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130B1 -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130B1
KR100934130B1 KR1020070124873A KR20070124873A KR100934130B1 KR 100934130 B1 KR100934130 B1 KR 100934130B1 KR 1020070124873 A KR1020070124873 A KR 1020070124873A KR 20070124873 A KR20070124873 A KR 20070124873A KR 100934130 B1 KR100934130 B1 KR 10093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portion
rock
wal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196A (ko
Inventor
백옥순
Original Assignee
백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대식 filed Critical 백대식
Priority to KR102007012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1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게 암벽등반을 즐길 수 있고, 판재의 표면에 흠집 발생이 적고, 스티커 등이 부착하지 않아서 깨끗한 표면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상하로 연결된 판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판재들의 내부에는 중공형의 공간이 형성된 벽 부; 상기 벽 부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각각 배치되고, 상기 판재의 공간으로 끼워지는 돌기들을 구비하며, 다수의 상하로 연결된 판재들을 중첩 결합시켜 상기 벽 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벽 부의 판재들에 각각 장착되어 암벽 타기 용으로 쥐기 위하여 돌출형성된 다수의 홀더;들을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표면에는 요철 면이 형성된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로 안전하게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고, 판재의 표면에 요철 면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표면이 손상되지 않으며, 광고 스티커들이 그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스티커에 의한 표면의 더럽힘을 사전에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암벽등반, 인공 암벽 구조물, 요철 면, 스티커 부착방지, 스포츠 클라이밍

Description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Fabricated Apparatus For Sports Climbing}
본 발명은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판재들을 소정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안전하게 암벽등반을 즐길 수 있고, 판재의 표면에 주름 형의 요철면이 형성되어 표면에 흠집 발생이 적고 스티커 등이 부착하지 않아서 깨끗한 표면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바쁜 생활 속에서 자연암벽까지 가는 시간과 번거러움을 피할 수 있으며, 자연암벽에서와 같은 위험성이 없이 적은 비용으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운동이 인공암벽타기 즉, 스포츠 클라이밍(sports climbing)이다.
인공 암벽타기는 건물 벽이나 암벽을 연상케 하는 거대한 합판, FRP 등에 인공 홀드(손으로 잡는 돌출물)를 부착시키고 손과 발만을 사용해 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운동으로서, 현재에는 전문산악인들의 교육훈련을 하는 운동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레져 스포츠를 즐기는 일반인들에게도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에서 인공암벽타기 등반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 종래의 기술로는 벽체에 인공의 암벽모양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쉽게 떼었다 붙였다 하는 인공 홀더를 고정 구로 고정한 것이 제공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암벽등반연습 구조물은 벽체에 상당한 하중이 가하여 지는 것이므로 그 구조물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임은 물론이고 홀더의 고정상태에 대하여도 신뢰할 수 없는 것이므로 안전하게 암벽등반연습을 할 수 없는 것이다.
더욱이 위와 같은 종래의 암벽등반 연습구조물에 있어서는 특히 성인들만을 위해 제공된 것들이므로 어린이들의 놀이시설로 이용하기에는 적당치 못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 제0475485호에는 "암벽등반연습용 구조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암벽등반 구조물은 수많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 스페이스 바, 커버 판을 상호 체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인접하는 지지 판재들 사이의 결합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판재들이 서로 비틀리는 등 구조적인 안전상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었고, 판재의 표면은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흠집이 발생하는 것이어서 외관이 쉽게 손상되어 낡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의 암벽등반연습용 구조물은 놀이터에 설치되는 경우, 각종 광고 스티커들이 그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표면을 더럽히고, 성인 광고물등이 부착되어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조립 구조를 가져서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안전하게 등반연습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어린이나 청소년들도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판재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판재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키도록 된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흠집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쉽게 손상되어 낡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으로서 광고 스티커들이 그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부착된 스티커는 쉽게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스티커에 의한 표면을 더럽히는 문제점을 해소한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있어서,
다수의 상하로 연결된 판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판재들의 내부에는 중공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판재들은 그 하단 모서리에 복수의 돌기들이 돌출형성되며, 그 돌기들 사이에는 오목 홈이 형성되고, 상단 모서리에는 상기 하단 모서리의 복수의 돌기들이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홈들의 사이에는 상기 하단 모서리의 오목 홈으로 대응하여 삽입가능한 크기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판재들은 그 상단 모서리가 그 상부 측에 위치한 판재의 하단 모서리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2중 결합 구조를 갖는 벽 부;
상기 벽 부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각각 배치되고, 상기 판재의 공간으로 끼워지는 돌기들을 구비하며, 다수의 상하로 연결된 판재들을 중첩 결합시켜 상기 벽 부의 양측을 지지하고, 그 상하 모서리들이 위치되는 연결 부분이 인접한 판재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며, 벽 부의 배면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서 상기 판재들과 결합하고, 상기 볼트는 벽 부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판재에 내장되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벽 부의 판재들에 각각 장착되어 암벽 타기 용으로 쥐기 위하여 돌출형성된 다수의 홀더;들을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표면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돌기와 오목 홈으로 이루어진 요철 면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는 하부 측에는 다수의 판재들이 직선적으로 연결된 상하방향의 직선 부가 형성되고, 상부 측으로는 다수의 판재들이 곡선 구배로 연결된 곡선 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아치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는 최상단에는 판재의 상단 모서리를 에워싸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상부 프레임이 장착되고, 최하단에는 판재의 하단 모서리를 에워싸는 평편한 바닥면을 가지며, 그 일측으로는 삼각 단면의 지지대를 일체로 형성한 하부 프레임이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는 직선 부의 측 방향으로 연결 부재를 통하여 다수가 연결되어 하나의 집합체를 구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합체는 수평방향으로 다각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벽 부들이 절곡형 연결 부재를 통하여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형 연결 부재는 120도의 절곡 내각을 형성하여 상기 집합체는 6각형의 단면을 갖는 구조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의하면, 견고하게 상호 조립된 집합체에 홀더를 결합하고, 이 홀더를 파지한 상태로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음으로써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로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흥미롭게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재 간의 2중 결합 구조를 통하여 판재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전한 암벽등반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재의 표면에 요철 면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흠집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쉽게 손상되어 낡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며, 광고 스티커들이 그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부착된 스티커는 쉽게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스티커에 의한 표면의 더럽힘을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하로 연결된 판재(5a)(5b)들을 구비하고, 상기 판재(5a)(5b)들의 내부에는 중공형의 공간(7a)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판재(5a)(5b)들은 2중 벽체로 구성되는데, 그 내부 공간(7a)에는 지지벽체(7b)들이 다수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한 판형 부재이다.
이와 같은 판재(5a)(5b)들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는 직선 판재(5a)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선 판재(5b)들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판재(5a)(5b)의 표면에는 요철 면(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요철 면(10)은 수평으로 형성된 돌기(12a)와 오목 홈(12b)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돌기(12a)와 오목 홈(12b)들이 상하 차례로 교대로 형성되어 요철 면(10)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되지 않고, 스티커 등이 표면에 부착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판재(5a)(5b)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아치형의 벽 부(20)를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경우, 그 상하단 모서리에서 2중 결합을 이룬다.
상기 판재(5a)(5b)들은 각각 그 하단 모서리에 복수의 돌기(22a)(22b)들이 돌출형성되고, 그 돌기들 사이에는 오목 홈(22c)이 형성되며, 상단 모서리에는 상기 하단 모서리의 복수의 돌기(22a)(22b)들이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복수의 홈(24a)(24b)들이 형성되고, 상기 홈(24a)(24b)들의 사이에는 상기 하단 모서리의 오목 홈(22c)으로 대응하여 삽입가능한 크기의 돌기(24c)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판재(5a)(5b)들은 그 상단 모서리가 그 상부 측에 위치한 판재(5a)(5b)의 하단 모서리에 차례로 끼워 맞춤되어 2중 결합 구조를 갖는 것인데, 이와 같은 2중 구조는 하단 모서리의 복수의 돌기(22a)(22b) 사이의 홈(22c)으로 상단 모서리의 돌기(24c)가 끼워지고, 하단 모서리의 복수의 돌기(22a)(22b)는 상단 모서리의 홈(24a)(24b)으로 끼워져서 결과적으로 2중 결합 구조를 이루고, 그 결합 부분에서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벽 부(20)는 하부 측에서 다수의 직선 판재(5a)들이 연결된 상하방향의 직선 부가 형성되고, 상부 측으로는 다수의 곡선 판재(5b)들이 곡선 구배로 연결된 곡선 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아치(arch)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벽 부(2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각각 배치되는 측면 프레임(30)을 구비하는데, 상기 측면 프레임(3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5a)(5b)의 공간(7a)에 측 방향으로 끼워지는 돌기(32)들을 구비하고, 다수의 상하로 연결된 판재(5a)(5b)들을 중첩 결합시켜 상기 벽 부(20)의 양측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측면 프레임(30)은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판재(5a)(5b)들의 양측 모서리를 하나로 연결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다수의 판재(5a)(5b)들이 그 상하단 모서리의 2중 결합뿐만 아니라, 그 측방에서도 서로 하나로 결합되어 보다 견고한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30)은 그 상하 모서리들이 위치되는 연결 부분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판재(5a)(5b)의 중간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상하 로 배치된 측면 프레임(30)의 상하방향 당김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측면 프레임(30)은 상기 직선의 판재(5a)들과, 곡선의 판재(5b)들을 이용하여 아치형으로 조립된 벽 부(2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결합하도록 벽 부(20)의 직선 부에는 직선형의 측면 프레임(30)가 배치되고, 벽 부(20)의 곡선 부에는 곡선형의 측면 프레임(30)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벽 부(20)의 측방 모서리를 따라서 배치된 측면 프레임(30)은 판재(5a)(5b)에 결합된 후에, 판재(5a)(5b)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판재(5a)(5b)와 측면 프레임(30)을 연결하도록 볼트(36) 결합되어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측면 프레임(30)에 일체로 결합된 벽 부(20)는 최상단에 판재(5b)의 상단 모서리를 에워싸는 둥근 모서리(44)를 갖는 상부 프레임(40)이 장착되고, 최하단에는 판재(5a)의 하단 모서리를 에워싸는 하부 프레임(50)을 갖는다.
상부 프레임(4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부(20)의 최상단에 위치한 판재(5b)의 상단 모서리를 감싸는 "∩"형의 구조를 갖고, 상기 판재(5b)와는 볼트(42)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최상단 판재(5b)의 상부 모서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판재(5b)를 보호하고, 판재(5b)의 상단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하여 판재(5b)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5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바닥면을 가지며, 그 일측으로는 삼각 단면의 지지대(52)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인데, 이와 같은 하부 프레임(50)은 벽 부(20)의 최하단 판재(5a)가 그 내부에 끼워진 다음, 볼트(54)로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벽 부(20)의 하단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하부 프레임(50)은 일측에 마련된 지지대(52)가 상기 벽 부(20)의 하단부를 넓은 폭으로 지지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벽 부(20)가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벽 부(20)는 직선 부의 측 방향으로 연결 부재(60a)(60b)를 통하여 다수가 연결되어 하나의 집합체를 구성하는데, 상기 연결 부재(60a)(60b)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절곡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평면형 연결 부재(60a)는, 상기 벽 부(20)가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인접한 벽 부(20)의 직선 부들을 이어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평면형 연결 부재(60a)는 나란하게 배치된 벽 부(20)의 직선 부 배면에서 다수의 볼트(62)들을 통하여 인접한 벽 부(20)의 측방 모서리들을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 부재(60a)를 통하여 벽 부(20)들은 더욱 견고한 구조로 조립된다.
한편 상기 절곡형 연결 부재(6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다각형 단면의 집합체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벽 부(20)들을 결합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절곡형 연결 부재(60b)는 120도의 절곡 내각(Θ)을 형성하여 상기 집합체는 6각형의 단면을 갖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벽 부(20)들이 집합체를 형성하면 6면에 벽 부(20)가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되어 6면에서 암벽타기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6면으로 연결된 집합체는 하부 측으로부터 상부 측으로 향할수록 그 둘레가 넓어지고, 외측으로 휘어진 아치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암벽타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벽 부(20)의 판재(5a)(5b)들에 각각 장착되어 암벽 타기 용으로 쥐기 위하여 돌출형성된 다수의 홀더(70)들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70)들은 암벽타기 연습을 하는 경우, 이를 쥐거나 딛고, 암벽등반자가 이동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 벽 부(20)의 판재(5a)(5b)들을 표면에 고정 수단, 예를 들면 볼트(미 도시)들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 부(20)들이 다수의 연결 부재(60b)를 통하여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각 집합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육각 집합체로 연결된 벽 부(20)는 각각의 판재(5a)(5b)들이 상하 2중의 결합돌기(22a)(22b)(24c)와 홈(22c)(24a)(24b)들을 통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서로 견고하다. 뿐만 아니라, 벽 부(20)의 측방모서리는 측면 프레임(3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더욱더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상기에서 측면 프레임(30)은 벽 부(20)의 내측 공간(7a)으로 돌기(32)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36)로 고정되고, 이와 같은 볼트(36)들은 벽 부(20)의 배면으로부터 판재(5a)(5b)의 후면을 관통하여 측면 프레임(30)의 돌기(32)들에 나사결합하고, 그 끝단은 벽 부(20)의 전면, 즉 홀더(70)들이 부착된 전면으로는 돌출하지 않고 내장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암벽 등반자가 벽 부(20)의 전면에서 암벽타기를 하는 도중에 볼트(36)의 노출부분에 의해서 부상을 입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상기 벽 부(20)는 그 표면에 형성된 요철 면(10)들로 인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판재(5a)(5b) 표면을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각종 광고물의 부착을 근본적으로 어렵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6면으로 연결된 집합체는 하부 측으로부터 상부 측으로 향할수록 그 둘레가 넓어지고, 외측으로 휘어진 아치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암벽타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연결 부재(60a)(60b)를 통하여 다양한 구조 의 집합체로 조립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연결 부재(60b)의 절곡 내각(Θ)을 달리하면 가능한 것이며, 이와 같은 다른 구조의 집합체들은 설치 현장의 조건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구조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벽 부(20)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집합체의 외 표면에 홀더(70)를 결합하고 이 홀더(70)를 파지한 상태로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음으로써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흥미롭게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벽 부(20)의 구조가 판재(5a)(5b) 간의 2중 결합 구조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판재(5a)(5b)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전한 암벽등반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재(5a)(5b)의 표면에 요철 면(10)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흠집이 발생하지 않고, 외관이 쉽게 손상되어 낡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며, 광고 스티커들이 그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부착된 스티커는 쉽게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스티커에 의한 표면의 더럽힘을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어서 어린이 놀이터나 공원등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어린이들이 사용하는데에 적합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이 6각형의 단면을 갖는 구조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의 벽 부와 측면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이 6각형의 단면을 갖는 구조물로 연결된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의 벽 부에 구비된 직선형 판재와 곡선형 판재들이 이에 대응하는 직선형 측면 프레임과 곡선형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구비된 주요 부품의 상세도로서, a)도는 상부 프레임을 도시한 구조도, b)도는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c)도는 연결 부재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5a,5b.... 판재 7a.... 공간
7b... 지지벽체 10.... 요철 면
12a.... 돌기 12b.... 오목 홈
20..... 벽 부 22a,22b.... 돌기
22c.... 오목 홈 24a,24b.... 홈
24c.... 돌기 30.... 측면 프레임
32..... 돌기 36.... 볼트
40..... 상부 프레임 42.... 볼트
44.... 둥근 모서리 50.... 하부 프레임
52.... 지지대 54.... 볼트
60a,60b... 연결 부재 62.... 볼트
70.... 홀더

Claims (10)

  1.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있어서,
    다수의 상하로 연결된 판재(5a)(5b)들을 구비하고, 상기 판재(5a)(5b)들의 내부에는 중공형의 공간(7a)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판재(5a)(5b)들은 그 하단 모서리에 복수의 돌기(22a)(22b)들이 돌출형성되며, 그 돌기(22a)(22b)들 사이에는 오목 홈(22c)이 형성되고, 상단 모서리에는 상기 하단 모서리의 복수의 돌기(22a)(22b)들이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복수의 홈(24a)(24b)들이 형성되고, 상기 홈(24a)(24b)들의 사이에는 상기 하단 모서리의 오목 홈(22c)으로 대응하여 삽입가능한 크기의 돌기(24c)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판재(5a)(5b)들은 그 상단 모서리가 그 상부 측에 위치한 판재(5a)(5b)의 하단 모서리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2중 결합 구조를 갖는 벽 부(20);
    상기 벽 부(2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각각 배치되고, 상기 판재(5a)(5b)의 공간(7a)으로 끼워지는 돌기(32)들을 구비하며, 다수의 상하로 연결된 판재(5a)(5b)들을 중첩 결합시켜 상기 벽 부(20)의 양측을 지지하고, 그 상하 모서리들이 위치되는 연결 부분이 인접한 판재(5a)(5b)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며, 벽 부(20)의 배면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36)에 의해서 상기 판재(5a)(5b)들과 결합하고, 상기 볼트(36)는 벽 부(2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판재(5a)(5b)에 내장되는 측면 프레임(30); 및
    상기 벽 부(20)의 판재(5a)(5b)들에 각각 장착되어 암벽 타기 용으로 쥐기 위하여 돌출형성된 다수의 홀더(70);들을 포함하고, 상기 판재(5a)(5b)의 표면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돌기(12a)와 오목 홈(12b)으로 이루어진 요철 면(10)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20)는 하부 측에는 다수의 판재(5a)(5b)들이 직선적으로 연결된 상하방향의 직선 부가 형성되고, 상부 측으로는 다수의 판재(5a)(5b)들이 곡선 구배로 연결된 곡선 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아치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20)는 최상단에는 판재(5a)(5b)의 상단 모서리를 에워싸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상부 프레임(40)이 장착되고, 최하단에는 판재(5a)(5b)의 하단 모서리를 에워싸는 평편한 바닥면을 가지며, 그 일측으로는 삼각 단면의 지지대(52)를 일체로 형성한 하부 프레임(50)이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20)는 직선 부의 측 방향으로 연결 부재(60a)(60b)를 통하여 다수가 연결되어 하나의 집합체를 구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체는 수평방향으로 다각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벽 부(20)들이 절곡형 연결 부재(60a)(60b)를 통하여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연결 부재(60a)(60b)는 120도의 절곡 내각을 형성하여 상기 집합체는 6각형의 단면을 갖는 구조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10. 삭제
KR1020070124873A 2007-12-04 2007-12-04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KR10093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73A KR100934130B1 (ko) 2007-12-04 2007-12-04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73A KR100934130B1 (ko) 2007-12-04 2007-12-04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196A KR20090058196A (ko) 2009-06-09
KR100934130B1 true KR100934130B1 (ko) 2010-01-06

Family

ID=4098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873A KR100934130B1 (ko) 2007-12-04 2007-12-04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86A (ko) 2019-04-11 2020-10-21 주수정 회전형 클라이밍 게임 시스템
US20210220688A1 (en) * 2020-01-20 2021-07-22 Activate Games Inc. Wall-Traversal Amusement Attra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6199B (zh) * 2017-06-27 2022-09-27 深圳市永利兴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攀岩架中组合板的更换结构
CN107854807B (zh) 2017-11-27 2023-06-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跑板组件及跑步机
CN107773913B (zh) * 2017-11-27 2020-09-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跑板组件及跑步机
KR102101207B1 (ko) * 2019-03-19 2020-04-16 위너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블록 어셈블리
KR20230001099U (ko) 2021-11-24 2023-05-31 김수용 인공암벽 클라이밍 구조물에 센서를 매립 또는 부착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1041A (en) * 1997-10-28 1999-08-24 S. Eric Robinson Play structure building panel
JP2002052110A (ja) * 2000-08-11 2002-02-19 Hakusan Kogyo Kk 可動式人工壁及びフリークライミング用装置
KR20070003270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지앤텔 코리아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1041A (en) * 1997-10-28 1999-08-24 S. Eric Robinson Play structure building panel
JP2002052110A (ja) * 2000-08-11 2002-02-19 Hakusan Kogyo Kk 可動式人工壁及びフリークライミング用装置
KR20070003270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지앤텔 코리아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86A (ko) 2019-04-11 2020-10-21 주수정 회전형 클라이밍 게임 시스템
US20210220688A1 (en) * 2020-01-20 2021-07-22 Activate Games Inc. Wall-Traversal Amusement Attraction
US11844995B2 (en) * 2020-01-20 2023-12-19 Activate Games Inc. Wall-traversal amusement att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196A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130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US8764575B1 (en) Trampoline arena
US20110263344A1 (en) Stand-on playset swing
WO2018151812A1 (en) Portable gym structure
WO2009098324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mpolines
US20150224354A1 (en) Waterfall pit trampoline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US20080108458A1 (en) Quick-Net Lacrosse Net
ES2504390T3 (es) Recubrimiento de piscinas
US5149086A (en) Poolside basketball game
KR101402933B1 (ko) 에어풀 겸용 에어트램펄린
KR200290587Y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KR100572932B1 (ko) 조립식 철제 침대
KR100760539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KR101341348B1 (ko) 수영장 수심조절용 안전마루
KR100501644B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KR20090116324A (ko) 암벽등반 구조물
KR100740316B1 (ko) 공동주택용 난간구조
KR100475485B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KR101998596B1 (ko) 조립식 스포츠 코트 블럭
KR200425754Y1 (ko) 공기주입식 골대
JP3120489U (ja) 組み立て式テント
KR200252107Y1 (ko) 공기주입식 수상 미끄럼틀
KR200324961Y1 (ko) 놀이시설물용 복합소재 바닥판
RU2212924C1 (ru) Игровая деревн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