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760A -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760A
KR20170035760A KR1020160002955A KR20160002955A KR20170035760A KR 20170035760 A KR20170035760 A KR 20170035760A KR 1020160002955 A KR1020160002955 A KR 1020160002955A KR 20160002955 A KR20160002955 A KR 20160002955A KR 20170035760 A KR20170035760 A KR 2017003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riding
hors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피제이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제이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제이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760A/ko
Publication of KR2017003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rd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고삐를 잡아당김으로써 방향 전환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승마 현실감을 극대화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한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for providing reality}
본 발명은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승마 현실감을 극대화하며, 복근외 옆구리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라 함은 살아 움직이는 말과 함께하는 운동으로서, 말의 움직임에 적응하여 신체적 적응 능력 및 균형 감각을 발달시키고, 신체의 유연성을 길러서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도록 하는 전신운동이다. 또한 승마는 신체를 바르게 교정해 주고, 허리를 유연하게 하며, 신체의 리듬감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 집중력을 기르고, 폐활량을 늘리며, 담력을 길러주고, 전신운동으로 인한 소화기 계통의 건강에도 도움을 주며, 여성들의 경우, 몸매 관리과 함께 골반이 튼튼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승마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로운 점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승마를 위한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낙마시 부상의 위험으로 인해 운동으로 즐기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마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 말을 타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 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승마 운동 기구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7869호의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연결축과,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유동부와, 유동부에 씌워진 모형말을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2개의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구비된 2개의 출력단에 연결된 캠과, 상기 캠과 연결된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간격을 두고 구비된 종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를 연결하는 쇽업저버와, 상기 종동링크를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틀체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승마 운동 기구는 쇽업저버와 코일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유동충격을 최소화하지만, 승마의 운동 효율 및 현실감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고삐를 잡아당김으로써 방향 전환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승마 현실감을 극대화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한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의 상단에 고정되는 안장, 상기 가동축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승마동작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안장에 기승한 이용자가 직접 또는 고삐를 매개로 하여 잡을 수 있도록 연장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본체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고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고삐에 걸리는 인장력을 검출하고, 상기 인장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화상조작부를 구비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축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이 밀봉되는 실린더의 내측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피스톤이 상기 코일스프링을 상측에서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가 상기 실린더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에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흡기 및 배기가 발생하도록 흡배기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부, 상기 감속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크랭크핀 및 상기 크랭크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동축의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상조작부는 상기 인장력을 검출하며, 상기 안장에 앉은 상기 이용자를 중심으로 상기 이용자의 왼쪽에 배치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이용자의 오른쪽에 배치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가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말의 속도가 감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의 크기를 줄이도록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가 모두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말이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이 멈추도록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를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이 멈춘 이후에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가 모두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말이 후진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이 후진하는 것을 구현하도록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감지부는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에 의하면,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고삐를 잡아당김으로써 방향 전환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승마 현실감을 극대화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한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가동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가동축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가동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가동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타원궤도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홀더와 걸림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박동동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박동동작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박동동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화상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화상조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디스플레이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등자길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등자길이조절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등자길이조절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박차가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박차가속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속도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지지프레임 및 회전동작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자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100)는 본체(110), 가동축(120), 박동동작구동부(130), 안장(140), 승마동작구동부(150), 화상조작부(161), 등자높이조절부(180), 박차가속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상부가 볼록한 형상을 가지거나, 이 밖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승마 동작에도 불구하고, 전복되지 아니하는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동축(120)은 본체(110)에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동축(120)은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이 밀봉되는 실린더(121)의 내측에 코일스프링(122)이 설치되며, 실린더(121)의 내측에 피스톤(123)이 코일스프링(122)을 상측에서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12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24)가 실린더(121)와 본체(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실린더(121)에 피스톤(123)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흡기 및 배기가 발생하도록 흡배기홀(1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코일스프링(122)은 일례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배기홀(125)은 실린더(121)에서 피스톤(123)의 상하 이동 경로 상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실린더(1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동축(120)은 실린더(121)의 내측 저면에 코일스프링(122)이 끼워지는 가이드축(126)이 수직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피스톤(123)이 최고 위치에 도달시, 코일스프링(122)과 피스톤(123)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피스톤(123)의 저면에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의 팩킹부재(127)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동축(120)은 피스톤(123)과 샤프트(124)의 연결을 매개하기 위하여, 피스톤(123)의 내측에 샤프트(124)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결합부재(128)가 마련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부재(128)에서 단면이 축소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부싱(129)이 장착될 수 있고, 샤프트(124)의 주위에 위치하는 오일레스부싱(129a)이 실린더(12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샤프트(124)가 본체(110)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11)에 의해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11)는 예컨대 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본체(110) 상단의 개방측에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샤프트(124)의 상하 운동에 의해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베어링이나 롤러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과정에서, 피스톤(123)의 상하 운동에 의한 실린더(121) 내의 압축력 및 팽창력과 코일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핀(154)의 원형 회전 운동이 안장(140)의 상하로 연장된 타원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장(140)은 가동축(120)의 상부를 이루는 샤프트(124)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너트 등으로 고정되거나, 억지 끼움 후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브라켓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되거나, 그 밖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기승 후 안착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안장(140)은 전단에 이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41)가 마련될 수 있고, 이용자가 발을 걸어서 지지되도록 하부로 연장되는 발걸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그 밖에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 등을 비롯한 기구의 동작을 각각 제어 및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43)가 마련될 수 있다.
승마동작구동부(150)는 가동축(120)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가동축(12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처럼 가동축(120)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실린더(121)에 크랭크 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마동작구동부(150)는 가동축(120)에 크랭크 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본체(110) 내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부(152)와, 감속부(152)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153)와, 감속기어(153)에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크랭크핀(154)과, 크랭크핀(1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동축(120)의 실린더(121)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결합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51)는 모터브라켓 등에 의해 본체(110)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감속부(152)는 일례로 구동모터(15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 1 풀리(152a)와, 제 1 풀리(152a)에 제 1 벨트(152b)로 연결되는 제 2 풀리(152c)와, 제 2 풀리(152c)에 2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제 2 풀리(152c)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3 풀리(152d)와, 제 3 풀리(152d)를 감속기어(153)에 연결시키는 제 2 벨트(152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풀리(152c)와 감속기어(153)는 회전 지지를 위하여 회전축(미도시)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회전축이 본체(110) 내에 고정되는 축고정부재와 이에 설치되는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안장(140)에 안전하게 안착하기 위하여, 감지부(171), 홀더(173) 및 걸림홈(174)이 마련될 수 있다.
감지부(171)는 이용자를 감지하거나, 이용자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치되는데, 예컨대 지지프레임(160)에 마련된 손잡이(미도시)에 설치되거나, 나아가서 안장(140)의 손잡이(141)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누르거나, 이용자의 손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며,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부(171)는 이용자가 손으로 잡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이용자를 감지시, 홀더(173)가 걸림홈(174)과의 걸림에 의해 샤프트(124)에 대한 브레이크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홀더(173)는 감지부(17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받아 걸림편(172)을 실린더(121)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서 실린더(121)의 내측으로 삽입하거나, 실린더(121)의 외측으로 복귀하도록 하며, 실린더(121)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일례로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철재를 포함하는 걸림편(172)을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 홀더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예로서 걸림편(172)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거나, 또 다른 예로서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걸림편(174)을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방식의 홀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홀더(173)는 걸림편(172)의 출입을 위해 형성된 실린더(121)의 개구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걸림홈(174)은 걸림편(172)이 실린더(121)의 내측에 삽입시 걸리도록 샤프트(1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데, 걸림편(172)이 여유롭게 걸릴 수 있도록 걸림편(172)의 크기보다 큰 규격으로 형성되고, 일례로 원형의 샤프트(124)에 밀링으로 일부 구간을 D컷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승마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체(110)에는 박동구동부(130)가 마련되고,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동구동부(130)가 빠르게 진동하여 실제 승마에서 말이 빠르게 달리는 경우 말의 심장 박동이 빠르게 뛰는 것 같은 작용을 하는바 현실감 있는 승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박동동작구동부(130)는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측면을 향하여 좌우로 운동하며 진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박동동작구동부(130)는 가동축(120)에 수직하게 본체(110)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진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박동동작구동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측면으로 연장된 안장(140)의 측면부(140a) 안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동작이 안장(140)의 측면부(140a)까지 전달되어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는 이용자의 대퇴근이나 무릎 안쪽으로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을 느낄 수 있다.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증가되어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 주기(진동 주기)도 상승할 수 있으며,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 주기(진동 주기)도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박동동작구동부(130)는 박동구동모터(131), 편심구동부(132), 박동부(133), 및 가이드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박동구동모터(130)는 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박동동작구동부(13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박동구동모터(130)에는 편심구동부(132)의 제1 회전부(1321)가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에 의해 제1 회전부(1321)가 회전할 수 있다.
편심구동부(132)는 박동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편심구동부(132)는 일측에서 박동구동모터(130)과 연결되고 타측에서 박동부(133)과 연결되며, 박동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박동부(133)가 좌우 왕복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편심구동부(132)는 일 예로서 제1 회전부(1321), 제2 회전부(1322), 제1 링크부재(1323), 및 제2 링크부재(13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부(1321)는 박동구동모터(130)와 직접 결합하며 박동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제2 회전부(1322)는 제1 회전부(1321) 상에서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부(1322)는 제1 편심핀(1325)에 의해 제1 회전부(1321)와 연결되며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부(1321)는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축에서 편심되어 형성된 편심홀(1321a)을 가지고 있으며, 제2 회전부(1322)는 제2 회전부(1322)의 회전축에서 편심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제1 편심공(1322a)과 제2 편심공(1322b)을 가질 수 있다.
회전부(1322)의 회전축은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있을 수 있으며, 편심홀(1321a)과 제1 편심공(1322a) 각각은 상기 회전축에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편심핀(1325)이 편심홀(1321a)과 제1 편심공(1322a)에 삽입되므로 제1 회전부(1321)과 제2 회전부(1322)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박동구동모터(130)에 의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 링크부재(1323)는 그 일단이 제1 회전부(1321)와 제2 회전부(1322) 사이에서 제1 회전부(1321)의 회전축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제1 회전부(1321)와 제2 회전부(1322)와 연결되며, 그 타단이 제1 박동부(133a)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링크부재(1323)의 일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회전부(1322)의 제1 편심공(1322a), 제1 링크부재(1323)의 관통공, 및 제1 회전부(1321)의 편심홀(1321a)에 제1 편심핀(1325)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제1 회전부(1321), 제2 회전부(1322), 및 제1 링크부재(132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1323)는 일 예로서 제1 링크부(1323a)와 제1 링크핀(132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링크부(1323a)는 그 일단에 제1 관통공(1323a1)을 가지며 그 타단에 제2 관통공(1323a2)을 가질 수 있다. 제1 링크부(1323a)는 제1 회전부(1321)와 제2 회전부(132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편심핀(1325)가 제1 회전부(1322)의 제1 편심공(1322a), 제1 링크부(1323a)의 제1 관통공(1323a1), 및 제1 회전부(1321)의 편심홀(1321a)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2 회전부(1322), 제1 링크부재(1323)의 일단, 및 제1 회전부(1321)가 회전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통공(1323a1)과 제2 관통공(1323a2) 내에는 베어링(B)이 배치되고 베어링(B)에 제1 편심핀(1325)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링크부(1323a)의 타단에는 제2 관통공(1323a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링크핀(1323b)이 제2 관통공(1323a2)를 관통하여 제1 박동부(133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통공(1323a1)과 제2 관통공(1323a2) 내에는 베어링(B)이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베어링(B)에 제1 편심핀(1325) 및 제1 링크핀(1323b)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1324)는 그 일단이 제2 회전부(1322)의 회전축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그 타단이 제2 박동부(133b)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링크부재(1324)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관통공(1324a1, 1324a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회전부(1322)의 제2 편심공(1322b)와 제1 링크부재(1323)의 관통공(1324a1)에 제2 편심핀(1326)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제2 회전부(1322)와 제2 링크부재(1324)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1324)는 일 예로서 제2 링크부(1324a)와 제2 링크핀(132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링크부(1324a)는 그 일단에 제3 관통공(1324a1)을 가지며 그 타단에는 제4 관통공(1324a2)를 가질 수 있다. 제2 링크부(1324a)는 제2 회전부(1322)의 제2 편심공(1322b)과 제2 링크부(1324a)의 제3 관통공(1324a1)에 제2 링크핀(1324b)가 삽입되어 제2 회전부(1322)와 회전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부(1324a)의 타단에는 제4 관통공(1324a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링크핀(1324b)이 제4 관통공(1324a2)를 관통하여 제2 박동부(133b)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관통공(1324a1)과 제4 관통공(1324a2) 내에는 베어링(B)이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베어링(B)에 제2 편심핀(1326) 및 제2 링크핀(1324b)가 삽입될 수 있다.
박동부(1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편심구동부(132)와 연결될 수 있으며, 편심구동부(132)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박동부(133)는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박동부(133)는 일 예로서 본체(110)를 중심으로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박동부(133a)가 본체(110)의 왼쪽 측부에 배치되고 제2 박동부(133b)가 본체(110)의 오른쪽 측부에 배치되는 경우, 제1 박동부(133a)는 제1 링크부재(1323)와 연결되고 제2 박동부(133b)는 제2 링크부재(1324)와 연결되며, 구동부(132)가 박동구동모터(131)에 의해 회전을 함에 따라 제1 박동부(133a)는 본체(110)의 왼쪽 측부에서, 그리고 제2 박동부(133b)는 본체(110)의 오른쪽 측부에서 좌우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 각각은 가이드부(13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34)는 박동부(133)의 좌우 왕복운동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34)는 가동축(124)에 수직하게 본체(110)의 양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 각각의 슬라이딩부(133a1, 133b1)가 가이드부(134)의 가이드로드(1341)에 배치되어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 각각은 가이드로드(1341)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321)의 회전 운동 과정에서 제1 회전부(1321)과 제2 회전부(1322)에 편심 연결된 제1 링크부재(1323)와 제2 링크부재(1324)와 가이드부(134)에 의해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는 본체(110)의 측면을 향해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제1 박동부(133a)와 제2 박동부(133b)는 가동축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좌우 왕복 운동 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실제 승마시 말의 속도가 증가하면 상하 운동 속도가 증가되고 말의 심장 박동이 증가하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운동 기구는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동구동부(130)가 빠르게 진동하여 실제 승마에서 말이 빠르게 달리는 경우 말의 심장 박동이 빠르게 뛰는 것 같은 작용을 하는바 현실감 있는 승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승마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60) 내에서 고삐(162)의 양단 각각에 화상조작부(161)가 연결되고 고삐(162)를 잡아당김으로써 디스플레이부(165) 상에 방향 전환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화상조작부(161)는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고삐(16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삐(162)의 왼쪽 단부에서 하나의 화상조작부(161)와 연결되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에서 다른 화상조작부(161)와 연결될 수 있다.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인장력이 검출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안장(140)에 기승한 이용자는 실제 승마와 마찬가지로 고삐(162)를 잡을 수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5)에 화상이 도시된 경우에 이용자가 고삐(162)를 오른쪽으로 작아 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5)에서 말머리가 화살표(A)를 따라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 속도 또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반면에 이용자가 고삐(162)를 왼쪽으로 작아 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왼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에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 속도 또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고삐(162)를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양단(오른쪽 단부와 왼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에서 모두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상조작부(161)는 말이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하고,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 속도 또는 진동이 멈춘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마 운동 기구(100)가 멈춘 이후에 계속해서 이용자가 고삐(162)를 양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화상조작부(161)는 말이 후진하는 것처럼 화상을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하고,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 속도 또는 진동이 후진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화상조작부(161)는 제1 감지부(1611), 제2 감지부(1612), 및 제어부(1613)를 포함 수 있다.
제1 감지부(1611)는 안장(140)에 앉은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용자의 왼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60)의 좌측 내부에 배치되며 고삐(162)의 왼쪽 단부와 연결되어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감지부(1611)는 가변저항(1611a)와 롤러(1611b, 16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1611a)은 그 일단에서 고삐(162)의 왼쪽 단부와 연결되며 고삐(162)를 당김에 따라 당기는 방향(A방향)으로 변위되며, 그 변위량에 따라 상이한 저항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되는 화상도 달라질 수 있다. 즉 가변저항(1611a)에서 변화되는 저항값의 크기가 클수록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될 수 있다.
롤러(1611a, 1611b)는 가변저항(1611a)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고삐(162)의 변위 경로를 제공하며 고삐(162)가 용이하게 당겨지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감지부(1612)는 안장(140)에 앉은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용자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60)의 우측 내부에 배치되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와 연결되어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감지부(1612)는 가변저항(1612a)와 롤러(1612b, 161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1612a)은 그 일단에서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와 연결되며 고삐(162)를 당김에 따라 당기는 방향(A방향)으로 변위되며, 그 변위량에 따라 상이한 저항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되는 화상도 달라질 수 있다. 즉 가변저항(1612a)에서 변화되는 저항값의 크기가 클수록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될 수 있다.
롤러(1612b, 1612c)는 가변저항(1612a)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고삐(162)의 변위 경로를 제공하며 고삐(162)가 용이하게 당겨지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감지부(1611)가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또는 상기 제2 감지부(1612)가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613)는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여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는 체감되는 속도 또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
제어부(1613)는 제1 감지부(1611)가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제2 감지부(1612)가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13)는 제1 감지부(1611) 및 제2 감지부(1612)가 모두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말이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13)는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승마 운동 기구(100)가 멈춘 경우에 계속해서 이용자가 고삐(162)를 양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어부(1613)는 말이 후진하는 것처럼 화상을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하고, 나아가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승마동작구동부(150)에 체감되는 속도 또는 진동이 후진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치 실제 승마에서 기수가 말의 고삐를 잡아당김으로써 말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좌우 고삐를 동시에 잡아당겨 말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5) 상에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말의 속도가 감속되는 화상을 표시하고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승마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승마 운동 기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체(110)에는 등자높이조절부(180)가 마련되고, 승마 운동 기구 이용자가 등자높이조절부(180)를 회전시키거나 누름으로써 등자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용자가 용이하게 승마 운동 기구에 탑승하거나 내릴 수 있다.
등자높이조절부(180)는 등자부(186)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1 방향(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등자부(186)를 권출하여 등자부(186)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등자높이조절부(180)의 상부를 누름으로써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여 등자부(186)를 권취하여 등자부(186)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서 등자부(186)는 등자연결부재(1861)과 등자(18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등자(1862)는 등자연결부재(1861)의 일단과 연결되어 본체(110) 아래 방향으로 늘어지며, 승마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발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 등자연결부재(1861)는 그 타단이 등자높이조절부(180)와 연결되며 등자높이조절부(180)에 의해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등자높이조절부(180)를 제1 방향(CW, clockwise)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등자연결부재(1861)는 등자높이조절부(180)에서 권출되어 지면에서 등자(1862)까지의 높이가 줄어게 되는바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지며, 이용자 등자높이조절부(180)를 누르는 경우 등자높이조절부(180)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CCW, counter clockwise)으로 회전하여 등자연결부재(1861)가 등자높이조절부(180)에서 권취되는바 지면에서 등자(1862)까지의 높이가 늘어나 등자(1862)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등자높이조절부(180)은 일 예로서 조작부(181), 연결부(182), 및 권선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81)는 제1 방향(CW)으로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제2 방향(CCW)으로는 회전은 제한되며, 그 상부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181)는 그 일측에서 연결부(182)와 치합되도록 배치되며, 연결부(182)는 또한 권선부(184)와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182)의 일측에서는 조작부(181)가 치합되어 배치되며 연결부(182)의 타측에서는 권선부(184)가 치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는 조작부(181)를 제1 방향(CW)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조작부(181)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조작부(181)와 치합되는 연결부(182)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CCW)으로 회전하며, 또한 연결부(182)와 치합되는 권선부(184)는 제2 방향(CCW)과 반대방향인 제1 방향(CW)으로 회전할 수 있다. 권선부(184)가 제1 방향(CW)으로 회전함에 따라 등자연결부재(1861)는 권선부(184)에서 권출되어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조작부(181)는 이용자가 제1 방향(CW)으로의 회전시킬 수 있지만 그 반대방향인 제2 방향(CCW)으로는 회전은 제한된다. 즉 스토퍼(185)에 의해 조작부(181)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그러나 조작부(181)를 위에서 아래로 누른 경우에는 스토퍼(185)에 의한 회전 제한이 해제되며, 연결부(182)가 탄성력에 의해 제1 방향(CW)으로 하며, 이에 따라 조작부(181)는 제2 방향(CCW)으로 회전하며, 권선부(184)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등자연결부재(1861)가 권선부(184)에 권취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등자(1862)까지의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등자(1862)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힘을 가하여 조작부(181)를 회전시켜야 하지만 등자(1862)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에는 조작부(181)를 누름으로써 연결부(182)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부(182)와 권선부(184)가 회전하여 등자(1862)의 높이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조작부(181)는 일 예로서 노브(1811), 기둥부(1812), 일방향 회전부재(1813), 조작기어(1814), 및 스토퍼(185)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811)는 이용자가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그 상부를 누를 수 있는 손잡이 수단을 제공한다. 기둥부(1812)는 노브(1811) 하부로 연장된다. 기둥부(1812) 하부에는 일방향 회전부재(1813)과 조작기어(1814)가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가 노브(1811)를 제1 방향(CW)으로 회전시키면 기둥부(1812)와 함께 방향 회전부재(1813) 및 조작기어(1814)도 제1 방향(CW)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작기어(1814)는 연결부(182)의 연결기어(1821)와 치합되며, 조작기어(1814)의 회전력이 연결기어(1821)에 전달되어 연결부(182)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일방향 회전부재(1813)는 제1 방향(CW)으로 기어 돌기들이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방향 회전부재(1813)는 노브(1811)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방향(CCW)으로는 스토퍼(18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일방향 회전부재(1813)는 제1 방향(CW)으로 기어 돌기들이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185)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일방향 회전부재(1813) 및 조작기어(1814)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있다.
그러나 노브(1811)가 기둥부(1812)의 길이 방향으로 눌린 경우 기둥부(1812)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있던 스토퍼(185)가 상기 걸림턱에서 풀리게 되며, 연결부(182)의 탄성부재(1822)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기어(182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권선부(184)와 조작기어(1814)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812)는 그 길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경사부(1812a)를 가지며 경사부(1812a)의 하부(1812b)는 경사부(1812a)의 상부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노브(181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스토퍼(185)의 지지부(1851)는 기둥부(1812)의 경사부(1812a) 하부(1812b)에 위치하고 스토퍼(185)의 걸림부(1852)는 일방향 회전부재(1813)의 걸림턱에 걸려 일방향 회전부재(1813) 및 조작기어(1814)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연결부(18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세는 연결부(182)는 일 측에서 권선부(184)의 릴 기어(1342)와 치합되고 타측에서 조작부(181)의 조작기어(1814)와 치합되는 연결기어(1821), 및 연결기어(182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기어(1821)는 탄성부재(1822)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지만 연결기어(1821)와 치합된 조작기어(1814)가 스토퍼(18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스토퍼(185)의 걸림부(1852)가 일방향 회전부재(1813)의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822)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기어(1821)도 제1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다.
그러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811)가 그 길이 방향으로 눌러진 경우 기둥부(1812)는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 경사부(1812a)의 상부가 지지부(1851)를 A위치에서 B위치로 밀어냄으로써 걸림턱에서 걸림부(1852)가 이탈된다. 이 경우 일방향 회전부재(1813) 및 조작기어(1814)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므로 연결기어(1821)는 탄성부재(1822)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기어(1821)의 일측에서 치합되는 조작기어(1814) 뿐만 아니라 타측에서 치합된 권선부(184)도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등자연결부재(1861)가 권선부(184)에 권선되고 이에 따라 등자(1862)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권선부(184)는 일 예로서 릴(1841)과 릴기어(1842)를 포함할 수 있다.
릴(1841)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등자연결부재(1861)를 권출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등자연결부재(1861)를 권취할 수 있다.
릴기어(1842)는 릴(1841)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부(182)의 연결기어(1821)와 치합되어 연결기어(1821)의 회전에 의해 릴(184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노브(1811)를 제1 방향(CW)으로 회전시키면 조작기어(1814)도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기어(1814)에 치합된 연결부(182)의 연결기어(1821)은 제2 방향(CCW)으로 회전하며, 연결기어(1821)에 치합된 릴기어(1842)는 제1 방향(CW)으로 회전하고 릴기어(1842)와 함께 릴(1841)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등자연결부재(1861)가 권출되어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용자가 용이하게 승마 운동 기구에 탑승을 할 수 있다.
이용자가 노브(1811)를 아래로 누른 경우 기둥부(1812)가 그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스토퍼(185)의 지지부(1851)를 밀어 내고 지지부(1851)의 일단에 결합된 걸림부(1852)가 회동축(185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회전부재(1813)의 걸림부에서 밀려 나오게 된다. 이때 연결기어(1821)는 탄성부재(1822)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기어(1821)의 일측에서 치합되는 조작기어(1814) 뿐만 아니라 타측에서 치합된 릴기어(1842)도 제2 방향으로 하며 릴기어(1842) 상에 배치된 릴(1841)도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등자연결부재(1861)이 릴(1841)에 권선되고, 이에 따라 등자(1862)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1,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승마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체(110)에는 박차가속부(190)가 마련되고, 박차가속부(190)를 가압함으로써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을 가속시킬 수 있다.
박차가속부(190)는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압력 등과 같은 외부 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증가시켜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을 가속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박차가속부(19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의 종아리나 발 뒤꿈치 부위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의 양측면으로 안장(140)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서 종아리나 발뒤꿈치로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이 가속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 예로서 박차가속부(190)는 지지부(191), 연결부(192), 스위치부(193), 회동축(194), 연결로드(196), 및 박차부(197)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91)는 지지부(191)의 상부면 상에는 안장(1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안장(140)과 가동축(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19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191)의 하부면에는 본체(110)를 향해 연장된 연결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92)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으로 가동축(120)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91)와 연결부(192)는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91)의 하부면에는 스위치부(193)가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부(193)에 인접하여 지지부(191)의 하부면에는 회동축(194)이 배치될 수 있다. 회동축(194)의 일단에는 스위치부(193)를 누를 수 있는 가압부(195)가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195)는 그 일면에 회동축(194)이 결합하며 회동축(195)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스위치부(193)를 누를 수 있다.
가압부(195)는 연결로드(196)에 의해 박차부(197)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가압부(195)의 일면에는 회동축(194)이 결합되며 타면에는 연결로드(196)의 일단과 결할 수 있으며, 연결로드(196)의 타단에는 박차부(197)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차부(197)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을 경우 이용자의 종아리나 발 뒤꿈치 부위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의 양측면으로 안장(140) 아래쪽에 배치되는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서 종아리나 발뒤꿈치로 박차부(197)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박차부(197)가 본체(110)의 중심을 향하여 움직이도록 압력이 가해진 경우, 박차부(197)에 연결된 연결로드(196)가 가압부(195)와 함께 회동축(19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195)가 스위치부(193)를 누룰 수 있다.
스위치부(193)가 눌러진 경우,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되어 실제 승마에서 기수가 말에 박차를 가하여 말이 빠르게 달리는 것과 같은 승마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박차부(197)를 누르기 위해 종아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실제 승마와 동일하게 자연스러운 하체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100)는 속도유지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속도유지부(300)는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속도유지부(30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의 대퇴근(허벅지) 안쪽을 향하도록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속도유지부(300)는 외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 대퇴근으로 안장(140)을 누르게 되면 속도유지부(300)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속도유지부(30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유지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유지된다. 그러나 속도유지부(300)에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동안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한 후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속도유지부(300)는 상기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3초) 동안 상기 외부 압력이 가해지기 전의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의 속도를 유지한 후 상기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이용자는 박차가속부(190)를 통해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고,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이용자는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가하면서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박차가속부(190)에 의해 증가된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며, 증가된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치 실제 승마에서 기수가 말에게 박차를 가하거나 안장에 일어나서 말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 같은 승마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속도유지부(300)는 일 예로서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부(301)와, 센서부(301)에 의해 상기 외부 압력이 검출된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유지시켜 가동축(120)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센서부(301)에 의해 상기 외부 압력이 미검출된 경우에는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가동축(120)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이 감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센서부(301)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 대퇴근으로 안장(140)을 누르게 되면 외부 압력을 감지하게 되고, 센서부(301)는 외부 압력 감지 신호를 제어부(302)에 전송하며, 제어부(302)는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부(301)는 이용자가 안장(140)에서 일어서서 대퇴근으로 안장(140)을 누르지 않게 되면 외부 압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센서부(301)는 외부 압력 미감지 신호를 제어부(302)에 전송하며, 제어부(302)는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의 회전속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게 한 후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모터(15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여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100)와 마찬가지로, 본체(210), 가동축(220), 안장(미도시), 박동동작구동부(230), 화상조작부(261), 등자높이조절부(280), 및 박차가속부(2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100)와의 차이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210)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가동축(220)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214)이 수직되게 마련되고, 베이스플레이트(213)의 전단과 후단에 베이스프레임(213a)이 폭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부프레임(214)의 상단에는 가동축(220)이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기 위한 가이드부재(211)가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부재(211)는 일례로 가동축(220)의 상하 슬라이딩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부재와 이러한 베어링 부재의 틸팅을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 구조나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지는 틸팅허용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214)은 후술하게 될 승마동작구동부(250) 및 회전동작구동부(280) 등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215)가 설치될 수 있다.
가동축(2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100)의 가동축(110)과 동일하고, 실린더(221)가 승마동작구동부(250)에 연결되고, 샤프트(224)가 가이드부재(211)에 의해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에 미도시된 안장이 고정된다. 또한 가동축(2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100)에서 설명한 홀더(173) 및 걸림홈(174)을 포함하는 신축제한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제한부(270)에 의해 샤프트(224)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가동축(220)에 대한 선택적인 신축 허용과 신축 제한에 의해서 이용자가 안전하게 안장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승마동작구동부(250)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100)의 승마동작구동부(150)와 마찬가지로, 본체(210)의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51)와, 구동모터(251)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부(252)와, 감속부(252)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253)와, 감속기어(253)에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크랭크핀(미도시)과, 크랭크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실린더(221)의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결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속부(252)는 일례로 구동모터(25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 1 풀리(252a)와, 제 1 풀리(252a)에 제 1 벨트(미도시)로 연결되는 제 2 풀리(252c)와, 제 2 풀리(252c)에 축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제 2 풀리(252c)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3 풀리(252d)와, 제 3 풀리(252d)를 감속기어(253)에 연결시키는 제 2 벨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풀리(252c)와 제 3 풀리(252d)는 베어링이 개재된 풀리고정부재(252f)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체(210)는 베이스플레이트(213)의 전단 양측에 다수, 예컨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260)이 수직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60)은 일례로 사각형의 각재 또는 원형 바 등과 같이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이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회전축(26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회전축(261)이 본체(210)의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마련된 축결합부(212)에 의해 전후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60)은 회전축(261)이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하단에 고정되는 축고정부재(262)를 매개로 회전축(261)이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60)은 회전축(261)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시, 본체(210)의 베이스플레이트(213) 또는 설치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휠(264)이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하단, 예컨대 축고정부재(2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축(263)이 회전동작구동부(280)에 연결됨으로써 회전동작구동부(28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261)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동작구동부(280)는 지지프레임(26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축, 즉 회전축(261)에 연결되는 기어어셈블리(281)와, 기어어셈블리(281)에 연결되어 기어어셈블리(281)를 통해서 지지프레임(260)의 회전축(26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2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어셈블리(281)는 회전모터(282)과 회전축(261)의 교차방향과 감속율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어의 조합, 예컨대 웜휠 및 웜기어, 베벨기어, 또는 다수의 평기어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양한 종류의 기어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내부에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들이 설치된 기어박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모터(282)는 모터브라켓(283)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21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1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조작부(143)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151)를 구동시키면,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이 감속부(152)에 의해 감속되어, 감속기어(153) 및 크랭크핀(154)을 통해서 가동축(120)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가동축(120)이 본체(110)의 가이드부재(111)를 중심으로 상하 운동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여, 안장(140)에 기승한 이용자가 승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과정에서, 안장(140)과 샤프트(124)를 통해서 피스톤(123)에 인가되는 이용자의 하중이 실린더(121) 내부를 압축시키고, 나아가서 코일스프링(122)을 압축시키며, 이후 코일스프링(122)의 탄성 복원력과 피스톤(123)의 상승에 의한 실린더(121) 내부 팽창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핀(154)의 원형 회전 운동을 안장(140)의 상하로 연장된 타원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71)가 이용자에 의해 또는 이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지시, 전기 신호를 홀더(173)에 전달하고, 홀더(173)는 감지부(171)의 전기 신호에 따라 걸림편(172)이 실린더(121)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홈(17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걸림편(172)에 의해 샤프트(124)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하여 이용자가 안전하게 안장(140)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이용자가 안장(140)으로부터 내릴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홀더(173)는 이용자가 감지부(171)에 감지되지 않을 경우, 걸림편(172)이 걸림홈(174)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샤프트(124)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가동축(120)이 승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1 및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동동작구동부(130)는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측면을 향하여 좌우로 운동하며 진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박동동작구동부(130)는 가동축(120)에 수직하게 본체(110)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진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박동동작구동부(130)는 본체(110)의 측면으로 연장된 안장(140)의 측면부(140a) 안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동작이 안장(140)의 측면부(140a)까지 전달되어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는 이용자의 대퇴근이나 무릎 안쪽으로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을 느낄 수 있다.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증가되어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 주기(진동 주기)도 상승할 수 있으며,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박동동작구동부(130)의 박동 주기(진동 주기)도 감소할 수 있다.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의 속도가 빨라지고 박동부(133)의 박동 운동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 승마에서 말의 심장 박동이 말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승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박동 기능의 구현에 의해 승마 현실감을 극대화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조작부(161)는 지지프레임(160)의 상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고삐(16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삐(162)의 왼쪽 단부에서 하나의 화상조작부(161)와 연결되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에서 다른 화상조작부(161)와 연결될 수 있다.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인장력이 검출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65)에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안장(140)에 기승한 이용자는 실제 승마와 마찬가지로 고삐(162)를 잡을 수 있을 수 있다. 이용자가 고삐(162)를 왼쪽으로 작아 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왼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에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용자가 고삐(162)를 오른쪽으로 작아 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오른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는 고삐(162)의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5)에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고삐(162)를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고삐(162)의 양단(오른쪽 단부와 왼쪽 단부)에 연결된 화상조작부(161)에서 모두 인장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상조작부(161)는 말이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디스플레이부(16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5)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치 실제 승마에서 기수가 말의 고삐를 잡아당김으로써 말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좌우 고삐를 동시에 잡아당겨 말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5) 상에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말의 속도가 감속되는 화상을 표시하고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승마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노브(1811)를 제1 방향(CW)으로 회전시키면 조작기어(1814)도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기어(1814)에 치합된 연결부(182)의 연결기어(1821)은 제2 방향(CCW)으로 회전하며, 연결기어(1821)에 치합된 릴기어(1842)는 제1 방향(CW)으로 회전하고 릴기어(1842)와 함께 릴(1841)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등자연결부재(1861)가 권출되어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등자(1862)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용자가 용이하게 승마 운동 기구에 탑승을 할 수 있다.
이용자가 노브(1811)를 아래로 누른 경우 기둥부(1812)가 그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스토퍼(185)의 지지부(1851)를 밀어 내고 지지부(1851)의 일단에 결합된 걸림부(1852)가 회동축(185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회전부재(1813)의 걸림부에서 밀려 나오게 된다. 이때 연결기어(1821)는 탄성부재(1822)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기어(1821)의 일측에서 치합되는 조작기어(1814) 뿐만 아니라 타측에서 치합된 릴기어(1842)도 제2 방향으로 하며 릴기어(1842) 상에 배치된 릴(1841)도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등자연결부재(1861)이 릴(1841)에 권선되고, 이에 따라 등자(1862)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는 조작부(181)의 노브(1811)를 회전시킴으로써 등자(1862)의 높이를 낮게 하여 용이하게 승마 운동 기구에 탑승할 수 있으며, 탑승 후에는 노브(1811)를 누름으로써 등자(1862)를 승마하기 맞는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승마 운동 기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등자의 길이를 조절하여 승마 운동 기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한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차가속부(19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의 종아리나 발 뒤꿈치 부위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의 양측면으로 안장(140)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서 종아리나 발뒤꿈치로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박차가속부(190)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이 가속될 수 있다. 가동축(120)의 상항 및 전후 틸팅 운동의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실제 승마에서 말에 박차를 가하여 말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승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유지부(300)는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은 경우 이용자의 대퇴근(허벅지) 안쪽을 향하도록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되어 이용자가 안장(140)에 앉아 대퇴근으로 안장(140)을 누르게 되면 속도유지부(300)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속도유지부(30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유지하며 이에 따라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가 유지된다. 그러나 속도유지부(300)에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동안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유지한 후 승마동작구동부(150)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가동축(120)의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안장(140)의 측면에 배치된 속도유지부(300)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가하지 않음으로써 실제 승마에서 안장에 앉은 기수가 대퇴근으로 압력을 가해 말의 속도를 유지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지 않고 말을 진정시켜서 말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승마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승마 운동 모션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박차 기능의 구현에 의해 승마 현실감을 극대화시키며, 자중에 의한 불규칙 타원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여 승마 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본체 111 : 가이드부재
112 : 힌지축 120 : 가동축
121 : 실린더 122 : 코일스프링
123 : 피스톤 124 : 샤프트
125 : 흡배기홀 126 : 가이드축
127 : 팩킹부재 128 : 나사결합부재
129 : 부싱 129a : 오일레스부싱
130: 박동동작구동부 131 : 박동구동모터
132 : 편심구동부 133 : 박동부
140 : 안장 141 : 손잡이
143 : 조작부 150 : 승마동작구동부
151 : 구동모터 152 : 감속부
152a : 제 1 풀리 152b : 제 1 벨트
152c : 제 2 풀리 152d : 제 3 풀리
152e : 제 2 벨트 153 : 감속기어
154 : 크랭크핀 155 : 회전결합부재
160 : 지지프레임 161 : 화상조작부
162 : 고삐 165 : 디스플레이부
169 : 연결부재 171 : 감지부
172 : 걸림편 173 : 홀더
174 : 걸림홈 180: 등자높이조절부
190 : 박차가속부 210 : 본체
211 : 가이드부재 212 : 축결합부
213 : 베이스플레이트 213a : 베이스프레임
214 : 상부프레임 220 : 가동축
221 : 실린더 224 : 샤프트
250 : 승마동작구동부 251 : 구동모터
252 : 감속부 252a : 제 1 풀리
252c : 제 2 풀리 252d : 제 3 풀리
252f : 풀리고정부재 253 : 감속기어
253a : 기어고정부재 260 : 지지프레임
261 : 회전축 262 : 축고정부재
263 : 휠 270 : 신축제한부
280 : 회전동작구동부 281 : 기어어셈블리
282 : 회전모터 283 : 모터브라켓

Claims (8)

  1.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하 및 전후 틸팅이 가능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의 상단에 고정되는 안장;
    상기 가동축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승마동작구동부;
    상기 본체의 전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안장에 기승한 이용자가 직접 또는 고삐를 매개로 하여 잡을 수 있도록 연장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본체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고삐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고삐에 걸리는 인장력을 검출하고, 상기 인장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화상조작부; 를 구비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축은,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이 밀봉되는 실린더의 내측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피스톤이 상기 코일스프링을 상측에서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가 상기 실린더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에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흡기 및 배기가 발생하도록 흡배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부;
    상기 감속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감속기어;
    상기 감속기어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크랭크핀; 및
    상기 크랭크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동축의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조작부는,
    상기 인장력을 검출하며, 상기 안장에 앉은 상기 이용자를 중심으로 상기 이용자의 왼쪽에 배치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이용자의 오른쪽에 배치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가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왼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른쪽으로의 방향 전환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말의 속도가 감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의 크기를 줄이도록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가 모두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말이 멈추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이 멈추도록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이 멈춘 이후에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가 모두 상기 인장력을 감지한 경우 말이 후진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에 의해 구현되는 구동력이 후진하는 것을 구현하도록 상기 승마동작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KR1020160002955A 2016-01-10 2016-01-10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KR20170035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955A KR20170035760A (ko) 2016-01-10 2016-01-10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955A KR20170035760A (ko) 2016-01-10 2016-01-10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454A Division KR101610761B1 (ko) 2015-09-23 2015-09-23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760A true KR20170035760A (ko) 2017-03-31

Family

ID=5850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955A KR20170035760A (ko) 2016-01-10 2016-01-10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7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0917A (zh) * 2017-10-24 2017-12-26 上品家武汉有限公司 Vr虚拟现实智能骑马健身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0917A (zh) * 2017-10-24 2017-12-26 上品家武汉有限公司 Vr虚拟现实智能骑马健身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745B1 (en) Seated stepper
KR101929579B1 (ko)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US10201727B2 (en) Exercise machine
TWI401103B (zh) Sports device
US20040259692A1 (en) Semi recumbent exerciser
JP5033198B2 (ja) 運動補助装置
KR20070018205A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610761B1 (ko)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KR101310647B1 (ko) 점프 기능을 가지는 승마 운동 기구
KR20170035760A (ko) 현실감 제공 승마 운동 기구
KR101589052B1 (ko) 박동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KR101589051B1 (ko) 박차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KR100853809B1 (ko)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KR101310646B1 (ko) 크랭크 방식의 승마 운동 기구
KR20150105047A (ko) 승마 동작에 따른 동작 구동장치, 이를 이용한 지능형 헬스케어 승마 운동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51634Y1 (ko) 스트레칭 핸들을 구비한 운동 사이클
JP6511100B2 (ja) 乗馬式フィットネス器具
JP2007044142A (ja) 運動装置
KR101666218B1 (ko) 승마형 헬스 자전거
KR20170028813A (ko) 박동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KR101589053B1 (ko) 등자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KR20170028812A (ko) 박차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JP2006296703A (ja) 筋肉訓練装置
JP2008113968A (ja) 健康運動器具
KR101062863B1 (ko) 장애물 비월 승마 훈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