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551A -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551A
KR20130113551A KR1020120035780A KR20120035780A KR20130113551A KR 20130113551 A KR20130113551 A KR 20130113551A KR 1020120035780 A KR1020120035780 A KR 1020120035780A KR 20120035780 A KR20120035780 A KR 20120035780A KR 20130113551 A KR20130113551 A KR 2013011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moving device
gear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김록영
Original Assignee
김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영 filed Critical 김록영
Priority to KR102012003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551A/ko
Publication of KR2013011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Abstract

바닥구간과, 바닥구간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곡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레일;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장치; 및 이동장치를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이동장치는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되는 대차유닛을 포함하되, 대차유닛은, 대차와, 대차에 설치되어 레일에 접동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와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레일 상에 설치되어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놀이기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놀이기구는 사용자가 직접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기구를 탑승하는 것이 아닌 스케이트 보드형 놀이기구의 탑승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다.

Description

놀이기구{A RIDE}
본 발명은 실내에서 익스트림 스포츠의 일종인 스케이트 보드에 타는 것과 동일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익스트림 스포츠(Extreme Sports)는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여러 가지 묘기를 펼치는 레져스포츠를 일컫으며, X게임, 위험스포츠, 극한스포츠라고도 한다. 이러한 익스트림 스포츠로는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 인-라인 스케이팅(In-line skating), BMX(Bicycle Motocross), 웨이크보드(Wakeboard), 인공암벽등반(Sport Climbing)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의 익스트림 스포츠 중에서 스케이트 보드, 인-라인 스케이팅은 간단한 장비와 구조물만 있으면, 장소와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스케이트 보드, 인-라인 스케이팅은 비숙련자들이 즐기기에는 여전히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비숙련자들이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을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익스트림 스포츠와 같은 스릴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를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되는 대차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대차유닛은, 대차와,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접동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은 바닥구간과, 상기 바닥구간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곡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부재와, 상기 다수의 감지부재로부터 상기 이동장치의 이동값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대차유닛에 설치되는 보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드유닛은,
상기 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드부재; 및
상기 대차유닛이 상기 레일의 경사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보드부재가 회전하여 탑승자가 턴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보드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기어조립체와, 상기 기어조립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회전력전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기어조립체와 결합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레일의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캠부재; 상기 대차유닛이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경사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캠부재와 접동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조립체에 전달하는 다른 기어조립체, 링크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인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사용자가 직접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기구를 탑승하는 것이 아닌 스케이트 보드형 놀이기구의 탑승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일의 제1실시예를 포함하는 놀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레일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레일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보드유닛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보드유닛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보드유닛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구동장치의 제어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놀이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놀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레일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레일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유원지와 같은 실외 또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놀이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레일(10)과, 레일(1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장치(20)와, 이동장치(20)를 레일(10)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레일(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자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레일(10)은 바닥구간(S1)과, 이 바닥구간(S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상승되는 경사구간(S2)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바닥구간(S1)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레일(10)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레일(10)에는 후술할 이동장치(20)의 보드유닛(25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캠부재(275)가 경사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캠부재(275)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더불어 레일(10) 상에는 이동장치(20)의 이동에 따라 이동장치(20)의 작동을 위해 연결되는 각종 전선(미도시)이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선용 트레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레일(10) 상에는 이동장치(20)의 위치에 따라 구동장치(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장치(20)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부재(39,도 9 참조)가 설치된다. 이러한 다수의 감지부재(39)는 레일(10) 상에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감지부재(39)는 센서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동장치(20)의 위치를 원활하게 판별할 수 있으면 다른 수단이 적용되는 것도 무방하다.
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레일(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바라볼 때 바닥구간(S1)이 S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110)의 바닥구간이 S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통상 '바이킹'이라고 지칭하는 놀이기구와 같이 스윙프레임이 결합되어 스윙프레임의 궤적에 따라 반원호형상의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이동장치(20)가 스윙프레임의 결합 없이 구동장치(30)에 의해서만 레일(1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레일(110)이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경사구간에서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구간(S1)에서도 전후방향으로 요동되는 스릴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레일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레일(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바닥구간(S1)과, 경사구간(S2)을 갖되, 좌우대칭이 아닌 좌우 비대칭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레일(120)이 좌우 비대칭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탑승자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서로 다른 스릴감을 느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놀이기구 중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장치(20)는 레일(10) 상에서 실질적으로 이동되는 대차유닛(210)과, 대차유닛(21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드유닛(250)을 포함한다.
먼저, 대차유닛(210)은 대차(220), 롤러부(230)를 포함한다.
대차(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21)과, 상판(221)의 양 측면 하부에 결합되는 측판(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부(230)는 레일(10) 상에서 대차유닛(21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대차유닛(210)의 이동 시 대차유닛(210)이 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롤러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판(22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 브라켓(231)과, 이 롤러 브라켓(231)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들(233)을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롤러들(233)은 레일(10)의 상,하부에 접촉되어 구름운동 하는데, 이에 따라 다수의 롤러들(233)은 대차유닛(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대차유닛(210)의 상하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롤러부(230)는 대차(220)의 측판에 설치되어 레일(10)의 측면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는 별도의 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데, 이때의 별도의 롤러(미도시)는 대차유닛(210)의 전후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보드유닛(2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차유닛(210)의 대차(2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드유닛(250)은 대차유닛(210)이 레일(10)의 특정 위치 예를 들면, 레일(10)의 경사구간(S2)에서 탑승자가 턴 동작을 취해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더욱 느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의 보드유닛(250)은 대차(220)의 상판(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드부재(260)와, 보드부재(260)의 상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이동장치(20)를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스릴감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265)와, 대차유닛(210)이 레일(10)의 특정 위치에 위치될 때 보드부재(2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전달 어셈블리(270)를 포함한다.
보드부재(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차(220)의 상판(221)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판에는 보드부재(2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의 설치홈에는 보드부재(260)뿐만 아니라 회전력전달 어셈블리(270)의 일부 역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드부재(260)에는 회전력전달 어셈블리(27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보드부재(260)가 회전될 때 탑승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261,도 6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대차(220) 역시 보드부재(260)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가 걸리게 하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토퍼(261)는 보드부재(260)의 회전이 180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안전장치(265)는 탑승자가 보드부재(260)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자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66)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66)에는 탑승자가 지지된 상태에서 더욱 안전을 위하여 탑승자의 몸을 고정하는 안전벨트(미도시)가 설치된다.
회전력전달 어셈블리(2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부재(260)의 하부에서 마련되는 기어조립체(280)와, 기어조립체(28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290)를 포함한다.
기어조립체(280)는 보드부재(260)의 하부에서 이 보드부재(260)와 축결합되는 제1기어(281)와, 이 제1기어(281)와 치합되는 제2기어(283)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90)는 제2기어(283)와 축결합되는 회전모터(291)를 포함한다. 즉, 회전모터(291)가 회전되면 이 회전모터(291)의 회전력이 제2기어(283)와 제1기어(281) 순으로 전달됨에 따라 보드부재(260)가 회전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보드부재(260)는 회전모터(291)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반경이 결정될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 또는 센서와 같은 감지부재(미도시)에 의해 대차유닛(210)이 감지될 경우에만 회전모터(29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동력전달부(290)는 회전모터(291)가 아닌 기계적인 구성으로 회전력을 기어조립체(280,28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대차유닛(210)의 이동에 따라 레일(10)의 경사구간(S2)에 설치되는 캠부재(275)와 접촉되어 이 캠부재(275)와 접촉될 경우에만 기어조립체(280,28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동력전달부(2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경사구간(S2)에서 캠부재(275)와 접촉됨에 따라 회전되는 롤러부재(293)와, 이 롤러부재(293)의 회전력을 제2기어(283)로 전달하는 별도의 기어조립체(29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부(2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경사구간(S2)에서 캠부재(275)와 접촉됨에 따라 회전되는 롤러부재(293)와, 이 롤러부재(293)의 회전력을 기어조립체(280')로 전달하는 링크조립체(297)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동력전달부(290)는 레일(10)의 경사구간(S2)에서 캠부재(275)와 접촉됨에 따라 회전되는 롤러부재(293)와, 이 롤러부재(293)의 회전력을 제2기어(283)로 전달하는 기어 및 링크의 혼합 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차유닛(210)을 레일(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장치(30)는 다시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 상에서 레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랙기어(31)와, 이 랙기어(31)와 치합되도록 대차(220)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33)와, 이 피니언기어(3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5)와, 레일(10)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장치(20)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3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7) 및 상술한 다수의 감지부재(39)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37)는 이동장치(2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해 레일(10) 상에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부재(39)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즉, 제어부(37)는 다수의 감지부재(39)로부터 이동장치(20)의 위치를 전달받아 이 이동장치(20)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35)의 회전속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놀이기구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놀이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구동장치(30)의 구동모터(35)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35)가 작동되면 이 구동모터(35)와 축 연결된 피니언기어(33)가 회전한다. 그리고 피니언기어(33)가 회전되면 이 피니언기어(33)가 치합된 랙기어(31)를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33)가 결합되어 있는 대차유닛(210)이 레일(10) 상에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이동장치(20)는 이 이동장치(20)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3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7)에 의해 레일(10) 상에서 이동되는 속도가 결정된다.
이때, 제어부(37)는 레일(10)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감지부재(39)로부터 이동장치(20)의 위치값을 전달받음으로써, 이동장치(20)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35)의 회전속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7)는 이동장치(20)가 레일(10) 상에서 이동하다가 경사구간(S2)에 진입하여 상승할 경우 원활하게 이동장치(20)가 상승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35)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 이동장치(20)가 경사구간(S2)에 진입 후 일정 부분 상승되면 이동장치(20)가 경사구간(S2)을 넘어 레일(10) 상에서 이탈되지 않는 동시에 이동장치(20)의 자중에 의해 경사구간(S2)에서 하강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35)의 회전을 일정 시간동안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상기와 같이 이동장치(20)가 레일(10) 상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익스트림 스포츠의 턴동작을 느낄 수 있도록 보드유닛(250)이 회전된다.
이를 위해서는 이동장치(20)의 대차유닛(210)이 레일(10)의 경사구간(S2)에 상승되었다가 하강될 때 보드유닛(250)을 회전시키야 되는데,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회전모터(291) 또는 레일(10)에 설치되는 캠부재(275)에 접촉되는 롤러부재(293)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290)에 의해 보드부재(260)가 회전됨에 따라 원활하게 스케이트 보드의 턴동작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기구를 탑승하는 것이 아닌 스케이트 보드형 놀이기구의 탑승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익스트림 스포츠의 스릴감을 느낄 수 있다.
10,110,120 : 레일 20 : 이동장치
30 : 구동장치 31 : 랙기어
33 : 피니언기어 35 : 구동모터
37 : 제어부 39 : 다수의 감지부재
210 : 대차유닛 220 : 대차
230 : 롤러부 231 : 롤러 브라켓
233 : 롤러 250 : 보드유닛
260 : 보드부재 265 : 안전장치
270 : 회전력전달 어셈블리 275 : 캠부재
280 : 기어조립체 290 : 동력전달부
291 : 회전모터 293 : 동력전달부의 롤러부재
295 : 동력전달부의 기어조립체 297 : 동력전달부의 링크조립체

Claims (6)

  1.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를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레일 상에서 왕복 이동되는 대차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대차유닛은, 대차와,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접동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바닥구간과, 상기 바닥구간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곡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부재와, 상기 다수의 감지부재로부터 상기 이동장치의 이동값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대차유닛에 설치되는 보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드유닛은,
    상기 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드부재; 및
    상기 대차유닛이 상기 레일의 경사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보드부재가 회전하여 탑승자가 턴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보드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기어조립체와, 상기 기어조립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회전력전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기어조립체와 결합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레일의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캠부재; 상기 대차유닛이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경사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캠부재와 접동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조립체에 전달하는 다른 기어조립체, 링크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인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KR1020120035780A 2012-04-06 2012-04-06 놀이기구 KR20130113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80A KR20130113551A (ko) 2012-04-06 2012-04-06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80A KR20130113551A (ko) 2012-04-06 2012-04-06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551A true KR20130113551A (ko) 2013-10-16

Family

ID=4963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780A KR20130113551A (ko) 2012-04-06 2012-04-06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5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7281A (zh) * 2015-12-29 2016-04-06 芜湖华强文化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游览车单轨道衔接装置
KR20210114442A (ko) * 2019-02-14 2021-09-23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주행 장치 및 시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7281A (zh) * 2015-12-29 2016-04-06 芜湖华强文化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游览车单轨道衔接装置
KR20210114442A (ko) * 2019-02-14 2021-09-23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주행 장치 및 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1217B2 (en) Motorize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balancing exercise
CN104507545A (zh) 乘坐式娱乐设施中的乘坐设备及其使用的安全装置以及乘坐设备的输入装置
CA2927241C (en) Tracks and drive for a tower ride
US20180036619A1 (en) Bicycle exercise apparatus
KR20170132265A (ko) 놀이공원 놀이기구의 차량들을 위치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62291A1 (en) Bicycle simulator
US10207137B2 (en) Carriage system and method
KR20130113551A (ko) 놀이기구
KR100714176B1 (ko) 비전동식 런닝 머신
KR101197184B1 (ko) 보드 스포츠용 시뮬레이터
EP3175891B1 (en) Cycling training apparatus with stationary movement
KR20130113290A (ko) 놀이기구
KR101438904B1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KR102018511B1 (ko)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 장치
KR101730127B1 (ko)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KR20130113550A (ko) 놀이기구
KR200424857Y1 (ko) 운동용 승마기구
KR101811777B1 (ko) 트레드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EP3808418A1 (en) Bicycle simulator
KR101460864B1 (ko) 통돌이 놀이기구 장치
KR20060028948A (ko)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100987924B1 (ko) 유원시설용 궤도형 승마 놀이기구
CN106494543B (zh) 平面运动休闲自行车
KR20090002692U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764423B1 (ko) 커브트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