형성된 모노레일;
    상기 모노레일 위에 배치되며, 안장이 설치된 안장프레임과, 손잡이가 설치된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며, 이동부를 모노레일 위에서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구동장치는
    모노레일의 기어홀에 대응된 치(齒)가 형성된 메인롤러와, 양측에 페달부가 설치되며 페달부의 구름으로 인해 동력이 발생되는 체인기어와, 이 체인기어의 동력을 메인롤러에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하되, 방향전환부는 이동부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롤러에 대응되는 모노레일에는 그 대응된 부위를 따라 롤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은 일직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은 복수의 개별체가 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은 곡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은 일직선으로 형성된 복수의 직선바와, 곡선으로 형성된 복수의 라운드바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는 안장이 설치된 안장프레임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1020070028726A 2007-03-23 2007-03-23 운동기구 KR10086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726A KR100868496B1 (ko) 2007-03-23 2007-03-23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726A KR100868496B1 (ko) 2007-03-23 2007-03-23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707A KR20080086707A (ko) 2008-09-26
KR100868496B1 true KR100868496B1 (ko) 2008-11-13

Family

ID=4002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726A KR100868496B1 (ko) 2007-03-23 2007-03-23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51B1 (ko) 2009-06-26 2011-12-20 강영관 사이클링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243B1 (ko) * 2018-02-27 2019-01-11 강두환 경주형 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005Y1 (ko) 2003-02-06 2003-05-16 강지형 주행식 싸이클 운동기구
KR200329204Y1 (ko) 2003-06-19 2003-10-08 임중호 원형궤도를 도는 사이클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005Y1 (ko) 2003-02-06 2003-05-16 강지형 주행식 싸이클 운동기구
KR200329204Y1 (ko) 2003-06-19 2003-10-08 임중호 원형궤도를 도는 사이클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51B1 (ko) 2009-06-26 2011-12-20 강영관 사이클링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707A (ko) 200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549B1 (en) Stepper fitness machine
US8007412B2 (en) Bicycling exercise apparatus
US7670230B2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balance training apparatus
US7637848B1 (en)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stepping or skiing motions
KR101267965B1 (ko) 커브기능을 가진 실내 사이클 머신
KR20120093030A (ko) 곡선트랙 시뮬레이션 장치
US7427255B2 (en) Twist stationary bike
US20080220946A1 (en) Multiple-direction swinging exciser
US6132341A (en) Cycling exerciser having a rotatable handle
KR100868496B1 (ko) 운동기구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102318460B1 (ko) 슬라이드식으로 접어 좁은공간에 보관이 가능하며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이 가능한 사이클 머신
US20050020412A1 (en) Exerciser for step and twist
KR100768964B1 (ko) 기립식 운동용 소형자전거
US20070099762A1 (en) Elliptical trainer
KR200457746Y1 (ko) 페달의 위치가 변하는 사이클링 운동기구
KR200329204Y1 (ko) 원형궤도를 도는 사이클 운동기구
KR200352878Y1 (ko) 스테퍼 기능이 부가된 건강 자전거
KR101190036B1 (ko) 스텝퍼형 자전거
KR101380153B1 (ko) 자전거 운동기구
KR102333805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US20060035752A1 (en) Dual-function exercise device
US20230302324A1 (en) Speed bag type exercise equipment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