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180B1 - 전신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전신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180B1
KR101933180B1 KR1020170126973A KR20170126973A KR101933180B1 KR 101933180 B1 KR101933180 B1 KR 101933180B1 KR 1020170126973 A KR1020170126973 A KR 1020170126973A KR 20170126973 A KR20170126973 A KR 20170126973A KR 101933180 B1 KR101933180 B1 KR 10193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in
base member
frames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덕
Original Assignee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의료기산업(주) filed Critical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2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63B23/03591Upper and lower limb moving in phase, i.e. right foot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ght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Abstract

본 발명은 상지와 하지가 연동되는 전신운동기구에서 하지가 안착되는 발판의 움직임을 타원형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타원형 궤적 및 발판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하지 상태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선단 상측에 마련되는 케이싱 몸체와, 일단부가 회전바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조절수단의 연동바에 연결되며 중간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도록 발판이 마련되며 발판에 안착된 사용자의 하지 움직임에 따라 타원형 궤적으로 운동되는 좌,우측 발판프레임과, 상기 케이싱 몸체의 좌,우 양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측에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일단부와 연결핀으로 힌지 연결되는 회전바와, 하단이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단부 상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양손으로 파지하도록 상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좌,우측 핸들바와, 상기 좌,우측 핸들바의 크랭크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단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타원형 궤적을 가변시키고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신운동기구{Whole body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지와 하지가 연동되는 전신운동기구에서 하지가 안착되는 발판의 움직임을 타원형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타원형 궤적 및 발판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하지 상태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자신의 신체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걷기 운동을 한다.
기존 상하지 연동형 전신운동 장치는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페달과 손으로 움겨쥘 수 있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에 양 발을 거치하고 핸들을 양손으로 감싸쥔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힘을 가압하는 경우 각각의 페달 및 핸들이 기 설정된 궤적을 따라 왕복하면서 팔과 다리를 동시에 운동할 수 있다.
통상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은 상체 또는 하체를 분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팔과 다리를 동시에 운동함으로서 운동량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효과적인 전신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를 이용하여 신체가 부자유한자나 노약자들의 재활치료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종래의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는 건강한 일반인을 상대로 운동량을 증가시키는데에 초점이 맞춰져 페달 및 핸들이 단순한 직선 또는 호 형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왕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운동에 사용되는 신체부위가 제한적이어서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사용해야 하는 재활치료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5545호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등록일자 : 2012.02.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샤프트;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의 양 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타단에 형성되는 페달이 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하지 링크; 일단이 상기 하지 링크와 연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에는 핸들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지 링크; 상기 제2샤프트 양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회전부재는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각 상지 링크와 제2샤프트핀에 의해 연결되는 편심 회전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편심 회전 링크는 상기 하지 링크의 페달이 소정 구간안에서 왕복하도록 회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하지 링크의 회동 운동에 따라 상기 상지 링크의 핸들이 폐곡선 궤적을 그리며 연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종래 하지 재활기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054호 "타원형 궤적 운동기구"(등록일자 : 2011.11.2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 프레임 사이에 마련된 연결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결합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단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일측 소정 위치에 상기 지지 프레임를 사이에 두고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일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병진운동하는 한 쌍의 페달 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페달 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상,하지 재활운동기구는 하지를 크랭크 운동시키는 사이클 운동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운동방식이 한정되어 하지 재활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상,하지 재활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한 각도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핸들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존 상,하지 전신운동기구는 하지 운동시 단순히 상,하 움직임의 제자리 걸음 형태로 보행하고 있으므로, 하지 운동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5545호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등록일자 : 2012.02.06)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054호 "타원형 궤적 운동기구"(등록일자 : 2011.11.2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지와 하지가 연동되는 전신운동기구에서 하지가 안착되는 발판의 움직임을 타원형 궤적으로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타원형 궤적 및 발판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하지 상태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신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선단 상측에 마련되는 케이싱 몸체와; 일단부가 회전바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조절수단의 연동바에 연결되며 중간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도록 발판이 마련되며 발판에 안착된 사용자의 하지 움직임에 따라 타원형 궤적으로 운동되는 좌,우측 발판프레임과; 상기 케이싱 몸체의 좌,우 양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측에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일단부와 연결핀으로 힌지 연결되는 회전바와; 하단이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단부 상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양손으로 파지하도록 상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좌,우측 핸들바와, 상기 좌,우측 핸들바의 크랭크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단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타원형 궤적을 가변시키고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게 고정되고 상단부 좌,우양측에 고정브라켓이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제1회전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1연결링과, 상기 제1연결링의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며 일단부에 조절핸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며 타단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과, 상기 고정바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의 좌,우측에 마련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좌,우측에 마련된 연결브라켓에 각각 힌지핀으로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부 내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제2회전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축이 나사 체결되는 제2연결링 및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에 각각 제1연동핀으로 힌지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타단부에 제2연동핀으로 힌지 연결되는 연동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케이싱 몸체의 선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끼움핀과, 일단이 상기 끼움핀의 좌,우 양측단에 베어링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우측 핸들바에 돌출된 고정핀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연결바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고정바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의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부재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은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발판의 후면까지 연결되고 연동바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프레임부재와, 상기 발판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바의 단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발판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프레임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타원형 궤적을 가변시키고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연동바 및 연결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대해 직각 상태로 위치할 경우 앞뒤로 타원형 궤적(C1)을 그리도록 발판이 이동하거나, 사용자의 하지 상태에 따라 연동바 및 연결부재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스크류축과 조절핸들을 회전시킬 경우 발판이 타원형 궤적(C2,C3)의 진행 경로를 갖도록 이동하게 됨과 아울러, 앞방향 또는 뒤방향 이동시 직각상태보다 더 큰 힘이 요구되므로, 사용자의 하지 신체 조건에 따라 적합한 운동방식으로 임의 선택할 수 있게 되어 하지의 운동 효율이 더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측 핸들바의 하단부가 좌,우측 발판프레임의 선단부와 연결된 후에 좌,우측 핸들바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좌,우측 발판프레임이 연동되는 과정에서 지지수단에 의해 좌,우측 핸들바의 상,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좌,우측 발판프레임은 타단부로부터 상기 발판의 후면까지 연결되고 연동바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프레임부재와, 상기 발판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바의 단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발판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프레임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판이 연동바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발판의 상,하 높낮이 차를 크게 하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 연결부재 및 연동바가 베이스부재에 대해 직각상태에 위치한 경우의 발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와 도 3c는 연결부재 및 연동바가 베이스부재에 대해 직각상태에 위치한 경우의 발판이 뒤방향 및 앞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a는 본 발명 연결부재 및 연동바의 상부가 후방측으로 기울어졌을 때의 발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와 도 4c는 연결부재 및 연동바가 후방 기울어짐 상태일 경우의 발판이 뒤방향 및 앞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a는 본 발명 연결부재 및 연동바의 상부가 전방측으로 기울어졌을 때의 발판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와 도 5c는 연결부재 및 연동바가 전방 기울어짐 상태일 경우의 발판이 뒤방향 및 앞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연동바가 베이스부재에 대해 직각상태에 위치한 경우의 연동바의 전,후 이동거리와 높낮이 상태를 연동바가 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의 연동바의 전,후 이동거리와 높낮이 상태를 개략적으로 비교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연동바가 베이스부재에 대해 직각상태에 위치한 경우의 연동바의 전,후 이동거리와 높낮이 상태를 연동바가 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의 연동바의 전,후 이동거리와 높낮이 상태를 개략적으로 비교한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전신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선단 상측에 마련되는 케이싱 몸체(200)와, 일단부가 회전바(400)의 단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조절수단(700)의 연동바(770)에 연결되며 중간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도록 발판(350)이 마련되며 발판(350)에 안착된 사용자의 하지 움직임에 따라 타원형 궤적으로 운동되는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과, 상기 케이싱 몸체(200)의 좌,우 양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측에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일단부와 연결핀(410)으로 힌지 연결되는 회전바(400)와, 하단이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단부 상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양손으로 파지하도록 상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좌,우측 핸들바(500A,500B)와, 상기 좌,우측 핸들바(500A,500B)의 크랭크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00), 및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후단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타원형 궤적을 가변시키고 발판(35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700)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실외나 실내의 지면 또는 바닥면에 하부가 안착되도록 고정되며, 선단에 케이싱 몸체(200)가 직각으로 기립되게 배치되고, 후단에 조절수단(70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 몸체(200)는 베이스부재(100)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기립되게 배치되고, 좌,우 양측에 마련된 상기 회전바(400)가 회전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바(400)는 일단부가 케이싱 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타단부가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선단부에 연결핀(410)으로 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바(630)와 같이 상기 좌,우측 핸들바(500A,500B)를 크랭크 회전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은 회전바(400)를 이용한 크랭크 운동중에 발판(350)이 상,하 및 전,후로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양 발이 번갈아 전,후진동작됨과 아울러 상,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은 상,하 및 전,후 동작이 같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타원형 운동 궤적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지와 하지의 연동 운동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케이싱 몸체(200)의 선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프레임(610)과, 상기 고정프레임(610)의 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끼움핀(620)과, 일단이 상기 끼움핀(620)의 좌,우 양측단에 베어링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우측 핸들바(500A,500B)에 돌출된 고정핀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연결바(6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610)은 케이싱 몸체(200)의 선단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된 사각형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선단부에 끼움핀(620)이 좌,우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630)는 일단부에 상기 끼움핀(620)이 관통되도록 제1연결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좌,우측 핸들바(500A,500B)에 돌출된 고정핀이 관통되도록 제2연결공이 형성되며, 제1,2연결공의 내주면에 제1,2베어링이 개재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연결바(630)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제1,2연결공이 형성되고 제1,2연결공 내에 베어링이 각각 개재되어 있으므로, 좌,우측 핸들바(500A,500B)와 고정프레임(610)을 연결하여 좌,우측 핸들바(500A,500B)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은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발판(350)의 후면까지 연결되고 연동바(77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프레임부재(312)와, 상기 발판(35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바(400)의 단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발판(350)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프레임부재(314)로 구성된다.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수단(700)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게 고정되고 상단부 좌,우양측에 고정브라켓(715)이 설치되는 고정바(710)와, 상기 고정브라켓(715)에 제1회전핀(71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1연결링(720)과, 상기 제1연결링(720)의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며 일단부에 조절핸들(73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730)과, 상기 고정바(710)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100)의 좌,우측에 마련되는 연결브라켓(740)과,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좌,우측에 마련된 연결브라켓(740)에 각각 힌지핀(745)으로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부 내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재(750)와, 상기 연결부재(750)에 제2회전핀(76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축(730)이 나사 체결되는 제2연결링(760)과,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재(750)의 상단부에 각각 제1연동핀(772)으로 힌지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타단부에 제2연동핀(774)으로 힌지 연결되는 연동바(77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710)는 베이스부재(100)의 후단부에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용접으로 일체화될 수 있으며, 상단부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는 형태의 고정브라켓(715)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연결링(720)은 상기 스크류축(730)이 관통되고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축(73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며, 외주면 좌,우 양측이 고정브라켓(715)에 제1회전핀(712)으로 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연결링(720)이 고정브라켓(715)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크류축(730)은 제1연결링(72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에 조절핸들(735)이 연동 회전되도록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연결링(760)은 상기 연결부재(750)들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제2회전핀(762)의 단부가 외주면의 좌,우 양측에 핀 결합되고 내부가 스크류축(730)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크류축(7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동작됨과 아울러, 전,후진 동작시 힌지핀(745)을 기준으로 연결부재(750)측에 전,후방 기울기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연결브라켓(740)은 상기 고정바(71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100)의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수직으로 설치된 구조로서, 힌지핀(745)을 매개로 연결부재(750)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750)는 하부가 힌지핀(745)으로 연결브라켓(74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크류축(73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제2연결링(760)의 전,후진 동작시 전방의 케이싱 몸체(200)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750)는 각각의 상부에 제1연동핀(772)을 매개로 연동바(77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동바(770)는 상부가 연결부재(750)의 외측 상부에 핀 연결되고, 하부가 제2연동핀(774)을 매개로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제1프레임부재(31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양측 발을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발판(350)에 안착시킨 후에, 손으로 좌,우측 핸들바(500A,500B)의 손잡이에 파지한 후에, 사용자의 하지에 힘을 가해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을 번갈아 이동시키면, 좌,우측 핸들바(500A,500B)의 하부 및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제2프레임부재(314)의 선단부가 회전바(400)에 의해 크랭크 회전 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수단(700)에 의해 발판(350)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타원형 궤적(C1,C2,C3)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700)의 연결부재(750)가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도록 스크류축(730)을 조절하면, 발판(350)이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이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고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도 3b와 도 3c에서와 같이,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을 번갈아 이동시킬 경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과 연결된 연동바(770)의 하단부가 후방 이동 및 전방 이동하면서 시계추 운동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바(400)가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과 좌,우측 핸들바(500A,500B)를 크랭크 회전시키게 되고, 발판(350)이 도 3a에 도시된 타원형 궤적(C1)의 진행 경로를 갖도록 하지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700)의 조절핸들(735)과 스크류축(7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연결링(760)이 후진되면서 제2연결링(760)에 제2회전핀(762)으로 핀 연결된 연결부재(750)측에 후진동작력이 전달되면서 연결부에 상부가 연결된 연동바(770)가 같이 연동 회전되면서 연결부재(750) 및 연동바(770)의 상부가 후방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후에,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을 번갈아 이동시킬 경우,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과 연결된 연동바(770)의 하단부가 후방 이동 및 전방 이동하면서 시계추 운동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바(400)가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과 좌,우측 핸들바(500A,500B)를 크랭크 회전시키게 되고, 발판(350)이 도 4a에 도시된 타원형 궤적(C2)의 진행 경로를 갖도록 하지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연동바(770) 하단부의 시계추 운동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바(770)가 직각상태로 위치하는 경우의 앞,뒤방향 이동 거리(L1,L2)에 비해, 앞방향 이동 거리(L5)가 단축(L1>L5)되는 반면에, 뒤방향 이동 거리(L6)는 동일한 이동 거리를 갖게 되므로, 사용자가 발판(35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연동바(770)가 직각 상태일 때보다 더 큰 힘이 요구된다.
한편, 도 1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700)의 조절핸들(735)과 스크류축(73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연결링(760)이 전진되면서 제2연결링(760)에 제2회전핀(762)으로 핀 연결된 연결부재(750)측에 전진동작력이 전달되면서 연결부재(750)에 상부가 연결된 연동바(770)가 같이 연동 회전되면서 연결부재(750) 및 연동바(770)의 상부가 전방의 케이싱 몸체(200)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후에,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을 번갈아 이동시킬 경우, 도 5b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과 연결된 연동바(770)의 하단부가 후방 이동 및 전방 이동하면서 시계추 운동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바(400)가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과 좌,우측 핸들바(500A,500B)를 크랭크 회전시키게 되고, 발판(350)이 도 5a에 도시된 타원형 궤적(C3)의 진행 경로를 갖도록 하지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연동바(770)의 하단부의 시계추 운동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바(770)가 직각상태로 위치하는 경우의 앞,뒤방향 이동 거리(L1,L2)에 비해, 앞방향 이동 거리(L3)가 동일한 이동거리를 갖는 반면에, 뒤방향 이동 거리(L4)는 단축된 이동거리(L1>L4)를 갖게 되므로, 사용자가 발판(35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연동바(770)가 직각 상태일 때보다 더 큰 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타원형 궤적을 가변시키고 발판(35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700)을 구비함으로써, 연동바(770) 및 연결부재(750)가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 상태로 위치할 경우 앞뒤로 타원형 궤적(C1)을 그리도록 발판(350)이 이동하거나, 사용자의 하지 상태에 따라 연동바(770) 및 연결부재(750)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스크류축(730)과 조절핸들(735)을 회전시킬 경우 발판(350)이 타원형 궤적(C2,C3)의 진행 경로를 갖도록 이동하게 됨과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방향 또는 뒤방향 이동시 직각상태보다 더 큰 힘이 요구되므로, 사용자의 하지 신체 조건에 따라 적합한 운동방식으로 임의 선택할 수 있게 되어 하지의 운동 효율이 더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측 핸들바(500A,500B)의 하단부가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선단부와 연결된 후에 좌,우측 핸들바(500A,500B)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이 연동되는 과정에서 지지수단(600)에 의해 좌,우측 핸들바(500A,500B)의 상,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은 타단부로부터 상기 발판(350)의 후면까지 연결되고 연동바(77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프레임부재(312)와, 상기 발판(35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바(400)의 단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발판(350)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프레임부재(314)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판(350)이 연동바(770)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발판(350)의 상,하 높낮이 차를 크게 하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베이스부재 200 : 케이싱 몸체
310,320 : 좌,우측 발판프레임 312,314 : 제1,2프레임부재
350 : 발판 400 : 회전바
410 : 연결핀 500A,500B : 좌,우측 핸들바
600 : 지지수단 610 : 고정프레임
620 : 끼움핀 630 : 연결바
700 : 조절수단 710 : 고정바
712 : 제1회전핀 715 : 고정브라켓
720 : 제1연결링 730 : 스크류축
735 : 조절핸들 740 : 연결브라켓
745 : 힌지핀 750 : 연결부재
760 : 제2연결링 762 : 제2회전핀
770 : 연동바 772 : 제1연동핀
774 : 제2연동핀

Claims (4)

  1.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선단 상측에 마련되는 케이싱 몸체(200)와;
    일단부가 회전바(400)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조절수단(700)의 연동바(770)에 연결되며 중간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도록 발판(350)이 마련되며 발판(350)에 안착된 사용자의 하지 움직임에 따라 타원형 궤적으로 운동되는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과;
    상기 케이싱 몸체(200)의 좌,우 양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측에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일단부와 연결핀(410)으로 힌지 연결되는 회전바(400)와;
    하단이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단부 상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양손으로 파지하도록 상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좌,우측 핸들바(500A,500B)와;
    상기 좌,우측 핸들바(500A,500B)의 크랭크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00); 및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후단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타원형 궤적을 가변시키고 발판(35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700);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700)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후단에 수직으로 기립되게 고정되고 상단부 좌,우양측에 고정브라켓(715)이 설치되는 고정바(710)와, 상기 고정브라켓(715)에 제1회전핀(71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1연결링(720)과, 상기 제1연결링(720)의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며 일단부에 조절핸들(735)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며 타단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730)과, 상기 고정바(710)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100)의 좌,우측에 마련되는 연결브라켓(740)과,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좌,우측에 마련된 연결브라켓(740)에 각각 힌지핀(745)으로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부 내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재(750)와, 상기 연결부재(750)에 제2회전핀(76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축(730)이 나사 체결되는 제2연결링(760) 및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재(750)의 상단부에 각각 제1연동핀(772)으로 힌지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의 타단부에 제2연동핀(774)으로 힌지 연결되는 연동바(7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케이싱 몸체(200)의 선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프레임(610)과,
    상기 고정프레임(610)의 단부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끼움핀(620)과,
    일단이 상기 끼움핀(620)의 좌,우 양측단에 베어링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우측 핸들바(500A,500B)에 돌출된 고정핀에 베어링으로 결합되는 연결바(6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740)은 상기 고정바(71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100)의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힌지핀(745)을 매개로 연결부재(750)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발판프레임(310,320)은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발판(350)의 후면까지 연결되고 연동바(77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프레임부재(312)와,
    상기 발판(35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회전바(400)의 단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발판(350)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프레임부재(3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기구.
KR1020170126973A 2017-09-29 2017-09-29 전신운동기구 KR10193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73A KR101933180B1 (ko) 2017-09-29 2017-09-29 전신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73A KR101933180B1 (ko) 2017-09-29 2017-09-29 전신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180B1 true KR101933180B1 (ko) 2018-12-31

Family

ID=6495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73A KR101933180B1 (ko) 2017-09-29 2017-09-29 전신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1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512A (en) 1999-07-27 2000-03-28 Eschenbach; Paul William Variable lift cross trainer exercise apparatus
US20160151660A1 (en) * 2001-03-30 2016-06-02 Nautilus, Inc. Exercise machine
US20160263428A1 (en) * 2015-03-13 2016-09-15 Strength Master Fitness Tech. Co., Ltd Gait tread simulation fitness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512A (en) 1999-07-27 2000-03-28 Eschenbach; Paul William Variable lift cross trainer exercise apparatus
US20160151660A1 (en) * 2001-03-30 2016-06-02 Nautilus, Inc. Exercise machine
US20160263428A1 (en) * 2015-03-13 2016-09-15 Strength Master Fitness Tech. Co., Ltd Gait tread simulation fitness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442Y1 (ko) 마사지 의자
US7494448B2 (en) Recumbent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KR101486187B1 (ko) 마사지 의자
US8062190B2 (en) Stationary exercise bicycle
US7357768B2 (en) Recliner exerciser
US7914427B2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TW200934553A (en) Standing-position type passive exercise machine
KR101239059B1 (ko) 재활용 보행 운동장치
KR20110069586A (ko)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
KR101984136B1 (ko)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KR101933180B1 (ko) 전신운동기구
JP2013081490A (ja) 運動補助装置
KR101711208B1 (ko) 허리트위스트가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3202231U (ja) 運動用器具
KR100895111B1 (ko) 운동기구
JP5140657B2 (ja) 運動補助装置
KR101552878B1 (ko) 허리스트레칭이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KR102434901B1 (ko) 노젓기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JP2007260186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0396988Y1 (ko) 기마 운동기
JP3092355U (ja) リハビリ用サイクリングマシン
JP3202230U (ja) 運動用器具
KR20160003937U (ko) 다운타입 사이클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