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568B1 - 자전거 주행 연습기 - Google Patents

자전거 주행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568B1
KR101135568B1 KR1020090065264A KR20090065264A KR101135568B1 KR 101135568 B1 KR101135568 B1 KR 101135568B1 KR 1020090065264 A KR1020090065264 A KR 1020090065264A KR 20090065264 A KR20090065264 A KR 20090065264A KR 101135568 B1 KR101135568 B1 KR 10113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ront wheel
frame
suppor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693A (ko
Inventor
안기풍
정영미
Original Assignee
정영미
안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미, 안기풍 filed Critical 정영미
Priority to KR1020090065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5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for teaching control of cycles or motorcy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주행연습이나 주행자세교정을 위하여 실내에서 사용 할수 있도록 한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초보자도 자전거의 주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배울 수 있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는, 프레임(1100)과, 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전거(1)의 앞바퀴(11)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앞바퀴지지체(1200)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뒷바퀴(12)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뒷바퀴지지체(130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에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하되, 상기 프레임(1100)의 일측에 상부로 일정길이 세워져 설치된 수직프레임부(140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1400)에 설치되되 자전거의 앞바퀴지지간(13)과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자전거핸들의 핸들축(14)을 지지하는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15)를 감싸도록 된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전거, 주행, 연습기, 수직프레임부, 중심지지프레임부

Description

자전거 주행 연습기{A TRAINING DEVICE FOR DRIVING OF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주행연습이나 주행자세교정을 위하여 실내에서 사용 할수 있도록 한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초보자도 자전거의 주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배울 수 있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라 함은 통상 도로상에서 이동되어 운반수단이거나 교통수단으로 간주 되어 왔으며, 어린이 주부 학생 등이 자전거를 배운다는 것은 이동수단을 떠나서 놀이나 몸의 균형감각 운동외 지능 격상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다.
처음 자전거를 배울때 뒤를 붙잡아 주며 운동장 골목 도로변을 뛰어 다니는 것은 참으로 힘드는 일 입니다. 맨몸으로 뛰는 것보다는 몇 배가 힘들게 되고, 그래서 뒤에서 붙잡아 주는 사람은 운동이 참으로 많이 됩니다. 그러나 얼마 후부터 아이가 자전거를 조금씩 타게 되면 부모는 많은 보람을 느낄 것입니다.
아무것도 아닌 것 같아 보이지만 시각적 감각과 운동적 감각을 교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고 뇌의 활동이 활발함에도 도움이 되는 것과 동시에 몸의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몸의 균형을 잡고 전방의 차 또는 사람등 장애물을 보고 나아갈 길을 가야 할 건지, 서야할 건지, 선다면 어느 시점에서 설건지, 피한다면 어느 쪽으로 피할 것인지, 돌아가야 할 것인지, 브레이크는 어느 시점에서 잡을 것인지등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이것은 바로 신체의 감각을 동원하여 판단하고 결정을 하는 복잡한 두뇌활동이 뒤따르게 되는 것입니다.
자전거를 배우다보면 넘어지고 다치고 심한 경우 목숨을 읽는 경우와 신체가 골절 또는 장애가 되는 경우가 있게 되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자전거를 좀더 편하고 안전하게 배우기 위해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에 공개번호 20-1988-4235호로 공개된 "자전거 운동 연습기"가 제안되어 있는바, 페달부의 지지프레임을 고정함과 더불어 뒷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페달부의 페달을 돌리면 뒷바퀴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페달부의 지지프레임은 고정하여 안정된 상태로 페달을 돌려서 뒷바퀴가 회전하는 상태로 자전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 운동 연습기는 앞바퀴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연습하게 되므로 실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은 연습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특허청에 공고번호 20-1991-7998호로 공고된 "자전거 지지 플래트포옴"이 제안되어 있는바,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가 중간연결부에 의해 설치된 상태로 자전거를 올려서 자전거를 타게 되면, 자전거를 도 로상에서 운전하는 것과 같이 앞바퀴와 뒷바퀴가 구르면서 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초보자의 경우에 좌우로 쉽게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바, 이때에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분해하여 이탈시킨 다음에 앞바퀴지지간을 앞바퀴지지체에 설치된 지지관지지체와 고정하게 되면 자전거핸들을 고정한 상태로 자전거페달을 밟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자전거 지지 플래트포옴은 앞바퀴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연습하게 되므로 실제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은 연습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에 세워진 수직프레임부에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가 설치되어,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가 좌우로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서 자전거를 배우는 초보자가 좌우로 넘어지지 않으면서 실내에서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상태로 배울수 있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부에 상기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전거를 자전거 주행 연습기의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에 간단히 올려놓은 상태에서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 를 회동시켜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를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부에 설치된 속도조절기부와, 이 속도조절기부와 연결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앞바퀴지지체의 롤러에 전달하도록 된 벨트가 구비되어, 내리막을 달릴때와 같이 페달을 돌리지 않고서도 자전거가 굴러가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3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제1,2,3롤러가 설치되되, 상기 제1,2,3롤러의 직경은 롤러의 양단이 가장 크고 제1,2,3롤러의 중앙부가 가장 작게 형성되어, 자전거의 바퀴가 롤러의 중앙으로 오도록 안내하여 초보자가 안전하게 주행 연습을 하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4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2,3롤러의 외주면에는 너어링 또는 고무피복되어, 자전거의 바퀴와 마찰을 크게하여 주행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5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앞바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1롤러와 상기 뒷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뒷바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2,3롤러가 설치되되,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양단에는 풀리홈이 형성되고, 이 풀리홈에는 벨트가 설치되어,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가 회동되어서 자전거의 주행을 하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6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소정 높이로 발판부가 구비되어 자전거의 안장에 올라 타기 용이하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7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는 자전거의 페달부쪽으로 일정각도 후방에서 자전거 앞바퀴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자전거의 페달을 돌리기 용이하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8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좌우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측면에는 수직하게 세워진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자전거의 안장에 앉은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 손으로 손잡이부를 잡아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9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하부에는 소정위치에서 고무패드를 갖춘 고정구가 복수개 구비됨은 물론, 프레임의 하부에는 접철식 이동바퀴가 복수개 구비되어, 소정위치로 이동이 용이하고,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도 쉽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제공함에 제 10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앞바퀴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앞바퀴지지체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뒷바퀴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뒷바퀴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부로 일정길이 세워져 설치된 수직프레 임부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앞바퀴지지간과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자전거핸들의 핸들축을 지지하는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를 감싸도록 ㄷ자 또는 U자 형상으로 된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상기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설치된 속도조절기부와, 이 속도조절기부와 연결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앞바퀴지지체의 롤러에 전달하도록 된 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제1,2,3롤러가 설치되되, 상기 제1,2,3롤러의 직경은 롤러의 양단이 가장 크고 제1,2,3롤러의 중앙부가 가장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2,3롤러의 외주면에는 너어링 또는 고무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앞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앞바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1롤러와 상기 뒷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뒷바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된 제2,3롤러가 설치되되,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양단에는 풀리홈이 형성되고, 이 풀리홈에는 벨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자전거의 안장에 올라 타기 용이하도록 소정 높이로 발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는 자전거의 페달부쪽으로 일정각도 후방에서 자전거 앞바퀴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측면에는 자전거에 앉은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 손으로 잡아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손잡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소정위치에서 안착되도록 고무패드를 갖춘 고정구가 복수개 구비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철식 이동바퀴가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가 좌우로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서 자전거를 배우는 초보자가 좌우로 넘어지지 않으면서 실내에서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상태로 배울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자전거를 자전거 주행 연습기의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에 간단히 올려놓은 상태에서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를 회동시켜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를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내리막을 달릴때와 같이 페달을 돌 리지 않고서도 자전거가 굴러가는 것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제1,2,3롤러의 직경은 롤러의 양단이 가장 크고 제1,2,3롤러의 중앙부가 가장 작게 형성되어, 자전거의 바퀴가 롤러의 중앙으로 오도록 안내하여 초보자가 안전하게 주행 연습을 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제1,2,3롤러의 외주면에는 너어링 또는 고무피복됨으로서 자전거의 바퀴와 롤러의 마찰을 크게하여 주행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소정 높이로 발판부가 구비되어 자전거의 안장에 올라 타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앞바퀴지지체에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는 자전거의 페달부쪽으로 일정각도 후방에서 자전거 앞바퀴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자전거의 페달을 돌리기 용이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프레임의 좌우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측면에는 수직하게 세워진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자전거의 안장에 앉은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 손으로 손잡이부를 잡아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의하면, 프레임의 하부에는 소정위치에서 고무패드를 갖춘 고정구가 복수개 구비됨은 물론, 프레임의 하부에는 접철식 이동바퀴가 복수개 구비되어, 소정위치로 이동이 용이하고,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도 쉽 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자전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 주행 연습기(10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100)과, 이 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자전거(1)의 앞바퀴(11)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롤러(1210)를 갖춘 앞바퀴지지체(1200)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뒷바퀴(12)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3롤러(1310,1320)를 갖춘 뒷바퀴지지체(130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에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0)은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와 뒷바퀴지지체(130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를 구성하는 제1롤러(1210)와 뒷바퀴지지체(1300)를 구성하는 제2,3롤러(1310,1320)의 양단을 감싸도록 하는 안전커버 로 구성되어 심플하고도 깨끗한 미관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00)에 앞바퀴지지체(1200)와 뒷바퀴지지체(1300)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자전거의 크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지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1100)의 일측에 상부로 일정길이 세워져 설치된 수직프레임부(140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1400)에 설치되되 자전거의 앞바퀴지지간(13)과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자전거핸들의 핸들축(14)을 지지하는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15)를 감싸도록 ㄷ자 또는 U자 형상으로 된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에 자전거(1)의 핸들에 연결된 핸들축(14)을 지지하는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15)를 끼워서 자전거(1)를 타게 되면 ㄷ자 또는 U자 형상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에 의해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15)가 지지되어 좌우로 쉽게 넘어지지 않으면서 균형을 유지하며 자전거 주행을 연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부(1400)에 상기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자전거(1)를 자전거 주행 연습기(1000)의 앞바퀴지지체(1200)와 뒷바퀴지지체(1300)에 간단히 올려놓은 상태에서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를 회동시켜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15)를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자전거를 조금 탈 줄 아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의 폭을 넓혀 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가 좌우로 일정각도까지 회전하면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의 내측면에는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15)에 도색된 것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부(1400)에 설치된 속도조절기부(1610)와, 이 속도조절기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100)에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구동모터(1620)와, 이 구동모터의 풀리에 걸려서 회전력을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의 제1롤러(1210)에 전달하도록 된 벨트(16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162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1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수직프레임부(1400)의 상부에는 상기 속도조절기부(1610;모터콘트롤부)는 물론 스피드메타와 시간체크스위치 및 사용설명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속도조절기부(1610)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1620)에 공급되는 전원과 전압을 조절하게 되면 구동모터(1620)가 조작에 따라 회전수의 변화가 발생하면서 구동되며, 이 구동모터(1620)의 회전은 벨트(1630)를 이용하여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속도조절부(1610)를 조작하여 구동모 터(1620)의 회전력이 벨트(1630)를 매개로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와 뒷바퀴지지체(1300)에 전달되면 내리막을 달릴 때와 같이 페달을 돌리지 않고서도 자전거가 굴러가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에는 자전거(1)의 앞바퀴(11)를 지지하는 제1롤러(12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지지체(1300)에는 자전거(1)의 뒷바퀴(12)를 지지하는 제2,3롤러(1310,13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2,3롤러의 직경은 롤러의 양단이 가장 크고 제1,2,3롤러의 중앙부가 가장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롤러(1210)와 제2,3롤러(1310,1320)의 중앙부가 가장 작게 되므로 자전거(1)의 앞바퀴(11)와 뒷바퀴(12)가 각각의 롤러 중앙으로 오도록 안내하여 초보자가 안전하게 주행 연습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3롤러(1210,1310,1320)의 외주면에는 너어링 또는 고무피복된다.
따라서 자전거(1)의 바퀴(11,12)와 제1,2,3롤러(1210,1310,1320)의 마찰을 제1,2,3롤러(1210,1310,1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너어링 또는 고무피복이 크게하여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주행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1210)와 제2롤러(1310)의 양단에는 풀리홈(1211,1311)이 형성되고, 이 풀리홈(1211,1311)에는 벨트(17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롤러(1210)와 제2롤러(1310)가 벨트(1700)에 의해 동기적으로 회동되어서 자전거(10)의 페달을 밟게 되면 주행을 하게 된다.
또 상기 프레임(1100)에는 상기 벨트(1700)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텐션롤러가 더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0)의 양측면에는 자전거(1)의 안장에 올라타기 용이하도록 소정 높이로 발판부(11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에 자전거(1)의 앞바퀴(11)를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1210)는 자전거(1)의 페달부(16)쪽으로 일정각도 후방에서 자전거 앞바퀴(11)의 뒤쪽이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자전거(1)의 페달에 걸리는 하중이 적게되어 페달을 돌리기 용이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100)의 좌우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수직하게 세워진 손잡이부(1800)가 구비되어, 자전거(1)에 앉은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 손으로 잡아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손잡이부(1800)의 상부에는 자전거 운전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보호피복을 입히거나 또는 고무패드를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0)의 하부에는 소정위치에서 안착되도록 고무패드를 갖춘 고정구(1120)가 복수개 구비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철식 이동바퀴(1130)가 복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자전거 주행 연습기(1000)를 이동바퀴(1130)에 의해 소정위치로 이동이 용이하고,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1120)로 고정도 쉽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0)의 내측면에는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의 좌우측 에서 앞바퀴와 뒷바퀴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자전거바퀴이탈방지구(19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자전거 초보자가 자전거를 연습 할때 자전거의 바퀴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자전거바퀴이탈방지구(1900)에 의해 더 이상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속적으로 자전거 주행 연습을 하도록 된다.
물론 상기 벨트(1630,1700)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및 구동수단에 형성된 풀리가 스프로킷으로 구성된 경우에 체인으로 대체할 수 있고, 이때에는 회전력이 더욱 확실하게 전달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주행 연습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자전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 자전거 주행 연습기 1100 : 프레임
1110 : 발판부 1120 : 고정구
1130 : 이동바퀴 1200 : 앞바퀴지지체
1210 : 제1롤러 1300 : 뒷바퀴지지체
1310 : 제2롤러 1320 : 제3롤러
1400 : 수직프레임
1500 :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
1610 : 속도조절기부 1620 : 구동모터
1630 : 벨트 1700 : 벨트
1800 : 손잡이부 1900 : 자전거바퀴이탈방지구

Claims (12)

  1. 프레임(1100)과, 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전거(1)의 앞바퀴(11)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앞바퀴지지체(1200)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자전거의 뒷바퀴(12)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뒷바퀴지지체(130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에 앞바퀴지지체와 뒷바퀴지지체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하도록 된 자전거 주행 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0)의 일측에 상부로 일정길이 세워져 설치된 수직프레임부(140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1400)에 설치되되 자전거의 앞바퀴지지간(13)과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자전거핸들의 핸들축(14)을 지지하는 자전거의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15)를 감싸도록 된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1400)에 상기 앞바퀴핸들지지프레임부용 중심지지프레임부(15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1400)에 설치된 속도조절기부(1610)와, 이 속도조절기부 와 연결된 구동모터(1620)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의 제1롤러(1210)에 전달하도록 된 벨트(16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에는 자전거(1)의 앞바퀴(11)를 지지하는 제1롤러(1210)가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지지체(1300)에는 자전거(1)의 뒷바퀴(12)를 지지하는 제2,3롤러(1310,1320)가 설치되되, 상기 제1,2,3롤러의 직경은 롤러의 양단이 가장 크고 제1,2,3롤러의 중앙부가 가장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롤러의 외주면에는 너어링 또는 고무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1210)와 제2롤러(1310)의 양단에는 풀리홈(1211,1311)이 형성되고, 이 풀리홈(1211,1311)에는 벨트(17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0)의 양측면에는 자전거(1)의 안장에 올라타기 용이하도록 소정 높이로 발판부(1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지지체(1200)에 자전거(1)의 앞바퀴(11)를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롤러(1210)는 자전거(1)의 페달부(16)쪽으로 일정각도 후방에서 자전거 앞바퀴(11)의 뒤쪽이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0)의 좌우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는 수직하게 세워진 손잡이부(1800)가 구비되어, 자전거(1)에 앉은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 손으로 잡아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0)의 하부에는 소정위치에서 안착되도록 고무패드를 갖춘 고정구(1120)가 복수개 구비됨은 물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철식 이동바퀴(1130)가 복수개 구비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1100)의 내측면에는 자전거의 앞바퀴와 뒷바퀴의 좌우측에서 앞바퀴와 뒷바퀴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도 록 된 자전거바퀴이탈방지구(19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행 연습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65264A 2009-07-17 2009-07-17 자전거 주행 연습기 KR101135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64A KR101135568B1 (ko) 2009-07-17 2009-07-17 자전거 주행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64A KR101135568B1 (ko) 2009-07-17 2009-07-17 자전거 주행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93A KR20110007693A (ko) 2011-01-25
KR101135568B1 true KR101135568B1 (ko) 2012-04-17

Family

ID=4361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64A KR101135568B1 (ko) 2009-07-17 2009-07-17 자전거 주행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83U (ko) 2018-01-03 2019-07-11 조윤국 자전거 주행 도움 장치
KR20230117962A (ko) 2022-02-03 2023-08-10 정환희 훈련보조기능을 갖는 자전거 주행 훈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80Y1 (ko) * 2013-03-28 2014-05-22 윤호영 바이크 묘기 연습 장치
KR101426818B1 (ko) * 2013-08-28 2014-08-05 주식회사 영일교육시스템 차량하부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597A (en) * 1974-04-12 1975-09-16 Lester M Tabb Bicycle roller system
US4415152A (en) * 1981-08-27 1983-11-15 Smith Sebie B Bicycl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KR200193894Y1 (ko) * 2000-03-02 2000-08-16 조인호 자전거 제자리 운동기구
US20060217237A1 (en) * 2004-12-30 2006-09-28 Rhodes Jeffrey F Exercise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597A (en) * 1974-04-12 1975-09-16 Lester M Tabb Bicycle roller system
US4415152A (en) * 1981-08-27 1983-11-15 Smith Sebie B Bicycl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KR200193894Y1 (ko) * 2000-03-02 2000-08-16 조인호 자전거 제자리 운동기구
US20060217237A1 (en) * 2004-12-30 2006-09-28 Rhodes Jeffrey F Exercise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83U (ko) 2018-01-03 2019-07-11 조윤국 자전거 주행 도움 장치
KR20230117962A (ko) 2022-02-03 2023-08-10 정환희 훈련보조기능을 갖는 자전거 주행 훈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93A (ko)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5183A (en) Indoor-rollbike apparatus
US4334695A (en) Walking buggy
US7951049B2 (en) Training aid for bicycles and bicycle toy
WO2012164491A1 (en) Exercise device
US20150045190A1 (en) Eccentric idler
KR101564841B1 (ko) 수영 연습 및 수영 동작 자전거
KR101135568B1 (ko) 자전거 주행 연습기
US20180036619A1 (en) Bicycle exercise apparatus
US20210114685A1 (en) Extreme labor-saving bicycle
KR101503650B1 (ko) 자전거 운동기구
CN201389289Y (zh) 一种摇摆冲浪机
CN204895740U (zh) 一种健身自行车
CN102358387B (zh) 拉、蹬和后坐力自行车
CN210078833U (zh) 自助驱动型游乐运动设备
KR101093751B1 (ko) 사이클링 운동기구
CN211536358U (zh) 一种锻炼平衡感的体育训练装置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WO2008056869A1 (en) Standup type small bicycle for exercise
CN101618267A (zh) 脚蹬式倒立器
KR100768964B1 (ko) 기립식 운동용 소형자전거
US20130090217A1 (en) Recumbent stepper
JP2007330565A (ja) 吊架式自転車
US9079061B1 (en) Vehicle for exercising
CN202605245U (zh) 一种脚踏式扭腰按摩器
KR20110018476A (ko) 보조바퀴를 갖는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