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749Y1 - 트램폴린 - Google Patents

트램폴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749Y1
KR200375749Y1 KR20-2004-0023762U KR20040023762U KR200375749Y1 KR 200375749 Y1 KR200375749 Y1 KR 200375749Y1 KR 20040023762 U KR20040023762 U KR 20040023762U KR 200375749 Y1 KR200375749 Y1 KR 200375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mpoline
legs
base frame
coupling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도수
Original Assignee
류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도수 filed Critical 류도수
Priority to KR20-2004-0023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램폴린(Trampoline)에 관한 것으로 특히, 6개의 지지바를 6각형으로 결합시킨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 개의 스프링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캔버스와; 2개가 1조를 이루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바 결합부 저부에 결합수단을 통해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와; 인접된 한쌍의 다리 상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두개의 다리를 일체화시켜 주는 고정편으로 구성하되, 수 개의 수평 지지봉, 수직 지지봉, 보강봉, 결속부재, 안전망이 구비된 펜스, 지붕 높이 조절수단 및 6각 돔형 지붕을 선택적으로 부가 설치하여 이동성이 좋고, 분해 조립이 간단하며, 구조물 자체의 조립강도가 강하고, 안전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중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램폴린{Trampoline}
본 고안은 트램폴린(Trampolin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성이 좋고, 분해 조립이 간단하며, 구조물 자체의 조립강도가 강하고, 안전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중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고안한 조립식 트램폴린에 관한 것이다.
텀블링이라고도 불리우는 트램폴린은 캔버스 위에서 퉁퉁 튀어 오르면서 타는 점핑 운동기구로서, 운동과 동시에 하늘을 나는 듯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놀이시설이나 체육 운동시설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효과에 비해 경제적인 헬스 및 다이어트 기구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램폴린은 일반적으로 강철 프레임 안에 스프링으로 연결한 특수 합성수지의 켄버스 탄성을 이용한 도약용 운동기구로서 신체의 발달 뿐만 아니라 등, 배, 엉덩이를 상기 캔버스에 먼저 닿게하여 이 캔버스와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뛰어오를 수 있도록 하여 전신운동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미용체조로도 효과가 있고, 근래에 와서는 어린이들의 운동놀이기구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운동량도 상당히 많아서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램폴린은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는 고정식과, 분해 조립이 가능한 이동형 조립식이 있는데, 상기에 있어서 조립식으로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실1986-00000066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5894호 등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조립식 트램폴린은 그 프레임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자체도 분해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분해 조립에 따른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은 물론 이들을 분해하여 운반할 때 분해된 프레임 자체의 갯수가 적고 부피나 길이가 매우 커서 운반성이 좋지 못하고, 다리의 숫자가 적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다리가 하나의 봉으로 구성되어 있어 안전 및 안정성이 결여되며, 상방부가 트여 있어 야외에서 트램폴린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때 직사광선에 그대로 노출됨은 물론 우천시에는 트램폴린을 이용한 운동 자체를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을 육각형으로 형성시키되 이들은 각각 서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성이 좋고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바의 접촉부 상하부에는 2개가 1조를 이루는 다리와 안전망이 구비된 펜스를 설치하되 상기 다리와 펜스의 기둥들을 각각 고정편을 통해 상호 고정시켜 주어 구조물 자체의 조립강도가 강하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방부에는 조립식 돔형 지붕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운동중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시에도 운동할 수 있는 트램폴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6개의 지지바를 6각형으로 결합시킨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 개의 스프링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캔버스와; 2개가 1조를 이루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바 결합부 저부에 결합수단을 통해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와; 인접된 한쌍의 다리 상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두개의 다리를 일체화시켜 주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다리들의 저부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 개의 수평 지지봉과; 상기 수평 지지봉과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바들의 중간부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 개의 수직 지지봉을 선택적으로 부가 설치하고, 또 한쌍의 다리중 어느 일측 다리의 저부 내측과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저부에 설치된 결속부재 사이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 개의 보강봉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저부에 위치되어 일단부가 다리에 결합된 상기 보강봉들의 타단부들을 결합수단을 통해 일체로 결속시켜 주는 결속부재를 필요에 따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 기둥의 상하부에 수평봉을 설치하고 이들 기둥과 수평봉의 내측에는 수개의 안전망 걸림고리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이들 걸림고리에 안전망을 걸어 고정시켜서 된 6개의 펜스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바 상면부에 결합수단을 통해 분해 조립/가능하게 설치하되, 각 펜스들의 인접된 기둥들은 고정편과 스크류를 통해 상호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양측면부에 각각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형성된 6개의 삼각 지붕편을 상호 결합시켜 6각 돔의 형태를 갖는 지붕을 상기 펜스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되, 지붕의 중심부에는 지붕편들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지붕편의 일측부에는 걸림홈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 유입 방지편을 일체로 연장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펜스의 기둥 상단부에는 지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선택적으로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펜스의 기둥 상단부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 조절봉과; 상기 높이 조절봉의 상면에서 지붕편들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고정 설치되는 받침편과; 상기 펜스의 기둥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조절된 상기 높이 조절봉을 기둥상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모든 결합수단은 다리나 기둥 또는 각각의 봉들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결합봉과, 상기한 다리나 기둥 또는 각각의 봉들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 통해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결합봉의 외주면을 압입되는 형태를 갖는 고정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바는 "L"자 형상을 갖는 앵글을 사용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트램폴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트램폴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트램폴린 중 다리부의 분해 사시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 트램폴린 중 돔형 지붕의 분해 사시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 트램폴린의 베이스 프레임과 다리 및 펜스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고안 트램폴린 중 펜스와 높이 조절수단 및 지붕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단면이 "L"자 형상을 갖는 앵글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서 된 6개의 지지바(1a)를 상호 결합시켜 6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한 베이스 프레임(1)과; 기존의 트램폴린에서와 같이 수 개의 스프링(3)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한 캔버스(2)와; 원형봉을 일정 길이로 절단한 형태를 갖고 2개가 1조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지지바(1a) 결합부 저부에 결합수단(6)을 통해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4)와; 인접된 한쌍의 다리(4) 상하부에 스크류(5a)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두 다리(4)를 일체화시켜 주는 고정편(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지지바(1a)들 사이에 별도의 고정 또는 결합수단을 설치하지 않았으나, 고정편(5)과 스크류(5a)를 이용하여 각 쌍의 다리(4)들을 상호 결합시킴과 동시에 캔버스(2)의 탄력을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3)의 인장력에 의해 6각형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트램폴린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베이스 프레임(1)과 다리(4)들 사이의 결합력 및 강도가 약하여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 3과 같이 상기 다리(4)들의 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결합수단(6)을 통해 수 개의 수평 지지봉(7)을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상기 상기 수평 지지봉(7)과 베이스 프레임(1)을 구성하는 지지바(1a)들의 중간부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는 결합수단(6)을 통해 수 개의 수직 지지봉(8)을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다리(4)들과 베이스 프레임(1) 사이에 수 개의 수평 및 수직 지지봉(7)(8)을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다리들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의 결합력은 강화시킬 수 있으나, 본 고안 트램폴린을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므로써 강한 충격력이 베이스 프레임(1)을 통해 다리(4)들이 가해졌을 때 다리(4)들이 외측으로 벌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도 3과 같이 주연부에 결합수단(6)의 일부 구성품인 수 개의 결합봉(6a)이 일체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결속부재(9)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중심점 저부에 위치시키고, 한쌍의 다리(4)중 어느 일측 다리의 저부 내측에 설치된 결합봉(6a)과 상기 결속부재(9)의 결합봉(6a)들 사이에 수 개의 보강봉(10)을 각각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다리(4)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트램폴린을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경우 캔버스(2)와 스프링(3)의 탄력에 의해 공중으로 튕겨져 오른 사람이 트램폴린의 캔버스(2)로 떨어지지 않고 그 외측으로 떨어져 부상당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트램폴린에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와과 같이, 양측 기둥(12)의 상하부에 수평봉(13)을 설치하고 이들 기둥(12)과 수평봉(13)의 내측에는 수개의 안전망 걸림고리(11a)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상기 걸림고리(11a)들 사이에는 안전망(14)을 설치하여서 된 6개의 펜스(11)를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지지바(1a) 상면부에 결합수단(6)을 통해 분해 조립/가능하게 설치하되, 각 펜스(11)들의 인접된 기둥(12)들은 고정편(5)과 스크류(5a)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중 외측으로 떨어져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펜스(11)들 중 어느 하나의 펜스에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5)를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출입구(15)가 위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의 지지바(1a)상에는 계단(16)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일정 높이를 갖는 트램폴린의 캔버스(2)에 쉽게 오르 내릴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안전망(14)으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그물 망이나, 철망 또는 로프를 이용하여 직접 그물 형태로 망을 형성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펜스(11)의 상방부에 6각 돔형 지붕(17)을 분해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트램폴린을 이용한 운동 중 햇빛이 운동자에게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시에도 트램폴린을 이용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돔형 지붕(17)은 6개의 삼각 지붕편(171)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붕(17)의 중심부에는 고정부재(18)를 설치해 줌으로써 각각의 지붕편(171)들이 6각형의 돔 형상을 갖는 지붕의 형상을 유지한다.
또한, 각각의 지붕편(171) 양측면부에는 도 4와 같이, 각각 걸림홈(171a)과 걸림돌기(171b)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걸림돌기(171b)가 형성된 측의 지붕편(171)의 일측부에는 걸림홈(171a)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 유입 방지편(171c)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 6개의 지붕편(171)들을 상호 결합시키면 각각의 걸림홈(171a)에 인접된 지붕편(171)의 걸림돌기(171b)가 계속해서 끼워져 걸려지므로 주연부가 6각형을 이루는 돔형상의 지붕(17)이 형성됨은 물론 일측의 지붕편(171)에 형성된 걸림홈(171a)의 경계부가 인접된 지붕편(171)의 빗물 유입 방지편(171c)에 의해 덮혀져 걸림홈(171a)을 통한 빗물이 넘쳐 흘러 캔버스(2)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펜스(11)들의 상방부에 돔형 지붕(17)을 그대로 설치할 경우 캔버스(2)와 지붕(17) 사이의 높이가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트램폴린을 이용하여 점핑 운동을 실시하는 사람 중 비교적 높이 점핑을 실시할 경우 지붕(17)에 부딪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펜스(11)의 상단부에 높이 조절봉(19a)과 받침편(19b) 및 고정볼트(19c)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수단(19)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서 지붕(17)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6과 같이 기둥(12) 상단부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 조절봉(19a)과, 상기 높이 조절봉(19a)의 상면에서 지붕편(171)들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고정 설치되는 받침편(19b) 및 상기 펜스(11)의 기둥(12)에 형성된 결합공(12a)을 통해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조절된 상기 높이 조절봉(19a)을 기둥상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볼트(19c)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수단(19)을 상기 펜스(11)의 기둥(12)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트램폴린을 이용하여 점핑 운동을 실시하는 사람의 운동 능력 등에 부응하여 지붕(17)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 다리(4)나 기둥(12)을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각각의 봉들을 다리 또는 프레임 등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수단(6)은 공통적으로 다리나 기둥 또는 각각의 봉들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결합봉(6a)과, 상기한 다리나 기둥 또는 각각의 봉들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6c) 통해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결합봉(6a)의 외주면을 압입되는 고정볼트(6b)로 구성함으로써 드라이버만 있으면 본 고안의 트램폴린을 간단히 분해 및 조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을 육각형으로 형성시키되 이들은 각각 서로 조립시키지 않아도 그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성이 좋고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바의 접촉부 상하부에는 2개가 1조를 이루는 다리와 안전망이 구비된 펜스를 설치하되 상기 다리와 펜스의 기둥들을 각각 고정편을 통해 상호 고정시켜 줌으로써 구조물 자체의 조립강도가 강하여 안전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펜스의 상방부에는 조립식 돔형 지붕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운동중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시에도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트램폴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트램폴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트램폴린 중 다리부의 분해 사시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트램폴린 중 돔형 지붕의 분해 사시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트램폴린의 베이스 프레임과 다리 및 펜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트램폴린 중 펜스와 높이 조절수단 및 지붕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 프레임 2 : 캔버스
3 : 스프링 4 : 다리
5 : 고정편 6 : 결합수단
7 : 수평 지지봉 8 : 수직 지지봉
9 : 결속부재 10 : 보강봉
11 : 펜스 12 : 기둥
13 : 수평봉 14 : 안전망
15 : 출입구 16 : 계단
17 : 지붕 18 : 고정부재
19 : 높이 조절수단

Claims (6)

  1. 6개의 지지바를 6각형으로 결합시킨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 개의 스프링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캔버스와;
    2개가 1조를 이루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바 결합부 저부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와;
    인접된 한쌍의 다리 상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두개의 다리를 일체화시켜 주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들의 저부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지지봉과; 상기 수평 지지봉과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바들의 중간부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분해/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 지지봉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양측 기둥의 상하부에 수평봉을 설치하고, 이들 기둥과 수평봉의 내측에는 수개의 안전망 걸림고리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상기 걸림고리들 사이에는 안전망을 설치하여서 된 6개의 펜스를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바 상면부에 결합수단을 통해 분해 조립/가능하게 부가 설치하되, 각 펜스들의 인접된 기둥들은 고정편과 스크류를 통해 상호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다리나 기둥 또는 각각의 봉들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결합봉과, 상기한 다리나 기둥 또는 각각의 봉들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을 통해 결합되어 그 단부가 상기 결합봉의 외주면을 압입되는 형태를 갖는 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펜스의 상방부에는 양측면부에 각각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형성된 6개의 삼각 지붕편을 상호 결합시켜서 된 6각 돔의 형태를 갖는 지붕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 조절봉과; 상기 높이 조절봉의 상면에서 지붕편들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고정 설치되는 받침편과; 상기 펜스의 기둥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조절된 상기 높이 조절봉을 기둥상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수단을 상기 펜스의 기둥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KR20-2004-0023762U 2004-08-20 2004-08-20 트램폴린 KR200375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762U KR200375749Y1 (ko) 2004-08-20 2004-08-20 트램폴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762U KR200375749Y1 (ko) 2004-08-20 2004-08-20 트램폴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749Y1 true KR200375749Y1 (ko) 2005-03-10

Family

ID=4367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762U KR200375749Y1 (ko) 2004-08-20 2004-08-20 트램폴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7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47Y1 (ko) 2013-04-30 2014-06-19 리엔디자인 주식회사 트램폴린의 보호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47Y1 (ko) 2013-04-30 2014-06-19 리엔디자인 주식회사 트램폴린의 보호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762B2 (en) Modular play set
US9056215B2 (en) Half-pipe trampoline
US3601397A (en) Play center having table, swing, slide and gymnastic bars
US7331903B2 (en) Trampoline having a curved frame with better jumping characteristics
JP7153389B2 (ja) ネット遊具
KR200375749Y1 (ko) 트램폴린
KR101361807B1 (ko) 복합놀이기구
US4251069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KR101232865B1 (ko) 운동기구의 지지대
KR200325894Y1 (ko) 트램펄린
CN105715102A (zh) 一种体育场地用缓冲围栏
KR101220340B1 (ko) 헬스용 인공암벽
US20030096684A1 (en) Structure for practicing the acrobatic and ludic form of sport
KR100760539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DE202007000434U1 (de) Sportübungsgerät zur Durchführung von Stretching
RU53134U1 (ru) Детский спор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KR850003023Y1 (ko) 체력단련용 스카이네트
CN211705746U (zh) 带秋千的组合式木质幼儿拓展训练装置
KR101729452B1 (ko) 목재 펜스
CN205531659U (zh) 一种体育场地用缓冲围栏
KR200371027Y1 (ko) 조합놀이대
AU2021106655A4 (en) Trampoline
RU55610U1 (ru) Спортивно-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ранний старт"
RU64083U1 (ru) Дачный спор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варианты)
CN209679471U (zh) 搭建式板网球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