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820A - 승마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820A
KR20150049820A KR1020130130860A KR20130130860A KR20150049820A KR 20150049820 A KR20150049820 A KR 20150049820A KR 1020130130860 A KR1020130130860 A KR 1020130130860A KR 20130130860 A KR20130130860 A KR 20130130860A KR 20150049820 A KR20150049820 A KR 2015004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bearing
frame
pivotally connected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필동
Original Assignee
정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필동 filed Critical 정필동
Priority to KR102013013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820A/ko
Publication of KR2015004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A63G13/08Rocking-horses mounted on links or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jolt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제1,2구동레버(22a)(22b)로 이루어진 이송부재(20)와; 상기 프레임(1)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안장받침대(1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한 쌍의 제2연결암, 제3연결암(32)(34)이 연결되는 승강부재(30)와; 상기 프레임(1)의 중앙 하단에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동력부재(70) 및 제2동력부재(72)와 연결되는 제1크랭크(142)와 피봇 연결되는 제1연결암(144)과 연결되어 승강운동을 이루는 연동부재(40)와, 상기 연동부재(40)와 연결되어 있는 이송부재(20)의 일측에 연결캡(56)으로 연결되어 전후왕복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제1,제2구동레버(22a)(22b) 하단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제4크랭크(50) 및 제6크랭크(60)와; 상기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조절시키도록 구동하는 하중조절부재(80)와; 상기 하중조절부재(80)와 별도로 안장받침대(10)의 인장강조를 조절시키도록 구동하는 인장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승마용 운동기구{Sports tools for horse riding}
본 발명은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수직 및 전후운동의 조합으로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동일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의 구조를 간단하면서 원활한 작동으로 효과적인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승마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란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이며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인 동시에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전신운동으로, 이러한 승마는 타운동과 달리 허리를 곧게 펴고 하는 운동으로 자세교정에 도움이 되고, 또 출렁이는 말 위에 있으면 장기능 강화에도 좋으며, 특히 여성이나 학생은 변비에 도움이 되고, 남성들은 전립선 질환 등에 효과가 있으며, 폐활량 향상과 종아리나 허벅지 등 하체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승마를 하면 상체가 바르게 교정되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정신 집중력과 신체의 리듬감을 기를 수 있으며, 폐활량이 늘어나고 골반이 튼튼해지는 동시에 담력을 키울 수 있으며, 신체 각 부분의 평형감각과 유연성 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다.
이와 같이 승마는 전신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의 사람은 경제적 능력이나 장소와 시간 등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승마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유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승마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모의 승마기구들이 다수 제시되었으나, 종래에 제시된 승마기구들은 단순히 놀이의 유희기능만 제공될 뿐 실제로 말을 타고 달리는 듯한 생동감과는 거리가 멀고 운동감도 거의 얻을 수 없으며, 특히 실제로 말의 리듬과 율동에 근접한 승마동작을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6-65350호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216072호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실내에 좁은 공간에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고, 실제 달리는 말의 율동과 변화를 풍성하게 실행하여 승마감각 및 리듬으로 승마동작을 배양하고 구동의 유연함을 극대화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생동감 있는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승마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마운동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하고 양호한 작동이 구현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구동되는 변위를 용이하게 이루면서 수직 및 전후운동조절을 양호하게 이루어서 승마감각이 더욱 증대조절 가능할 수 있는 승마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중앙 상부에 배치되어 말 안장부를 지지하는 안장받침대와 상기 사용자가 탈 수 있는 말안장부가 안장받침대에 지지되어 이루어진 말 모형을 요동하기 위한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제1,2구동레버로 이루어진 이송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안장받침대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한 쌍의 제2연결암, 제3연결암이 연결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 하단에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동력부재 및 제2동력부재와 연결되는 제1크랭크와 피봇 연결되는 제1연결암과 연결되어 승강운동을 이루는 연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이송부재의 일측에 연결캡으로 연결되어 전후왕복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제1,제2구동레버 하단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제4크랭크 및 제6크랭크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안장받침대의 하중강도를 조절시키도록 구동하는 하중조절부재와; 상기 하중조절부재와 별도로 안장받침대의 인장강도를 조절시키도록 구동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재는 프레임에 베어링으로 고정되는 제2연결암에 베어링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4크랭크의 상부와 베어링으로 피봇 연결되고, 프레임에 베어링으로 고정되는 제3연결암에 베어링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6크랭크의 상부와 베어링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1,2구동레버와, 상기 제1,2구동레버에 베어링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5크랭크, 상기 제5크랭크와 베어링으로 피봇연결되는 연동부재, 상기 연동부재를 연결하며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어링으로 고정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구동레버에 얹혀지는 한 쌍의 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부재는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부가 베어링으로 이송부재와 제1연결암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승강 작동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재는 중앙이 양분되게 설치되어 있는 제4크랭크와 제6크랭크에 운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연결캡을 회동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4크랭크를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전후 왕복운동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제7크랭크와 제3연결암이 피봇 연결되고 베어링에 피봇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연결브라켓이 배치되어 상기 제4크랭크와 제6크랭크가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보조레버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조절부재는 승강부재에 연결되며 상부 설치된 보조암와 피봇 연결되어 승강부재의 완충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않고 실제 달리는 말의 율동과 감각 및 리듬에 가까운 승마동작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생동감 있는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실제로 말의 리듬과 율동에 근접한 다양한 승마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마운동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원가를 절약하고 복잡한 장치에 의한 내구성 저하 요인을 제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마기구의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마기구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이송부재와 승강부재 및 구동부재의 요부 정면도.
도 7은 이송부재를 발췌한 정면도.
도 8은 이송부재와 제4크랭크 및 제6크랭크를 보인 요부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제1동력부재 및 제2동력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10은 하중조절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승마기구 작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11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중앙 상부에 배치되어 말안장부(2)를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와, 상기 사용자가 탈 수 있는 말안장부(2)가 안장받침대(10)에 지지되어 이루어진 말모형(2a)을 요동하기 위한 이송부재(20)와, 승강부재(30) 및 연동부재(40)와, 제4크랭크(50) 및 제6크랭크(60)와, 제1동력부재(70) 및 제2동력부재(72)와, 하중조절부재(80)로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프레임(1)의 중앙 상단부에는 이송부재(20)가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제1,2구동레버(22a)(22b)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안장받침대(1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직각으로 제2연결암, 제3연결암(32)(34)이 연결되는 승강부재(30)와, 상기 승강부재(30)와 구동하고 제1연결암(144)과 이송부재(20)를 연결하는 연동부재(40)와, 상기 연동부재(40)에 의해 전후왕복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제2구동레버(22a)(22b) 하단에 간격을 두고 연결캡(56)으로 링크 연결되는 제4크랭크(50) 및 제6크랭크(60)와, 상기 프레임(1)의 중앙 하단에 연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부재(20)와 연동부재(40) 및 제2연결암(32)와 제3연결암(34)을 작동시키는 제1동력부재(70) 및 제2동력부재(72)와, 상기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하는 하중조절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용 운동기구의 본체골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은 승마용 운동기구의 작동시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제작되고, 상기 프레임(1)에는 도 1에서와 미관상 내부에 설치된 각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1a)가 구비된다.
상기 말안장부(2)는 사용자(승마운동을 하려는 사람)가 실제로 말을 타고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이러한 말안장부(2)에는 실제 말과 유사한 말모형(2a)이 형성되고, 상기 말안장부(2)의 중앙 하부에는 발받침끈(2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말안장부(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마분위기를 높이기 위해 실제 말과 유사한 말모형(2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말모형(2a) 뿐만 아니라 사자, 호랑이, 소, 코끼리 등의 다양한 동물모형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안장받침대(10)는 프레임(1)의 중앙 상부에 전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말안장부(2)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안장받침대(10)는 말안장부(2)를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말안장부(2)와 안장받침대(10)를 다수개의 볼트, 너트로 된 체결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재(20)는 프레임(1)의 중앙 상단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부재(20)는 도 1 내지 도 7 및 도 11a 내지 도 11c에서와 같이 프레임(1)에 베어링(B1)으로 고정되는 제2연결암(32)과 상기 제2연결암(32)의 타측 베어링(B2)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3연결암(34)의 상부와 베어링(B3)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1구동레버(20a)와, 상기 제2구동레버(20b)의 타측 베어링(B4)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2연동부재(40)와, 상기 제1,2구동레버(20a)(20b)에 베어링(B3)으로 연결되는 제3연결암(34)과, 상기 제3연결암(34)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베어링(B1)과 피봇 연결되는 제2연결암(32)으로 조립구성되어 진다.
상기 연동부재(40)는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안장받침대(10)와 베어링(B4)으로 연결되고, 하단은 제1연결암(144)와 베어링(B5)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구성된다.
상기 제1,2구동레버(22a)(22b)는 2개가 한 조로 이루어지며, 상단의 양측에 한 쌍의 베이스(24a)(24b)가 제3연결암(34)과 연동부재(40)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송부재(2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 내에서 안장받침대(10)의 상,하 전,후 운동을 하는데 구동모터(73)에 의하여 구동캠(77)에 회전조립된 감축캠(78)이 회전하면 편심캠(79)의 작용으로 직각형상인 제1크랭크(142)의 크랭크축이 좌,우로 움직이고 편심캠(79)에 편심조립설치된 크래크(142)가 움직임과 동시에 제1연결암(144)이 좌,우로 움직이며 동시에 베어링(B5)으로 연결되는 연동부재(40)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연동부재(40)는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부가 베어링(B4)에서 고정된 이송부재(20)와 하부는 제1크랭크(142)에 의해서 전,후 운동하는 제2크랭크(144)을 베어링(B5)으로 연결하여 동일한 동작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송부재(20)의 전방은 연동부재(40)의 이동량에 따라 동일한 동작으로 상,하,좌,우(전,후)운동을 이루게 된다.
이때, 연동부재(40)의 상단에 위치한 베어링(B4)과 연결되는 이송부재(20)는 연결부재(40)와 베어링(B5)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암(144)의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과 함께 수직 크랭크운동을 이루게 되어 상기 이송부재(20)는 상하방향으로 후 왕복을 실행하는 것이다.
즉, 제1크랭크(142)의 편심운동으로 이송부재(20)의 앞부분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뒷부분은 내려가면서 뒤로 이동된다.
따라서, 감축캠(78)이 회전하면 편심캠(79)의 편심 위치에 의한 작용으로 제7크랭크(62)의 크랭크축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7크랭크(62)는 승강부재(30)를 베어링(B6)과 브라켓(341)으로 연결하여 감축캠(78)의 회동으로 링크동작에 따라 승강부재(30)의 상,하 동작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크랭크(142)의 축이 좌측으로 움직일 때 승강부재(30)는 상하운동을 이룸과 동시에 베어링(B6)으로 연결되어 있는 브라켓(341)의 움직임에 의하여 승강부재(30)도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구동레버(22a)와 제2구동레버(22b)와 제4크랭크(50) 및 제6크랭크(60)와 제2연결암(32) 및 제3연결암(34)은 각각 베어링(B1)(B2)(B3)(B4)(B7)(B8)(B9)으로 피봇 연결되어 회전 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상하운동도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재(30)는 도 3 및 도 7와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프레임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암(32)에 수직 상으로 연결되는 제3연결암(34)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승강부재(30)와는 별개로 2개가 1조로 이루어지는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의 양단은 베어링(B7)(B8)(B9)로 연결하되, 좌측에 위치한 베어링(B9)는 프레임(1)과 피봇 연결되어 있는 지지크랭크(64)와 연결되고, 우측의 베어링(B7)은 연결캡(56)에 피봇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승강부재(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와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암(144)와 제2동력부재(72)을 연결한 제1크랭크(142)를 하강시키면(아래로 이동) 상기 제1연결암(144)와 제7크랭크(72)를 동시에 회동하는 제1크랭크(142)를 각각의 베어링(B5)(B9)(B10)으로 피봇연결되어 있는 연동부재(40)와 제6크랭크(62)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구동레버(22a) 와 제2구동레버(22b)가 연결되어 말안장부(2)를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는 후방을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상기 편심캠(79)의 동작에 따라 제1연결암(144)과 연동하는 연동부재(40)와 제3연결암(34)은 연동하여 상부로 상승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1,2구동레버(22a)(22b)와 연결되어 말안장부(2)를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의 전방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부재(40) 및 제6크랭크(60)를 상하로 왕복운동시키면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승강부재(30)에 의해 말안장부(2)를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40)는 2개가 1조로 되어 있는 제4크랭크(50) 및 제6크랭크(60)를 연동시키는 연결캡(56)이 이송부재(20)와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부재(20)의 운동과 함게 하부에서 운동력을 제4크랭크(50)로 전달하게되고, 이송부재(20)의 일측 승강운동에 따라 동시에 승강운동을 이루면서 상기 제4크랭크(50)에 운동력을 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동부재(40)의 하부는 직각형태(예를 들면:L형)로된 제1연결암(144)과 회동이 자유롭게 베어링(B5)으로 피봇 연결되어 있고, 상부는 이송부재(20)와 회동이 자유롭게 베어링(B4)로 피봇 연결되어 동작하고 있다.
한편, 상기 연동부재(40)는 제1동력부재(70)와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는 제2동력부재(72)의 구동운동에 의하여 제1크랭크(142)가 편심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이루면서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연결암(144)을 구동하므로 제1연결암(144)과 베어링(B5)으로 피봇 연결되어 있는 연동부재(40)가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2개가 1조로 되어 있는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의 중앙을 연결하고 있는 베어링(B8)에 피봇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연결레버(146)는 상기 제1크랭크(142)의 수평면과 링크 연결되고 있어서 회동 가능함과 동시에 승강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30)는 제1크랭크(142)와, 피봇 연결되어 있는 제7크랭크(62)및 제3연결암(34)과 피봇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B1)에 피봇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브라켓(34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가 연결브라켓(36)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베어링(B12)(B13)으로 피봇연결되어 있는 보조레버(9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동력부재(70)와 제2동력(72)는 제1크랭크(142)와 제1연결암(144)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제1동력부재(70)와 제2동력주재(72)는 도 2, 도 3 및 도 5, 도 7 및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를 생략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모터(73)와, 벨트(75a) 및 제1풀리(76a)로 구동하는 구동캠(77), 상기 구동캠(77)과 벨트(75b)와 제2풀리(76b)로 구동하는 감속캠(7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감속캠(78)에 연결되는 제1크랭크(142)와, 연동부재(40)를 연결하는 제1연결암(144)이 연결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제1연결암(144)의 하단은 양단을 베어링(B11)으로 고정하고 있는 고정축(S2)에 결합하고 있으며, 전방에는 연동부재(40)의 하단과 베어링(B5)와 피봇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것이다.
상기 연동부재(40)의 하단은 베어링(B5)으로 제1연결암(14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암(144)의 직각본ㅍ이로 상기 제1크랭크(142)의 일측과 베어링(B9)으로 피봇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73)는 도시를 생략한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으로 구동을 이루는 것으로, 프레임(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동력 부재(70)가 제2동력 부재(72)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 도 5와 도 9 및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를 생략한 컨트롤러로 구동모터(73)를 구동시키면 제1풀리(76a) 및 벨트(75a)에 의하여 구동캠(77)이 구동하고, 구동캠(77)의 구동력은 제2풀리(76b)와 벨트(75b)에 의하여 전달되어 감속캠(78)이 구동됨과 동시에 제1크랭크(142)를 왕복 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연동하여 제1크랭크(142)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암(144)의 운동으로 동시에 연동부재(40)가 구동되며, 제1연결암(144)은 베어링(B11)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축(S2)을 축을 중심으로 좌,우운동을 수행하면서 연동부재(40)을 상하로 밀고 당기기 때문에 연동부재(40)와 베어링(B4)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송부재(20)는 상,하,좌,우 방향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크랭크(142)와 피봇연결되어 있는 승강부재(30)가 상,하,좌,우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3연결암(34)이 상,하로 운동을 하면 안장받침대(10)는 전체가 상,하,좌,우 운동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제1크랭크(142)에 링크연결되어 있는 연결레버(146)가 제1크랭크(142)의 수평운동에 연동하여 수직왕복 운동하게 되며, 상기 연결레버(146)와 베어링(B8)으로 좌,우측에 피봇 연결되어 있는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은 좌,우로 밀고 당기는 동작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제4크랭크(50)와 베어링(B7)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캡(56)에 의해 이송부재(20)는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이룸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크랭크(142)의 운동에 의해 연동부재(40)는 제1연결암(144)에 연결된 상태로 구동모터(73)로부터 구동캠(77)에 전달하는 회전력은 감속캠(78)에 의해 감속 회전력으로 전달되며 감축캠(78)이 360°회전할 때 편심캠(79)에 연결되어 있는 제1크랭크(142)에서 제1연결암(144)으로 회전력이 전달됨에 의하여 연동부재(40)가 링크운동으로 상,하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2크랭크(144)는 감축된 호형 운동상태임과 동시에 구동모터(73)에서 구동캠(77)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감속캠(78)으로 전달되는 동력이 제1크랭크(142)로 이어지고 다음으로 제1연결암(144)의 행정거리가 감축되게 구동하기 때문에 말의 율동과 말의 리듬 및 말의 감각과 가까운 승마동작을 연출할 수 있는 부드러운 구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암(144)의 좌,우방향으로 진행되는 왕복 운동에 의해 연동부재(40)가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며, 연동부재(40)를 베어링(B4)(B5)으로 연결하고 있는 안장받침대(10)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됨과 동시에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가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제2동력 부재(70)(72)의 구동은, 초기에 구동모터(73)가 회전하면 제1풀리(76a)에 벨트(75a)로 연결되는 구동캠(77)이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구동캠(77)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풀리(76b)와 벨트(75b)로 연결된 감속캠(78)으로 전달되어 편심연결되어 있는 제1크랭크(142)로 전달되므로 링크 연결된 제1연결암(144)의 구동이 가능하고, 이어서 연동부재(40)가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1크랭크(142)와 링크 연결되어 있는 제7크랭크(62)가 링크 작동되며 승강부재(30)에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승강부재(30)를 형성하는 제2연결암(32)가 상,하,좌,우 방형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함(32)과 연결하고 있는 하중조절부재(80)는 수직방향으로 압축과 신장을 이루게 되고, 또한 연결레버(48)로 연결되어 있는 브라켓트(92)에 수직방향으로 인장력을 갖춘 인장스프링(90)은 신축동작을 이루게 되므로 운동작동시 전체적인 바란스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30)의 제2연결암(32)은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B1)과 피봇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4크랭크(50)을 피봇 연결하고 있는 베어링(B7)에는 연결캡(56)이 연결되어 있어서, 승강부재(30)에 베어링(B2)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암(34)과 함께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되고, 중앙에서 완충력을 갖춘 상기 하중조절레버(8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완충력을 감쇠하여 양호한 완충작용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중조절부재(80)와 별도로 장착되어 있는 인장스프링(90)이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트(92)와 상기 고정축(S2)과 회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94)와 인장스프링(90)이 연결되고 있어서, 보조암(82)의 구동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운동하는 연결레버(48)와 또 다른 연결레버(146)와 연결된 보조레버(96)의 동작에 따라 인장과 신축작용을 이루고 있으며, 제2연결암(32)의 완충작동이 유지되므로 제2연결암(32)의 상하운동은 양호한 상태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레버(48)와 피봇 연결되어 있는 보조암(82)은 상기 하중조절부재(80)와 회동이 가능하게 피봇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크랭크(142)와 연결되는 보조레버(96)은 각각의 베어링(B12)(B13)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회동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제1크랭크(142)에 의해 회동동작이 연동부재(40)의 운동력과 승강부재(30)의 운동력이 작용하여서 이송부재(20)와 연결되는 연결캡(56)이 작동하고 제4크랭크(50) 및 제6크랭크(60)도 동시에 운동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중조절부재(80)와 인장스프링(90)에 의하여 완충과 이완조정이 이루어지므로 안장받침대(10)가 항상된 승강 및 좌,우 요동운동량이 적절하게 조정되므로 사용자가 말안장부(2)에서 변형되는 승마운동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중조절부재(80)는 상기 승강부재(30)의 운동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중조절부재(80)는 도 7 와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0)의 하부에 수직 상으로 설치되고 보조암(82)이 회동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보조암(82)의 하단은 압축스프링(84)이 상하에 배치된 캡(86a)(86b)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하중조절부재(80)는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말안장부(2)을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 승강부재(30) 및 모든 부품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하중조절부재(80)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중조절부재(80)는 상기 제4크랭크(40), 제6크랭크(60)의 운동을 완화시켜 승강부재(30)에 부드럽게 전달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강부재(30)가 하부로 이동되면 보조암(82)에 의하여 상,하부의 캡(86a)(86b) 내의 압축스프링(84)은 압축이 이루어지고 압축스프링(84)의 인장력에 의하여 복귀력을 갖으면서 보조암(82)이 상부로 이동되므로 승강부재(30)의 상하운동을 완충하게 되므로 승강부재(30)와 연결되고 이쓴 이송부재(20)는 완충작용으로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재(20)는 상,하 및 좌,우로 왕복운동하고 승강부재(30)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이루면 보조암(82)과 연결되어 있는 압축스프링(84)은 압축과 이완을 병행하면서 완충작용으로 힘의 분산을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승강부재(30)와 제4크랭크(50) 및 제6크랭크(60)을 통해 발생되는 완충력을 압축스프링(84)에서 흡수 또는 발산하게 되므로 승강작동은 양호하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가 전 후 운동을 이룰 때 브라켓트(92)와 연결되어 있는 인장스프링(90)은 이완 및 신축작동을 흡수 또는 발산하게 되믈 상하작동은 양호하면서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1)의 외관을 은폐하고 상하단으로 이루어진 커버(1a)의 상단부 전,우,좌.우측에 삽입공(160(162)(164)(166)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60(162)(164)(166)에는 연결바(150)(152)(154)(156)의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베어링(B15)(B17)(B18)(B19)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연결바(150)의 하단은 상기 감축캠(78)의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베어링(B16)과 연결되어 링크운동이 가능하게 피봇 연결하며 다른 연결바(152)(154)(156)의 하단은 프레임(1)에 회동이 자유롭게 피봇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승마용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도 1, 도 2, 도 3, 도 5 및 도 11a 내지 도 11b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마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사용자(승마운동을 하려는 사람)가 안장받침대(10)의 말안장부(2)에 올라타 승마준비를 한 상태에서 컨트롤러로 제1동력부재(70)의 구동모터(73)를 구동시키면 구동모터(73)는 구동을 이루고, 구동모터(73)가 회전하면 제1풀리(76a)에 벨트(75a)로 연결되는 구동캠(77)이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구동캠(77)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풀리(76b)와 벨트(75b)로 연결된 감속캠(78)으로 전달되어 편심연결되어 있는 제1크랭크(142)로 전달되므로 링크 연결된 제1연결암(144)의 구동이 가능하고, 이어서 연동부재(40)가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1크랭크(142)와 링크 연결되어 있는 제7크랭크(62)가 링크 작동되며 승강부재(30)에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승강부재(30)를 형성하는 제2연결암(32)가 상,하,좌,우 방형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함(32)과 연결하고 있는 하중조절부재(80)는 수직방향으로 압축과 신장을 이루게 되고, 또한 연결레버(48)로 연결되어 있는 브라켓트(92)에 수직방향으로 인장력을 갖춘 인장스프링(90)은 신축동작을 이루게 되므로 운동작동시 전체적인 바란스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30)의 제2연결암(32)은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B1)과 피봇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4크랭크(50)을 피봇 연결하고 있는 베어링(B7)에는 연결캡(56)이 연결되어 있어서, 승강부재(30)에 베어링(B2)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연결암(34)과 함께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되고, 중앙에서 완충력을 갖춘 상기 하중조절레버(8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완충력을 감쇠하여 양호한 완충작용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중조절부재(80)와 별도로 장착되어 있는 인장스프링(90)이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트(92)와 상기 고정축(S2)과 회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94)와 인장스프링(90)이 연결되고 있어서, 보조암(82)의 구동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운동하는 연결레버(48)와 또 다른 연결레버(146)와 연결된 보조레버(96)의 동작에 따라 인장과 신축작용을 이루고 있으며, 제2연결암(32)의 완충작동이 유지되므로 제2연결암(32)의 상하운동은 양호한 상태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크랭크(142)와 피봇 연결되어 있는 제7크랭크(62)의 구동으로 승강부재(30)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제3연결암(34)이 구동하므로 베어링(B3)로 연결되어 있는 이송부재(20)는 구동된다. 도한 연결캡(56)에 의하여 베어링(B7)로 연결된 제4크랭크(50)가 베어링(B8)로 연결된 제6크랭크(60)가 구동하므로 제1,2구동레버(22a)(22b)는 전,후,상,하로 왕복 및 승강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크랭크(50)와 제6크행크(60)의 중앙에 베어링(B8)과 피봇연결되고, 상기 제1크랭크(142)와 링크연결되어 상하방향에서 왕복운동하고 있는 연결레버(146)에 의하여 이송부재(20)의 좌,우 운동을 안정되고 양호하게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버(146)를 연결하고 하주조절부재(80)와 연결레버(48)로 연결되어 있는 브라켓트(92)과 상기 연결부재(94)를 인장스프링(90)으로 연결하고 있어서 연결부재(4)의 이동하는 위치에 맞게 인장스프링(90)은 압축과 신장을 반속하게 되므로 인장력에 따른 텐션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레버(48)가 연결되어 있는 하중조절부재(80)는 안장받침대(10)의 압축하중이 제3연결암(34)을 통하여 승강부재(30)에 전달되고 상기 승강부재(30)와 연결되어 있는 하중조절부재(80)로 전달되므로 압축하중을 수용함과 동시에 팽창하여서 상하 진동을 흡수하여 양호한 완충작동을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성요소들의 상호 간의 작동에 의해 안장받침대(10)는 연동하여 동시에 좌,우로 왕복운동과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이루어서 승강운동과 완충하는 틸팅 등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우로 왕복운동과 상,하방향의 승강 운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상기 구동모우터(7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캠(77)의 회전력이 벨트(75b로 연결된 제1연결암(144)과 제7크랭크(62)가 운동되고, 상기 제1연결암 베어링(B5)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동부재(40)의 하강상태 위치에 의하여 안장받침대(10)는 좌측이 아래로 내려와 기울어진 도 11a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재(30)는 상기 제3연결암(34)이 연결되어 있고 하중조절부재(80)를 연결하여 보조암(82)를 연동시키도록 연결하여 승강운동을 이룸으로써 말안장부(2)를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가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 및 전후로 부드럽게 왕복운동을 이루게 된다.
이어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동동작을 실행하게 되는데, 제7크랭크(62)의 상승과 함께 승강부재(30)가 기운상태로 승강되고, 이어서 제1연결암(144)의 구동에 의해 연동부재(40)가 상승함에 따라 수평상태의 안장받침대(10)가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크랭크(62)의 하강과 연동부재(40)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안장받침대(10)는 좌측은 상승되고 우측은 하강된 상태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시이소오 작용과 같이 연속적으로 안장받침대(10)과 오르고 내리는 동작은 물론 전,후 왕복동작을 연속적으로 연출하게 되므로 승마동작의 전,후로 왕복운동과 상하로 승강운동 및 틸팅운동으로 승마리듬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안장받침대(10)에 고정된 말안장부(2)는 전후 및 상하로 부드럽게 마치 파도치는 모양과 같이 왕복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말안장부(2)에 올라탄 사용자는 실제 달리는 말의 율동과 감각 및 리듬에 가까운 승마동작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이 생동감 있는 승마스포츠를 즐기면서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말안장부(2)의 다양한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을 완충하게 위한 하중조절부재(80)인 것으로, 상기 하중조절부재(80)는 승강부재(30)의 운동을 완화시켜 제3연결암(34)에 부드럽게 전달하여 말안장부(2)의 동작으로 발생 된 하중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송부재(20)가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의 좌우로 왕복운동으로 전후운동됨과 동시에 승강부재(30)의 상하운동으로 하중조절부재(80)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이루면 압축스프링(84)은 압축과 이완을 병행하면서 완충작용으로 힘의 분산을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송부재(20)와 승강부재(30)을 통해 발생되는 완충력을 압축스프링(84) 및 인장스프링(90)에서 흡수 또는 발산하게 되므로 승강 작동은 양호하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도 11a 내지 도 11c,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외관을 은폐하고 상하단으로 이루어진 커버(1a)의 상단부 전,우,좌.우측에 삽입공(160(162)(164)(166)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공(160(162)(164)(166)에 끼워지는 베어링(B15)(B17)(B18)(B19)이 각각의 연결바(150)(152)(154)(156)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결바(150)의 하단은 상기 감축캠(78)의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베어링(B16)과 연결되어 링크운동이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152)(154)(156)의 하단은 프레임(1)에 회동이 자유롭게 피봇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a에서와 같이 감축캠(78)의 회전운동과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되는 베어링(B16)에 의하여 연결바(15)가 이동되어 베어링(B15)을 우측으로 밀어주면 베어링(B15)가 삽입되어 있는 커버(1a)가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커버(1a)의 모서리영역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B17)(B18)(B19)과 연결바(152)(154)(156)의 운동에 따라 전체가 동시에 같은 각도로 기울어짐에 의하여 커버(1a)는 우측이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계속해서 감축캠(78)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베어링(B16)에 연결된 연결바(150)으로 이동운동에 의하여 베어링(B17)(B18)(B19)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바(152)(154)(156)가 이동되어 전체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도 11b와 같은 상태가 되어 커버(1a)는 정위치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감축캠(78)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베어링(B16)에 연결된 연결바(150)으로 이동운동에 의하여 베어링(B17)(B18)(B19)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바(152)(154)(156)가 이동되어 전체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도 11c와 같은 상태가 되어 커버(1a)는 좌측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말안장부(2)의 이동과 함께 커버(1a)도 동시에 동일좌표로 이동되어 일체적인 운동을 이루게 되고 도 12에서와 같이 커버((1a)의 전장길이(L)로 부터 이동범위(L1)이 성립되므로 전체적인 운동범위가 협소한 장소에서도 양호하게 동작되어 안전하고 경제적인 승마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말의 율동과 말의 리듬 및 말의 감각에 가깝게 말안장부(2)를 다양한 동작으로 전후 및 상하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제로 말을 타고 승마하는 듯한 유희감과 생동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고가의 말을 이용하지 않고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일반 가정이나 기타 헬스장 등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생동감 있는 승마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동시에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종래 헬스운동과 같이 육체적으로 힘을 들여서 하는 것이 아니고, 말안장부(2)에 올라타고 앉아 떨어지지 않도록 중심만 잡으면 자연스럽게 승마운동을 할 수 있고 또한 실제로 말을 타고 승마를 하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전신운동 및 신체단련과 유연성을 길러주는 운동을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재미있고 부담없이 즐기면서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프레임 1a; 커버
2; 말안장부 2a; 말모형
10; 안장받침대 20; 이송부재
22a,22b; 제1,2구동레버 24a,24b; 베이스
30; 승강부재 32; 제2연결암
34; 제3연결암 36; 연결브라켓
40; 연동부재 48; 연결레버
50; 제4크랭크 56; 연결캡
60; 제6크랭크 62; 제7크랭크
64; 지지크랭크 70; 제1동력부재
72; 제2동력부재 73; 구동모터
77; 구동캠 78; 감축캠
79; 편심캠 80; 하중조절부재
90; 인장스프링 142; 제1크랭크
144; 제1연결암 146; 연결레버
B1~B13; 베어링

Claims (7)

  1. 프레임(1)의 중앙 상부에 배치되어 말안장부(2)를 지지하는 안장받침대(10)와 상기 사용자가 탈 수 있는 말안장부(2)가 안장받침대(10)에 지지되어 이루어진 말모형(2a)을 요동하기 위한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안장받침대(10)를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제1,2구동레버(22a)(22b)로 이루어진 이송부재(20)와;
    상기 프레임(1)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안장받침대(10)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한 쌍의 제2연결암, 제3연결암(32)(34)이 연결되는 승강부재(30)와;
    상기 프레임(1)의 중앙 하단에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동력부재(70) 및 제2동력부재(72)와 연결되는 제1크랭크(142)와 피봇 연결되는 제1연결암(144)과 연결되어 승강운동을 이루는 연동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40)와 연결되어 있는 이송부재(20)의 일측에 연결캡(56)으로 연결되어 전후왕복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제1,제2구동레버(22a)(22b) 하단에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는 제4크랭크(50) 및 제6크랭크(60)와;
    상기 승강부재(30)에 연결되어 안장받침대(10)의 하중강도를 조절시키도록 구동하는 하중조절부재(80); 및
    상기 하중조절부재(80)와 별도로 안장받침대(10)의 인장강도를 조절시키도록 구동하는 인장스프링(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20)는 프레임(1)에 베어링(B1)으로 고정되는 제2연결암(32)에 베어링(B2)으로 피봇연결되는 제4크랭크(50)의 상부와 베어링(B3)으로 피봇 연결되고, 프레임(1)에 베어링(B6)으로 고정되는 제3연결암(34)에 베어링(B5)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6크랭크(60)의 상부와 베어링(B4)으로 피봇 연결되는 제1,2구동레버(20a)(20b)와, 상기 제1,2구동레버(20a)(20b)에 베어링(B9)로 피봇 연결되는 제5크랭크(52), 상기 제5크랭크(52)와 베어링(B8)으로 피봇 연결되는 연동부재(40), 상기 연동부재(40)를 연결하며 프레임(1)에 고정되는 베어링(B6)으로 고정되는 고정축(2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구동레버(20a)(20b))에 얹혀지는 한 쌍의 베이스(22a)(22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40)는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부가 베어링(B4)(B5)으로 이송부재(20)와 제1연결암(144)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승강 작동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20)는 중앙이 양분되게 설치되어 있는 제4크랭크(50)와 제6크랭크(60)에 운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연결캡(56)을 회동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4크랭크(50)를 베어링(B7)으로 연결되어 전후 왕복운동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0)는 제7크랭크(62)와 제3연결암(34)이 피봇연결되고 베어링(B1)에 피봇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연결브라켓(36)이 배치되어 상기 제4크랭크(40)와 제6크랭크(60)가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보조레버(96)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하중조절부재(80)는 승강부재(30)에 연결되며 상부 설치된 보조암(82)와 피봇 연결되어 승강부재(30)의 완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외관을 은폐하고 상하단으로 이루어진 커버(1a)의 상단부 전,우,좌.우측에 삽입공(160(162)(164)(166)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60(162)(164)(166)에는 연결바(150)(152)(154)(156)의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베어링(B15)(B17)(B18)(B19)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연결바(150)의 하단은 상기 감축캠(78)의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베어링(B16)과 연결되어 링크운동이 가능하게 피봇 연결하며 다른 연결바(152)(154)(156)의 하단은 프레임(1)에 회동이 자유롭게 피봇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기구.
KR1020130130860A 2013-10-31 2013-10-31 승마용 운동기구 KR20150049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860A KR20150049820A (ko) 2013-10-31 2013-10-31 승마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860A KR20150049820A (ko) 2013-10-31 2013-10-31 승마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820A true KR20150049820A (ko) 2015-05-08

Family

ID=5338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860A KR20150049820A (ko) 2013-10-31 2013-10-31 승마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8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52B1 (ko) * 2015-09-04 2016-01-27 피제이비 주식회사 박동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52B1 (ko) * 2015-09-04 2016-01-27 피제이비 주식회사 박동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64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JPWO2009122479A1 (ja) 運動装置
KR200416551Y1 (ko) 승마운동기구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36614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CN206508500U (zh) 骑马机结构
KR20150049820A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46320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0853809B1 (ko) 등자와 같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승마형 운동기구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102344840B1 (ko) 승마형 허벅지 운동 기구
KR200354045Y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200444410Y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421117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1161608B1 (ko) 승마 시뮬레이터
KR101260268B1 (ko) 승마 운동 기구
KR101225914B1 (ko) 승마 운동기구의 도약장치
KR101427046B1 (ko) 승마 운동 기구
KR20120091673A (ko) 승마형 운동 기구
CN205083944U (zh) 一种锻炼健身机
KR102628171B1 (ko) 승마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