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442Y1 -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442Y1
KR200342442Y1 KR20-2003-0038070U KR20030038070U KR200342442Y1 KR 200342442 Y1 KR200342442 Y1 KR 200342442Y1 KR 20030038070 U KR20030038070 U KR 20030038070U KR 200342442 Y1 KR200342442 Y1 KR 200342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rame
hinged
link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20-2003-0038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문 헬스클럽을 이용하지 않고도 생활주변에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하고, 어깨관절의 유연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 하측에 배치된 제 1, 2연결봉과, 제 1연결봉 타단을 힌지점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일단이 축결합되고, 타단에 제 1힌지브라켓이 배치된 연결축과, 상기 제 1힌지브라켓의 타단양측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두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형성된 핸들과, 상기 제 1힌지브라켓에 상단이 힌지결합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하단에 배치된 제 2힌지브라켓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는 상기 링크브라켓과 힌지 결합된 제 1수평링크와, 상기 제 1수평링크 하측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링크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 2수평링크와, 상기 제 1, 2수평링크의 각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상단에 시이트가 마련된 시이트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문헬스클럽을 이용하지 않고도 아파트단지 또는 체육공원 등 우리의 생활주변에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하고, 어깨관절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CHAIR PULL TRAINING EQUIPMENT FOR UPPER BODY AND SHOULDER BRAWN STRENTHENING}
본 고안은 상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문헬스클럽을 이용하지 않고도, 아파트 또는 체육공원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형물로서 생활주변 환경과도 잘 어울리는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헬스클럽에 설치되는 운동기구(10)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프레임본체(11)의 일측 전방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착좌부(12)가 마련되며, 후방에는 다수의 무게추(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무게추(13)는 지지봉(13a)에 연결되며, 이 지지봉(13a)의 상단은 로우프 (14)와 연결되어 있다.
로우프(14)는 프레임본체(11) 상단에 배치된 롤러(15)를 타고, 전방에 수평으로 배치된 핸들(16)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봉(13a)에 무게추(13)를 소망하는 수량만큼 결합하고,핸들(16)을 하측으로 잡아 당겼다 놓는 동작을 반복하며 상체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는 실내의 헬스클럽에 국한되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초보자의 경우 다수개 마련된 무게추를 얼마만큼의 중량으로 하여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전문강사의 도움 없이는 운동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실, 내외 등의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생활주변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널리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남녀노소, 초보자 등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체육시설을 공급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자신의 몸무게를 이용하여 상체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운동효과는 극대화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기구로서뿐 아니라 조형물로서 생활주변의 환경과도 잘 어울리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 스스로의 몸무게를 이용하는 근력운동기구로서 상체 또는 어깨근력을 강화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체근력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어 풀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어 풀 운동기구의 각 힌지결합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 2 "A"선의 상세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방법과 작용을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체어 풀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운동기구 100;프레임본체
200,300;제 1, 2연결봉 310;링크브라켓
400;핸들 410;연결축
411;제 1힌지브라켓 500;수직봉
510;제 2힌지브라켓 600,700;제 1, 2수평링크
610,710;제 3힌지브라켓 800;시이트 프레임
810;시이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리므로서 상체 또는 어깨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동기구는 바닥에 배치,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방을 향해 소정높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양단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 상측에 배치된 제 1고정판에 일단이 장착되고, "ㄱ"자로 형성된 제 1연결봉과, 상기 본체 하단의 제 2고정판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에 링크브라켓이 배치된 제 2연결봉과, 상기 제 1연결봉 하단을 힌지점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일단이 축결합되고, 타단에 제 1힌지브라켓이 배치된 연결축과, 상기 제 1힌지브라켓의 타단양측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두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형성된 핸들과, 상기 제 1힌지브라켓에 상단이 힌지결합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하단에 배치된 제 2힌지브라켓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는 상기 링크브라켓과 힌지 결합된 제 1수평링크와, 상기 제 1수평링크 하측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링크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 2수평링크와, 상기 제 1, 2수평링크의 각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상단에 시이트가 마련된 시이트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는 각 모서리부에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마련된 덮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 수평프레임 각 결합부는 엘보우로 연결된다.
또한, 시이트 프레임은 상기 시이트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강하도록 원반형으로 형성된 시이트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2연결봉과 핸들과 수직봉, 제 1, 2수평링크와 시이트프레임은상기 프레임본체의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육을 강화하는 체어 풀 운동기구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어 풀 운동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어 풀 운동기구의 각 힌지결합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 2 "A"선의 상세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방법과 작용을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체어 풀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10)(이하, "운동기구"라 칭한다.)는 프레임 본체(100)와, 제 1, 2연결봉(200)(300)과, 핸들(400)과, 수직봉(500)과, 제 1, 2수평링크(600)(700), 시이트 프레임(800)을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00)는 베이스(110)와, 이 베이스(110)의 상측에 하단이 장착된 수직프레임(130)이 양측에 배치되고, 이 수직프레임(130)의 양 상단에 수평프레임 (150)이 수평으로 결합된다.
베이스(110)는 베이스 판(111)과 덮개(113)로 이루어지는데, 베이스 판(111)은 두꺼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각 모서리부에는 볼트홀(111a)이 다수 형성되는데, 이 볼트홀(111a)은 실외에 설치할 경우, 바닥과 고정할 수 있도록 공지의 앵커볼트(Anchor Bolt;미도시)를 끼우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판(111)의 상측면에 후술할 수직프레임(130) 하단이 장착되며, 상측에는 덮개(113)가 마련되는데, 덮개(113)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0)의 외형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판(111)의 상기 실시예는 실외용으로 사용할 경우를 예를 든 것으로, 앵커볼트를 시공할 수 없는 실내에서는 베이스 판(111)의 두께를 키우면 된다.
수직프레임(130)은 상기한 베이스 판(111)의 상면에 하단이 장착되며 양 상단에는 수평프레임(150)이 배치되는데, 이 수직, 수평프레임(150)이 결합되는 부위에도 엘보우(151)를 설치하면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직프레임(130)의 상, 하측에는 제 1, 2 고정판(131)(132)이 배치되어 후술하는 제 1, 2연결봉(200)(300) 각 일단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제 1, 2 고정판(131)(132)에 제 1, 2연결봉(200) (300)이 볼트결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용접결합해도 무방하다.
제 1, 2 고정판(131)(132) 사이에는 상황판(133)이 배치되어 있다.
상황판(133)은 얇은 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고, 양측은 상기한 수직프레임 (130)의 내측에 장착하는 것으로, 그 표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0)의 사용방법과 그에 따른 운동효과가 나타나는 신체부위를 표시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제 1연결봉(200)은 원형관(Round Pipe)을 "ㄱ"자 형태로 절곡한 것으로서, 상방향에 수평으로 배치된 일단에 플랜지(201)가 마련되어 상기한 제 1고정판(131)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타단은 하향하는 수직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1연결봉(200)의 하측에는 제 2연결봉(300)이 배치되는데, 이 제 2연결봉(300)의 일단에도 플랜지(301)가 배치되어 상기한 프레임본체(100) 하측에 배치된 제 2고정판(132)과 장착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링크브라켓(310)이 배치되어 있다.
링크브라켓(310)은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된 금속판이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 하 방향에 힌지핀(H)이 관통되어 후술하는 제 1, 2수평링크(600)(700)와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 1연결봉(200)의 하단에는 핸들(400)이 배치된다.
핸들(400)은 사용자가 두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 1연결봉(200)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연결축(410)을 포함한다.
연결축(410)은 제 1연결봉(200) 하단을 힌지점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타단에 배치된 제 1힌지브라켓(411)을 매개로 하여 핸들(400)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 1힌지브라켓(411)은 금속판을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절곡하였으며, 그 사이에 수직봉(500)의 상단이 배치되며, 이 제 1힌지브라켓(411)과 수직봉(500)의 상단을 힌지핀(H)이 관통하여 힌지결합된다.(이하, 힌지핀(H)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수직봉(500)의 하단에는 제 2힌지브라켓(510)이 마련되는데, 이 제 2힌지브라켓(500)에 후술하는 제 1수평링크(600)의 일단이 힌지결합된다.
제 1수평링크(6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봉(500) 하단에 배치된 제 2힌지브라켓(5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중간부분은 상기한 제 2연결봉(300) 단부에 배치된 링크브라켓(310)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제 1수평링크(600)의 하측에 제 2수평링크(700)가 마련되어 있다.
제 2수평링크(700)는 상기한 제 1수평링크(600) 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일단은 링크브라켓(310)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2수평링크(600)(700)의 타단에 나란히 배치된 제 3힌지브라켓(610)(710)은 시이트 프레임(800)의 상, 하측을 힌지결합한 형태로 되어 있다.
시이트 프레임(800)은 상단에 시이트(810)가 마련되어 운동하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앉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측에는 원반형의 시이트 지지판(820)이 장착되어 있다.
시이트 지지판(820)은 상기한 시이트(8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여 앉아 있는 사용자가 안정감 있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1수평링크(600) 일단의 거리(L1)와 타단의 거리(L2)는 비례한다. 다시 말해서 일단의 거리(L1)를 타단의 거리(L2)보다 길게 형성하면, 사용자가 들어 올릴 수 있는 무게는 자신의 체중보다 가볍게 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손쉽게 운동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0)의 작용과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시이트(810)에 앉아 상측에 마련된 핸들(400)을 양손으로 잡고, 하측으로 잡아 당기면, 핸들(400)과 제 1힌지브라켓 (411)을 매개로 연결된 연결축(410)이 제 1연결봉(200) 하단을 힌지점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제 1힌지브라켓(411)에 상단이 힌지결합된 수직봉(500)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수직봉(500)의 하단과 힌지결합된 제 1수평링크(600)의 일단이 하측으로 회동한다.
이때, 제 1수평링크(600)는 제 2연결봉(300) 단부에 마련된 링크브라켓(310)과 중간부분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시이트 프레임(800)과 힌지결합된 타단은 상측을 향해 회동하게 된다.
이 제 1수평링크(600)의 하측에 마련된 제 2수평링크(700)도 연동하며 상측방을 향해 회동하며 시이트(810)가 상단에 마련된 시이트 프레임(800)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을 대략 10~15회 정도 반복하면, 충분한 상체운동효과가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을 이용하여 상체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운동기구와 같이 별도로 무게추를 가감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0)의 제 1, 2연결봉(200)(300)과 핸들(400)과 수직봉(500), 제 1, 2수평링크(600)(700)와 시이트 프레임(800)이 프레임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그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얼마든지 용이하게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하여도 본 고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6 참조)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10)는 아파트 또는 체육공원 등의 장소에 설치하여도 생활주변환경과 잘 어울려 조형효과도 갖추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에 의하면, 실, 내외 등의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생활주변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널리 공급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수평링크의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자신의 몸무게를 손쉽게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운동기구로서뿐 아니라 생활주변의 환경과도 어울리는 조형물을 제공하여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생활하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려 상체 또는 어깨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바닥에 배치,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방을 향해 소정높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양단에 수평프레임이 설치된 프레임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배치된 제 1고정판에 일단이 장착되고, "ㄱ"자로 형성된 제 1연결봉과;
    상기 프레임 본체 하단의 제 2고정판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에 링크브라켓이 배치된 제 2연결봉과;
    상기 제 1연결봉 하단을 힌지점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일단이 축결합되고, 타단에 제 1힌지브라켓이 배치된 연결축과, 상기 제 1힌지브라켓의 타단양측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두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형성된 핸들과;
    상기 제 1힌지브라켓에 상단이 힌지결합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하단에 배치된 제 2힌지브라켓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는 상기 링크브라켓과 힌지 결합된 제 1수평링크와;
    상기 제 1수평링크 하측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링크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 2수평링크와;
    상기 제 1, 2수평링크의 각 타단에 배치된 제 3힌지브라켓에 상, 하부가 힌지결합되며 상단에 시이트가 마련된 시이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각 모서리부에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마련된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프레임 각 결합부는 엘보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프레임은 상기 시이트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강하도록 원반형으로 형성된 시이트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연결봉과 핸들과 수직봉, 제 1, 2수평링크와 시이트프레임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와 어깨 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KR20-2003-0038070U 2003-12-05 2003-12-05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KR200342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070U KR200342442Y1 (ko) 2003-12-05 2003-12-05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070U KR200342442Y1 (ko) 2003-12-05 2003-12-05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442Y1 true KR200342442Y1 (ko) 2004-02-21

Family

ID=4934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070U KR200342442Y1 (ko) 2003-12-05 2003-12-05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4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63B1 (ko) 2007-08-14 2008-09-11 조금제 체중 체감형 벤치 프레스
KR101301781B1 (ko) 2012-06-26 2013-08-29 이석종 상체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63B1 (ko) 2007-08-14 2008-09-11 조금제 체중 체감형 벤치 프레스
KR101301781B1 (ko) 2012-06-26 2013-08-29 이석종 상체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5926A (en) Weight lifting type exercising device
US20060258517A1 (en) Chair type exercise apparatus
KR200349183Y1 (ko)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CN201437027U (zh) 一种卧推训练健身器
KR200342442Y1 (ko)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체어 풀 운동기구
CN112843621A (zh) 一种用于臂部训练的拉伸锻炼装置
JP2023117405A (ja) 背中運動器具(exercise equipment for back)
KR200463740Y1 (ko) 실외용 쇼울더 기구
CN212998241U (zh) 一种单侧柜式拉力训练器
CN210409447U (zh) 武术锻炼用综合训练装置
CN212548166U (zh) 坐姿侧平举训练器
CN206473076U (zh) 一种座椅健身器
KR200374873Y1 (ko) 종합 헬스기
KR200344404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CN219128183U (zh) 一种智能辅助单双杠
KR100858363B1 (ko) 체중 체감형 벤치 프레스
KR200416280Y1 (ko) 상,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스텝퍼 운동기구
KR200342369Y1 (ko) 레그프레스 운동기구
KR200421999Y1 (ko)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462291Y1 (ko) 실외용 하이풀리 기구
JP3166907U (ja) 使用者の体重を利用したフィットネスマシン
CN2666493Y (zh) 俯卧撑健身器
KR20200053265A (ko) 신체운동기구
KR200453492Y1 (ko) 실외용 체스트 프레스 기구
KR200349182Y1 (ko) 옆구리 근육을 풀어주는 옆구리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