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130Y1 -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130Y1
KR200381130Y1 KR20-2005-0002210U KR20050002210U KR200381130Y1 KR 200381130 Y1 KR200381130 Y1 KR 200381130Y1 KR 20050002210 U KR20050002210 U KR 20050002210U KR 200381130 Y1 KR200381130 Y1 KR 200381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ing
adjusting
exercise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곤
Original Assignee
이인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곤 filed Critical 이인곤
Priority to KR20-2005-0002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로 밟고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된 구름벨트; 상기 구름벨트의 양측으로부터 연동 회전되며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당김벨트; 상기 구름벨트와 당김벨트의 각 회전축이 설치 지지되는 내부 프레임; 각 회전축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회전축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되는 구름벨트 또는 당김벨트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수단;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외부 프레임; 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네발로 걷는 걸음과 같은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척추의 교정과 단련은 물론이고, 팔, 다리, 어께 및 무릎 등의 전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Non-power-driven aerobic athletic equipment}
본 고안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랑이(호랑이와 같이 네발로 걷는 동물들을 총칭함)의 걸음과 같은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척추의 교정과 단련은 물론이고, 팔, 다리, 어께 및 무릎 등의 전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와 같은 허리장애는 오직 두발로 직립보행을 하고 있는 인간에게만 보이는 현상으로서 네발로 걷는 포유류 등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장애임은 주지된 사실이다. 더구나 일상을 의자에서 보내는 현대인에게 있어서는 허리에 관련된 각종 장애가 더욱 증가되고 있다.
한편, 현대인에게 운동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각종 운동기구가 제공되고는 있으나,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각종 운동기구는 근육을 키우거나 풀어주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운동기구의 경우 올바른 자세를 통한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체에 무리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오히려 척추나 근육에 역효과가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가 따른다.
또한, 종래 운동기구의 경우 신체의 국부적인 근육의 단련이 이루어짐으로서 편향된 운동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러닝머신과 같이 전신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별도의 모터를 이용한 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품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증가와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호랑이와 같이 네발로 걷는 동물들의 걸음과 같은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척추의 교정과 단련은 물론이고, 편안하고 유연한 허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은 척추의 운동을 통해 유연한 허리를 만들뿐만 아니라 팔, 다리, 어께 및 무릎 등의 전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운동의 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는 발로 밟고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된 구름벨트; 상기 구름벨트의 양측으로부터 연동 회전되며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당김벨트; 상기 구름벨트와 당김벨트의 각 회전축이 설치 지지되는 내부 프레임; 각 회전축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회전축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되는 구름벨트 또는 당김벨트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수단;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외부 프레임;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밀착되는 한편, 그 밀착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회전축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 당김벨트 사이의 중간 위치에는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잡아당겨 회전되도록 자유단을 갖는 로우프벨트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당김벨트와 로우프벨트 및 그와 각각 밀착되는 회전축의 단부는 운동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단에는 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평행봉이 형성되고, 상기 평행봉 상의 적소에는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회전운동을 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핸들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 하단에는 높이를 조절하면서 팔굽혀펴기를 하기 위한 한 쌍의 푸시업바가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발로 구르기 위한 구름벨트(100)와 손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당김벨트(200)와 상기 구름벨트와 당김벨트가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300)과 상기 구름벨트 또는 당김벨트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수단(400)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을 지지하면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외부 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구름벨트(100)는 내부프레임(30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회전축(120)과 그 후방에 위치한 후방 회전축(140)에 의해 구동되면서 발로 밟고 구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름벨트(100)의 상면에는 운동시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횡방향으로 돌출된 미끄럼방지 결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당김벨트(200)는 상기 내부 프레임(300)의 중앙에 위치한 중앙 회전축(120)과 그 전방에 위치한 전방 회전축(220)에 의해 구동되면서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로우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구름벨트(100)가 설치된 중앙 회전축(120)의 양측으로부터 전방 회전축(220)으로 각각 연결됨으로서 구름벨트(100)의 구동시 당김벨트(200)가 연동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름벨트(100)와 연동되는 당김벨트(200)에 의해 비탈면을 기어오르는 것과 같은 운동의 효과가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척추의 운동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손과 발을 통한 전신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당김벨트(200)가 지지되는 전방 회전축(220)의 하부에는 보조 회전축(240)을 형성함으로서 손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당김벨트(200)가 전방으로 벌어진 역삼각형의 연결구조를 이룬다.
상기 내부 프레임(300)은 상기 구름벨트(100)와 당김벨트(200)의 각 회전축(120, 140, 220, 240)이 설치 지지되는 것으로서, 그 하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500)의 하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전단은 외부 프레임(500)의 상단에 지지되어 일정 각도의 기울기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속도조절수단(400)은 상기 구름벨트(100)와 당김벨트(200)가 구동되는 각 회전축(120, 140, 220, 240)에 대하여 그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 단부에 설치되어 구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속도조절수단(400)은 어느 하나의 회전축 단부와 밀착되는 한편, 그 밀착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회전축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축(220)의 어느 일측 단부에 대하여 상호 밀착 회전되는 롤러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후방에는 상기 밀착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스크루 레버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 레버를 회전시켜 롤러가 상부 회전축(220)의 단부와 상호 밀착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서 상기 상부 회전축(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바, 이로부터 상기 당김벨트(200)에 의해 연동되는 중앙 회전축(120)의 회전속도와 그에 의해 구동되는 구름벨트(100)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조절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롤러는 일예로서 이를 대체하여 브레이크 블록 등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프레임(500)은 상기 내부 프레임(300)을 지지함과 동시에 그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내부 프레임(300)의 상단이 밀착되는 외부 프레임(50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수단(520)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 지지되는 한편, 상기 외부 프레임(500)의 하단에는 상기 내부 프레임(300)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520)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상기 내부 프레임(300) 전단과 상호 대응되어 걸거나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공과 걸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당김벨트 사이의 회전축에는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잡아당겨 회전되도록 자유단을 갖는 로우프 벨트(600)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로우프 벨트(600)는 당김벨트(200)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폐쇄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회전축(220) 또는 그 하부의 보조 회전축(240)에 설치되어 그 일단을 잡아당길 경우 연속 회전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일단은 사용자에 의해 어떠한 위치에서도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당김벨트(200)와 중간 로우프벨트(600)가 밀착되는 각 회전축(120, 220, 240)의 단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당김벨트(200)가 밀착되는 중앙 회전축(120), 상부 회전축(220) 및 보조 회전축(240)의 양측 단부가 삼각형 또는 사각형과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로우프벨트(600)가 밀착되는 상부 회전축(220) 또는 보조 회전축(240)의 단부 또한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당김벨트(200) 및 로우프벨트(600)의 작동시 각 회전축(120, 220, 240)이 정지된 상태에서 각 벨트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당김벨트(200)와 로우프벨트(600)의 단부 또한 육각형과 같이 다각면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서, 파지가 용이하고 상기와 같이 각 회전축(120, 22, 240)과 밀착된 상태에서 쉽게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500)의 상단과 그 하단에는 평행봉이나 푸시업과 같은 부가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 프레임(500)의 상단에는 그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평행봉(56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평행봉(460) 상의 적소에는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를 회전시켜 손목, 팔꿈치, 어께 등의 근육을 풀어주면서 단련시킬 수 있는 회전핸들(70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핸들(700)의 회전축에는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속도조절수단(720)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부 프레임(500)의 하단에는 높이를 조절하면서 팔굽혀펴기를 하기 위한 한 쌍의 푸시업바(8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 프레임(500)의 전단에는 푸시업바(80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이 형성되는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시업바(800)를 끼울 수 있는 다수개의 높이조절공으로 형성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에 의하면 먼저,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높이조절수단(520)을 이용하여 내부 프레임(30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한편, 속도조절수단(400)을 이용하여 각 벨트의 구동속도를 조절한다.
이어, 상기 양측의 당김벨트(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두 발을 구름벨트(100)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당김벨트(200)와 구름벨트(100)는 상호 연동되기 때문에 어느 일측이 정지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이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때 사용자는 내부 프레임(300)의 기울기에 따라 엎드리거나 매달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측의 당김벨트(200)를 번갈아 잡아당김과 동시에 발을 옮겨 밟으면서 구름벨트(100)를 구르게 되면 본 고안이 추구하는 호랑이의 걸음과 같은 운동이나 산비탈을 오르는 것과 같은 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양측 당김벨트(200)의 중앙에 형성된 로우프벨트(600)의 경우 동일한 운동방법에 의해 외줄 로우프를 이용하여 암벽이나 절벽을 타고 오르는 것과 같은 운동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평행봉(560)과 회전레버(700) 및 푸시업바(800)를 이용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에 의하면 상기 당김벨트와 로우프벨트 또는 구름벨트의 구성에 의해 운동하는 사람이 엎드리거나 매달린 상태에서 호랑이와 같이 네발로 걷는 운동이이나, 절벽을 기어오르는 것과 같은 운동이 가능함으로서 척추의 교정과 단련은 물론이고, 편안하고 유연한 허리를 만들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운동에 의해 팔, 다리, 어께 및 무릎 등의 전신을 이용한 유산소운동이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동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구입과 유지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효과와 아울러, 간편하게 운동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서 적합하고 안전한 운동이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가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구름벨트 120: 중앙 회전축
140: 후방 회전축 200: 당김벨트
220: 전방 회전축 240: 보조 회전축
300: 내부 프레임 400: 속도조절수단
500: 외부 프레임 520, 540: 높이조절수단
560: 평행봉 600: 로우프벨트
700: 회전핸들 720: 속도조절수단
800: 푸시업바

Claims (5)

  1. 발로 밟고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된 구름벨트;
    상기 구름벨트의 양측으로부터 연동 회전되며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당김벨트;
    상기 구름벨트와 당김벨트의 각 회전축이 설치 지지되는 내부 프레임;
    각 회전축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회전축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되는 구름벨트 또는 당김벨트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수단; 및
    상기 내부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외부 프레임;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밀착되는 한편, 그 밀착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회전축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당김벨트 사이의 중간 위치에는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잡아당겨 회전되도록 자유단을 갖는 로우프벨트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벨트와 로우프벨트 및 그와 각각 밀착되는 회전축의 단부는 운동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단에는 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평행봉이 형성되고, 상기 평행봉 상의 적소에는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회전운동을 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핸들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 하단에는 높이를 조절하면서 팔굽혀펴기를 하기 위한 한 쌍의 푸시업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KR20-2005-0002210U 2005-01-25 2005-01-25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KR200381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210U KR200381130Y1 (ko) 2005-01-25 2005-01-25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210U KR200381130Y1 (ko) 2005-01-25 2005-01-25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562A Division KR100622369B1 (ko) 2005-01-25 2005-01-25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130Y1 true KR200381130Y1 (ko) 2005-04-08

Family

ID=4368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210U KR200381130Y1 (ko) 2005-01-25 2005-01-25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1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7545B1 (en) Exercise machine handle system
US9586081B2 (en) Exercise machine handle system
US6217487B1 (en) Quadruped-type exercise apparatus for humans and method of exercising
US20140011645A1 (en) Multiple position exercise device
US10653914B2 (en) Upper and lower body push and pull exercise machine with a one directional resistance mechanism and adjustable angle
US6935353B2 (en) Mobile rehabilitative walker
KR101661465B1 (ko) 상하지 보행운동기기
KR101506419B1 (ko) 다리 찢기 운동기구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WO2011027750A1 (ja) 歩行訓練機
KR100755787B1 (ko) 트레이닝기구
WO2019180453A1 (en) Apparatus to aid walking
KR200381130Y1 (ko)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KR100622369B1 (ko) 무동력 유산소 운동기구
KR101018283B1 (ko)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CN205198843U (zh) 一种健身复健辅助装置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2008237785A5 (ko)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KR101059834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481598B1 (ko) 강도조절장치가 구비된 야외 운동기구
KR200463896Y1 (ko) 체중을 이용한 플라이운동기구
JP2004154511A (ja) 歩行等足腰運動用器具
CN2335665Y (zh) 多功能健身器
DE202022001494U1 (de) Fitness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