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529A -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529A
KR20200136529A KR1020190061862A KR20190061862A KR20200136529A KR 20200136529 A KR20200136529 A KR 20200136529A KR 1020190061862 A KR1020190061862 A KR 1020190061862A KR 20190061862 A KR20190061862 A KR 20190061862A KR 20200136529 A KR20200136529 A KR 20200136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bell
squat exercise
user
squ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974B1 (ko
Inventor
이영춘
Original Assignee
이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춘 filed Critical 이영춘
Priority to KR102019006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97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63B2023/0429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벨을 사용자의 등에 걸어 바른 자세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어 스쿼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결합되어,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거나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쿼트 운동 보조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 형성되는 2개의 바벨 지지부; 및 상기 바벨 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는 바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Exercise assisting apparatus for squat}
본 발명은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벨을 사용자의 등에 걸어 바른 자세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어 스쿼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쿼트 운동은 허벅지와 무릎이 직각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동작으로 하체운동을 위한 기본 운동이며, 이러한 스쿼트 운동은 각선미 보정 및 근력강화에 효과가 뛰어나지만 신체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은 고강도 운동이기 때문에 반드시 올바른 자세와 부상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운동에 임해야 한다.
스쿼트 동작을 할 때, 몸의 중심이 뒤로 가기 때문에 자세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스쿼트 동작을 장시간 진행하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고, 스쿼트 운동시 내복압의 증가와 근육의 회복속도가 더딤으로 인해 초급자들은 물론, 고급자들도 운동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0874호(2017.03.22 등록)는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어 발이 지지되는 전방지지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되, 상기 전방지지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후방지지부; 상기 후방지지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종아리가 지지되는 종아리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21218호(2018.11.16 등록)는 스쿼트 운동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연결되어 지지판 상에서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한 메인판이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메인판에 구비되면서 사용자 발의 위치를 안내해 줌과 동시에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안내부; 상기 메인판 상에 상기 발안내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지지하는 종아리안내부; 및 상기 메인판 상에 종아리안내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엉덩이의 승강을 보조하는 엉덩이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안내부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수용되면서 발바닥의 지지위치를 안내하는 스텐스홈과, 상기 스텐스홈에 진입된 발의 발등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발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고정판과,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상기 발고정판의 상하 위치를 제어하는 발승하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쿼트 보조 운동기구들은, 단순히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시 무릎을 굽혀 내려갈 때 둔부를 받쳐 보조해줄 수는 있으나, 자신의 무게 이상의 운동 효과를 가질 수 없으며, 별도로 바벨 등 무게를 추가하여 스쿼트 운동을 한다하더라도 자세가 삐뚤어지거나 바벨의 무게에 의해 신체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 초급자들의 경우 앉았다 섰다 하는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는 것조차 힘들 수 있고 크고 작은 부상의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여전히 효율적인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087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2121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벨을 사용자의 등에 걸어 바른 자세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어 스쿼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결합되어,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거나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쿼트 운동 보조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 형성되는 2개의 바벨 지지부; 및 상기 바벨 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는 바벨부를 포함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쿼트 운동 보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기 위한 2개의 받침판; 일측이 상기 받침판의 일측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승강판; 및 상기 승강판의 다른 일측을 밀어 올리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승강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쿼트 운동 보조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결합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바벨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 지지봉을 삽입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관; 상기 지지봉과 상기 보조 지지봉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지지봉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보조 지지봉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바벨 지지부는, 상기 지지봉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벨을 사용자의 등에 위치시켜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 하체 모두를 발달시킬 수 있는 전신운동이 가능하며, 올바른 스쿼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 스쿼트 운동을 보조해주어 허리나 무릎 등 사용자의 신체 특정부위에 과도한 압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보다 많은 스쿼트 동작을 반복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벨의 무게에 의해 사용자에게 강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체는 버팀 역할만하고 운동축이 되는 하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절반 이하로 줄여줌으로써, 운동 후 근육의 회복속도가 빠르며, 상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척추를 안정시켜주고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바벨 지지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바벨 지지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10)는, 베이스부(100),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 바벨 지지부(300), 바벨부(4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운동하기 위한 장소의 바닥에 평평하게 설치되며,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 바벨 지지부(300), 바벨부(400)가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00)는, 하면이 바닥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때 구성요소(스쿼트 운동보조부(200), 바벨 지지부(300), 바벨부(400))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중앙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시 무릎을 굽혀 아래로 내려갈 때 둔부를 받쳐주거나, 다시 무릎을 펴 올라갈 때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어 올라가는 힘을 보조해준다.
바벨 지지부(300)는, 2개로 구성되며,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바벨부(400)를 받쳐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바벨 지지부(300)는, 서로 약 70 ~ 80cm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높이는 약 100 ~ 120c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벨부(400)는, 2개의 바벨 지지부(300)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며,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에게 하중을 가해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바벨부(400)는, 바벨봉과 바벨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벨봉이 바벨 지지부(300)의 각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고, 바벨봉의 양측에 바벨이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사용자에 따라 무게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벨부(400)는, 각 바벨 지지부(3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사용자의 등에 직선으로 밀착되므로, 사용자에게 일정한 압력을 가해줄 수 있으며, 운동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을 줄여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10)는, 바벨부(400)를 사용자의 등에 위치시켜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 하체 모두를 발달시킬 수 있는 전신운동이 가능하며, 올바른 스쿼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가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 스쿼트 운동을 보조해주어 허리나 무릎 등 사용자의 신체 특정부위에 과도한 압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보다 많은 스쿼트 동작을 반복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로의 가장 큰 원인은 중력이며, 피로를 회복시켜주기 위한 방법은 바른 자세에서 강한 압력을 주는 것인데, 상술한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10)에 의하면, 바벨부(400)의 무게에 의해 사용자에게 강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체는 버팀 역할만하고,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를 통해 운동축이 되는 하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절반 이하로 줄여줌으로써, 운동 후 근육의 회복속도가 빠르며, 상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척추를 안정시켜주고 피로를 회복시켜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는, 결합판(210), 지지대(220), 받침판(230), 승강판(240), 승강판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결합판(210)은, 베이스부(100)의 중앙에 결합되어, 지지대(220), 받침판(230), 승강판(240), 승강판 구동부(250)가 장착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판(210)은, 상부면에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 운동시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220)는, 2개로 구성되며, 결합판(210)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0 ~ 50cm)을 두고 수직하게 형성되어, 받침판(230)을 받쳐 지지한다.
받침판(230)은, 2개의 지지대(220)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며,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시 무릎을 굽혀 아래로 내려갈 때 둔부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판(230)은, 내부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재질(예를 들어, 스티로폼 등)의 쿠션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장시간 운동하더라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판(230)은, 전부가 후부 보다 좁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시 앉는 자세를 취하기에 용이하다.
승강판(240)은, 일측이 2개의 받침판(230)의 일측 사이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며, 승강판 구동부(250)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회동하면서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시 무릎을 펴 올라갈 때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준다. 반대로, 사용자가 다시 무릎을 굽혀 내려갈 때에는 급하게 내려가지 않고 긴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정확한 스쿼트 자세로 천천히 내려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판(240)은, 내부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재질(예를 들어, 스티로폼 등)의 쿠션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장시간 운동하더라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한다.
승강판 구동부(250)는, 결합판(210)과 승강판(240) 사이에 형성되어, 승강판(240)의 다른 일측을 밀어 올리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판 구동부(250)는, 승강판(240)의 다른 일측을 약 20 ~ 40cm의 높이로 밀어 올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팡 구동부(250)는, 모터(251), 전원공급수단(미도시), 크랭크(252), 커넥팅 로드(253), 피스톤(25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251)는, 결합판(210)에 장착되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251)는, 도면에서 회전축이 단축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양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원공급수단은, 모터(251)에 연결되어, 모터(25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수단은, 외부로부터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공급받은 상용 전원을 모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수단은, 충전식 배터리로 형성되어, 모터(251)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 충전 장치에 접속하여 충전하며, 충전된 전원을 모터(251)로 공급할 수 있다.
크랭크(252)는, 모터(25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251)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된다.
커넥팅 로드(253)는, 일단이 크랭크(25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단에 피스톤(254)이 연결되며, 크랭크(252)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피스톤(254)으로 전달한다.
피스톤(254)은, 일단이 커넥팅 로드(253)의 다른 일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승강판(240)의 다른 일측 하면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넥팅 로드(253)의 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승강판(240)의 다른 일측을 밀어 올리거나 제자리로 복귀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판 구동부(250)는, 속도조절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조절수단은, 전원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여 모터(25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속도조절수단은, 회전 단계가 나누어져 형성되고, 나누어진 회전 단계에 각각 가변저항기를 연결하며, 회전하는 단계에 따라 저항값을 달리하여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달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여 모터(251)로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25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는, 결합판(210), 지지대(220), 받침판(230), 승강판(240), 승강판 구동부(250), 높낮이조절부재(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판(210), 지지대(220), 받침판(230), 승강판(240), 승강판 구동부(25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높낮이조절부재(260)는, 베이스부(100)와 결합판(210)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결합판(2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높낮이조절부재(260)는, 실린더, 동력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는, 베이스부(100)와 결합판(21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결합판(21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실린더는, 베이스부(100)와 결합판(210) 사이의 중앙에 하나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린더는, 전동방식, 유압방식 및 공기압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력장치는, 실린더에 연결 형성되어, 실린더의 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높낮이조절부재(260)는, 업/다운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실린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실시간으로 실린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바벨 지지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벨 지지부(300)는, 지지봉(310), 보조 지지봉(320), 가이드관(330), 스프링(340), 고리(350)를 포함한다.
지지봉(310)은, 베이스부(100)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바벨부(400)를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봉(310)은, 하단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홈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보조 지지봉(320)은, 지지봉(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쿼트 동작에 의해 바벨부(400)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관(330)은, 지지봉(310)의 상단에 고정 형성되며, 보조 지지봉(320)을 삽입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이때, 보조 지지봉(320)이 어긋나지 않도록 수직 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340)은, 지지봉(310)과 보조 지지봉(320) 사이에 형성되어, 보조 지지봉(3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보조 지지봉(320)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며, 장력을 조절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리(350)는, 보조 지지봉(320)의 상단에 형성되어, 바벨부(4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바벨 지지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벨 지지부(300)는, 지지봉(310), 보조 지지봉(320), 가이드관(330), 스프링(340), 고리(350), 흔들림 방지부재(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봉(310), 보조 지지봉(320), 가이드관(330), 스프링(340), 고리(350)는 도 6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흔들림 방지부재(360)는, 지지봉(310)과 베이스부(100)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봉(31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즉,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흔들림 방지부재(360)에 의해 지지봉(310)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스쿼트 운동을 계속 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흔들림 방지부재(360)는, 방지판(361), 방지바(363), 체결수단(36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지판(361)은, 중앙에 관통홀(362)이 구비되며, 그 관통홀(362)로 지지봉(310)을 관통시켜 고정한다.
방지바(363)는, 상단이 방지판(361)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이 베이스부(100)에 각각 결합되어 방지판(361)을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방지바(363)는, 약 50 ~ 70cm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방지판(361)이 지지봉(310)의 중간 높이 정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받쳐준다.
체결수단(364)은, 방지바(363)의 하단과 베이스부(100) 사이를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수단(364)은, 볼트로서, 방지바(363)의 하단을 관통하여 베이스부(100)에 삽입되어, 방지바(363)의 하단과 베이스부(100) 사이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10)는, 베이스부(100),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 바벨 지지부(300), 바벨부(400), 허리받침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00),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 바벨 지지부(300), 바벨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허리받침부(500)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의 승강판(22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후측)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허리받침부(500)는, 사용자의 허리가 밀착되도록 하여 받쳐줌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보호하고, 스쿼트 동작시 허리가 과도하게 꺾이거나 말리는 잘못된 자세를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10)는, 베이스부(100),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 바벨 지지부(300), 바벨부(400), 힌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00),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 바벨 지지부(300), 바벨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힌지부(600)는, 베이스부(100)와 결합판(210) 사이에 결합 형성되어, 결합판(210)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골반이 틀어진 사람의 경우 스쿼트 동작시 2개의 받침판(230) 중 어느 한쪽에 하중이 집중되는데, 힌지부(600)가 결합판(210)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도록 베이스부(100)와 결합판(210) 사이를 결합함으로써, 하중이 집중되는 방향으로 결합판(210)이 회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어느 한쪽에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을 없애주어 골반의 통증 유발을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10)는, 힌지부(600)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100)와 결합판(210) 사이에 다수개의 보조 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스프링은, 평상시에 결합판(210)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질 때 결합판(210)이 힌지부(600)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갑자기 회동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다시 결합판(210)이 수평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스쿼트 동작은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행해야 하므로, 이때, 사용자는 바닥에 평평하게 고정된 베이스부(100)에 발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운동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스쿼트 운동 보조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쿼트 운동 보조부(200)는, 결합판(210), 지지대(220), 받침판(230), 승강판(240), 승강판 구동부(250), 압력센서(270), 제어수단(28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판(210), 지지대(220), 받침판(230), 승강판(240), 승강판 구동부(25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근접센서(270)는, 결합판(21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근접센서(270)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람이 근접하면 전압이 걸리고, 사람이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면 전압이 오프된다.
제어수단(280)은, 근접센서(270)로부터 근접신호를 전달받아 승강판 구동부(250)의 모터(25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구동신호를 모터(251)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승강판 구동부(25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100 : 베이스부
200 : 스쿼트 운동 보조부
210 : 결합판
220 : 지지대
230 : 받침판
240 : 승강판
250 : 승강판 구동부
251 : 모터
252 : 크랭크
253 : 커넥팅 로드
254 : 피스톤
260 : 높낮이조절부재
270 : 근접센서
280 : 제어수단
300 : 바벨 지지부
310 : 지지봉
320 : 보조 지지봉
330 : 가이드관
340 : 스프링
350 : 고리
360 : 흔들림 방지부재
361 : 방지판
362 : 관통홀
363 : 방지바
364 : 체결수단
400 : 바벨부
500 : 허리받침부
600 : 좌우 회동부

Claims (5)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결합되어,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거나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쿼트 운동 보조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 형성되는 2개의 바벨 지지부; 및
    상기 바벨 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되는 바벨부를 포함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쿼트 운동 보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기 위한 2개의 받침판;
    일측이 상기 받침판의 일측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승강판; 및
    상기 승강판의 다른 일측을 밀어 올리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승강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쿼트 운동 보조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결합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벨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 지지봉을 삽입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관;
    상기 지지봉과 상기 보조 지지봉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지지봉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보조 지지봉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벨 지지부는,
    상기 지지봉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KR1020190061862A 2019-05-27 2019-05-27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KR10222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62A KR102221974B1 (ko) 2019-05-27 2019-05-27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62A KR102221974B1 (ko) 2019-05-27 2019-05-27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29A true KR20200136529A (ko) 2020-12-08
KR102221974B1 KR102221974B1 (ko) 2021-03-03

Family

ID=7377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862A KR102221974B1 (ko) 2019-05-27 2019-05-27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801B1 (ko) 2021-04-19 2021-08-27 주식회사 렉스코 스쿼트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74B1 (ko) 2015-10-01 2017-03-29 김수현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CN206777717U (zh) * 2017-05-25 2017-12-22 哈尔滨师范大学 一种髋部核心肌群训练器械
CN108031071A (zh) * 2017-12-28 2018-05-15 黄新盈 举重深蹲架
KR101921218B1 (ko) 2018-06-28 2018-11-22 이진희 스쿼트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74B1 (ko) 2015-10-01 2017-03-29 김수현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CN206777717U (zh) * 2017-05-25 2017-12-22 哈尔滨师范大学 一种髋部核心肌群训练器械
CN108031071A (zh) * 2017-12-28 2018-05-15 黄新盈 举重深蹲架
KR101921218B1 (ko) 2018-06-28 2018-11-22 이진희 스쿼트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974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0265B1 (en) Apparatus for locomotion therapy
KR102264707B1 (ko) 재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 운동방법
KR100902602B1 (ko)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EP2498879B1 (en) Exercise equipment intended for exercising legs of a person
WO2010048348A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WO2009081938A1 (ja) 運動補助装置
WO2020060074A1 (ko) 햄스트링 유연성 개선을 위한 운동기구
KR20100108412A (ko) 운동 보조 시스템
KR102221974B1 (ko)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KR101525225B1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KR102581520B1 (ko) 재활 운동 장치
US20220218553A1 (en) Fitness devices
US7141010B2 (en) Variable radius flexibility apparatus
EP2345460A1 (en) Saddle for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equipment
CN111530030B (zh) 一种神经内科辅助训练器械的使用方法
CN205198843U (zh) 一种健身复健辅助装置
US20160256737A1 (en) Low impact exercise machine for improving balance and stable mobility
CN212548141U (zh) 一种神经内科康复辅助装置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WO2021167538A1 (en) Device for balancing lower back and reducing pain in this area
KR102157321B1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EP2994206B1 (en) The device for general and sports physiotherapy
CN112891829A (zh) 一种脚部康复理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