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333B1 -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333B1
KR102154333B1 KR1020200083618A KR20200083618A KR102154333B1 KR 102154333 B1 KR102154333 B1 KR 102154333B1 KR 1020200083618 A KR1020200083618 A KR 1020200083618A KR 20200083618 A KR20200083618 A KR 20200083618A KR 102154333 B1 KR102154333 B1 KR 102154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outdoor exercise
exercise equipment
assembly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정
Original Assignee
박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정 filed Critical 박윤정
Priority to KR102020008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이나 놀이터와 같이 공공시설에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를 3개 이상으로 가지런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설치, 운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는,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각 가장자리면에 감싸고, 양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일면에 야외 운동기구가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들을 기초부 상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ASSEMBLY FOR OUTDOOR EXERCISE EQUIPMENT INSTALLATION}
본 발명은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이나 놀이터와 같이 공공시설에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를 3개 이상으로 가지런하게 결합할 수 있고,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설치, 운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적 문화적 환경 조건에 의해 건강 및 몸매 관리에 관하여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이를 위해 규칙적으로 운동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혼잡한 도시에서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한정적이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오염을 의식하여 실외에서 운동을 하지 않고 실내에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실내 등 협소한 공간에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 한 운동기구로 벤치 프레스, 런닝머신, 헬스 자전거 등 각종 기능을 갖는 운동기구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람들의 건강 및 몸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최근 들어서는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비용부담 없이 편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공원, 놀이터, 등산로, 휴양림과 같은 야외 공공장소에 많은 종류의 야외 운동기구들이 설치되고 있다.
야외 운동기구는 허리 돌리기, 양팔 벌리기 등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타입과, 팔, 다리, 복부 등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의 야외 운동기구들이 야외 공공장소에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의료비용을 줄이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회체육 보급에 관심이 증대되어 야외 운동기구는 앞으로도 더욱 많은 장소에 다양한 형태로 보급될 전망이다.
또한, 야외 운동기구는 답답한 실내 헬스장과 같은 장소가 아닌 야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상쾌한 공기를 마시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야외 운동기구는 과거에는 철봉과 평행봉 등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는 실내 헬스장에 마련된 운동기구와 동일하게 팔, 다리, 복근 등의 근력 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휴식 공간에서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을 갖춘 운동 기구로 발전하고 있고, 이에 가족과 이웃, 직장 및 학교 동료들이 쉽게 접근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어, 시민 체력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야외 운동기구들은 종류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앵커볼트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해 강한 바람이 불거나 잦은 사용에 의해 야외 운동기구가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면에 수직기둥을 설치하고, 수직기둥에 야외 운동기구를 고정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3개 이상의 야외 운동기구를 가지런하고 규칙적으로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165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원이나 놀이터와 같이 공공시설에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를 3개 이상으로 가지런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설치, 운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는,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각 가장자리면을 감싸고, 양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일면에 야외 운동기구가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들을 기초부 상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들은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용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날개의 중첩구간에는 서로 연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용날개의 미 중첩구간에는 서로 대향되는 슬릿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초부는, 상기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양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와 1:1로 대향되는 3개의 기립판, 상기 기립판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립판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야외 운동기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상기 몸체부와 기립판에 순차적으로 체결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되되, 서로 다른 결합용날개의 슬릿홀에 각각 끼움되어 상기 몸체부들을 결합시키는 절곡형 결합편이 형성된 3개의 사이드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각각 감싸며 양단이 서로 접하는 제1 내지 제3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부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결합을 위한 제1 내지 제3 결합편과 제1 내지 제3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 제1 결합부재와 제3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와 제 3결합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2 결합부재의 체결홀, 상기 제2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3 결합부재의 체결홀, 상기 제3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1 결합부재의 체결홀에 각각 공동으로 체결되는 탄성후크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후크유닛은, 탄성안내바, 상기 탄성안내바의 끝단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결합편에 각각 걸리는 걸림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안내바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완충슬릿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안내바의 전면부에는 상기 제1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2 결합부재의 체결홀, 상기 제2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3 결합부재의 체결홀, 상기 제3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1 결합부재의 체결홀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하는 탄성지지바가 더 부착되며, 상기 탄성안내부의 전면에는 상기 제1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2 결합부재의 체결홀, 상기 제2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3 결합부재의 체결홀, 상기 제3 결합편의 체결홀과 제1 결합부재의 체결홀의 내측면과 각각 마찰됨과 아울러 걸리뫼도록 요철돌부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안내바의 배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림부들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들의 상부를 공동으로 덮어 마감하는 상부 마감부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는, 공원이나 놀이터와 같이 공공시설에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를 3개 이상으로 가지런하게 결합할 수 있고,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설치, 운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에 야외 운동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에 적용된 결합수단을 통해 제1 결합부재, 제2 결합부재, 제3 결합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에 야외 운동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에 적용된 결합수단을 통해 제1 결합부재, 제2 결합부재, 제3 결합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1)는, 공원이나 놀이터와 같이 공공시설에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를 3개 이상으로 가지런하고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고, 조립식으로 구현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시간 및 조립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운반이 용이한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1)는 기초부(10), 몸체부(20),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야외 운동기구(80)는 양팔돌리기 기구, 골반 돌리기 기구, 허리비틀기 기구, 상체비틀기 기구, 양팔당기기 기구, 상체 비틀기 기구, 양손 돌리기 기구 등 다양한 기구 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1)에 양팔돌리기 기구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기초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1)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고정판(11), 기립판(12), 간격유지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1)은 대략 삼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1)은 3개의 가장지리면을 갖는다.
고정판(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관통홀에 앙카볼트를 설치하면 고정판(11)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기립판(12)은 3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기립판(12)은 고정판(11)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기립판(12)은 양단이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기립판(12)들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립판(12)에는 야외 운동기구(8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90)이 체결된다.
고정수단(90)의 체결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몸체부(20)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간격유지부(13)는 기립판(12)의 사이에 결합된다.
간격유지부(13)는 내구성 및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한 쌍의 기립판(12)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지 아니하고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간격유지부(13)는 다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6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몸체부(20)는 야외 운동기구(80)가 설치되는 것으로, 3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몸체부(20)는 각각 그 내측면이 고정판(11)의 각 가장자리면과 접하는 형태로 기립판(11)을 공동으로 가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몸체부(20)는 양단이 서로 접하여 대략 삼각기둥 형태를 이루게 된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몸체부(20)는 고정판(11)의 상면 각 가장지리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기립판(11)을 공동으로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몸체부(20)는 양단이 서로 접하여 대략 삼각기둥 형태를 이루게 된다.
몸체부(20)의 하측과 기립판(12)의 하측에는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하부 체결홀(20c,12b)이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20)와 기립판(12)의 하측은 볼트나 피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들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는 결합용날개(21)가 각각 형성된다.
결합용날개(21)는 몸체부(20)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단차진 구조를 이룬다.
결합용날개(21)는 몸체부(20)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는 결합용날개(21)가 서로 포개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결합용날개(21)는 마주하는 다른 몸체부(20)의 결합용날개(21)와 중첩되게 접한다.
이때, 결합용날개(21)는 몸체부(20)와 연결되는 끝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서로 중첩되게 접한다.
결합용날개(21)가 중첩되는 부분에는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체결홀(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양 결합용날개(21)의 체결홀(21a)에 볼트를 공동으로 체결하여 한 쌍의 몸체부(20)를 결합하면 된다.
이때, 체결홀(21a)은 몸체부(2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결합용날개(21)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결합용날개(21)의 끝부분 즉, 미 중첩구간에는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슬릿홀(21b)이 각각 형성된다.
슬릿홀(21b)은 몸체부(20)를 결합하기 위한 사이드 결합부(40)가 설치되는 것으로, 결합용날개(21)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21a)과 슬릿홀(21b)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서로 다른 몸체부(20)의 결합용날개(21)가 서로 맞닿게 되면 몸체부(20)들의 사이에는 사이드 결합부(40)가 결합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부(20)는 삼각기둥 형태로 결합됨으로, 몸체부(20)에는 3개의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사이드 결합부(40)는 몸체부(20)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결합부(40)는 3개로 적용되어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사이드 결합부(40)에는 슬릿홀(2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절곡형 결합편(41)이 형성된다.
절곡형 결합편(41)은 서로 다른 몸체부(20)에 형성된 2개의 결합용날개(21)의 슬릿홀(21b)에 공동으로 끼움되어 3개의 몸체부(2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각 층마다 2개씩 형성된다.
절곡형 결합편(41)은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끼움홀(21a)에 끼움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절곡형 결합편(41)을 하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절곡시킨 다음, 슬릿홀(21b)에 절곡형 결합편(41)을 관통시키면 절곡형 결합편(41)은 탄성력에 의해 다시 'ㄴ'자 형태로 복원되어 결합용날개(21)에 접촉됨으로 몸체부(20)들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과 타측이 결합된다.
그리고, 사이드 결합부(40)에는 결합용날개(21)의 체결홀(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4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결합용날개(21)를 중첩시킨 다음 체결홀(21a,40a)에 볼트나 피스를 각각 체결하여 결합용날개(21)와 사이드 결합부(40)를 결합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몸체부(20)는 삼각기둥 형태로 조합됨으로, 그 상면은 개구된다. 이 개구된 부분은 하나의 상부 마감부(60)에 의해 공동으로 폐쇄된다.
상부 마감부(60)는 몸체부(20)들의 개구부에 공동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몸체부(20)들의 상면에 볼팅되어 개구부를 마감함으로써, 몸체부(20)들의 내부공간으로 빗물,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몸체부(20)는 야외 운동기구(80)보다 1.5배 ~ 2배 이상 높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20)의 하측 부분에는 야외 운동기구(80)를 설치하고, 몸체부(20)의 상측 부분에는 해당 야외 운동기구(80)의 사용설명서를 부착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몸체부(20)에는 하측에는 복수개의 체결홀(20b)이 형성되고, 전술한 기립판(12)에는 몸체부(20)의 체결홀(20b)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야외 운동기구(80)의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81)를 몸체부(20)의 각각 밀착시킨 다음, 볼트나 피스로 형성되는 고정수단(90)을 플랜지(81)의 체결홀과 몸체부(20)의 체결홀(20b) 및 기립판(12)의 체결홀(12a)에 공동으로 체결하여 야외 운동기구(80)를 몸체부(2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면 된다.
결합부(30)는 몸체부(20)에 야외 운동기구(80)를 각각 설치하기 전에 3개의 몸체부(20)의 하측부분을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결합부(30)는 제1 결합부재(31), 제2 결합부재(32), 제3 결합부재(33), 결합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31)와 제2 결합부재(32) 및 제3 결합부재(33)는 몸체부(20)의 하측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결합부재(31)와 제2 결합부재(32) 및 제3 결합부재(33)는 몸체부(20) 뿐만 아니라 3개의 사이드 결합부(40)도 감싼다.
제1 결합부재(31)와 제2 결합부재(32) 및 제3 결합부재(33)의 일측에는 제1 결합편(311), 제2 결합편(32) 및 제3 결합편(331)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체결홀(31a), 제2 체결홀(32a), 제3 체결홀(33a)이 각각 형성된다.
나아가, 제1 결합편(311)과 제2 결합편(321) 및 제3 체결편(331)에는 제1 체결홀(311a), 제2 체결홀(321a) 및 제3 체결홀(331a)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체결홀(311a)은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과 수평선상에 위치되고, 제2 체결홀(321a)은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제3 체결홀(331a)은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과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체결홀(311a)과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 제2 체결홀(321a)과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 체결홀(331a)과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에 각각 결합수단(50)을 공동으로 체결하여, 제1 결합부재(31)와 제2 결합부재(32), 제1 결합부재(31)와 제3 결합부재(33), 제2 결합부재(32)와 제3 결합부재(33)를 일체로 결합하면서 3개의 몸체부(20)를 결합시키면 된다.
결합수단(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후크유닛(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합수단(50)이 탄성후크유닛(51)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결합편(311), 제2 결합편(312), 제3 결합편(313)의 탄성후크유닛(51)을 정착시키기 위한 걸림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탄성후크유닛(51)은 제1 체결홀(311a)과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 제2 체결홀(321a)과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 체결홀(331a)과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을 각각 관통하는 탄성안내바(511), 탄성안내바(511)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결합편(311), 제2 결합편(321), 제3 결합편(331)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후크유닛(51)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안내바(511)의 끝단에는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완충슬릿홀(511a)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안내바(511)의 전면부에는 제1 체결홀(311a)과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 제2 체결홀(321a)과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 체결홀(331a)과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의 내측면을 각각 가압하는 탄성지지바(513)가 더 부착된다.
그리고, 탄성안내바(511)의 전면에는 제1 체결홀(311a)과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 제2 체결홀(321a)과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 체결홀(331a)과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의 내측면과 마찰됨과 아울러 걸림되도록 요철돌부(514)들이 더 형성된다.
또한, 탄성안내바(511)의 배면부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제1 체결홀(311a)과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 제2 체결홀(321a)과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 체결홀(331a)과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의 내부에 각각 위치되는 지지림부(515)들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완충슬릿홀(511a)에 의해 탄성안내바(511)가 원활히 절곡되도록 하고, 절곡되는 과정에서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지지바(513)와 요철돌부(514)가 제1 체결홀(311a)과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 제2 체결홀(321a)과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 체결홀(331a)과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의 내측을 각각 가압하면서 마찰되어 탄성안내바(511)가 이동되거나 또는, 제1 체결홀(311a)과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 제2 체결홀(321a)과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 체결홀(331a)과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림부(515)에 의해 탄성지지바(513)가 제1 체결홀(311a)과 제2 결합부재(32)의 체결홀(32a), 제2 체결홀(321a)과 제3 결합부재(33)의 체결홀(33a), 체결홀(331a)과 제1 결합부재(31)의 체결홀(31a)에 끼움되는 과정에서 절곡시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있고, 복원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1)에서 결합수단(5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수단(50) 대신 볼트나 피스가 적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10 : 기초부 11 : 고정판
12 : 기립판
12a,20b,31a,32a,33a,311a,321a,331a,40a : 체결홀
12b,20c : 하부 체결홀 13 : 간격유지부
20 : 몸체부 21 : 결합용날개
21a : 끼움홀 21b : 슬릿홀
30 : 결합부 31 : 제1 결합부재
311 : 제1 결합편 32 : 제2 결합부재
321 : 제2 결합편 33 : 제3 결합부재
331 : 제3 결합편 40 : 사이드 결합부
41 : 절곡형 결합편 50 : 결합수단
51 : 탄성후크유닛 511 : 탄성안내바
511a : 완충슬릿홀 512 : 걸림돌부
513 : 탄성지지바 514 : 요철돌부
515 : 지지림부 60 : 상부 마감부

Claims (6)

  1.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각 가장자리면을 감싸고, 양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일면에 야외 운동기구가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들을 기초부 상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들은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며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용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날개의 중첩구간에는 서로 연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용날개의 미 중첩구간에는 서로 대향되는 슬릿홀이 형성되는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양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와 1:1로 대향되는 3개의 기립판,
    상기 기립판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립판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야외 운동기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상기 몸체부와 기립판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되되, 서로 다른 결합용날개의 슬릿홀에 각각 끼움되어 상기 몸체부들을 결합시키는 절곡형 결합편이 형성된 3개의 사이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각각 감싸며 양단이 서로 접하는 제1 내지 제3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부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결합을 위한 제1 내지 제3 결합편과 제1 내지 제3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는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들의 상부를 공동으로 덮어 마감하는 상부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KR1020200083618A 2020-07-07 2020-07-07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KR10215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18A KR102154333B1 (ko) 2020-07-07 2020-07-07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18A KR102154333B1 (ko) 2020-07-07 2020-07-07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333B1 true KR102154333B1 (ko) 2020-09-09

Family

ID=7243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18A KR102154333B1 (ko) 2020-07-07 2020-07-07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3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25Y1 (ko) * 2001-11-17 2002-02-19 이윤기 테니스 타격자세 연습장치
KR200349183Y1 (ko) * 2003-11-24 2004-05-04 (주)디자인파크개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KR20120082180A (ko) * 2011-01-13 2012-07-23 주식회사 삼형스포메디 운동기구의 지지대
CN203315663U (zh) * 2013-05-27 2013-12-04 南京万德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腰腹扭转器
KR101616545B1 (ko) 2015-03-13 2016-04-29 (주)이지지오 야외운동기구의 모니터링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야외운동기구의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25Y1 (ko) * 2001-11-17 2002-02-19 이윤기 테니스 타격자세 연습장치
KR200349183Y1 (ko) * 2003-11-24 2004-05-04 (주)디자인파크개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KR20120082180A (ko) * 2011-01-13 2012-07-23 주식회사 삼형스포메디 운동기구의 지지대
CN203315663U (zh) * 2013-05-27 2013-12-04 南京万德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腰腹扭转器
KR101616545B1 (ko) 2015-03-13 2016-04-29 (주)이지지오 야외운동기구의 모니터링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야외운동기구의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871B2 (en) Wall structure for exercising and attaching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elements
KR102154334B1 (ko)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US20150290517A1 (en) Swimm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200254298A1 (en) Personalizable modular fitness area
KR102154333B1 (ko) 야외 운동기구 설치용 조립체
KR100934130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CA3011379C (en) Trampoline safety enclosure
KR101232865B1 (ko) 운동기구의 지지대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AU621295B2 (en) Play structures
KR101729452B1 (ko) 목재 펜스
DE202012103112U1 (de) Trampolinbahn für den Aussenbereich
DE202007000434U1 (de) Sportübungsgerät zur Durchführung von Stretching
KR20150083827A (ko) 스키머신
KR100760539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KR200426996Y1 (ko) 광고수단이 장치된 어깨근육풀기용 운동기구
JPS6223510Y2 (ko)
KR102023043B1 (ko) 수평 결착식 사각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KR200401099Y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CA2099527A1 (en) Pool game
KR102023039B1 (ko) 수평 결착식 원형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KR200375749Y1 (ko) 트램폴린
CN213609606U (zh) 一种少数民族武术教育用攀爬架
KR102618260B1 (ko) 시각장애인, 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너
KR20230006997A (ko) 캠핑용 조립식 데크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