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716B1 -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716B1
KR102311716B1 KR1020200006109A KR20200006109A KR102311716B1 KR 102311716 B1 KR102311716 B1 KR 102311716B1 KR 1020200006109 A KR1020200006109 A KR 1020200006109A KR 20200006109 A KR20200006109 A KR 20200006109A KR 102311716 B1 KR102311716 B1 KR 10231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upport
pedal
ba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562A (ko
Inventor
이광덕
이은철
Original Assignee
이광덕
주식회사 예온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덕, 주식회사 예온홀딩스 filed Critical 이광덕
Priority to KR102020000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7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36Special cran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운동기구를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적 재활조건에 따라 착석부와 케이싱을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지지대를 중심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회전시켜 회전각도의 조절로 환자의 하지 부위가 환자의 심장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하지 재활운동 기능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착석부의 시트와 페달간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VARIABLE ROTATION ANGLE REHABILITATION MECHINE}
본 발명은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활운동기구를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적 재활조건에 따라 착석부와 케이싱을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지지대를 중심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회전시켜 환자의 하지 부위를 심장 부위보다 높게 위치시킨 상태로 하지 재활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혈액 및 림프 순환을 촉진시키고 소화력이 증진되며 신경계 이완 및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착석부의 시트와 페달간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증은 편마비, 편측 감각의 소실, 인지 기능의 저하 등 여러 가지 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뇌졸중 환자들중 일부는 보행이 불가능하게 되기도 하며, 보행이 가능한 환자들 중 일부는 보호자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거나 근위약, 경직, 균형 감각의 장애 등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보행을 보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보행능력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남은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문제로 재활치료에 있어 보행 훈련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노력들이 있어왔다.
뇌졸중 초기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가장 흔히 쓰는 치료법중 하나가 트레드밀 보행 훈련방법이며, 이 외에도 환자의 환측 하지 기능이 어느 정도 호전되어 직립이 가능해 지면 환측 하지에 체중을 부하 하는 훈련을 할 수 있다.
1994년 Nugent등은 직립이 가능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체중부하 훈련을 실시한 결과 반복 횟수가 많을 수록 보행의 개선이 두드러짐을 보고한 바 있다.
앞서 언급한 트레드밀 보행 훈련과 환측 하지의 체중부하 훈련 등과 같은 하지의 강제적 사용을 유도하는 재활치료방법으로서, 국내 특허출원 제10-2004-001684-4호에서와 같이 재활치료를 위한 환자가 보드 위에 눕거나 엎드린 자세로 발을 발판에 올려놓은 안정적인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보드의 경사각도를 조절함으로서,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재활치료용 슬라이드 보드 운동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재활치료용 슬라이드 보드 운동기구는 고정프레임 및 발 받침이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환자의 두발이 모두 발 받침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편마비 환자의 재활 치료를 위해 환측 하지에 하중을 가하는 운동을 실시하게 될 경우,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마비가 없는 쪽에 하중을 싣게 되어 운동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9467호 "편마비 하지 재활 치료용 장치"(등록일자 : 20060704)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높이 평행한 상태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상기 승강 프레임을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승/하강가능한 상태로 지지시키는 가변지그;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가변지그의 축방향 폭 길이를 조절시켜 승강 프레임을 승강 및 하강 작동시키도록 된 승강 장치; 상기 승강 프레임의 일끝 단변부를 정점으로 하여 회동되는 회동 결합부를 하부 적정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회동 결합부 상부 일측으로 환자의 상체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되도록 슬라이드 등판이 설치되는 등판부를 형성하며, 상기 등판부의 하측에 환자의 몸무게를 지탱시켜 설 수 있도록 하는 좌/우측 발판이 각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발판부를 형성하도록 된 테이블; 상기 승강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이 회동 결합부를 중심으로 적정 각도 회동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작동하는 경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기존 편마비 하지 재활기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195호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등록일자 : 200801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환자 스스로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바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동력에 의해 선회운동하면서 환자의 직립위치를 변위시키는 콘베어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정, 역회전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정, 역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외주에 와이어가 권선되면서 당김 및 풀림되도록 하는 권선롤러;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측 하지를 커버하는 환측커프스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김과 풀림을 반복시켜, 환측 하지를 강제 운동시키는 동력부;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다수의 레이저 센서로 구성되어, 콘베어부를 통해 직립한 환자의 하지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 상기 이동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콘베어부의 선회 속도와 동력부의 당김과 풀림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콘베어부의 선회속도와 동력부의 당김과 풀림을 제어하는 수치등을 표시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량의 조절 및 현재의 운동량 등을 보여줄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버튼 및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편마비 하지 재활기구는 사용자인 편마비 환자의 상태(발목 회전 여부)에 관계없이 동력(모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재활운동을 강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재활운동을 수행하게 되어 재활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재활장치와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3236호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등록일자: 2019.02.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편마비 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가 구비된 착석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마련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체인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제1,2회전체와, 상기 케이싱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바에 연결축으로 결합된 제1지지바가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되고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가 마련되는 제1연동바와, 상기 케이싱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바에 연결축으로 결합된 제2지지바가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되고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가 마련되는 제2연동바, 및 상기 제1,2지지바 중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편마비환자의 발이 지지되는 일측 페달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의 반대측 타측 페달의 움직임이 전달되어 상기 일측 페달에 지지된 사용자의 하지 부위를 선택하여 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재활장치는 단순히 일측 페달과 타측 페달을 연동 가능하게 마련하여 운동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페달을 밟는 운동 부하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9467호 "편마비 하지 재활 치료용 장치"(등록일자 : 2006070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195호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등록일자 : 2008010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재활운동기구를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적 재활조건에 따라 착석부와 케이싱을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지지대를 중심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회전시켜 회전각도의 조절로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착석부의 시트와 페달간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연결대로 연동되도록 지지되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배치되며 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와 등받이가 구비된 착석부와; 상기 케이싱의 좌측과 우측에 마련된 일측 페달과 타측 페달을 연동되게 연결시키는 연동수단; 및 상기 케이싱과 착석부를 상기 지지대에 대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회전액츄에이터와, 일단이 상기 연결대에 연결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액츄에이터측에 외부 구동원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로드부재의 신축동작시 상기 연결대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싱과 착석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착석부는 상기 연결대의 단부에 고정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상측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등받이와, 상기 시트를 상기 고정대로부터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동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케이싱이 위치한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일단에 구름 운동 가능한 이동바퀴가 마련되고, 타단에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구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체인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제1,2회전체와, 상기 케이싱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바에 연결축으로 결합된 제1지지바가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되고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가 마련되며 상기 일측 페달과 연동되게 연결된 제1연동바와, 상기 케이싱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바에 연결축으로 결합된 제2지지바가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되고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가 마련되며 상기 타측 페달과 연동되게 연결된 제2연동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일측 페달과 타측 페달이 연동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인 환자의 하지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부의 시트에 안착되고 두 발을 일측 페달과 타측 페달에 안착시킨 후에 회전수단의 회전액츄에이터를 동작시켜 로드부재를 신축동작시킴으로써, 지지대에 힌지축으로 결합된 케이싱을 회전시켜 케이싱과 착석부에 경사각을 부여하여 환자의 하지 부위가 환자의 심장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하지 재활운동 기능 뿐만 아니라, 혈액 및 림프 순환을 촉진시키고 소화력이 증진되며 신경계 이완 및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부의 시트와 케이싱 간의 간격을 이동액츄에이터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페달과의 간격 및 시트의 높낮이를 동시에 연동시켜 환자 신체에 적합하도록 조절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회전수단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로드부재 수축동작시 케이싱과 착석부의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로드부재 수축동작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로드부재의 신장동작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로드부재의 수축동작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 착석부의 시트 전,후방 슬라이딩 동작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00)와; 상기 지지대(200)의 상부에 힌지축(250)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케이싱(300)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연결대(350)로 연동되도록 지지되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배치되며 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420)와 등받이(430)가 구비된 착석부(400)와; 상기 케이싱(300)의 좌측과 우측에 마련된 일측 페달(310)과 타측 페달(320)을 연동되게 연결시키는 연동수단(600); 및 상기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상기 지지대(200)에 대해 상기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일단에 구름운동 가능한 이동바퀴(110)가 마련되고, 타단에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구(120)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타단을 들어올린 상태로 상기 이동바퀴(110)를 이용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구(1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들어 올리고 이송할 때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보다 더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케이싱(300)의 하부 좌,우 양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싱(300)의 타측 부위와 힌지축(250)으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300)은 좌측과 우측에 일측 페달(310)과 타측 페달(320)이 연동수단(600)에 의해 연동되도록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착석부(400)는 상기 연결대(350)의 단부에 고정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대(410)와, 상기 고정대(410)의 상측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시트(420)와, 상기 시트(420)의 일측에 마련되는 등받이(4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410)는 상기 케이싱(300)이 위치한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대(410)의 상측에 마련된 시트(420)에 사용자인 환자의 하지 길이에 적합하도록 안착된다.
이때, 하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환자인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420)의 높이(H1)가 낮아지도록 고정대(410)의 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와 반대로 하지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환자인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420)의 높이(H2)가 높아지도록 고정대(410)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시트(42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대(410)의 측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브라켓(42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425)은 상기 고정대(410)의 측면과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시트(420)의 전,후 이동시 커버로서의 마감 기능을 갖도록 상기 고정대(410)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진 구조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대(350)는 상기 케이싱(300)의 하부와 착석부(400)의 하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착석부(4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고,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300)의 회전동작시 착석부(400)를 같이 회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착석부(400)는 상기 시트(420)를 상기 고정대(410)로부터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동액츄에이터(4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액츄에이터(450)는 전동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또는 서보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500)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핀(515)으로 연결되는 회전액츄에이터(510)와, 일단이 상기 연결대(350)에 연결핀(525)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액츄에이터(510)측에 외부 구동원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520)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로드부재(520)의 신축동작시 상기 연결대(350)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50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재(520)의 수축동작시 상기 연결대(350)를 회전액츄에이터(510)측으로 당기게 되면서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재(520)의 신장동작시 상기 연결대(350)를 밀어내면서 상기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원 위치의 수평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연동수단(600)은 상기 케이싱(3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체인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제1,2회전체(610,620)와, 상기 케이싱(3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610)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케이싱(300)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바(660)에 연결축(675)으로 결합된 제1지지바(672)가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되고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650)가 마련되며 상기 일측 페달(310)과 연동되게 연결된 제1연동바(630)와, 상기 케이싱(30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610)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케이싱(300)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바(660)에 연결축(675)으로 결합된 제2지지바(674)가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되고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650)가 마련되며 상기 타측 페달(320)과 연동되게 연결된 제2연동바(6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2회전체(610,620)는 체인부재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스프로킷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수단(600)은 사용자가 하지 중 한 쪽이 마비된 편마비환자일 경우, 일측 페달(310) 또는 타측 페달(320)중 하나를 회전시킴에 따라 다른 쪽 페달이 연동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함에 따라 강제로 마비된 반대편 하지를 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인 환자가 착석부(400)의 시트(420) 상측에 엉덩이부위를 안착시키고 양측 하지를 일측 페달(310)과 타측 페달(320)에 각각 안착시킨다.
이어서,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 조건(다리 길이 등)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0)과 시트(420)의 간격을 이동액츄에이터(450)로 조절한다.
이후에, 상기 회전수단(500)의 회전액츄에이터(510)를 구동시켜 로드부재(520)를 신축동작시키면, 상기 로드부재(520)가 연결핀(525)으로 연결된 연결대(350)를 밀거나 당김동작시켜 상기 지지대(200)의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정,역방향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로드부재(520)의 신축동작시 상기 회전액츄에이터(510)는 힌지핀(515)으로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이로 인해 발생한는 상기 로드부재(520)의 각도 변위를 상기 회전액츄에이터(510)가 힌지 결합된 힌지핀(51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로드부재(520)의 각도 변위를 보상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부재(520)의 수축동작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350)를 당기게 되면서 상기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착석부(400)에 안착된 환자는 하지 부위가 상측으로 들려지는 경사각(θ) 상태로 위치함에 따라, 환자의 하지 부위가 환자의 심장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하지 재활운동 기능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로드부재(520)의 신장동작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350)를 밀어내면서 상기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위의 경우에는 하지 부위가 착석부(400)가 원래 수평 상태로 복귀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환자의 페달 회전부하가 앞의 경사각 상태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부재(520)의 신축동작시 환자의 안착 상태 경사각이 가변되며, 상기한 경사각의 각도 변화에 따라 환자에게 앉아서 운동하기 어려운 환자에게 누운 상태로 하지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측 페달(310)과 타측 페달(320)이 연동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인 환자의 하지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부(400)의 시트(420)에 안착되고 두 발을 일측 페달(310)과 타측 페달(320)에 안착시킨 후에, 회전수단(500)의 회전액츄에이터(510)를 동작시켜 로드부재(520)를 신축동작시킴으로써, 지지대(200)에 힌지축(250)으로 결합된 케이싱(300)을 회전시켜 케이싱(300)과 착석부(400)에 경사각을 부여하여 환자의 하지 부위가 환자의 심장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하지 재활운동 기능 뿐만 아니라, 혈액 및 림프 순환을 촉진시키고 소화력이 증진되며 신경계 이완 및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부(400)의 시트(420)와 케이싱(300) 간의 간격을 이동액츄에이터(450)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페달과의 간격 및 시트(420)의 높낮이를 동시에 연동시켜 환자 신체에 적합하도록 조절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이동바퀴
120 : 지지구 200 : 지지대
250 : 힌지축 300 : 케이싱
310 : 일측 페달 320 : 타측 페달
350 : 연결대 400 : 착석부
410 : 고정프레임 420 : 시트
430 : 등받이 450 : 이동액츄에이터
500 : 회전수단 510 : 회전액츄에이터
515 : 힌지핀 520 : 로드부재
525 : 연결핀 600 : 연동수단
610,620 : 제1,2회전체 630 : 제1연동바
640 : 제2연동바 650 : 핸들바
660 : 고정바 672,674 : 제1,2지지바
675 : 연결축

Claims (6)

  1.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00)와;
    상기 지지대(200)의 상부에 힌지축(250)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케이싱(300)과;
    상기 케이싱(300)의 하부에 연결대(350)로 연동되도록 지지되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배치되며 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420)와 등받이(430)가 구비된 착석부(400)와;
    상기 케이싱(300)의 좌측과 우측에 마련된 일측 페달(310)과 타측 페달(320)을 연동되게 연결시키는 연동수단(600); 및
    상기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상기 지지대(200)에 대해 상기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핀(515)으로 연결되는 회전액츄에이터(510)와,
    일단이 상기 연결대(350)에 연결핀(525)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액츄에이터(510)측에 외부 구동원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520)를 구비하여서,
    상기 로드부재(520)의 신축동작시 상기 연결대(350)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싱(300)과 착석부(4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400)는 상기 연결대(350)의 단부에 고정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대(410)와,
    상기 고정대(410)의 상측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시트(420)와,
    상기 시트(420)의 일측에 마련되는 등받이(430)와,
    상기 시트(420)를 상기 고정대(410)로부터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동액츄에이터(4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410)는 상기 케이싱(300)이 위치한 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600)은 상기 케이싱(3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고 체인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제1,2회전체(610,620)와,
    상기 케이싱(30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610)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케이싱(300)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바(660)에 연결축(675)으로 결합된 제1지지바(672)가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되고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650)가 마련되며 상기 일측 페달(310)과 연동되게 연결된 제1연동바(630)와,
    상기 케이싱(300)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610)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케이싱(300)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바(660)에 연결축(675)으로 결합된 제2지지바(674)가 크랭크 회전을 지지하도록 연결되고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650)가 마련되며 상기 타측 페달(320)과 연동되게 연결된 제2연동바(6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일단에 구름 운동 가능한 이동바퀴(110)가 마련되고, 타단에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구(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KR1020200006109A 2020-01-16 2020-01-16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KR10231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09A KR102311716B1 (ko) 2020-01-16 2020-01-16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09A KR102311716B1 (ko) 2020-01-16 2020-01-16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62A KR20210092562A (ko) 2021-07-26
KR102311716B1 true KR102311716B1 (ko) 2021-10-13

Family

ID=7712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109A KR102311716B1 (ko) 2020-01-16 2020-01-16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7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647B1 (ko) 2016-03-03 2017-07-14 조민수 스마트 사이클링 시뮬레이터
US20180154204A1 (en) 2015-05-27 2018-06-07 Woodway Usa, Inc. Recumbent therapeutic and exercise device
KR101953236B1 (ko) 2017-08-29 2019-02-28 신광의료기산업(주)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67B1 (ko) 2005-03-04 2006-07-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하지 재활 치료용 장치
KR100795195B1 (ko) 2006-09-20 2008-0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
KR20110000763U (ko) * 2009-07-16 2011-01-24 김홍기 페달형 운동기구
KR20170062015A (ko) * 2015-11-27 2017-06-07 이광덕 상,하지 재활운동기구
KR101907789B1 (ko) * 2016-05-13 2018-12-18 주식회사 나노바이오라이프 자전거형 재활 운동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KR101964039B1 (ko) * 2017-02-28 2019-04-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령자 맞춤형 하지 통합 재활 운동기구
KR101984136B1 (ko) * 2017-09-27 2019-09-03 신광의료기산업(주) 하지운동기구용 의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54204A1 (en) 2015-05-27 2018-06-07 Woodway Usa, Inc. Recumbent therapeutic and exercise device
KR101757647B1 (ko) 2016-03-03 2017-07-14 조민수 스마트 사이클링 시뮬레이터
KR101953236B1 (ko) 2017-08-29 2019-02-28 신광의료기산업(주)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62A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910B1 (ko)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 침대
KR101172323B1 (ko) 운동 보조 장치
CN106176143B (zh) 一种多姿态下肢康健训练椅
CN106539666B (zh) 座椅可移动式下肢外骨骼康复训练装置
US7357768B2 (en) Recliner exerciser
US7914427B2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WO2009081938A1 (ja) 運動補助装置
US10780009B2 (en) Apparatus for locomotion therapy
KR20100085114A (ko) 타동 운동 기기
US9700478B2 (en) Training device for human walking movement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CN111803324A (zh) 一种腿部康复训练用辅助锻炼装置
KR102323896B1 (ko) 운동용 의자
KR102311716B1 (ko)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CN110123577A (zh) 一种下肢康复训练器械
KR101018283B1 (ko)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JP2008237785A5 (ko)
KR102157321B1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KR200323318Y1 (ko) 다리 유산소 운동 기구
KR200302605Y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
KR20200136529A (ko)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CN113426069B (zh) 一种下肢医疗康复训练器械
CN219941152U (zh) 一种步态康复训练装置
KR101238854B1 (ko) 복부 운동장치
KR200210513Y1 (ko) 장애인용 재활 물리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