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136B1 -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136B1
KR101984136B1 KR1020170124931A KR20170124931A KR101984136B1 KR 101984136 B1 KR101984136 B1 KR 101984136B1 KR 1020170124931 A KR1020170124931 A KR 1020170124931A KR 20170124931 A KR20170124931 A KR 20170124931A KR 101984136 B1 KR101984136 B1 KR 101984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member
coupled
members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101A (ko
Inventor
이광덕
Original Assignee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의료기산업(주) filed Critical 신광의료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2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1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 A61H2201/1276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by the other leg or 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운동기구의 의자 좌부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케이싱 본체측에 마련된 페달과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전,후진동작 및 높낮이 동작이 조절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의 선단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 페달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로부터 선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2받침부재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핀으로 연결되며 상측에 의자 좌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판; 및 상기 제1,2힌지핀에 대한 상기 좌,우측 제1,2받침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 및 의자 좌부의 높낮이 및 전,후진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CHAIR ASSEMBLY FOR THE LOWER LIMBS EXERC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히특 하지운동기구의 의자 좌부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케이싱 본체측에 마련된 페달과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전,후진동작 및 높낮이 동작이 조절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하지 연동운동 장치는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페달과 손으로 움겨쥘 수 있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달에 양 발을 거치하고 핸들을 양손으로 감싸쥔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힘을 가압하는 경우 각각의 페달 및 핸들이 기 설정된 궤적을 따라 왕복하면서 팔과 다리를 동시에 운동할 수 있다.
통상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은 상체 또는 하체를 분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팔과 다리를 동시에 운동함으로서 운동량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효과적인 전신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를 이용하여 신체가 부자유한자나 노약자들의 재활치료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종래의 상하지 연동운동장치는 건강한 일반인을 상대로 운동량을 증가시키는데에 초점이 맞춰져 페달 및 핸들이 단순한 직선 또는 호 형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왕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운동에 사용되는 신체부위가 제한적이어서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사용해야 하는 재활치료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5545호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등록일자 : 2012.02.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샤프트;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의 양 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타단에 형성되는 페달이 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하지 링크; 일단이 상기 하지 링크와 연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에는 핸들이 형성되는 한 쌍의 상지 링크; 상기 제2샤프트 양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 회전부재는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각 상지 링크와 제2샤프트핀에 의해 연결되는 편심 회전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편심 회전 링크는 상기 하지 링크의 페달이 소정 구간안에서 왕복하도록 회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하지 링크의 회동 운동에 따라 상기 상지 링크의 핸들이 폐곡선 궤적을 그리며 연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종래 하지 재활기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94685호 "하지 훈련 운동기구"(등록일자 : 2015.02.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연결대에 탑재된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연결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과; 사용자의 하지가 안착되고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의 회전력으로 사용자의 하지를 강제 운동시키는 하지 받침대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크랭크 운동력으로 전환시켜 상기 하지 받침대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제1연동수단;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하지 받침대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2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동수단은 상기 구동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판과, 일단부가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지 받침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크랭크 운동되는 연동바와, 상기 하지 받침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연결바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동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편심 회전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외주면 둘레에 접촉되고 편심캠의 편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바 및 상기 전달바의 회동 동작을 상기 하지 받침대의 각도 조절력으로 전환시켜 상기 지지블록으로 전달하기 위한 조절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상,하지 재활운동기구는 하지를 크랭크 운동시키는 사이클 운동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의자를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페달과 사용자의 간격 및 의자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5545호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등록일자 : 2012.02.06)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94685호 "하지 훈련 운동기구"(등록일자 : 2015.02.1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지운동기구의 의자 좌부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케이싱 본체측에 마련된 페달과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전,후진동작 및 높낮이 동작이 조절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의 선단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 페달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로부터 선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2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2받침부재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핀으로 연결되며 상측에 의자 좌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판; 및 상기 제1,2힌지핀에 대한 상기 좌,우측 제1,2받침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 및 의자 좌부의 높낮이 및 전,후진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을 구비하고, 조절수단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도록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지지링과, 상기 제1지지링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단턱을 갖는 대경부가 형성되고 대경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부에 연동 회전되도록 조립스크류로 결합되는 조작핸들과, 상기 제1지지링의 일측과 상기 조작핸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링과, 상기 제1지지링의 타측과 상기 단턱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링, 및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 사이의 베이스부재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상기 스크류축의 타단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지지링이 마련된 고정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링은 고정바의 상부에 좌,우 양측으로 마련된 지지브라켓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에 관통되는 지지핀의 단부가 제2지지링의 외주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공에 끼워져 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힌지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1고정관과, 상기 제2힌지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제2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2고정관을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바의 보강을 위해 상기 제1고정관과 상기 고정바를 연결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른 스크류축의 전,후진 동작시 좌,우측 제1,2받침부재가 제1,2힌지핀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지 길이가 긴 사용자의 경우 양측 페달과의 간격을 멀리하도록 스크류축을 후진동작시키고, 상대적으로 하지 길이가 짧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양측 페달과의 간격을 가깝게 스크류축을 전진동작시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 좌부의 높낮이가 베이스부재에 대한 좌,우측 제1,2받침부재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수단이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의 내측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갖는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지지링과, 상기 제1지지링의 제1체결공 내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조작핸들이 마련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 사이의 베이스부재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상기 스크류축의 타단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지지링이 마련된 고정바로 구성되므로, 스크류축의 회전동작으로 제1,2지지링을 체결된 상태에서 전,후진동작됨에 따라 좌,우측 제1,2받침부재의 기울기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스크류축에 형성된 수나사산의 리드 치수를 적합하도록 선택함에 따라 의자 좌부의 높낮이 및 페달과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2힌지핀을 지지하고 좌,우측 제1,2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제1,2고정관을 베이스부재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1,2힌지핀을 용이하게 지지하고 좌,우측 제1,2받침부재를 제1,2힌지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좌,우측 제1,2받침부재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제1고정관과 고정바를 연결하는 연결바가 구비되므로, 고정바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가 적용된 하지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자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의자 어셈블리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조절수단의 스크류축과 제1지지링의 중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측 제1,2받침부재가 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측 제1,2받침부재가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발명 조절수단에 의해 좌,우측 제1,2받침부재가 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우측 제1받침부재의 전방 기울어짐, 기립 및 후방 기울어짐 상태일 때 간격차와 높이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부재(100)의 선단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 페달(210)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싱 본체(2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3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로부터 선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100)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2힌지핀(334)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핀(342)으로 연결되며 상측에 의자 좌부(5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판(350); 및 상기 제1,2힌지핀(332,334)에 대한 상기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350) 및 의자 좌부(50)의 높낮이 및 전,후진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 본체(200)의 좌,우 양측에는 양측 페달(2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싱 본체(200)로부터 후단측으로 이격된 베이스부재(100)에 의자 좌부(50)가 상기 받침판(35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케이싱 본체(200)에는 페달(210)의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페달운동 지지기구(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는 베이스부재(10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고 원호형태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위가 사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는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서, 베이스부재(10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고, 원호 형태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위가 사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350)은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의 상부가 연결핀(342)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받침판(350)은 상기 의자 좌부(50)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나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가 체결되도록 복수의 결합공(352)이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수단(400)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도록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지지링(420)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단턱(434)을 갖는 대경부(432)가 형성되고 대경부(432)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430)과,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부에 연동 회전되도록 조립스크류(436)로 결합되는 조작핸들(435)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일측과 상기 조작핸들(435)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크류축(430)의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링(450)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타측과 상기 단턱(434)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축(43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링(460)과,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 사이의 베이스부재(100)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상기 스크류축(430)의 타단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445a)이 형성된 제2지지링(445)이 마련된 고정바(440)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축(430)은 일단부에 형성된 소경부(433)와, 타단부에 형성되고 소경부(433)보다 직경이 더 큰 대경부(432) 및 상기 소경부(433)와 대경부(432)의 경계 부위에 형성된 단턱(4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결합링(450,460)은 스크류축(430)의 전,후진 동작시 제1지지링(420)측에 전,후진 동작력을 전달하도록 제1,2결합링(450,460)의 직경이 상기 제1지지링(420)의 중공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링(460)은 타측이 단턱(434)에 의해 지지되어 스크류축(430)의 후진 동작시 후진 동작력이 단턱(434)을 통해 전달되어 제1지지링(420)을 후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링(445)은 고정바(440)의 상부에 좌,우 양측으로 마련된 지지브라켓(442)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442)에 관통되는 지지핀(447)의 단부가 제2지지링(445)의 외주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공에 끼워져 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핀(447)은 상기 지지브라켓(442)의 외측에 마련된 너트부재(446)에 체결되도록 외주면 일부가 나사산이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지지공에 끼워지는 부위의 외주면은 나사산이 아닌 민패형의 환봉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링(420)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환형 구조로서, 외주면 양측에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내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고정브라켓(410)에 관통된 고정핀(415)의 단부가 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핀(415)은 고정브라켓(410)과 제1지지링(420)의 사이에 너트 형태의 스페이서부재(417)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부재(417)에 나사 체결되도록 외주면 일부위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링(420)의 외주에 핀 결합되는 부위는 민패 형의 환봉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축(430)은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된 타단부가 제1지지링(420)에 체결되도록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2지지링(445)에 관통되도록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페이서부재(417)와 너트부재(446)는 고정핀(415)과 지지핀(447)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작핸들(435)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손잡이(437)가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바(440)는 하부가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용접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마련된 제2지지링(445)의 제2체결공(445a)의 내주면에 스크류축(430)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힌지핀(33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를 연결하는 제1고정관(510)과, 상기 제2힌지핀(334)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를 연결하는 제2고정관(52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2고정관(510,520)은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440)의 보강을 위해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관(510)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바(440)에 고정되도록 연결된 연결바(53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 조절 및 의자 좌부(5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사용자가 손잡이(437)를 파지한 상태로 조작핸들(43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435)과 연결된 스크류축(430)이 제2지지링(445)에 체결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전진동작되고, 스크류축(430)과 같이 이동되는 조작핸들(435)에 의해 제1지지링(420)이 제1결합링(450)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전진동작되어 제1지지링(420)측에 전진 동작력이 전달되며, 이로 인해 제1지지링(420)의 전진동작시 전진동작력이 고정브라켓(410)과 고정핀(415)을 통해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측에 전달되므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제1,2힌지핀(332,334)을 기준으로 전방의 케이싱 본체(200)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의자 좌부(50)와 양측 페달(2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과 아울러, 의자 좌부(5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전진동작되는 스크류축(430)은 제2지지링(445)이 고정바(44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2지지링(445)을 통과하면서 전진됨에 따라 스크류축(430)의 전진시 연동동작되는 조작핸들(435)과 제1결합링(450)에 의해 제1지지링(420)이 스크류축(430)의 전진동작에 따라 같이 연동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내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고정브라켓(410)에 관통된 고정핀(415)이 핀 결합된 제1지지링(420)의 구조상 스크류축(430)의 전진력을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에 전달하게 되며, 제1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기울어지게 됨과 아울러,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도 받침판(350)을 매개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힌지핀(334)을 기준으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같이 전방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지지링(420)과 제2지지링(445)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이때, 제1,2지지링(420,445)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제1지지링(420)은 핀 결합된 고정핀(415)에 회전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핀(415)을 기준으로 제1지지링(420)이 회전된다.
이와 반대로, 조작핸들(435)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435)과 연결된 스크류축(430)이 제2지지링(445)에 체결된 상태로 타방향 회전되면서 후진동작되고, 스크류축(430)의 단턱(434)에 지지되어 스크류축(430)의 후진동작시 같이 연동 후진되는 제2결합링(460)에 의해 제1지지링(420)이 연동 후진되며, 이로 인해 제1지지링(420)의 후진동작시 후진동작력이 고정브라켓(410)과 고정핀(415)을 통해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측에 전달되어 제1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가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세워지면서 받침판(350)을 매개로 연결된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제2힌지핀(334)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기립된다.
이에 따라, 제1,2힌지핀(332,334)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졌던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후방측으로 회전되면서 의자 좌부(50)와 양측 페달(21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에서의 의자 좌부(50)의 높이가 앞서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의자 좌부(50)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된다.
이후에, 상기한 기립상태 후에도 계속 조작핸들(435)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핸들(435)과 연결된 스크류축(430)이 제2지지링(445)에 체결된 상태로 타방향 회전되면서 후진동작되고, 제1지지링(420)이 제2결합링(460)을 매개로 스크류축(430)과 같이 연동 후진됨에 따라 제1힌지핀(332)을 기준으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받침판(350)을 매개로 연결된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제2힌지핀(334)을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제1,2힌지핀(332,334)을 기준으로 앞서 설명한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보다 더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가 후방측으로 회전되면서 의자 좌부(50)와 양측 페달(21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베이스부재(100)에 대해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의 의자 좌부(50)의 높이보다 의자 좌부(5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때, 후진동작되는 스크류축(430)은 고정바(440)에 의해 고정된 제2지지링(445)으로부터 후진되도록 회전되면서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에 고정된 제1지지링(420)이 제2지지링(445)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즉, 본 발명의 의자 좌부(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에 의해 베이스부재(100)에 직각으로 기립된 상태보다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질때 의자 좌부(50)의 높이가 낮아지는 높이차(t1)를 갖게 되며,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기울기 각도에 따른 전,후방 이동거리차(L1,L2)가 발생하게 되고, 의자 좌부(50)가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며 이와 반대로 의자 좌부(50)가 후방으로 갈수록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핸들(435)의 회전 방향에 따른 스크류축(430)의 전,후진 동작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가 제1,2힌지핀(332,334)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지 길이가 긴 사용자의 경우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을 멀리하도록 스크류축(430)을 후진동작시키고, 상대적으로 하지 길이가 짧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양측 페달(210)과의 간격을 가깝게 스크류축(430)을 전진동작시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 좌부(50)의 높낮이가 베이스부재(100)에 대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수단(400)이 스크류축(430)의 일방향 및 타방향 회전동작으로 제2지지링(445)에 체결된 상태에서 전,후진동작됨에 따라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기울기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스크류축(430)에 형성된 수나사산의 리드 치수를 적합하도록 선택함에 따라 의자 좌부(50)의 높낮이 및 페달(210)과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2힌지핀(332,334)을 지지하고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연결하는 제1,2고정관(510,520)을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1,2힌지핀(332,334)을 용이하게 지지하고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제1,2힌지핀(332,33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제1고정관(510)과 고정바(440)를 연결하는 연결바(530)가 구비되므로, 고정바(440)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50 : 의자 좌부 100 : 베이스부재
200 : 케이싱 본체 210 : 페달
310A,310B : 좌,우측 제1받침부재 320A,320B : 좌,우측 제2받침부재
332 : 제1힌지핀 334 : 제2힌지핀
342 : 연결핀 350 : 받침판
400 : 조절수단 410 : 고정브라켓
415 : 고정핀 420 : 제1지지링
430 : 스크류축 432 : 대경부
433 : 소경부 434 : 단턱
435 : 조작핸들 436 : 조립스크류
437 : 손잡이 440 : 고정바
442 : 지지브라켓 445 : 제2지지링
445a : 제2체결공 446 : 너트부재
447 : 지지핀 450 : 제1결합링
460 : 제2결합링 510 : 제1고정관
520 : 제2고정관 530 : 연결바

Claims (4)

  1. 베이스부재(100)의 선단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 페달(210)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케이싱 본체(2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1힌지핀(3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로부터 선단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부재(100)의 좌,우 양측에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단부가 제2힌지핀(334)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각각 연결핀(342)으로 연결되며 상측에 의자 좌부(5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받침판(350); 및
    상기 제1,2힌지핀(332,334)에 대한 상기 좌,우측 제1,2받침부재(310A,310B)(320A,320B)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판(350) 및 의자 좌부(50)의 높낮이 및 전,후진동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400)은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도록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지지링(420)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단턱(434)을 갖는 대경부(432)가 형성되고 대경부(432)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430)과, 상기 스크류축(430)의 일단부에 연동 회전되도록 조립스크류(436)로 결합되는 조작핸들(435)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일측과 상기 조작핸들(435)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크류축(430)의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링(450)과, 상기 제1지지링(420)의 타측과 상기 단턱(434)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축(43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링(460) 및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와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 사이의 베이스부재(100)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상기 스크류축(430)의 타단이 체결되도록 제2체결공(445a)이 형성된 제2지지링(445)이 마련된 고정바(4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링(445)은 고정바(440)의 상부에 좌,우 양측으로 마련된 지지브라켓(442)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브라켓(442)에 관통되는 지지핀(447)의 단부가 제2지지링(445)의 외주 양측면에 형성된 지지공에 끼워져 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핀(332)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좌,우측 제1받침부재(310A,310B)를 연결하는 제1고정관(510)과,
    상기 제2힌지핀(334)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제2받침부재(320A,320B)를 연결하는 제2고정관(52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440)의 보강을 위해 제1고정관(510)과 상기 고정바(440)를 연결하는 연결바(5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KR1020170124931A 2017-09-27 2017-09-27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KR101984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31A KR101984136B1 (ko) 2017-09-27 2017-09-27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31A KR101984136B1 (ko) 2017-09-27 2017-09-27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01A KR20190036101A (ko) 2019-04-04
KR101984136B1 true KR101984136B1 (ko) 2019-09-03

Family

ID=6610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931A KR101984136B1 (ko) 2017-09-27 2017-09-27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2964B (zh) * 2019-07-01 2021-10-01 河南科技大学 一种踏板式步态康复机器人足部运动装置
KR102311716B1 (ko) * 2020-01-16 2021-10-13 이광덕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KR102539711B1 (ko) * 2022-11-03 2023-06-02 장경원 필라테스 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36734U (zh) * 2011-06-17 2012-02-08 中山盈亮健康科技有限公司 可升降座椅的健身车
CN203803036U (zh) 2014-04-02 2014-09-03 赵昕怡 双人划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0125B2 (ja) * 1997-11-28 2005-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座位運動装置
KR101115545B1 (ko) 2009-12-17 2012-02-22 주식회사 앞썬아이앤씨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
KR20130076917A (ko) * 2011-12-29 2013-07-09 이도영 오십견의 물리치료 운동기구
KR101494685B1 (ko) 2013-11-20 2015-02-23 신광의료기산업(주) 하지 훈련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36734U (zh) * 2011-06-17 2012-02-08 中山盈亮健康科技有限公司 可升降座椅的健身车
CN203803036U (zh) 2014-04-02 2014-09-03 赵昕怡 双人划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01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136B1 (ko)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US20170252603A1 (en) Stepper exercise machine
US10625113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US20190336815A1 (en) Sport training machine
US10470961B2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passive physical rehabilitation
US9278253B2 (en) Abdomen exercise bench
CN106924012B (zh) 一种上肢关节训练装置
JP2008264320A (ja) 運動補助装置
JP3200800U (ja) 運動用器具
US20100120590A1 (en) Training Apparatus
JP2019111357A (ja) 改善されたエクササイズ装置
KR101515545B1 (ko) 하지 운동 로봇
KR101099332B1 (ko) 안장의 요동각 조절장치를 갖는 헬스 자전거
JP5099853B2 (ja) 身障者用起立運動装置
JP2008264319A (ja) 運動補助装置
KR100550052B1 (ko) 근력강화운동기구
KR100555140B1 (ko)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US5441472A (en) Pivoting thigh engaging exercise apparatus having frictional resistance
KR102054870B1 (ko) 등척성 목근력 운동장치
US4036219A (en) Exercise and massaging apparatus
KR100841840B1 (ko) 유산소 헬스기구
KR102243602B1 (ko) 재활장치
KR102494037B1 (ko) 재활운동기구용 의자 고정구조체
KR101751639B1 (ko) 로윙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