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183Y1 -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183Y1
KR200349183Y1 KR20-2003-0036607U KR20030036607U KR200349183Y1 KR 200349183 Y1 KR200349183 Y1 KR 200349183Y1 KR 20030036607 U KR20030036607 U KR 20030036607U KR 200349183 Y1 KR200349183 Y1 KR 200349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d
link
upper body
shoulder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20-2003-0036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문 헬스클럽을 이용하지 않고도 생활주변에서 상체와 어깨근육, 어깨관절의 유연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는 바닥에 배치,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방을 향해 소정높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 양단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측이 장착되며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하향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이 상단에 힌지결합된 캠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와, 상기 캠의 하단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하측으로 배치된 수직봉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된 제 1단부와, 상기 제 1단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직봉의 하단이 중간에 힌지결합된 수평링크와, 상기 수평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상측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착좌부가 마련된 제 2단부로 이루어진 링크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문헬스클럽을 이용하지 않고도 아파트단지 또는 체육공원등 우리의 생활주변에서 상체와 어깨근육, 어깨관절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MOTION STRUCTURE FOR UPPER BODY AND SHOULDER BRAWN STRENTHENING}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문헬스클럽을 이용하지 않고도 아파트 또는 체육공원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변환경과도 잘 어울리는 조경시설의 역할을 겸비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헬스클럽에 설치되는 운동기구(10)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프레임본체(11)의 일측 전방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착좌부(12)가 마련되며, 후방에는 다수의 무게추(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무게추(13)는 지지봉(13a)에 연결되며, 이 지지봉(13a)의 상단은 로우프 (14)와 연결되어 있다.
로우프(14)는 프레임본체(11) 상단에 배치된 롤러(15)를 타고, 전방하단에 수평으로 배치된 핸들(16)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봉(13a)에 무게추(13)를 소망하는 수량만큼 결합하고, 핸들(16)을 하측으로 잡아 당기며 상체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는 실내의 헬스클럽에 국한되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초보자의 경우 다수개 마련된 무게추를 얼마만큼의 중량으로 하여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전문강사의 도움 없이는 운동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실, 내외 등의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생활주변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널리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남녀노소, 초보자 등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체육시설을 공급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동기구로서뿐 아니라 생활주변의 환경과도 어울리는 야외조경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의 몸무게를 이용하는 근력운동기구로서 상체또는 어깨근력을 강화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체근력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 2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을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운동기구 100;본체
110;베이스 130;수직프레임
150;수평프레임 200;구동장치
210;핸들 230;연결링크
250;캠 300;수직봉
400;링크장치 410;제 1단부
430;수평링크 450;제 2단부
451;착좌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리므로서 상체 또는 어깨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동기구는 바닥에 배치,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방을 향해 소정높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양단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측이 장착되며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하향하는 핸들과,상기 핸들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이 상단에 힌지결합된 캠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와;
상기 캠의 하단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하측으로 배치된 수직봉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된 제 1단부와, 상기 제 1단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직봉의 하단이 중간에 힌지결합된 수평링크와, 상기 수평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상측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착좌부가 마련된 제 2단부로 이루어진 링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링크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2열이 설치된다.
또한, 구동장치와 수직봉, 링크장치의 각 힌지결합부에는 원활한 힌지회동을 위해 베어링이 더 마련된다.
또한, 구동장치와 수직봉, 링크장치는 본체 양측에 대칭형으로 설치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육을 강화하는 체어웨이트 운동기구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 2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을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10)(이하, "운동기구"라 칭한다.)는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된 구동장치 (200)와 이 구동장치(200) 내부에 배치된 캠(250)과 상단이 힌지결합된 수직봉 (300)과, 이 수직봉(300) 하단과 힌지결합되며 일측이 본체(100)의 하측에 장착된링크장치(400)로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베이스(110)와, 이 베이스(110)의 상측에 하단이 장착된 수직프레임(130)이 양측에 배치되고, 이 수직프레임(130)의 양 상단에 수평프레임(150)이 수평으로 결합된다.
베이스(110)는 베이스 판(111)과 덮개(113)로 이루어지는데, 베이스 판(111)은 두꺼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각 모서리부에는 볼트홀(111a)이 다수 형성되는데, 이 볼트홀(111a)은 실외에 설치할 경우, 바닥과 고정할 수 있도록 공지의 앵커볼트(Anchor Bolt;미도시)를 끼우기 위한 것으로, 설치되는 현장여건에 따라 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베이스 판(111)의 상측면에 후술할 수직프레임(130) 하단이 장착되며, 상측에는 덮개(113)가 마련되는데, 덮개(113)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0)의 외형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판(111)의 상기 실시예는 실외용으로 사용할 경우를 예를 든 것으로, 앵커볼트를 시공할 수 없는 실내에서는 베이스 판(111)의 두께를 키우면 된다.
수직프레임(130)은 상기한 베이스 판(111)의 상면에 하단이 장착되며 양 상단에는 수평프레임(150)이 배치되는데, 이 수직, 수평프레임(150)이 결합되는 부위에도 엘보우(151)를 설치하면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직프레임(130)의 상, 하측에는 상, 하 고정판(131)(133)이 배치되어 후술하는 구동장치(200)와 링크장치(40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상, 하 고정판(131)(133)에 구동장치(200)와 링크장치(400)가 볼트결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용접결합해도 무방하다.
상기한 상 고정판(131)에 구동장치(200)가 장착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200)는 상 고정판(131)의 일면에 케이스(201)의 일측이 장착되고,이 케이스(201) 타측의 핸들 힌지결합부(201a)에는 하향하는 핸들(210)의 상단이 힌지결합되며, 케이스(201)와 힌지결합된 핸들 (210)의 바로 하측에는 연결링크(23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핸들(210)의 하측방은 소정 넓이로 벌어져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케이스(201)의 내부에는 캠(250)이 배치되는데, 이 캠(250)은 하부 타측에 배치된 고정부(251)을 중심점으로 하여 힌지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형성된 제 1힌지결합부(253)와 상기한 연결링크(230)의 타단이 힌지결합되며, 하부 일측에 제 2힌지결합부(255)에 후술하는 수직봉(300)의 상단이 힌지결합되는데, 이 수직봉(300)의 하단은 후술하는 링크장치(400)의 상단과 힌지결합된다.
캠(250)의 힌지점이 되는 고정부(251)와 제 1힌지결합부(253)간의 거리(L1)와 제 2힌지결합부(255)간의 거리(L2)는 비례한다. 다시 말해서 고정부(251)와 제 1힌지결합부(253)의 거리(L1)를 제 2힌지결합부(255)의 거리(L2) 보다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들어 올릴 수 있는 무게를 자신의 체중보다 가볍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200)의 하측에 링크장치(400)가 배치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링크장치(400)는 상술한 하 고정판(133)의 일면에 제 1단부(410)의 타측이 장착되고, 이 제 1단부(410)의 일측에는 힌지브라켓(411)이 배치되어 있다.
힌지브라켓(411)에는 수평링크(43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이 수평링크 (4 30)의 중간부위에 상기한 수직봉(300)의 하단이 힌지결합된다.
또한, 수평링크(430)의 타단에 제 2단부(450)가 힌지결합되는데, 이 제 2단부(45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착좌부(451)가 마련되는데, 이 착좌부(451)의 하단에 "ㄴ"자로 절곡된 지지봉(451a)이 마련되고, 이 지지봉(451a) 상단에 등받이(451b)가 배치되어 있다.
이 링크장치(400)의 수평링크(430)는 상, 하 2열로 배치하여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착좌부(451)의 안정감을 더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0)의 작용과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1)는 착좌부(451)에 앉아 핸들(210)의 하단을 양손으로 잡고, 전방을 향해 손을 쭉 뻗으면, 핸들(210)은 케이스(201) 타단에 마련된 핸들 힌지결합부(201a)를 기준점으로 힌지회동하게 되고, 이 핸들 (210)의 상부에 배치된 연결링크(23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링크(230)의 타단과 힌지결합된 캠(250)은 하단에 마련된 고정부(251)를 힌지점으로 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 회동하며 제 2힌지결합부(255)에 힌지결합된 수직봉(300)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봉(300)의 상측 이동에 의해 이 수직봉(300)의 하단과 힌지결합된 수평링크(430)는 제 1단부(410)를 힌지점으로 하여 사용자가 앉아 있는 착좌부(451)가 마련된 제 2단부(450)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대략 10~15회 정도 반복하면, 충분한 상체운동효과가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이 실린 의자인 착좌부(451)를 무게추 삼아 상체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운동기구와 같이 별도로 무게추를 가감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상술한 각 힌지결합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어링(Bearing)을 배치하면 힌지회동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10)의 구동장치(200)와 수직봉(300), 링크장치(400)가 본체(100)의 일측에만 배치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그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얼마든지 용이하게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하여도 본 고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의하면, 실, 내외 등의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생활주변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널리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남녀노소, 초보자등 누구나 용이하게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가능한 운동기구로서뿐 아니라 생활주변의 환경과도 어울리는 야외조경물을 제공하여 아파트등의 공동주택 또는 체육공원에서 생활하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생활체육시설을 널리 공급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리도록 하여 상체 또는 어깨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바닥에 배치,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방을 향해 소정높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양단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케이스의 일측이 장착되며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하향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 상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이 상단에 힌지결합된 캠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와;
    상기 캠의 하단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하측으로 배치된 수직봉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된 제 1단부와, 상기 제 1단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직봉의 하단이 중간에 힌지결합된 수평링크와, 상기 수평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상측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착좌부가 마련된 제 2단부로 이루어진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각 모서리부에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마련된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프레임 각 결합부는 엘보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의 수평링크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2열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와 수직봉, 링크장치의 각 힌지결합부에는 원활한 힌지회동을 위해 베어링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와 수직봉, 링크장치는 상기 본체 양측에 대칭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는 하단에 "ㄴ"자로 절곡된 일단이 장착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배치된 등받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KR20-2003-0036607U 2003-11-24 2003-11-24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KR200349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07U KR200349183Y1 (ko) 2003-11-24 2003-11-24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607U KR200349183Y1 (ko) 2003-11-24 2003-11-24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183Y1 true KR200349183Y1 (ko) 2004-05-04

Family

ID=4934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607U KR200349183Y1 (ko) 2003-11-24 2003-11-24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183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697B1 (ko) * 2007-08-14 2010-01-08 조금제 체중 체감형 다리운동 기구
KR100939095B1 (ko) * 2007-08-14 2010-01-28 조금제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KR101018975B1 (ko) * 2010-07-12 2011-03-03 장기수 재활인과 일반인 겸용 운동기구
KR101064307B1 (ko) * 2008-08-13 2011-09-14 창 주 이 상체 운동기구
KR102154334B1 (ko) * 2020-06-09 2020-09-09 장동규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KR102154333B1 (ko) * 2020-07-07 2020-09-09 박윤정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KR102343291B1 (ko) * 2021-01-12 2021-12-27 명성이앤비 주식회사 야외 운동기구 설치조립체
KR102434937B1 (ko) * 2021-12-16 2022-08-22 주식회사 지아이 역기 들어올리기
KR102434939B1 (ko) * 2021-12-16 2022-08-22 주식회사 지아이 벤치프레스
KR102522850B1 (ko) * 2022-02-10 2023-04-18 주식회사 지아이 역기 운동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697B1 (ko) * 2007-08-14 2010-01-08 조금제 체중 체감형 다리운동 기구
KR100939095B1 (ko) * 2007-08-14 2010-01-28 조금제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KR101064307B1 (ko) * 2008-08-13 2011-09-14 창 주 이 상체 운동기구
KR101018975B1 (ko) * 2010-07-12 2011-03-03 장기수 재활인과 일반인 겸용 운동기구
KR102154334B1 (ko) * 2020-06-09 2020-09-09 장동규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KR102154333B1 (ko) * 2020-07-07 2020-09-09 박윤정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KR102343291B1 (ko) * 2021-01-12 2021-12-27 명성이앤비 주식회사 야외 운동기구 설치조립체
KR102434937B1 (ko) * 2021-12-16 2022-08-22 주식회사 지아이 역기 들어올리기
KR102434939B1 (ko) * 2021-12-16 2022-08-22 주식회사 지아이 벤치프레스
KR102522850B1 (ko) * 2022-02-10 2023-04-18 주식회사 지아이 역기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990B1 (en) Jumping jack exercise machine
US4844448A (en) Stand up exerciser
US4635926A (en) Weight lifting type exercising device
US20060189451A1 (en) Invercycle device and method for exercise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US5378209A (en) Apparatus for exercising arms and legs vertically
KR200349183Y1 (ko)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KR200393342Y1 (ko) 벤치 프레스형 공용 운동기구
US7112162B2 (en) Exercise machine
KR102404422B1 (ko) 시티드 체스트 프레스 및 시티드 로우 운동이 가능한 복합 헬스운동 기구
CN112843621A (zh) 一种用于臂部训练的拉伸锻炼装置
KR200469028Y1 (ko) 몸짱 만들기를 위한 다기능 헬스 복합 운동기구
JP2023117405A (ja) 背中運動器具(exercise equipment for back)
KR200463740Y1 (ko) 실외용 쇼울더 기구
KR200342442Y1 (ko)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CN212548166U (zh) 坐姿侧平举训练器
CN107970571A (zh) 一种体育锻炼教学用下腰辅助装置
KR20190005612A (ko) 복합 운동기구
KR102082158B1 (ko) 어깨 운동기구
KR200342440Y1 (ko) 전신운동기구
KR101439537B1 (ko) 실내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16280Y1 (ko) 상,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스텝퍼 운동기구
KR200374873Y1 (ko) 종합 헬스기
KR200342369Y1 (ko) 레그프레스 운동기구
CN111905339A (zh) 坐姿侧平举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