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35B1 - 승마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135B1
KR101487135B1 KR20140083858A KR20140083858A KR101487135B1 KR 101487135 B1 KR101487135 B1 KR 101487135B1 KR 20140083858 A KR20140083858 A KR 20140083858A KR 20140083858 A KR20140083858 A KR 20140083858A KR 101487135 B1 KR101487135 B1 KR 10148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d
bar
saddl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필동
Original Assignee
정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필동 filed Critical 정필동
Priority to KR2014008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135B1/ko
Priority to TW104120071A priority patent/TWI573615B/zh
Priority to EP15174191.5A priority patent/EP2962740B1/en
Priority to US14/755,645 priority patent/US9597573B2/en
Priority to JP2015132767A priority patent/JP6133933B2/ja
Priority to CN201510382272.7A priority patent/CN105311808A/zh
Priority to RU2015126648A priority patent/RU2677715C2/ru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운동기구는 안장을 지지하는 안장 받침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 프레임과; 한 쌍의 작동 로드와; 상기 안장 받침대에 연결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안장 받침대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후로드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바와; 상기 작동프레임의 후단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요동바와; 상기 요동바의 하단부와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요동바의 승강에 의하여 회전되는 플라이휠과;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부 면에 안착되는 메인 스프링과; 웜과 웜기어가 내장되어 있는 기어박스와; 상기 자체 프레임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박스의 웜을 회전시키는 핸들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플라이휠에 저장되는 에너지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구동되므로 실내에서 모터 및 동력장치에 의한 소음이 억제하고, 특히 상기 핸들을 이용하여서 사용자의 체중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신장에 적절하게 발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승마용 운동기구{SPORTS MACHINE FOR RIDING HORSE}
본 발명은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무동력으로 작동되며 사용자의 체중과 신장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급속한 서구화와 운동의 부족에 따라 어린이부터 성년에 이르기까지 남녀를 불문하고 비만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비만인구의 급증은 국가적으로나 사회적 및 개인적인 면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하나의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비만을 해소하기 위해 비만자들이 가장 쉽게 찾는 방법 중에 하나가 운동이다.
특히, 비만자의 경우 비만을 야기하는 체내 지방을 분해하기 위해 선택하는 운동 방법중의 하나로 별도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걷기를 하는 방법과, 런닝머신과 같은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서 비만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동방법은 운동기구의 이용여부에 관계없이 단조롭고 지루하여 비만자들이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비만의 해소에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
그리고 승마란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이며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인 동시에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전신운동으로, 이러한 승마는 타운동과 달리 허리를 곧게 펴고 하는 운동으로 자세교정에 도움이 되고, 또 출렁이는 말 위에 있으면 장기능 강화에도 좋으며, 특히 여성이나 학생은 변비에 도움이 되고, 남성들은 전립선 질환 등에 효과가 있으며, 폐활량 향상과 종아리나 허벅지 등 하체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승마를 하면 상체가 바르게 교정되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정신 집중력과 신체의 리듬감을 기를 수 있으며, 폐활량이 늘어나고 골반이 튼튼해지는 동시에 담력을 키울 수 있으며, 신체 각 부분의 평형감각과 유연성 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다.
이와 같이 승마는 전신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의 사람은 경제적 능력이나 장소와 시간 등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승마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문헌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4864호 문헌2: 일본 특허공개 제평6-65350호 문헌3: 일본 특허공개 제2004-216072호
한편 상기와 같은 이유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승마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승마기구들이 다수 제시되었으나, 종래에 제시된 승마기구들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므로 실내에서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승마기구들은 체중이 많이 나가는 성인이나 체중이 적게 나가는 청소년에 구분하여 적응할 수 없고, 특히 신장에 따라서도 적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에너지 소비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사용자의 체중이나 신장에 적절하게 적응할 수 있는 승마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승마용 운동기구는 상자 형상의 자체 프레임과; 상기 자체 프레임의 중앙 상부에서 상향으로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안장을 지지하는 안장 받침대와; 상기 자체 프레임의 상면에 대향하여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브랏켓과; 상기 상부 지지 브랏켓에 의해 연결되는 축과; 상기 축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 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작동 프레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장 받침대의 후방 양 측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작동 로드와; 상기 자체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지지 브랏켓과; 하부 지지 브랏켓에 회동되는 연결바와; 일단은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과; "T"자 형상이고 일단은 상기 하부 지지 브랏켓에 연결되는 티바와; 일단은 상기 타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 받침대에 연결되는 승강로드와; 일단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장받침대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후로드와; 일단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서 회동하고 타단은 상기 안장받침대에서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연동로드와; 일단은 상기 안장받침대의 전방에서 회동가능하고, 상기 전후로드와 연동되게 연결되는 제1바; 일단은 상기 안장받침대의 후방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와; 일단이 상기 제1바의 하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드와; 상기 제2로드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로드와; 상단부는 상기 제2로드와 상기 제3로드의 연결부위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바와; 상기 작동프레임의 후단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요동바와; 상기 요동바의 하단부와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요동바의 승강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플라이휠과; 상기 제2플라이휠과 벨트에 의하여 연동되는 제1플라이휠과;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바와; 일단이 상기 하부 지지 브랏켓에서 회동가능하고,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회동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작동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부 면에 안착되는 메인 스프링과; 상기 자체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웜과 웜기어가 내장되어 있는 기어박스와; 상기 자체 프레임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박스의 웜을 회전시키는 핸들; 및 일단은 상기 기어박스 내부의 웜기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의 작동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전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체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프레임의 승강에 따라 상기 자체프레임의 외부에 돌출된 부분이 승강되는 지시바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장의 양측면에는 발받침대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받침대는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받침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받침바 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은 힌지에 의하여 접을 수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티바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터의 구성없이 플라이휠에 저장되는 에너지에 의하여 무동력으로 구동되므로 실내에서 모터 및 동력장치에 의한 소음이 억제하고 또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핸들을 이용하여서 사용자의 체중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신장에 적절하게 발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마용 운동기구를 후방에서 바라본 요부 사시도.
도 3은 주요 부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의 주요 부분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과 도 7은 메인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9와 도 10은 측면에서 바라본 요부 구성도.
도 11은 후방에서 바라본 요부 구성도.
도 12는 체중에 따른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는 핸들과 지시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발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승마용 운동기구를 후방에서 바라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승마용 운동기구는 상자 형상의 자체 프레임(11)이 구비되고,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중앙 상부에서 상향으로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말안장(100)을 지지하는 안장 받침대(13)가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상면에 대향하여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브랏켓(17)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상기 상부 지지 브랏켓(17)에는 축(19)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중앙 부위에는 중앙 부위에서 회동되고 일단은 상기 축(19)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 프레임(21)이 장착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일단부가 상기 작동 프레임(2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장 받침대(13)의 후방 양 측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작동 로드(23)가 장착되어 있다.(도 3, 도 5 참조)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하부에 하부 지지 브랏켓(25)이 장착되어 있는데,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 브랏켓(25)에 회동되는 연결바(55)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바(55)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27)이 안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 브랏켓(25)에는 "T"자 형상의 티바(77)가 장착되고, 상기 티바(77)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1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티바(77)는 상기 연결바(55)와 연동되어서, 상기 티바(77)가 상기 하부 지지 브랏켓(25)에서 회동하면, 상기 지지바(55)도 연동되어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27)의 탄성력은 상기 지지바(55)를 경유하여서 상기 티바(77)와 상기 승강로드(15)에 영향을 주게 된다. 상기 승강로드(15)의 일단은 상기 티바(7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 받침대(13)에 연결되어 있다.(도 5 참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손잡이(2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장받침대(13)에서 회동가능한 전후로드(51)가 장착되어 있고, 일단은 상기 손잡이(200)의 하부에서 회동하고 타단은 상기 안장받침대(13)에서 회동가능한 연동로드(52)가 장착되어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안장받침대(13)의 전방에서 회동가능하고, 상기 전후로드(51)와 연동되게 연결되는 제1바(91)가 구성되고, 또한 일단은 상기 안장받침대(13)의 후방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9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제1바(91)의 하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드(61)와, 상기 제1로드(61)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드(62)와, 상기 제2로드(62)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로드(63)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로드(62)와 상기 제3로드(63)의 연결부위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바(8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83)의 하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하부바(80)가 장착되어 있다.(도 9와 도 10 참조)
도 3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프레임(21)의 후단에서 회동되도록 요동바(7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요동바(71)의 하단부와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요동바(71)의 승강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플라이휠(90b)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플라이휠(90b)과 벨트에 의하여 연동되는 제1플라이휠(90a)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회동프레임(29)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동프레임(29)의 일단은 상기 하부 지지 브랏켓(25)에서 회동가능하고, 타단은 자유단을 유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프레임(29)의 상부면에는 메인 스프링(31)이 안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 스프링(31)은 상기 작동프레임(21)을 지지하게 된다.
도 4와 도 5에는 기어박스(35)와 핸들(3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어박스(35)는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내부 공간의 후방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웜(미도시)과 웜기어(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웜과 웜기어는 회전력을 감속는 구성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기계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37)은 상기 자체 프레임(35)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박스(35)의 웜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35) 내부의 웜기어에는 크랭크(36)가 연결되고, 상기 크랭크(36)에는 회전로드(33)에 의하여 상기 회동프레임(29)에 연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핸들(37)을 작동하여 상기 메인 스프링(31)의 하단부가 승강되게 구성이다. 상기 핸들(37)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외부에 장착되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단은 상기 회동프레임(29)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프레임(29)의 승강에 따라 상기 자체프레임(11)의 외부에 돌출된 부분이 승강되는 지시바(39)가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도 1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커버의 프레임에는 발받침대(41)가 장착되는데, 상기 발받침대(41)는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프레임(43)과, 상기 경사프레임(43)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받침바(45)로 구성되며, 복수의 상기 받침바(45) 중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바(45)는 힌지에 의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00)는 승마시에 몸의 균형을 잡고 떨어지지 않게 함은 물론 손으로 전후로 밀고 당길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200)의 모양은 옆으로 누운 "U"자형으로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00)을 파지한 상태에서 몸의 중심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밀면, 전후로드(51)의 상단이 앞으로 쏠리면서 밀리게 되고. 상기 전후로드(51)의 하단은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전후로드(51)와 인접한 부위에 장착된 상기 연동로드(52)의 일단은 손잡이(200)에서 회동하고 타단은 상기 안장받침대(13)에서 회동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로드(51)가 이동하면 상기 연동로드(52)도 이동하면서 상기 손잡이(20)가 수평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제1바(91)와 상기 제1로드(61)와, 상기 제2로드(62)와, 상기 제2로드(62)와 상기 제3로드(63)가 관절에 의하여 움직이고, 이와 같은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수직바(83)도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바(83)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하부바(80)도 회동하게 된다.(도 10 참조)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앞으로 밀면, 상기 전후로드(51)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되는 상기 제1바(91)의 하단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바(91)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수직바(83)에 의하여 상기 하부바(8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말안장(100)에 앉은 상태에서 체중을 이용하여서 상기 안장 받침대(13)를 승강시키면, 상기 작동 로드(23)에 의하여 상기 작동 프레임(21)도 중앙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승강은 상기 요동바(71)와 크랭크로 연결되는 상기 제2플라이휠(90b)을 회전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후로 무게중심을 이동하면, 상기 제2플라이휠(90b)은 360° 이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력은 관성에 의하여 계속 회전하게 되고, 만약 사용자가 상기 말안장(100)에 가만히 앉아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2플라이휠(90b)은 회전하면서 상기 말안장(100)을 승강시켜주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조절을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후면에는 핸들(37)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37)이 위치하는 옆에는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에는 상기 지시바(39)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장홀을 따라서 체중에 따른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핸들(37)을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박스(35)에 연결된 상기 회전로드(33)와 이에 연동되는 상기 회동프레임(29)이 승강되고, 승강되는 상기 회동프레임(29)에 의하여 상기 메인 스프링(31)도 승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되는 상기 회동프레임(29)에 의하여 상기 지시바(39)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을 따라서 승강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핸들(37)을 회전시켜 자기 체중에 맞는 위치에 상기 지시바(39)를 위치하면, 상기 메인스프링(31)도 승강되면서 알맞은 위치에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도 1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받침대(41)는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프레임(43)과 상기 경사프레임(43)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받침바(45)로 구성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받침바(45) 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은 힌지에 의하여 접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받침바(45)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서 용이하게 상기 안장(100)에 오르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승마용 운동기구 11: 자체 프레임
13: 안장 받침대 15: 승강로드
17: 상부 지지 브라켓 21: 작동 프레임
23: 작동 로드 27: 코일 스프링
29: 회동프레임 31: 메인 스프링
33: 회전로드 35: 기어박스
37: 핸들 39: 지시바
41: 발받침대 77: 티바
80: 하부바 83: 수직바
100: 안장 200: 손잡이

Claims (6)

  1. 상자 형상의 자체 프레임(11)과;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중앙 상부에서 상향으로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안장(100)을 지지하는 안장 받침대(13)와;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상면에 대향하여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지지 브랏켓(17)과; 상기 상부 지지 브랏켓(17)에 의해 연결되는 축(19)과; 상기 축(19)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 프레임(21)과; 일단부가 상기 작동 프레임(2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장 받침대(13)의 후방 양 측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작동 로드(23)와;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지지 브랏켓(25)과; 하부 지지 브랏켓(25)에 회동되는 연결바(55)와; 일단은 상기 연결바(55)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27)과; "T"자 형상이고 일단은 상기 하부 지지 브랏켓(25)에 연결되는 티바(77)와; 일단은 상기 티바(7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 받침대(13)에 연결되는 승강로드(15)와; 일단은 손잡이(2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안장받침대(13)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전후로드(51)와; 일단은 손잡이(200)의 하부에서 회동하고 타단은 상기 안장받침대(13)에서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연동로드(52)와; 일단은 상기 안장받침대(13)의 전방에서 회동가능하고, 상기 전후로드(51)와 연동되게 연결되는 제1바(91)와; 일단은 상기 안장받침대(13)의 후방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92)와; 일단이 상기 제1바(91)의 하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드(61)와; 상기 제1로드(61)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드(62)와; 상기 제2로드(62)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로드(63)와; 상단부는 상기 제2로드(62)와 상기 제3로드(63)의 연결부위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바(83)와; 상기 작동프레임(21)의 후단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요동바(71)와; 상기 요동바(71)의 하단부와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요동바(71)의 승강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플라이휠(90b)과; 상기 제2플라이휠(90b)과 벨트에 의하여 연동되는 제1플라이휠(90a)과; 상기 수직바(83)의 하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바(80)와; 일단이 상기 하부 지지 브랏켓(25)에서 회동가능하고,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회동프레임(29)과; 일단은 상기 작동 프레임(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프레임(29)의 상부 면에 안착되는 메인 스프링(31)과;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웜과 웜기어가 내장되어 있는 기어박스(35)와; 상기 자체 프레임(35)의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박스(35)의 웜을 회전시키는 핸들(37); 및 일단은 상기 기어박스(35) 내부의 웜기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프레임(29)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37)의 작동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전로드(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회동프레임(29)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체 프레임(11)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프레임(29)의 승강에 따라 상기 자체프레임(11)의 외부에 돌출된 부분이 승강되는 지시바(39)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100)의 양 측면에는 발받침대(41)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대(41)는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프레임(43); 및 상기 경사프레임(43)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받침바(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받침바(45) 중에서 최소한 하나 이상은 힌지에 의하여 접을 수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55)는 상기 티바(77)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KR20140083858A 2014-07-04 2014-07-04 승마용 운동기구 KR10148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858A KR101487135B1 (ko) 2014-07-04 2014-07-04 승마용 운동기구
TW104120071A TWI573615B (zh) 2014-07-04 2015-06-23 騎馬運動機
EP15174191.5A EP2962740B1 (en) 2014-07-04 2015-06-29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US14/755,645 US9597573B2 (en) 2014-07-04 2015-06-30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JP2015132767A JP6133933B2 (ja) 2014-07-04 2015-07-01 乗馬用運動器具
CN201510382272.7A CN105311808A (zh) 2014-07-04 2015-07-02 骑马训练机
RU2015126648A RU2677715C2 (ru) 2014-07-04 2015-07-03 Тренажер верховой езд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3858A KR101487135B1 (ko) 2014-07-04 2014-07-04 승마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135B1 true KR101487135B1 (ko) 2015-02-04

Family

ID=5258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3858A KR101487135B1 (ko) 2014-07-04 2014-07-04 승마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97573B2 (ko)
EP (1) EP2962740B1 (ko)
JP (1) JP6133933B2 (ko)
KR (1) KR101487135B1 (ko)
CN (1) CN105311808A (ko)
RU (1) RU2677715C2 (ko)
TW (1) TWI57361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8000A (zh) * 2017-06-10 2017-08-04 姚前 一种健身娱乐装置和方法
KR101829656B1 (ko) 2017-08-21 2018-03-29 이진동 증강된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융합공간 기반의 무동력 승마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7607B2 (ja) 2012-06-19 2017-07-05 ボルボ ラストバグナー アーベー ガス流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排気後処理システム、及び車両を推進するシステム
KR101463211B1 (ko) * 2014-02-18 2014-11-21 정필동 다 방향 왕복 운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승마 운동 장치 및 승마 운동 방법
US10960267B2 (en) * 2015-04-10 2021-03-30 Melissa Jo Montgomery Hippotherapy device
CN106110618B (zh) * 2016-08-18 2017-10-03 武汉百利恒运动用品有限公司 高仿真骑马机
CN108126346B (zh) * 2018-01-04 2019-09-10 常州工学院 一种集运动、娱乐于一体的健身器
CN216653264U (zh) * 2021-05-06 2022-06-03 阳光康健(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带划船功能的骑马机
CN113730893B (zh) * 2021-08-17 2022-04-26 浙江立诚工贸有限公司 一种骑马机健身姿态模拟系统及模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9395A1 (en) 2006-07-10 2008-01-10 Jung-Wen Tseng Horse-riding type exerciser
KR20080003736U (ko) * 2007-03-02 2008-09-05 이정연 승마 운동기구
KR200444410Y1 (ko) 2007-09-13 2009-05-12 퍼니존(주) 승마형 운동기구
KR20120091673A (ko) * 2011-02-09 2012-08-20 박창현 승마형 운동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0102A (en) * 1937-10-08 1938-06-07 Kurelic Josef Mechanical animal
US2915311A (en) * 1956-01-23 1959-12-01 Clyde N Delano Operating mechanism for amusement devices
US5809755A (en) * 1994-12-16 1998-09-22 Wright Manufacturing, Inc. Power mower with riding platform for supporting standing operator
JP2003190347A (ja) * 2001-12-26 2003-07-08 Setsuko Kobayashi 乗馬式骨盤背骨の矯正及び筋力強化トレーニングマシン
CN2551237Y (zh) * 2002-07-11 2003-05-21 郑大川 一种被动式骑马健身运动器
KR100469645B1 (ko) * 2003-04-08 2005-02-05 정승주 승마용 운동기구
GB2420724B (en) * 2004-12-06 2009-09-23 Racewood Ltd Horse simulator
TWI278333B (en) * 2006-03-03 2007-04-11 B Green Technology Co Ltd Equilibrium training exercise apparatus concurrently possessing slide and vibration and exercise method thereof
US20080171606A1 (en) * 2007-01-17 2008-07-17 Jin Chen Chuang Rodeo or riding device
CN201046327Y (zh) * 2007-03-01 2008-04-16 庄进成 骑马机
US20090005186A1 (en) * 2007-06-26 2009-01-01 Jung-Wen Tseng Horse-riding simulation device
TW200938253A (en) * 2007-08-31 2009-09-16 Panasonic Elec Works Co Ltd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JP2010119687A (ja) * 2008-11-20 2010-06-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揺動型運動装置
CN201431738Y (zh) * 2009-03-11 2010-03-31 明根股份有限公司 摆动运动平台
US7862484B1 (en) * 2009-11-03 2011-01-04 Coffey Calvin T Folding exercise rowing machine
US8852010B2 (en) * 2011-08-16 2014-10-07 Baylor University Six-degree-of-freedom cam-controlled support platform
CN202654648U (zh) * 2012-04-20 2013-01-09 深圳信隆实业股份有限公司 骑马健身器
TWM438294U (en) * 2012-04-20 2012-10-01 Hl Corp Shenzhen Co Ltd Horse-riding type fitness apparatus
TWM437731U (en) * 2012-04-30 2012-09-21 Master Maxs Health Technology Inc Horse-riding fitness equipment
KR101366149B1 (ko) * 2013-04-10 2014-02-24 정필동 승마용 운동기구
KR101421117B1 (ko) * 2013-11-14 2014-07-18 정필동 승마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9395A1 (en) 2006-07-10 2008-01-10 Jung-Wen Tseng Horse-riding type exerciser
KR20080003736U (ko) * 2007-03-02 2008-09-05 이정연 승마 운동기구
KR200444410Y1 (ko) 2007-09-13 2009-05-12 퍼니존(주) 승마형 운동기구
KR20120091673A (ko) * 2011-02-09 2012-08-20 박창현 승마형 운동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8000A (zh) * 2017-06-10 2017-08-04 姚前 一种健身娱乐装置和方法
KR101829656B1 (ko) 2017-08-21 2018-03-29 이진동 증강된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융합공간 기반의 무동력 승마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26648A3 (ko) 2018-11-23
US20160001155A1 (en) 2016-01-07
US9597573B2 (en) 2017-03-21
RU2677715C2 (ru) 2019-01-21
CN105311808A (zh) 2016-02-10
TWI573615B (zh) 2017-03-11
TW201617114A (zh) 2016-05-16
JP6133933B2 (ja) 2017-05-24
EP2962740A1 (en) 2016-01-06
JP2016016327A (ja) 2016-02-01
EP2962740B1 (en) 2017-04-26
RU2015126648A (ru)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US6964614B1 (en) Riding device
EP1475130B1 (en) Sporting apparatus for simulating horse riding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KR101952412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20070259762A1 (en) Waist and abdomen exercising fitness equipment
JP2009056182A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1345163B1 (ko) 절첩식 다목적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US20090105054A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KR200349183Y1 (ko)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US20120196726A1 (en) Adjustable exercise apparatus simulating a kayak
US5628632A (en) Pivotable torso exercise support
KR101421117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347402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136614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JP5113510B2 (ja) 揺動型運動装置
TWI595912B (zh) Riding machine structure
JP2007260186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1427046B1 (ko) 승마 운동 기구
KR20220125555A (ko) 저소음 모노리프트
KR101969283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8099742A (ja) フィットネス支援施設
KR200342440Y1 (ko) 전신운동기구
KR20150049820A (ko) 승마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