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283B1 -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283B1
KR101018283B1 KR1020080134931A KR20080134931A KR101018283B1 KR 101018283 B1 KR101018283 B1 KR 101018283B1 KR 1020080134931 A KR1020080134931 A KR 1020080134931A KR 20080134931 A KR20080134931 A KR 20080134931A KR 101018283 B1 KR101018283 B1 KR 101018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alking
pedal
bas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768A (ko
Inventor
홍규석
정경렬
최준호
김사엽
형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2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by simultaneously exercising arms and legs, e.g. diagonally in anti-pha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 A63B22/0069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about an ax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steppers with an inclined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신체의 운동궤적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최적의 보행운동을 행할 수 있고, 운동에 대한 흥미와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행운동기구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텝퍼; 상기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스텝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텝퍼의 수평방향 전진과 후퇴에 따라 전방과 후방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 각각에 연결되어 양측 핸들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좌우연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텝퍼는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동아암과, 상기 연동아암과 함께 수평이동되되 연동아암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지지아암과, 상기 페달지지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페달과, 상기 연동아암과 페달지지아암 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감에 따라 페달지지아암이 하향 또는 상향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하중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텝퍼, 핸들, 연동아암, 페달, 조절링크

Description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AN APPARATUS FOR WALKING EXERCISE WITH VARIABLE WALKING TRACE}
본 발명은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요구되는 운동조건 등에 따라 다리와 발의 운동궤적을 조절하여 운동 및 치료 효과를 높이고, 운동에 대한 흥미와 몰입을 촉진할 수 있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체력단련과 건강증진, 재활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동이 행해지고 있다. 이 중에서 보행운동은 신체에 큰 무리를 주지 않는 유산소운동으로서 젊고 건강한 사람은 물론 신체능력이 떨어지는 환자나 노약자들에게도 적합한 운동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보행운동은 도로나 운동장 등을 실제로 걷는 것으로 행할 수도 있으나, 생활환경에 따른 시간과 장소의 제약, 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사람의 신체적 제약 등으로 인해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보행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행하는 경우가 많 다.
이러한 보행운동기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일반적인 것으로 런닝머쉰이라 불리우는 평면 이동형 보행장치가 있다. 이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는 벨트컨베이어를 사용자가 밟고 걸음으로써 소정의 운동효과를 얻는 것으로, 실제의 보행과 거의 동일한 자세로 보행운동을 행하게 되는 면에서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벨트컨베이어 및 그 구동과 제어를 위한 모터와 컨트롤러 등이 필요하여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벨트컨베이어 상에서 평소의 보행습관대로 단순히 걷기만 하게 되므로, 운동중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되고, 노인이나 환자 등의 보행 습관을 개선하는 등의 치료효과는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페달을 밟고 힘을 가해 보행동작을 취하도록 된 보행운동기구들도 있다. 이러한 기계식 보행운동기구의 일례로 한 쌍의 페달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페달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나 공압실린더를 구비한 승강식 운동기구가 있다. 이는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상대적으로 좁은 장소에서 보행운동을 행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은 있으나, 단순히 양측 발을 올렸다 내리는 동작만을 행하게 되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고, 실제 보행과는 거리가 먼 운동을 행하게 되어 보행운동을 통한 치료 및 건강 증진 효과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기계식 보행운동기구의 다른 예로는 페달의 전방과 후방이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보행동작을 취하면 페달이 소정 궤적을 따라 이동 및 회전하면서 운 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도 있다. 이러한 회동식 보행운동기구는 승강식 운동기구에 비해서는 실제 보행과 유사한 운동을 행하게 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페달이 정해진 각도 및 궤적을 따라서만 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운동방식이 단순하여 흥미 유발 효과가 미약하고, 운동하는 사람의 개인적 신체조건이나 상태, 요구 등에 따른 다양한 운동을 행할 수 없어 치료 및 건강 증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여전히 갖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의 운동궤적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최적의 보행운동을 행할 수 있고, 운동에 대한 흥미와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텝퍼; 상기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스텝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텝퍼의 수평방향 전진과 후퇴에 따라 전방과 후방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 각각에 연결되어 양측 핸들부가 서로 반 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좌우연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텝퍼는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동아암과, 상기 연동아암과 함께 수평이동되되 연동아암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지지아암과, 상기 페달지지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페달과, 상기 연동아암과 페달지지아암 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감에 따라 페달지지아암이 하향 또는 상향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하중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보행운동기구에서, 상기 좌우연동수단은 베이스 상부에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중심축 양측에 구비된 크랭크아암과, 상기 각 핸들부와 크랭크아암 간에 연결 설치된 조절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연동아암에 연결된 회동아암과, 상기 회동아암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링크를 상기 회동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그 결합위치를 회동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결합수단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동아암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조절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의 임의의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형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동아암에 종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과, 상기 조절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형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동아암에 종방향으로 구비된 슬라이더와, 상기 조절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슬라이더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중지지수단은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신축되는 유체실린더 또는 기계적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행운동기구는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체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켜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회전부하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사용자가 취하는 보행동작에 따라 스텝퍼의 왕복이동과 핸들부의 왕복회동이 연동되고, 스텝퍼의 수평이동과 페달의 상하회동의 조합에 의한 자연스러운 보행궤적을 형성함으로써, 실제의 보행과 유사한 보행운동을 통해 향상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의와 노력을 기울여 보행동작을 취해야 원활한 연속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운동에 대한 흥미와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근력 조절에 따라 자유롭게 다양한 보행궤적이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요구에 부합하는 최적의 보행운동을 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2) 회전체와 핸들부를 연동시키는 조절링크의 결합위치를 회동아암의 종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원하는 운동 강도와 부위 등에 따라 스텝퍼와 핸들부의 작동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최적화된 보행운동을 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3) 회전체의 회전력에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하체를 구비하여 보행 시 적절한 부하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운동기구는,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100)와, 각각 양측 베이스(100)에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텝퍼(110)와, 각 스텝퍼(11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핸들부(130)와, 상기 양측 베이스(100)의 전방 부분에 구비된 좌우연동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좌우 양측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베이스(10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 부분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안내홈(101)이 형성되고, 각 안내홈(101)을 통해 상기 스텝퍼(11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00)의 후방 부분에는 한 쌍의 핸들지지대(102)가 직립하여 설치되고, 각 핸들지지대(102)에 상기 핸들부(13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스텝퍼(110)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수평방향 직선운동과 상하 회전운동을 조합하여 실제의 보행과 유사한 보행궤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00)의 안내홈(101)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111)와, 이 가이드(111)에 결합된 연동아암(112)과, 이 연동아암(112)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페달지지아암(113)과, 이 페달지지아암(113)의 후방 측 단부에 시이소오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페달(114)과, 상기 연동아암(112)과 페달지지아암(113) 간에 연결 설치되어 페달지지아암(113)을 상향 회동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공압실린더(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111)와 안내홈(101)은 스텝퍼(110)가 베이스(100)를 따라 전방과 후방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하는 안내수단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111)가 안내홈(101)에 삽입되는 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스텝퍼(110)를 베이스(100) 상에서 수평방향 직선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양한 통상의 안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111)에 안내홈(101) 내부에서 구름운동되는 롤러가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베이스(100)에 안내홈(101) 대신 복수의 롤러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이 롤러를 타 고 스텝퍼(110)가 수평이동되는 구조, 상기 베이스(100)에 가이드바아가 설치되어 이 가이드바아를 타고 스텝퍼(110)가 수평이동되는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연동아암(112)은 스텝퍼(11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부(130)가 전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동수단으로서, 그 후방측 단부가 상기 핸들부(130)에 연결되며, 도시된 막대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달지지아암(113)은 페달(114)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것으로, 도시된 막대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달(114)은 사용자가 좌우 양측의 발을 각각 올려 보행동작을 취하도록 된 것으로,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 바닥면이 접촉되는 상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압실린더(115)는 사용자의 보행운동시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기 페달(114)이 상향된 위치를 유지하거나 하향 회동되도록 하는 하중지지수단으로 예시된 것으로, 예시된 신축식 유체실린더를 대신하여 기계식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핸들부(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보행중 자세를 유지하고 상체와 하체의 운동이 연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단부가 상기 핸들지지대(1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연동아암(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동아암(131)과, 이 회동아암(131)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굴곡된 형태로 구비된 핸들(132)과, 상기 회동아암(131)과 좌우연동장치(150) 사이에 연결 설치된 조절링크(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링크(133)는 회동아암(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결합 위치를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조절링크(133)와 회동아암(131)의 결합수단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아암(131)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공(135)이 구비되고, 이 결합공(135)에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축형결합부재(136)를 삽입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절링크(133)에 결합공(135)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체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회동아암(131) 또는 조절링크(133)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하여 이 결합공 중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축형결합부재를 삽입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회동아암(131)과 조절링크(133) 중 일측에 바아나 레일, 홈 등의 형태의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이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위치 변경되는 가동체 및 이 가동체를 슬러이더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슬라이더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좌우연동장치(150)는 사용자가 운동을 행할 때 좌우 양측 조절링크(133)와의 연동을 통해 양측 핸들부(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00)의 전방 부분에 설치된 풀리지지대(104) 와, 이 풀리지지대(104)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풀리(151)와, 이 구동풀리(151)의 회전축 양단부에 구비된 크랭크아암(152)과, 상기 구동풀리(151)와 벨트(153)를 매개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회전부하체(154)를 포함한다.
상기 양측 크랭크아암(152)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에는 각각 상기 조절링크(133)가 결합되어 각 회동아암(131)의 회동에 따라 조절링크(133)가 왕복운동되면서 상기 구동풀리(151)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하체(154)는 상기 구동풀리(151)에 의해 회전하되, 가해지는 회전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관성모멘트가 큰 중량체를 회전체로 구비하거나, 회전체에 기계적 마찰력이나 자기 저항력을 가하는 브레이크를 구비한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행운동기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양발을 좌우 양측의 페달(114)에 각각 올려 준비자세를 취한다. 이때, 양손으로는 좌우 양측의 핸들(132)을 잡아 자세를 안정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실제의 보행과 유사하게 일측 다리를 전방으로 뻗고 반대측 다리는 후방으로 당기며 팔은 좌측과 우측이 각각 다리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뻗고 당긴다. 이에 따라, 양측 스텝퍼(110) 중 일측은 전진되고 타측은 후진되며, 각 스텝퍼(110)의 이동에 따라 연결된 핸들부(130)가 연동하여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회동된다. 또한, 각 핸들부(130)의 회동에 따라 구동풀리(151)가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풀리(151)에 회전부하체(154)에 의한 저항력이 걸려 적절한 강도의 운동 부하가 제공 된다.
일측 스텝퍼(11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자연적인 신체의 무게중심 이동과 사용자의 인위적인 체중 이동에 의해 해당 스텝퍼(110)로 하중이 집중되고, 이 스텝퍼(1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페달지지아암(113)이 하향 회동되면서 페달(114)이 하향 이동된다. 이때, 반대측의 스텝퍼(110)는 후퇴되고 그 페달(114)은 상향 회동된다. 일정 한도까지 전진 및 후퇴된 후 각 스텝퍼(110)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후퇴 및 전진되고, 각각의 페달(114)은 상승 및 하강된다. 또한, 스텝퍼(110)와 페달(114)의 위치 이동에 따라 발의 각도가 자연스럽게 올라가거나 내려가도록 페달(114)이 회전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을 통해 각 페달(114)이 대략 타원형의 보행궤적을 형성하면서 실제의 보행과 유사한 신체 운동을 유도하게 되므로, 또한, 사용자의 하중이동에 따라 다양한 궤적을 따르는 보행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신체에 무리가 없는 자연스러운 자세로 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궤적을 갖는 보행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활한 연속동작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여 인위적으로 체중이동을 행해야 하므로, 운동에 대한 흥미와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보행운동을 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각 스텝퍼(110)와 핸들부(130)는 좌우연동장치(150)에 의해 좌측과 우측이 상호 교호적으로 연동동작하게 되며, 그 작동범위는 조절링크(133)의 결합 위치에 따라 조절된다. 즉, 상기 조절링크(133)의 결합위치를 회동아암(131)의 회전중심과 가깝게 할수록 회동아암(131)의 회동범위가 증가되므로 스텝퍼(110)와 핸들부(130)의 작동범위가 증가되고, 반대로 조절링크(133)의 결합위치를 회동아암(131)의 회전중심과 멀게 할수록 스텝퍼(110)와 핸들부(130)의 작동범위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원하는 운동 강도와 부위 등에 따라 조절링크(133)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스텝퍼(110)와 핸들부(130)의 작동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에게 더욱 최적화된 보행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좌우연동장치(150)에 운동부하를 가하기 위하여 구동풀리(151)에 회전부하체(154)가 벨트(153)로 연결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구성 부재의 자중이나 결합부의 회전저항 등을 통해 운동부하가 가해지도록 하여 별도의 회전부하체(154)가 필요 없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풀리(151)는 단순 회전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회전체는 디스크나 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보행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01 : 안내홈
102 : 핸들지지대 104 : 풀리지지대
110 : 스텝퍼 111 : 가이드
112 : 연동아암 113 : 페달지지아암
114 : 페달 115 : 공압실린더
130 : 핸들부 131 : 회동아암
132 : 핸들 133 : 조절링크
135 : 결합공 150 : 좌우연동장치
151 : 구동풀리 152 : 크랭크아암
153 : 벨트 154 : 회전부하체

Claims (8)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텝퍼;
    상기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스텝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텝퍼의 수평방향 전진과 후퇴에 따라 전방과 후방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 각각에 연결되어 양측 핸들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좌우연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텝퍼는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동아암과, 상기 연동아암과 함께 수평이동되되 연동아암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지지아암과, 상기 페달지지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페달과, 상기 연동아암과 페달지지아암 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감에 따라 페달지지아암이 하향 또는 상향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하중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연동수단은 베이스 상부에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중심축 양측에 구비된 크랭크아암과, 상기 각 핸들부와 크랭크아암 간에 연결 설치된 조절링크를 포함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연동아암에 연결된 회동아암과, 상기 회동아암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링크를 상기 회동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그 결합위치를 회동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동아암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조절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의 임의의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형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동아암에 종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과, 상기 조절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 중 하나에 선 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형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동아암에 종방향으로 구비된 슬라이더와, 상기 조절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를 슬라이더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수단은 상기 페달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신축되는 유체실린더 또는 기계적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체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켜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회전부하체를 더 포함하는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 기구.
KR1020080134931A 2008-12-26 2008-12-26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KR101018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931A KR101018283B1 (ko) 2008-12-26 2008-12-26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931A KR101018283B1 (ko) 2008-12-26 2008-12-26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768A KR20100076768A (ko) 2010-07-06
KR101018283B1 true KR101018283B1 (ko) 2011-03-04

Family

ID=4263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931A KR101018283B1 (ko) 2008-12-26 2008-12-26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37B1 (ko) 2011-10-25 2013-08-20 김대승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2184611B1 (ko) 2019-08-02 2020-11-30 정성모 교차형 상하지연동재활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714B1 (ko) * 2012-06-27 2014-01-13 (주)디자인파크개발 컴비네이션 타입 상하체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1130A (en) 1989-02-03 1995-02-21 Green; Edward J. Leg exerciser
US6042512A (en) 1999-07-27 2000-03-28 Eschenbach; Paul William Variable lift cross trainer exercise apparatus
US6090014A (en) 1999-08-09 2000-07-18 Eschenbach; Paul William Adjustable cross trainer exercise apparatus
US6210305B1 (en) 1999-07-27 2001-04-03 Paul William Eschenbach Variable lift exercise apparatus with curved gu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1130A (en) 1989-02-03 1995-02-21 Green; Edward J. Leg exerciser
US6042512A (en) 1999-07-27 2000-03-28 Eschenbach; Paul William Variable lift cross trainer exercise apparatus
US6210305B1 (en) 1999-07-27 2001-04-03 Paul William Eschenbach Variable lift exercise apparatus with curved guide
US6090014A (en) 1999-08-09 2000-07-18 Eschenbach; Paul William Adjustable cross trainer exercise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37B1 (ko) 2011-10-25 2013-08-20 김대승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2184611B1 (ko) 2019-08-02 2020-11-30 정성모 교차형 상하지연동재활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768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783B2 (en) High-incline treadmill
US7115073B2 (en)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skating movement
TWI535473B (zh) 斜靠式運動裝置與其系統與方法
US10653914B2 (en) Upper and lower body push and pull exercise machine with a one directional resistance mechanism and adjustable angle
US7618350B2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ramp
US7201707B1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stride length
US6761667B1 (en) Hiking exercise apparatus
CA2170835C (en) Improved exercise device
US8308619B1 (en) Leg-powered treadmill
US8133159B2 (en) Free track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US20060281604A1 (en) Cross training exercise device
EP1793901B1 (en)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skating movement
JP2006218287A (ja) 収容可能なアームを備えたエリプティカルエクササイズ機器
TW201427746A (zh) 可改變運動軌跡之橢圓機
US9295874B1 (en) Elliptical trainer
CN1119186C (zh) 固定健身器械
KR101018283B1 (ko)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KR100755787B1 (ko) 트레이닝기구
TWI637767B (zh) 運動裝置
KR101018286B1 (ko) 지각 기반 운동형 보행운동기구
KR101868334B1 (ko) 전신운동기구
KR200287195Y1 (ko) 상하 및 좌우 경사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
TWI638672B (zh) Sports Equipment
KR200381130Y1 (ko)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KR100622369B1 (ko)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