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809B1 -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809B1
KR100853809B1 KR1020060101152A KR20060101152A KR100853809B1 KR 100853809 B1 KR100853809 B1 KR 100853809B1 KR 1020060101152 A KR1020060101152 A KR 1020060101152A KR 20060101152 A KR20060101152 A KR 20060101152A KR 100853809 B1 KR100853809 B1 KR 100853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caffold
bearing
riding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053A (ko
Inventor
석경재
Original Assignee
석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경재 filed Critical 석경재
Priority to KR102006010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809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63B2026/006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with feet supports below their pivotal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본원의 승마형 운동기구는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력발생수단; 회전력의 속도를 경감하는 동력감속수단; 감속된 회전동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수단; 변환된 동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타는 의자를 상하전후로 이동시키는 축지지수단; 사람이 의자에 앉았을 때 몸의 균형을 수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발판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발판지지수단에는 사용자가 타는 의자처럼 발판을 상, 하, 전, 후로 이동시길 수 있는 발판축 지지수단이 포함되어 제공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시된 수단을 구체화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안전발판이 부착된 승마형 운동기구로서, 내부로 구동되는 부품을 가리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원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면서 회전력을 높이는 감속벨트풀리; 상기 감속벨트풀리의 회전력을 편심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베어링; 상기 크랭크베어링에 연결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안장지지축; 상기 크랭크베어링에 연결되어 편심베어링의 편심회전을 전달하는 편심전달축; 상기 편심전달축에 발판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안전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축; 상기 안장지지축을 지지하여 안장의 상하전후 운동을 일으키는 축지지베어링;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승마형 안장; 상기 승마형 안장에 앉아서 잡을 수 있도록 구현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전면으로 작동을 제어 하는 제어패널; 사용자가 발을 올릴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안전발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를 갖는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안전발판이 부착된 승마형 운동기기는 사용자가 안전발판에 발을 지지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수월하여 운동기기에서 균형을 잃고 미끄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안전발판을 승마에서 사용하는 등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기기를 사용할 때에 실제로 승마를 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승마감 향상 효과를 갖는다.
승마형 운동기구, 승마용 기구, 운동기기

Description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horse-riding health machine having safety footplates, such as stirrups}
도 1a는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기 완성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이동형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구성한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기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안전발판의 기술구성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3b는 개량된 안전발판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도 4a는 크랭크베어링의 이동에 따른 안전발판의 위치변화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편심베어링에 연결되어 있는 안장지지축과 발판지지축 및 축지지베어링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구동모터에서 안전발판까지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승마형 운동기구
10 : 안장 11 : 손잡이부
12 : 제어패널 20 : 하우징
21 : 지지프레임 22 : 베어링핀
30 : 안전발판 30' : 등자
31 : 발판지지축 31' : 원통형발판지지축
32 : 발판베어링 33 : 편심전달축
34 : 고정축 34' : 발판지지축베어링
40 : 구동모터 41 : 감속벨트풀리
42 : 크랭크축 43 : 크랭크암
44 : 크랭크베어링 45 : 안장지지축
46 : 안장축지지베어링
본원 발명은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심 캠을 이용하여 승마형 안장과 안전발판이 각각 독립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전신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마형 기구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 0361425호에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는 크랭크암과,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을 반복하도록 크랭크암에 결합되어 본체 상 측으로 노출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안장과, 본체에 설치되어 지지축을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승마형 기구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승마형 기구는, 사용자가 특정한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의 회전력이 지지축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고, 지지축과 연결된 안장이 상하 전후로 이동하면서 안장 위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마치 말을 탄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미와 운동효과를 모두 거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승마형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안장 위에 올라탄 상태에서 안장이 상하 전후로 이동하는 것이어서, 발이 허공에 떠 있게 되고, 사용자는 두 다리가 허공에 떠 있는 상태에서 안장의 이동에 맞추어 몸의 균형을 맞추어야 하는데 순간의 부주의로 안장 위에서 미끄러져 다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원 발명은 승마형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이 허공에 떠 있어 지지기반 부재와 순간적인 실수로 인해 승마형기구에서 미끄러 떨어져 부상을 당하는 불상사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또한 본원에서는 종래의 승마형 기구보다 더욱 스릴과 박진감 있는 승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재미와 운동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운동구를 제시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출발하였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원에서는 상기 승마형기구에 안전발판이 마련된 승마형 기구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시한다.
상기의 안전발판은 실제 승마에서 사용되는 등자(stirrup)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승마형 안장과 함께 상,하,전,후로 왕복 이동하면서 사용자에게 더욱 박진감 넘치는 승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 줄 뿐 아니라, 사용자의 발을 지지해주어 사용자가 승마형 안장 위에서 몸의 균형을 잡고 더욱 안전하게 스릴과 박진감 넘치는 승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원을 이용하여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의 속도를 경감하는 동력감속수단; 상기 동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수단; 상기 변환된 동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타는 안장을 상,하,전,후로 이동시키는 안장축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마형 운동기기에, 상기 안장에 앉았을 때 몸의 균형을 수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발판을 구비하는 발판지지수단;과 상기 발판을 상,하,전,후로 이동시키는 발판이동수단이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시된 수단으로 구성되는 본원 발명은 안전발판이 부착된 승마형 운동기구로서, 내부로 구동되는 부품을 가리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원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면서 회전력을 높이는 감속벨트풀리; 상기 감속벨트풀리의 회전력을 편심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안장베어링; 상기 크랭크안장베어링에 연결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안장지지축; 상기 안장지지축을 지지하여 안장의 상하전후 운동을 일으키는 안장축지지베어링;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승마형 안장; 상기 승마형 안장에 앉았을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에 구현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 잡이부의 전면으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상기 크랭크베어링의 일측으로 크랭크안장베어링과 연결되는 크랭크발판베어링; 상기 크랭크발판베어링에 연결되어 안전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축; 상기 발판지지축을 지지하여 안장의 상하전후 운동을 일으키는 발판축지지베어링;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속벨트풀리와 크랭크베어링은 각각 하우징 내부의 프레임에 베어링핀을 통해서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안장베어링과 크랭크발판베어링은 상기 감속벨트풀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크랭크암; 상기 크랭크암에 편심연결되어 편심회전하는 편심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안장지지축에 설치되는 축지지베어링을 지지함으로서 사용자와 안장에 체중을 분산지지하는 프레임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발판은 승마시 사용되는 등자(stirrups)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안전발판에 연결되는 발판지지축에는 편심회전을 상하전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고정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은 상기 축지지베어링과 동일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발판베어링에서 상기 안전발판까지의 길이와 발판베어링에서 상기 고정축까지의 길이의 비는, 상기 크랭크베어링에서 상기 승마형 안장까지의 길이와 크랭크베어링에서 상기 축지지 베어링까지의 길이의 비와 같도록 고정축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기의 완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안장(10)과, 상기 안장에 앉아서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손잡이부(11)와, 상기 손잡이부(11)의 전면으로 사용자가 운동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패널(12)이 구성되고, 그 밑으로 안장을 이동시키기 위한 부품들이 내재되는 하우징(20)과 안장에 앉은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분산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1)으로 외관이 형성되며, 발판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안장(10)의 전면 하측으로 사용자가 발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는 안전발판(3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안전발판(30)은 하우징에 고정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고정되지 않고 안장(10)의 이동에 맞추어 같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이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30)은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탄력적으로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어느 정도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기술은 실시가 용이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b는 이동 가능한 안전발판(30)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기를 나타낸 사시 도로서, 본원의 승마형 운동기기가 가동 시 안장(10)과 함께 안전발판(30)이 상, 하,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는 승마형 운동기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b에서 구성한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동력발생수단; 동력감속수단; 동력변환수단; 안장축 이동수단; 및 발판지지수단;과 발판이동수단의 기술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동력발생수단으로서, 구동모터(40)는 전원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동력 감속수단으로서 감속벨트풀리(41)가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전달하여 주며, 동력변환수단으로서 상기 감속벨트풀리(41)로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크랭크축(42)과 크랭크암(43)이 전달받고 상기 크랭크암(43)에 편심 연결된 크랭크베어링(44)에 의해 회전운동이 왕복 원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크랭크베어링(44)은 크랭크암(43)와 베어링을 통해서 편심 연결되어 회전하지는 않으나 편심축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안장축 이동수단으로서 상기 크랭크베어링(44)의 원운동을 안장지지축(45)이 안장(10)에 전달하게 되며, 이때 안장지지축(45)에 연결된 안장축 지지베어링(46)을 중심으로 안장(10)이 크랭크베어링(44)과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상,하,전,후로 요동하게 된다.
상기 안장(10)이 크랭크베어링(44)과 대칭되는 형태로 요동하게 되는 이유는 마치 지렛대처럼 안장지지축(45)이 안장축 지지베어링(46)을 중심으로 고정되어 상하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이때 안장축 지지베어링(46)이 안장(10)에 가까워지면 안장(10)이 적게 요동하고, 안장축 지지베어링(46)이 크랭크베어링(44)과 가까 워지면 안장(10)이 크게 요동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크랭크안장베어링(44)에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된 크랭크발판베어링(31)에 연결된 발판지지축(32)이 좌우 양쪽으로 안전발판과 연결되어 크랭크의 회전에 따라 상, 하, 전, 후로 안전발판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전발판(30)의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도 3a에서 더욱 자세히 나와 있는 바, 도 3a은 안전발판의 발판이동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기본적인 안전발판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크랭크안장베어링(44)의 왕복원운동은 상기 크랭크안장베어링(44)에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된 크랭크발판베어링(31)에 의해 발판지지축(32)에 그대로 전달되고, 상기 발판지지축(32)에 연결된 안전발판(30)도 같이 왕복원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발판축지지베어링(33)이 발판지지축(32)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왕복원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판축지지베어링(33)이 안전발판(30)에 가까울수록 안전발판(30)이 적게 움직이고 안전발판(30)에서 멀어질수록 크게 움직이게 된다.
도 3b는 개량된 안전발판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서, 안전발판(30) 대신에 실제 승마에서 사용하는 형태인 등자(30')를 대체하여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의 등자(30')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본원 기기를 사용시 더욱 더 승마감에 가까운 느낌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안장(10)과 등자(30')간의 거리가 어느정도 벌어지거나 좁혀지더라도 발이 등자(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바람직한 안전발판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로서, 도 4a는 크랭크베어링의 이동에 따른 안전발판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편심베어링에 연결되어 있는 안장지지축과 발판지지축 및 축지지베어링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크랭크암(43)과 편심연결되어 있는 크랭크베어링(44)은 크랭크암(43)의 회전운동에 의해 원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원운동하는 크랭크베어링과 연결되어 안전발판(30)이 상하전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크랭크베어링(44)이 크랭크암(4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갈 때에는 안전발판(30)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크랭크암이 우측으로 갈 때에는 안전발판(3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평면도로서, 구동모터에서부터 안전발판까지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모터(40)가 구동하면서 회전하기 시작하면 감속벨트풀리(41)가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크랭크축(42)에 전달하고, 상기 크랭크축(42)에 연결된 크랭크암(43)이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크랭크압(43)에 편심연결된 크랭크안장베어링(44)이 원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크랭크안장베어링(44)과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된 크랭크발판베어링(31)은 발판지지축(32)과 연결되어 안전발판(30)을 상,하,전,후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안전발판이 부착된 승마형 운동기기는 사용자가 안전발판에 발을 지지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수월하여 운동기기에서 균형을 잃고 미끄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을 승마에서 사용하는 등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기기를 사용할 때에 느낄 수 있는 승마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전원을 이용하여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수단; 상기 변환된 동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타는 안장을 상하전후로 이동시키는 안장축이동수단; 상기 안장에 앉았을 때 몸의 균형을 수월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발판을 구비하는 발판지지수단; 상기 발판지지수단에서 제공하는 발판을 상,하,전,후로 이동시키는 발판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마용 운동기기에 있어서,
    발판이동수단은 동력발생수단과 동력변환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암(43)에 편심연결된 크랭크발판베어링(31)과, 상기 크랭크발판베어링(31)에 연결된 발판지지축(32), 상기 발판지지축(32)과 베어링을 통해 연결되어 발판지지축을 지지하는 발판축지지베어링(33)으로 이루어져 크랭크발판베어링(31)의 편심회전에 따라 상기 발판(30)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30)은 승마용 등자(30')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기.
KR1020060101152A 2006-10-18 2006-10-18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KR100853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152A KR100853809B1 (ko) 2006-10-18 2006-10-18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152A KR100853809B1 (ko) 2006-10-18 2006-10-18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053A KR20080035053A (ko) 2008-04-23
KR100853809B1 true KR100853809B1 (ko) 2008-08-22

Family

ID=3957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152A KR100853809B1 (ko) 2006-10-18 2006-10-18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840A (ko) 2015-06-09 2016-12-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35B1 (ko) * 2009-03-31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기구
KR101310646B1 (ko) * 2013-04-30 2013-09-24 유니버셜칸 주식회사 크랭크 방식의 승마 운동 기구
KR101514617B1 (ko) * 2014-12-26 2015-04-23 주식회사 라이더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369Y1 (ko) * 2006-09-30 2006-12-20 석경재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369Y1 (ko) * 2006-09-30 2006-12-20 석경재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840A (ko) 2015-06-09 2016-12-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053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1103B (zh) Sports device
KR20100136531A (ko) 운동 장치
KR100853809B1 (ko)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WO2009128565A1 (en) Passive exercise apparatus
JP2012055563A (ja) 揺動型運動装置
JP5161708B2 (ja) 揺動型運動装置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KR200434369Y1 (ko)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이 구비된 승마형 운동기구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610761B1 (ko)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KR100903968B1 (ko) 등자쇠 운동을 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101589051B1 (ko) 박차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KR102555146B1 (ko) 탑승형 운동기
KR20170035760A (ko)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JP6902267B2 (ja) 乗馬型運動機
KR101589052B1 (ko) 박동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KR101062863B1 (ko) 장애물 비월 승마 훈련기
CN214714067U (zh) 一种手脚同时运动的立式健身车
CN213534951U (zh) 一种多功能康复代步车
CN2551237Y (zh) 一种被动式骑马健身运动器
JP2007082612A (ja) 揺動型運動装置
KR20140001004U (ko) 지렛대 원리 및 시소의 원리를 응용하여 제작하는 승마형 자전거
KR101589053B1 (ko) 등자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