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650A - 승마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650A
KR20090044650A KR1020070110834A KR20070110834A KR20090044650A KR 20090044650 A KR20090044650 A KR 20090044650A KR 1020070110834 A KR1020070110834 A KR 1020070110834A KR 20070110834 A KR20070110834 A KR 20070110834A KR 20090044650 A KR20090044650 A KR 20090044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user
fixing plate
pedestal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만
이운하
임중혁
김종출
Original Assignee
(주)마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키 filed Critical (주)마이키
Priority to KR102007011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650A/ko
Publication of KR2009004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4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5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temperature
    • A63B2230/50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tempera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ody fat
    • A63B2230/70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ody fa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운동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어서 부상의 위험없이 재미있게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자신의 신체상태의 변화를 즉시 파악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어서 큰 성취감을 맞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승마, 체지방, 체중, 체지방측정전극, 센서손잡이, 로드셀

Description

승마형 운동기구{HORSE RIDING TYPE SPORT OUTFIT}
본 발명은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운동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승마형 운동기구는 사람이 탑승하여 운동기구의 운동에 따라 몸의 균형을 잡고, 신체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기구이다.
건강관리와 엔터테인먼트의 결합이 부각되면서 종래의 단조로운 동작을 하는 운동기구 대신에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유사한 동작을 하는 기구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주로 스포츠와 연관된 게임 플랫폼으로서 일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주로 스키, 보드, 자전거 등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사람의 동작을 이용한 조정성(steering)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중소기업과 개인, 해외 업체들의 기술들이 다수 개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10222호 "승마형 운동기구"(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앉는 좌석을 요동시켜 운동효과를 얻는 운동기구로서, 실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고삐(80)를 당겨서 동작의 형태와 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이다.
도 1에 나타난 종래기술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0)은 전체 승마형 운동기구를 유선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에는 실제 말의 머리에 해당하도록 위로 상승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승 전면부에는 고삐 또는 원격조절 가능한 제어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구동수단(30, 40)을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의 구동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위에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는 4각 모서리 각각에 구동부 지지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부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사이에 쇼바(14 : Shock absorber)가 설치되어 승마형 운동기구의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에는 제어부(90)의 동작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버터(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인버터는 제어부(9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20)를 구동시킨다.
종래기술의 승마형 운동기구는 평보, 느린 속보, 빠른 속보, 느린 구보, 빠른 구보 등과 같이 5가지 형태의 운동을 구현한다. 이러한 속도가 사람의 조작에 의해 동작(입력)되는 경우, 인버터(25)는 속도의 종류에 따라 구동 모터(20)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20)의 출력측의 양 측면에는 각각 풀리와 완충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커넥팅 로드(17)로 구성되어 있는 제1구동수단(30)이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구동수단(30)의 출력은 체인(43)을 통해 제2구동수단(40)에 전달된다.
제2구동수단(40)의 양측면에는 제1구동수단(30)과 같이 각각 풀리와 쇼바와 같은 완충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커넥팅 로드(16)로 구성되어 있다.
제1구동수단(30)의 한 쌍의 커넥팅 로드(17)와 제2구동수단(40)의 한 쌍의 커넥팅 로드(16)의 타단은 모두 좌우 연동 수단(50)에 접속된다.
좌우 연동 수단(50)의 상부에는 치구(60)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모터(20), 제1구동수단(30), 제2구동수단(40), 좌우 연동 장치(50), 치구(60)를 총칭하여 구동부라고 할 수 있는데, 구동부의 상부에는 말안장 형상을 갖는 FRP 몸체(70)가 부착되어 있다.
FRP 몸체(70)는 구동부와의 사이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넓은 강철판을 구부려 놓은 보강판(61)을 포함한다. 보강판(61)의 전단부에는 안전 손잡이(63)가 일체로 또는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90)의 좌우측에는 속도조절스위치(91)가 하나씩 설치된다. 속도조절스위치(91)에는 고삐(80)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운동기구의 동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속도조절스위치(91)는 터치스위치로서, 한 번 누를 때마다 속도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어서 체격이나 체질, 근육량이 다른 사용자에게 항상 동일한 세기의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동을 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신체에 일어나는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무리하게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이를 중지시켜 안전을 도모하는 장치가 없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을 통해서 자신의 체중이나 체지방이 변화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없어서 운동이 단조로와지고 성취감을 느끼지 못해서 쉽게 운동을 그만두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지방이나 체중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측정된 값에 맞게 적절한 세기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승마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대좌와; 상기 하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하는 상부대좌와; 상기 상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시키는 전후요동수단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장고정판과; 상기 안장고정판을 상기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좌우경사수단과; 상기 안장고정판 위에 설치되며, 전방에 안전손잡이가 구비되는 안장과; 상기 안전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지방 비율을 측정하는 체지방측정전극과; 상기 전후요동수단, 좌우경사수단 및 체지방측정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맥박수와 체온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손잡이가 구비된 고삐;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센서손잡이는 측정된 정보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대좌와; 상기 하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하는 상부대좌와; 상기 상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시키는 전후요동수단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장고정판과; 상기 안장고정판을 상기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좌우경사수단과; 상기 안장고정판 위에 고정되는 안장과; 상기 안장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전후요동수단, 좌우경사수단 및 로드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대좌와; 상기 하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하는 상부대좌와; 상기 상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시키는 전후요동수단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장고정판과; 상기 안장고정판을 상기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좌우경사수단과; 상기 안장고정판 위에 설치되며, 전방에 안전손잡이가 구비되는 안장과; 상기 안전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지방 비율을 측정하는 체지방측정전극과; 사용자의 맥박수와 체온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손잡이가 구비된 고삐와; 상기 안장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전후요동수단, 좌우경사수단, 체지방측정전극, 센서손잡이 및 로드셀과 전기 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어서 부상의 위험없이 재미있게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상태의 변화를 즉시 파악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어서 큰 성취감을 맞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기구"(이하, '운동기구'라 함)를 설명한다.
도 2a 와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전면과 후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와 4b는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100)는 전체적으로 승마시에 사용하는 말안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하부에는 내부장치를 지탱하는 베이스(102)가 구비된다. 베이스(102) 바닥에는 운동충격을 흡수하는 방진스프링(104)이 다수 개 설치된다.
내부에 구성된 구동장치 위에는 안장(106)이 얹어지는데, 사용자는 전후, 좌우로 요동하는 안장(106) 위에 앉아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안장(106)은 견고한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하중을 줄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안장(106) 앞쪽에는 운동기구(100)에 오르내리거나 운동을 하는 도중에 사용 자가 손으로 잡아서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손잡이(106a)가 설치되며, 좌우측에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등자(108)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에는 운동기구(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10)이 구비된다. 컨트롤 패널(110)의 좌우측에는 고삐(112)가 연결되는데, 고삐(112)는 사용자가 운동 도중에 운동기구(1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손잡이(106a)와 함께 손잡이 역할을 한다.
컨트롤 패널(110) 내부에는 운동기구(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는 운동기구(100)의 몸체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따라서 운동의 개시와 종료, 전후요동 운동의 속도, 좌우경사 및 전후경사 각도 및 상태유지 등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전동기계기구의 동작제어에 사용되는 마이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변화는 컨트롤 패널(110)에 설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적절한 속도와 강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안전손잡이(106a)에는 체지방측정전극(106b)이 설치되며, 고삐(112)에는 센서손잡이(112a)가 구비된다.
안전손잡이(106a)에 설치된 체지방측정전극(106b)은 사용자의 손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 돌아오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 신체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지방 비율을 계산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에는 전기저항값을 이용하여 근육량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체지방 비율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력상태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고삐(112)에 구비된 센서손잡이(112a)는 사용자의 맥박수나 체온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자의 맥박수 측정을 위해 손가락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도면 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체지방측정전극(106b)과 센서손잡이(112a)는 모두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적절한 운동량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체지방 비율의 경우 그 특성상 급격하게 변화하는 수치가 아니므로,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할 때 체지방측정전극(106b)을 한 번만 잡아주면 정확한 수치가 기록될 것이다.
그러나 맥박수나 체온 등은 운동의 정도에 따라 급격하게 변하는 값이므로, 운동 도중에도 지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고삐(112)와 함께 설치한다. 사용자는 고삐(112)에 구비된 센서손잡이(112a)를 잡은 채 운동을 진행하게 되므로, 운동경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신체상태 변화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안전손잡이(106a)와 고삐(112)에 별도의 측정장 치를 마련하는 대신 하나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체지방 비율과 맥박수, 체온 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면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현재 운동의 속도나 크기 등은 컨트롤 패널(110)에 구비된 모니터(110a)에 나타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센서도 구비되는데, 체중을 측정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안장(106)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내부구성요소에는 전후요동운동을 일으키는 전후요동수단, 전후 또는 좌우 경사운동을 일으키는 전후경사수단 및 좌우경사수단 등이 포함된다.
운동기구(100)의 각종 구동장치는 베이스(102) 상면의 중앙부에 위쪽으로 돌출된 지지대(114) 상에 설치된다. 지지대(114)는 기둥 모양으로 설치되는데,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부분이므로 견고한 재질로 제작된다.
지지대(114)는 각종 운동수단을 고정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둥 모양이 아니라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대(114)의 상부에는 하부대좌(116)가 설치된다. 하부대좌(116)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인 평면의 금속재로 만들어지며, 본원 승마형 운동기구(100)의 전후경사운동을 하는 부분이다.
하부대좌(116)는 지지대(114)의 상부 말단에 좌우방향 샤프트(118)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우방향 샤프트(118)는 운동기구(100)의 좌우방향으로 지면과 평행한 상태 로 배치되며, 좌우방향 샤프트(118)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부대좌(116)가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 회전하면서 전후경사운동을 한다.
본원 운동기구(100)의 전후경사운동은 전후경사수단에 의하여 구현되는데, 전후경사수단은 전후경사 구동바(120)와 전후경사모터(124)로 구성된다.
전후경사 구동바(120)의 일단은 하부대좌(116)의 전방 또는 후방 말단에 힌지(122)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122)의 중심축은 좌우방향 샤프트(118)의 중심축과 평행한 상태이다.
전후경사 구동바(120)의 타단은 베이스(102) 상면에 설치된 전후경사모터(124)의 승강축에 고정된다. 전후경사모터(124)는 베이스(102) 상면에서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나 베어링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하부대좌(116)는 베이스(102)에 대하여 전후경사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전후경사모터(124)는 승강축을 상하로 오르내리게 하는 스크류 모터의 일종으로서, 전후경사모터(124)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과 전후경사 구동바(120)가 아래위로 움직이면서 하부대좌(116)의 일측 말단을 아래위로 움직인다. 하부대좌(116)는 좌우방향 샤프트(118)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운동기구(100)의 전후경사운동이 만들어진다.
운동기구(100)의 제어부는 전후경사모터(124)의 회전량,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면서 전후경사의 각도와 상태, 경사운동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하부대좌(116)의 상부에는 전후요동운동을 하는 상부대좌(140)가 설치되는데, 전후요동운동을 일으키는 전후요동수단은 하부대좌(116) 위에 설치된다.
상부대좌(140) 역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인 금속재 평판으로서, 견고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요동운동을 일으키는 주된 동력은 주모터(126)에서 나온다. 주모터(126)는 베이스(102)의 상면에 방진고무(128)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방진고무(128)는 주모터(126)의 회전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모터(126)의 회전축에는 1차감속 소풀리(도면 미도시)가 축착되며, 좌우방향 샤프트(118)의 일측에는 1차감속 대풀리(130)가 축착되는데, 1차감속 소풀리와 1차감속 대풀리(130)는 벨트(132)에 의하여 연결된다. 벨트(132)는 회전속도나 소음 등을 감안하여 타임벨트나 체인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1차감속 대풀리(130)는 1차감속 소풀리에 비하여 지름이 훨씬 큰 풀리로서, 주모터(126)에서 전달되는 회전운동의 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좌우방향 샤프트(118)의 타측에는 2차감속 소풀리(134)가 축착되며, 1차감속 대풀리(130)와 2차감속 소풀리(134)는 좌우방향 샤프트(118)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하부대좌(116) 상에는 좌우방향 샤프트(118)와 평행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136a)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2차감속 대풀리(136)가 설치된다.
2차감속 소풀리(134)와 2차감속 대풀리(136) 역시 벨트(132) 등에 의하여 연결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2차감속 소풀리(134)와 2차감속 대풀리(136)는 주모 터(126)에서 발생한 회전력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약 주모터(126)의 회전속도가 적절한 형태의 요동운동을 일으킬 정도로 충분히 느리다면 이와 같은 감속풀리(130, 134, 136)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벨트(132)에는 적절한 장력을 일으키기 위한 텐셔너(138)가 소정의 개수만큼 설치될 수 있다.
주모터(126)의 회전에 따라 1차감속 소풀리, 1차감속 대풀리(130), 2차감속 소풀리(134), 2차감속 대풀리(136)가 동시에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전술한 상부대좌(140)는 두 개의 링크에 의하여 하부대좌(116)와 연결된다.
먼저 상부대좌(140) 전방 하부면에는 한 쌍의 제1링크(142)의 일단이 고정설치되는데, 제1링크(142)의 타단은 두 개의 2차감속 대풀리(136)에 편심된 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크랭크 암을 형성한다.
또한 한 개의 제2링크(144)의 일단은 좌우방향 샤프트(118)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상부대좌(140)의 하부면에 유닛 베어링 등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주모터(126)를 회전시키면 2차감속 대풀리(136)가 회전하면서 제1링크(142)의 끝부분이 2차감속 대풀리(13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의 원 위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대좌(140)는 제1링크(142)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도 5는 전후요동운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두 개의 링크의 움직임에 따른 상부대좌(140)의 움직임 경로가 잘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승마형 운동기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운동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주모터(126)의 속도가 빨라지면 말이 빨리 달리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속도의 변화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부대좌(140)의 위쪽에는 안장고정판(146)이 설치된다. 안장고정판(146)은 안장(106)이 고정되는 밑받침이 되는 부분으로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복잡한 운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안장고정판(146)은 상부대좌(140)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148)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전후방향 샤프트(148)는 그 중심축이 상부대좌(140)의 표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운동기구(100)의 전후방향으로 놓여진다.
좌우경사운동은 좌우경사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좌우경사수단은 좌우경사 구동바(150)와 좌우경사모터(154)로 구성된다.
안장고정판(146)은 전후방향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왕복 회전운동을 한다. 즉, 전후방향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안장고정판(146)이 좌우경사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좌우경사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안장고정판(146)의 일측단에는 힌지(152) 등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경사 구동바(150)의 일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좌우경사 구동바(150)의 타단은 좌우경사모터(154)의 승강축에 고정 된다. 좌우경사모터(154)는 상부대좌(140)의 일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안장고정판(146)은 상부대좌(140)에 대하여 경사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좌우경사모터(154)도 전후경사모터(124)와 마찬가지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이 아래위로 오르내리는 스크류 모터이다. 전후경사와 마찬가지로 승강축이 올라가면 좌우경사 구동바(150)도 올라가면서 안장고정판(146)의 일측부를 밀어올리게 되고, 전후방향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안장고정판(146)이 회전하면서 반대쪽이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안장고정판(146)의 좌우경사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a는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후면도이며, 도 6b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후면도이다.
좌우경사운동도 전후경사운동과 마찬가지로 좌우경사모터(154)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안장고정판(146)이 전후방향 샤프트(148)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하는 방향으로 안장(106)이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실제 말을 타고 회전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안장고정판(146)에는 안장(106) 고정을 위한 볼트(도면 미도시)가 체결되는 체결공(도면 미도시)이 다수 형성될 것이며, 안장(106) 내부 벽면에도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리브(도면 미도시)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통상적인 좌식 운동기구에 널리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안장고정판(146)의 하부에는 로드셀(Load Cell; 156)이 설치된다. 로드셀(156)은 안장(106) 위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로드셀(156)과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로드셀(156)에서 측정된 체중정보가 제어부로 전송된다.
로드셀(156)은 안장고정판(146)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만 있다면 안장고정판(146)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부대좌(140)의 하부 등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체지방측정전극(106b)에서 측정된 전기저항값, 센서손잡이(112a)에서 측정된 맥박수 및 체온에 대한 정보, 로드셀(156)에서 측정된 체중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제어부에서 조합되어 사용자의 정확한 신체상태를 파악하는데 사용되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세기의 운동량을 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운동기구(100)에 앉아서 전원을 켜면, 제어부는 로드셀(156)로부터 전송되는 체중정보를 임시 메모리에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안전손잡이(106a)에 구비된 체지방측정전극(106b)을 잡으면 미세한 전류를 발생시켜 전기저항값과 같은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정보를 체중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고삐(112)의 센서손잡이(112a)를 잡으면 사용자의 맥박수와 체온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수집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운동과정을 프로그래밍한다. 만약 사용자의 몸무게가 가벼우면서 체지 방 비율이 높고, 맥박이 빠르다면 여성이거나 허약한 사람일 가능성이 크므로, 운동속도를 느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승마운동 도중에 급격하게 맥박이 올라가거나 체온이 상승하는 등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운동기구(10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가정에서 본 발명의 운동기구(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족의 신체정보의 변화량을 지속적으로 저장하면서 운동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10) 내부에 저장장치를 마련하고, 가족의 구성원들이 자신의 고유정보를 기록한 후 운동을 하면 체중, 체지방 비율, 근육량, 평균 맥박수, 체온 등의 변화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동에 따른 효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a와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b는 안장을 제거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
도 5는 전후요동운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후면도.
도 6b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후면도.

Claims (4)

  1.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대좌와;
    상기 하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하는 상부대좌와;
    상기 상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시키는 전후요동수단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장고정판과;
    상기 안장고정판을 상기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좌우경사수단과;
    상기 안장고정판 위에 설치되며, 전방에 안전손잡이가 구비되는 안장과;
    상기 안전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지방 비율을 측정하는 체지방측정전극과;
    상기 전후요동수단, 좌우경사수단 및 체지방측정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맥박수와 체온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손잡이가 구비된 고 삐;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센서손잡이는 측정된 정보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3.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대좌와;
    상기 하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하는 상부대좌와;
    상기 상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시키는 전후요동수단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장고정판과;
    상기 안장고정판을 상기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좌우경사수단과;
    상기 안장고정판 위에 고정되는 안장과;
    상기 안장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전후요동수단, 좌우경사수단 및 로드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4.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좌우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대좌와;
    상기 하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하는 상부대좌와;
    상기 상부대좌를 상기 좌우방향 샤프트 둘레에 회동시키는 전후요동수단과;
    상기 상부대좌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장고정판과;
    상기 안장고정판을 상기 전후방향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시키는 좌우경사수단과;
    상기 안장고정판 위에 설치되며, 전방에 안전손잡이가 구비되는 안장과;
    상기 안전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지방 비율을 측정하는 체지방측정전극과;
    사용자의 맥박수와 체온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손잡이가 구비된 고삐와;
    상기 안장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전후요동수단, 좌우경사수단, 체지방측정전극, 센서손잡이 및 로드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기구.
KR1020070110834A 2007-11-01 2007-11-01 승마형 운동기구 KR20090044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34A KR20090044650A (ko) 2007-11-01 2007-11-01 승마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34A KR20090044650A (ko) 2007-11-01 2007-11-01 승마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650A true KR20090044650A (ko) 2009-05-07

Family

ID=4085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834A KR20090044650A (ko) 2007-11-01 2007-11-01 승마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6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211B1 (ko) * 2014-02-18 2014-11-21 정필동 다 방향 왕복 운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승마 운동 장치 및 승마 운동 방법
CN104886985A (zh) * 2015-05-19 2015-09-09 广东工业大学 一种摇椅
KR102291708B1 (ko) * 2020-09-28 2021-08-20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승마 운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211B1 (ko) * 2014-02-18 2014-11-21 정필동 다 방향 왕복 운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승마 운동 장치 및 승마 운동 방법
CN104886985A (zh) * 2015-05-19 2015-09-09 广东工业大学 一种摇椅
KR102291708B1 (ko) * 2020-09-28 2021-08-20 스크린승마 주식회사 승마 운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823B2 (en) Treadmill with suspended tread belt
US5354251A (en) Multifunction excercise machine with ergometric input-responsive resistance
US7374522B2 (en) Exercise device having a movable platform
US5685804A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EP2712324B1 (en) Exercise apparatus
TWI401103B (zh) Sports device
CA2696163C (en) Dual direction exercise treadmill with moment arm resistance
RU2403936C2 (ru) Тренажер для силовых упражнений и реабилитации
AU8718591A (en) Stair-climbing and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
JP2006218287A (ja) 収容可能なアームを備えたエリプティカルエクササイズ機器
US6010429A (en) Interactive aerobic exercise machine
KR10090305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20090044650A (ko) 승마형 운동기구
JP5161708B2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WO2014196866A1 (en) An apparatus for multipurpose training and exercise
EP0858358A1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TW201309363A (zh) 上半身鍛鍊及飛輪增大之雙重踏板的踏車
JP4258464B2 (ja) 揺動型運動装置
JP6511100B2 (ja) 乗馬式フィットネス器具
KR20090002692U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0493355B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TWI330093B (ko)
WO2002098516A1 (en) A height-adjustable auxiliary equipment for trampo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