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999Y1 -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999Y1
KR200421999Y1 KR2020060012388U KR20060012388U KR200421999Y1 KR 200421999 Y1 KR200421999 Y1 KR 200421999Y1 KR 2020060012388 U KR2020060012388 U KR 2020060012388U KR 20060012388 U KR20060012388 U KR 20060012388U KR 200421999 Y1 KR200421999 Y1 KR 200421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chair
eccentric
lif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중근
Original Assignee
정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중근 filed Critical 정중근
Priority to KR2020060012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9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Abstract

본 고안은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석(着席)한 상태에서 이용자의 손힘으로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당기면 의자가 승강한 후 하강시 의자가 회전하도록 하는 운동기구로서, 운동자의 체중을 운동자의 손힘으로 들어올리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베이스(3) 상에 다수의 수직대(4)와 상기 수직대(4)가 견고하게 지지가 되도록 보강하는 가로대(5)를 갖는 프레임(6)을 형성하되 프레임(6)은 운동자가 상기 프레임(6) 중앙부분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 공간부(7)와, 상기 공간부(7)양단 프레임(6)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8)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8)에 각각 편심회동하는 편심부(10)를 갖는 회전축(11)이 회동 되도록 끼워지는 편심장치(12)와:
상기 편심장치(12)의 편심부(10)에 가로로 설치된 회동봉(13)과;
상기 회동봉(13)상에 상기 회동봉(13)이 회동 되도록 끼워진 제 3베어링하우징(14)과
상기 제 3베어링하우징(14)에 운동자가 앉을 수 있도록 고정되는 운동의자(15)와;
상기 회동봉(13)뒷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운동의자(15)를 들어올리는 가로봉(16)과:
상기 가로봉(16)양단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끼움 되는 승강봉(17)과; 상기 승강봉(17) 상단에 힌지축(18)으로 결합한 작동장치(20)가 연결되되 상기 작동장치(20)는 상기 승강봉(17)을 승강하는 승강대(22)와 상기 승강대(22)와 연결되고 프레임(6) 상측 양단에 제 2힌지축(23)으로 결합하며, 운동자의 손잡이(24)가 형성된 작동간(21)을 갖는 상기 작동장치(20)로 구성된다.
프레임, 운동의자, 승강대, 작동장치, 편심장치.

Description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Sport outfit}
제 1도는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사시도
제 1도의 확대부는 운동의자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제 2도는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원의 실시 예로서 운동자가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앞뒤로 왕복운동 할 경우 의자가 실시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로서
제 3도의 가)는 운동 전 상태이며
제 3도의 나)는 운동을 하는 자가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운동자의 몸쪽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이고
제 3도의 다)는 운동을 하는 자가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운동자의 몸쪽으로 당긴 후 당김을 해제하기 전 상태이다.
제 3도의 라)는 운동을 하는 자가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운동자의 몸쪽으로 당김 후 당김을 해제한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베이스 4, 수직대
5, 가로대 6, 프레임
7, 공간부 8, 베어링하우징
10, 편심부 11, 회전축
12, 편심장치 13, 회동봉
14, 제 3베어링부 15, 운동의자
16, 가로봉 17, 승강봉
18, 힌지축 20, 작동장치
21, 작동간 22, 승강대
23, 제 2힌지축 24, 손잡이
25, 발판
본 고안은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석(着席)한 상태에서 이용자의 손힘으로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당기면 의자가 승강한 후 하강시 의자가 회전하도록 하는 운동기구로 운동자의 체중을 운동자의 손힘으로 들어올리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으로 분류된다. 유산소 운동은 걷기 운동이나 조깅을 통해 이루어지고 근력운동은 아령이나 덤벨 등과 같이 소정의 무게가 나가는 운동도구를 올리고 내리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루어져 왔다.
그래서 근력운동은 유산소 운동에 비해 시간당 소비되는 운동량이 많아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그 결과 짧은 시간에 싫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또한, 근력운동은 많은 힘이 들어간다는 문제 때문에 성인 남성들이 주로하고 여성이나 어린 아이들은 근력운동을 하는 것에 소극적이다.
그래서, 종래의 운동기구는 여성과 어린 아이들도 같이 즐길 수 있는 운동기구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근력운동기구는 소정의 무게가 나가는 도구가 포함되어 적당치 않은 무게로 인하여 몸에 무리가 가고 그 결과 몸에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아령이나 덤벨과 같이 상당한 무게가 나가는 도구 때문에 운반을 할 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자신의 몸무게를 이용하여 근력운동을 하여 몸에 무리가 가지 않게 운동을 하고 또한 여성과 아이들도 즐겁게 운동할 수 있는 몸무게를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그 목적에 따른 간단한 구성은 의자에 착석(着席)한 상태에서 이용자의 손힘으로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당기면 의자가 승강한 후 하강시 의자가 회전하도록 하는 운동기구로 운동자의 체중을 운동자의 손힘으로 들어올리는 구성이다.
도 1은 본원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제 1도의 분해사시도이며, 제 3도는 본원의 실시 예로서 운동자가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앞뒤로 왕복운동 할 경우 의자가 실시되는 고정을 보인 사시도로서,
제 3도의 가)는 운동 전 상태이며, 제 3도의 나)는 운동을 하는 자가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운동자의 몸쪽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이고,
제 3도의 다)는 운동을 하는 자가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운동자의 몸쪽으로 당긴 후 당김을 해제하기 전 상태이다.
제 3도의 라)는 운동을 하는 자가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운동자의 몸쪽으로 당김 후 당김을 해제한 상태이다.
베이스(3) 상에 다수의 수직대(4)와 상기 수직대(4)가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보강하는 가로대(5)를 갖는 프레임(6)을 형성하되 프레임(6)은 운동자가 상기 프레임(6) 중앙부분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 공간부(7)와 상기 공간부(7) 양 단 프레임(6)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8)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8)에 각각 편심회동 하는 편심부(10)를 갖는 회전축(11)이 회동 되도록 끼워지는 편심장치(12)와:
상기 편심장치(12)의 편심부(10)에 가로로 설치된 회동봉(13)과;
상기 회동봉(13)상에 상기 회동봉(13)이 회동 되도록 끼워진 제 3베어링하우징(14)과
상기 제 3베어링하우징(14)에 운동자가 앉을 수 있도록 고정되는 운동의 자(15)와;
상기 회동봉(13) 뒷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운동의자(15)를 들어올리는 가로봉(16)과:
상기 가로봉(16) 양단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끼움 되는 승강봉(17)과; 상기 승강봉(17) 상단에 힌지축(18)으로 결합한 작동장치(20)가 연결되되, 상기 작동장치(20)는 상기 승강봉(17)을 승강하는 승강대(22)와 상기 승강대(22)와 연결되고 프레임(6) 상측 양단에 제 2힌지축(23)으로 결합하며 운동자의 손잡이(24)가 형성된 작동간(21)을 갖는 상기 작동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6)의 운동의자(15) 앞쪽으로 운동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는 발판(25)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
베이스(3)와 수직대(4)와 가로대(5)로 이루어지는 프레임(6)은 운동자가 중앙부분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공간부(7)가 형성된다. 그 후 공간부(7)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8)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8)에 각각 편심부(10)를 갖는 회전축(11)이 회동 되도록 끼워지는 편심장치(12)와:
상기 편심장치(12)의 양 편심부(10)에 가로로 설치된 회동봉(13)과;
상기 회동봉(13)이 회동 되도록 끼워진 제 3베어링하우징(14)과
상기 제 3베어링하우징(14)에 운동자가 앉을 수 있도록 고정되는 운동의 자(15)와;
상기 회동봉(13) 뒷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운동의자(15)를 들어올리는 가로봉(16)과:
상기 가로봉(16) 양단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끼움 되는 승강봉(17)과; 상기 양 승강봉(17) 상단에 힌지축(18)으로 결합한 작동장치(20)가 연결되되, 상기 작동장치(20)는 승강봉(17)을 승강하는 승강대(22)와 상기 승강대(22)와 연결되고 프레임(6) 상측 양단에 제 2힌지축(23)으로 결합하며 운동자의 손잡이(24)가 형성된 작동간(21)을 갖는 구성이다.
그리고 운동의자(15) 앞쪽으로 운동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는 발판(25)이 프레임 앞쪽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운동의자(15)에 운동자가 착석한 후 노(爐)를 잡듯이 작동장치(20)의 손잡이(24)를 양손으로 잡는다, 이 상태는 운동 전 상태로서 도시한 제 3도의 가)와 같이 편심장치(12)의 편심부(10)가 회동봉(13)에 결합한 의자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향하게 된다, 물론 운동자가 착석한 경우도 아래로 향하게 된다.
그 후 도시한 제 3도의 나)와 같이 운동을 하는 자가 손잡이(24)를 잡고서 운동자의 몸쪽으로 손잡이(24)를 당기게 되면 작동장치(20)의 승강대(22)가 제 2힌지축(23)을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대(22) 끝단에 힌지축(18)과 결합한 승강봉(17) 또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봉(17)은 회동봉(13) 뒷부분에 위치되어 운동의자(15)를 승강하는 가로봉(16)을 들어올리므로 운동의자(15)는 운동자와 함께 승강하고 이때 회전봉(13)과 연결된 편심부(10)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진행한다.
그 후 계속해서 손잡이(24)를 운동자의 몸쪽으로 당기게 되면 도시한 제 3도의 다)와 같이 편심장치(12)의 편심부(10)가 상측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몸쪽으로 당겼던 손잡이의 당김을 해제하면 도시한 제 3도의 라)와 같이 편심부(10)가 360도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동작과정은 작동장치(20)의 손잡이(24)를 몸쪽으로 당겼다 놓았다를 반복하게 되면 편심부(10)가 360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360도 회전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연습을 요구한다. 즉 초보자는 360도 회전하기가 쉽지않다.
그러나 어느 정도 연습을 하게 되면 반복에서 360도 회전함으로 즐거운 운동이 되는 것이다.
1) 작동장치의 손잡이를 노(爐)젓듯이 왕복운동만으로 운동자가 편심장치()에 의해 회전함으로 즐거움을 느낀다. 따라서 운동이 지루하지 않다.
2) 운동자가 운동자의 팔힘으로 운동자를 들어올리므로 운동자의 몸무게를 느낄 수 있어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무게가 무겁다고 생각될 경우 좀더 많은 운동시간을 갖게 된다.
3) 본원의 작동장치는 지뢰대의 원리를 가지고 있어 어린이들이 지뢰대의 원리를 이해하는 등 과학적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베이스(3) 상에 다수의 수직대(4)와 상기 수직대(4)가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보강하는 가로대(5)를 갖는 프레임(6)을 형성하되 프레임(6)은 운동자가 상기 프레임(6) 중앙부분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 공간부(7)와 상기 공간부(7) 양단 프레임(6)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8)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하우징(8)에 각각 편심회동 하는 편심부(10)를 갖는 회전축(11)이 회동 되도록 끼워지는 편심장치(12)와:
    상기 편심장치(12)의 편심부(10)에 가로로 설치된 회동봉(13)과;
    상기 회동봉(13) 상에 상기 회동봉(13)이 회동 되도록 끼워진 제 3베어링하우징(14)과
    상기 제 3베어링하우징(14)에 운동자가 앉을 수 있도록 고정되는 운동의자(15)와;
    상기 회동봉(13) 뒷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운동의자(15)를 들어올리는 가로봉(16)과:
    상기 가로봉(16) 양단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끼움 되는 승강봉(17)과; 상기 승강봉(17) 상단에 힌지축(18)으로 결합한 작동장치(20)가 연결되되 상기 작동장치(20)는 상기 승강봉(17)을 승강하는 승강대(22)와 상기 승강대(22)와 연결되고 프레임(6) 상측 양단에 제 2힌지축(23)으로 결합하며 운동자의 손잡이(24)가 형성된 작동간(21)을 갖는 상기 작동장치(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체 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의 운동의자(15) 앞쪽으로 운동자의 발을 올려둘 수 있는 발판(25)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20060012388U 2006-05-10 2006-05-10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421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388U KR200421999Y1 (ko) 2006-05-10 2006-05-10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388U KR200421999Y1 (ko) 2006-05-10 2006-05-10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999Y1 true KR200421999Y1 (ko) 2006-07-20

Family

ID=4177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388U KR200421999Y1 (ko) 2006-05-10 2006-05-10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9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95B1 (ko) * 2007-08-14 2010-01-28 조금제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KR20220078072A (ko) * 2020-12-03 2022-06-10 김세호 다기능 복합운동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95B1 (ko) * 2007-08-14 2010-01-28 조금제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KR20220078072A (ko) * 2020-12-03 2022-06-10 김세호 다기능 복합운동기기
KR102463788B1 (ko) 2020-12-03 2022-11-03 김세호 다기능 복합운동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990B1 (en) Jumping jack exercise machine
TWI401103B (zh) Sports device
KR200393342Y1 (ko) 벤치 프레스형 공용 운동기구
KR200421999Y1 (ko)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JPH09173499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CN207187045U (zh) 一种用于运动、娱乐和vr游戏或体验的环形悬挂装置
KR200463740Y1 (ko) 실외용 쇼울더 기구
KR100783664B1 (ko) 물구나무 운동 보조기구
CN107970571A (zh) 一种体育锻炼教学用下腰辅助装置
CN113426064A (zh) 一种安全稳定的多功能幼儿体能练习装置及其工作方式
KR100939095B1 (ko)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KR200416280Y1 (ko) 상,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스텝퍼 운동기구
CN101637644B (zh) 健身设备
KR102434901B1 (ko) 노젓기
KR200322633Y1 (ko) 신체 운동기구
KR102434907B1 (ko) 아령 들어올리기
KR101549450B1 (ko) 체중을 이용한 상체 운동기구
KR200453492Y1 (ko) 실외용 체스트 프레스 기구
CN219963859U (zh) 一种划船高位下拉一体机
CN218793747U (zh) 一种多功能腿部锻炼设备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CN213527321U (zh) 一种力臂变化的腿部训练机
CN211611452U (zh) 箱体折叠锻炼器
CN211383672U (zh) 一种家用综合训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