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937B1 - 역기 들어올리기 - Google Patents

역기 들어올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937B1
KR102434937B1 KR1020210180397A KR20210180397A KR102434937B1 KR 102434937 B1 KR102434937 B1 KR 102434937B1 KR 1020210180397 A KR1020210180397 A KR 1020210180397A KR 20210180397 A KR20210180397 A KR 20210180397A KR 102434937 B1 KR102434937 B1 KR 10243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portion
handle
lifting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
Priority to KR102021018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역기 들어올리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에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서 연결된 연결대의 단부가 각각 축 연결된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편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 프레임부상에 본체 프레임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운동자가 자신의 체중과 대응되는 가압력으로 핸들 프레임부를 통해 역기 들어올리는 동작을 구현하면 발받침대가 연동되면서 효율적으로 운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역기 들어올리기 {BARBELL LIFTING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역기 들어올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등에 설치되며, 역기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운동자 자신의 몸을 들어올리면서 운동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야외에 설치하여 손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가 널리 개발되어 있다.
종래,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는 역기 들어올리기용 운동기구, 자전거타기 운동기구, 상체 운동기구, 파도타기 운동기구, 런닝 운동기구 등 여러 가지의 운동기구가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역기 들어올리기용 운동기구는 베이스부재의 중앙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지주부재를 고정 설치하며, 좌대에 장치된 노가 전후로 작동되는 역기 들어올리기운동구를 지주부재의 좌우 측에 각각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체 운동기구 중 역기 올리기 운동기구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2700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팔로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운동하게 되므로 운동 효율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27002호(2006.09.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역기를 반복적으로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통해 운동자 자신의 몸을 들어올리면서 운동 가능한 역기 들어올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기 들어올리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에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서 연결된 연결대의 단부가 각각 축 연결된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편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편은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회전시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단부가 회전 기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은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단부가 연결된 축 중심과 상기 연결대의 단부가 연결된 축 중심 거리보다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단부가 연결된 축 중심과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고정된 단부 중심 거리가 더 긴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직립 상태의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는 상기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정지프레임이 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안착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에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서 연결된 연결대의 단부가 각각 축 연결된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편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프레임부는 상기 발받침대에 올라간 운동자가 팔을 내려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역기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직립 상태의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는 상기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정지프레임이 횡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정지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향 회전시 상기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의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전면이 상기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의 외측면을 받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 프레임부상에 본체 프레임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운동자가 자신의 체중과 대응되는 가압력으로 핸들 프레임부를 통해 역기 들어올리는 동작을 구현하면 발받침대가 연동되면서 효율적으로 운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기 들어올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역기 들어올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역기 들어올리기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역기 들어올리기에서 연결대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기 들어올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기 들어올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역기 들어올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역기 들어올리기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역기 들어올리기에서 연결대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기 들어올리기(100)는 기초 프레임부(110), 본체 프레임부(120), 발받침대(130) 및 핸들 프레임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프레임부(110) 및 핸들 프레임부(140)는 원형파이프 구조로 구비되고, 본체 프레임부(120)는 사각파이프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가능하다.
기초 프레임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직립 상태로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과,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상단에서 후방 수직프레임(114)의 측면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결된 연결프레임(112b) 및 후방 수직프레임(114)의 외면에 본체 프레임부(120)의 직립된 하강위치 제한프레임(124)을 받치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된 정지프레임(114b)을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112b)은 양측에 직립된 보강부가 각각 구비되어 휘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정지프레임(114b)은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에 위치되는 발받침대(130)에 탑승한 운동자의 체중에 의해 하강위치 제한프레임(124)이 전방으로 휘어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정지프레임(114b)은 본체 프레임부(120)의 하향 회전시 전면이 하강위치 제한프레임(124)의 외측면에 닿거나 이격되도록 구비 가능하다.
더욱이, 기초 프레임부(110)는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의 하부에 설치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 가능하도록 제1, 2 고정구(112a, 114a)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후방 수직프레임(114)은 정지프레임(114b)의 상측에 한 쌍의 판상 구조를 갖는 제1 지지대(1150)가 고정되어, 제1 지지대(1150)와 본체 프레임부(120)에 구비된 한 쌍의 판상 구조를 갖는 제2 지지대(1240)와의 대향면에 상하 복수의 연결프레임(1242)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즉, 연결프레임(1242)은 본체 프레임부(120)가 기초 프레임부(110)의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지지대(1150)와 제2 지지대(1240)를 횡축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후방 수직프레임(114)은 상단이 원호 형상으로 갖도록 180°로 굽힘 형성되어 끝단부에 연결편(1140)이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편(1140)은 한 쌍의 삼각 형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후방 수직프레임(114)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횡축에 의해 연결되어 핸들 프레임부(140)의 회전시 회전 기점이 되고, 전방에 핸들 프레임부(140)의 단부가 각각 대칭 고정되며, 후방에 본체 프레임부(120)에 연결된 연결대(1120)의 상단이 횡축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연결편(1140)은 기초 프레임부(110)의 후방 수직프레임(114) 상측 끝단부에 연결된 축 중심에서 연결대(1120)의 상단이 연결된 축 중심 거리보다 후방 수직프레임(114) 상측 끝단부에 연결된 축 중심에서 핸들 프레임부(140)의 고정된 단부 중심 거리가 더 긴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 프레임부(140)의 상향 회전 각도가 작아도 연결대(1120)의 상승 높이가 크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대(1120)는 상부 연결대(1122)와 하부 연결대(1124)로 분할 형성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연결대(1120)가 상부 연결대(1122)와 하부 연결대(1124)로 분할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상부 연결대(1122)의 하단과 하부 연결대(1124)의 상단에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부 연결대(1122)와 하부 연결대(1124)의 나선돌기에 나선 체결되며, 내주면 양단의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홀을 형성한 회전부(1226)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부(1226)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1226)의 양단에 나선 체결된 상부 연결대(1122)와 하부 연결대(1124)의 간격이 줄거나 넓어진다.
더욱이, 상부 연결대(1122)와 하부 연결대(1124)에는 대향된 단부가 회전부(1226)에 나선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회전부(1226)의 상하면에 밀착 체결된 제1, 2 풀림방지부(1228, 1230)가 구비된다.
이때, 제1, 2 풀림방지부(1228, 1230)는 나선홀이 각각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상부 연결대(1122)의 나선돌기를 회전부(1226)의 전면에 고정시키고, 하부 연결대(1124)의 나선돌기를 회전부(1226)의 후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체 프레임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
Figure 112021145886043-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초 프레임부(110) 중 후방 수직프레임(114)의 후면 하측에 위치된 제1 지지대(1150)에 구비된 연결프레임(1242)에 의해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를 위해 하강위치 제한프레임(124)의 전방에 제2 지지대(1240)가 구비된다.
더욱이, 본체 프레임부(120)는 하강위치 제한프레임(124)의 후방에 수평 프레임(122)이 연장되고 수평 프레임(122)의 단부에 연결된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발판 지지프레임(126)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수평 프레임(122)은 도중에 연장프레임(1120)이 구비되어, 연장프레임(1120)에 연결편(1140)의 후방과의 사이에 링크 연결된 연결대(11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받침대(130)는 발판 지지프레임(126)의 양측에 구비되어, 탑승한 운동자의 양 발이 놓이게 된다.
핸들 프레임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1140)의 전방 양측에 대향된 양단이 고정되어 평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 형상은 절곡 형성되며, 단부 대향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42)가 구비된다.
이때, 핸들 프레임부(140)는 운동자가 팔을 내린 상태에서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손잡이(142)를 파지한 상태에서 역기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반복적은 동작을 통해 팔 및 어깨 등의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핸들 프레임부(140)는 회전하기 전에는 연결편(1140)의 상부에 고정된 후방 수직프레임(114)과의 연결 기점과, 연결편(1140)의 후방에 고정된 연결대(1120)의 상부 연결 기점의 높이차가 있도록 위치되지만, 상향 회전 후에는 연결편(1140)이 연동되면서 후방 수직프레임(114)과의 연결 기점과, 연결편(1140)의 후방에 고정된 연결대(1120)의 상부 연결 기점의 높이가 거의 같거나 크도록 위치됨으로써 본체 프레임부(120)가 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역기 들어올리기(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자가 발받침대(130)에 양 발(F)이 놓여지도록 올라가면 운동자의 체중에 의해 본체 프레임부(120)가 기초 프레임부(110)에서 하향 회전된다.
다음으로, 운동자의 손(H)을 핸들 프레임부(140)의 손잡이(142)를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역기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취하게 되면 핸들 프레임부(140)가 연결편(1140)을 상향 회전시키면서 연결편(1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대(1120)가 위로 상승하게 된다.
즉, 핸들 프레임부(140)의 상향 회전시 기초 프레임부(110)의 후방 수직프레임(114) 상측 끝단부에 연결된 축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된 연결대(1120)의 상부 연결 기점이 기초 프레임부(110)의 후방 수직프레임(114) 상측 끝단부에 연결된 축 중심과 동일하거나 높은 위치에 구비되면서 연결대(1120)의 하부가 본체 프레임부(120)를 상승시켜 본체 프레임부(120)가 들리게 되면서 발받침대(130)에 탑승한 운동자를 들어올리게 된다.
다음으로, 핸들 프레임부(140)를 반대 방향으로 하향 회전시키면 연결편(1140)에 지지된 연결대(1120)가 하강하면서 발받침대(130)에 탑승한 운동자를 내려놓게 된다.
다음으로, 운동 종료시 핸들 프레임부(140)를 하향 회전시키면 본체 프레임부(120)가 연동되다가 하강위치 제한프레임(124)이 지면에 닿으면서 본체 프레임부(120)의 하강 위치가 제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역기 들어올리기
110: 기초 프레임부
120: 본체 프레임부
130: 발받침대
140: 핸들 프레임부

Claims (4)

  1. 설치면에 안착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단부에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및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서 연결된 연결대의 단부가 각각 축 연결된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편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프레임부는 상기 발받침대에 올라간 운동자가 팔을 내려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역기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부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직립 상태의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는 상기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정지프레임이 횡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정지프레임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향 회전시 상기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의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전면이 상기 하강위치 제한프레임의 외측면을 받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 들어올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회전시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단부가 회전 기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 들어올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단부가 연결된 축 중심과 상기 연결대의 단부가 연결된 축 중심 거리보다 상기 기초 프레임부의 단부가 연결된 축 중심과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고정된 단부 중심 거리가 더 긴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기 들어올리기.
  4. 삭제
KR1020210180397A 2021-12-16 2021-12-16 역기 들어올리기 KR10243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97A KR102434937B1 (ko) 2021-12-16 2021-12-16 역기 들어올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97A KR102434937B1 (ko) 2021-12-16 2021-12-16 역기 들어올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937B1 true KR102434937B1 (ko) 2022-08-22

Family

ID=8310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397A KR102434937B1 (ko) 2021-12-16 2021-12-16 역기 들어올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9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02B1 (ko) 1999-08-18 2004-04-13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화학 기계 연마용 수계 분산체
KR200349183Y1 (ko) * 2003-11-24 2004-05-04 (주)디자인파크개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KR100858364B1 (ko) * 2007-08-14 2008-09-11 조금제 체중 체감형 벤치 프레스
US7938760B1 (en) * 2008-10-17 2011-05-10 Hoist Fitness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with lifting arm
KR101475373B1 (ko) * 2013-10-04 2014-12-30 프로테우스(주) 역기형 야외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02B1 (ko) 1999-08-18 2004-04-13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화학 기계 연마용 수계 분산체
KR200349183Y1 (ko) * 2003-11-24 2004-05-04 (주)디자인파크개발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KR100858364B1 (ko) * 2007-08-14 2008-09-11 조금제 체중 체감형 벤치 프레스
US7938760B1 (en) * 2008-10-17 2011-05-10 Hoist Fitness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with lifting arm
KR101475373B1 (ko) * 2013-10-04 2014-12-30 프로테우스(주) 역기형 야외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0013A (en) Exercise machine
US6220990B1 (en) Jumping jack exercise machine
CN1561247A (zh) 把手组件
US20050070403A1 (en) Balanced type stepper
KR102434937B1 (ko) 역기 들어올리기
US20090054210A1 (en) Station for Gymnastics in Water
KR102522850B1 (ko) 역기 운동장치
US10471300B2 (en) Elliptical trainer
CN207356487U (zh) 体能训练机
GB2446947A (en) Gymnastic exercise apparatus
KR102434939B1 (ko) 벤치프레스
KR102150353B1 (ko) 다변형 자전거 운동기구
KR102459992B1 (ko) 거꾸리 운동장치
KR20060100018A (ko) 종아리 스트레칭 겸용 허리회전 운동기구
CN209917125U (zh) 一种多功能体育体能训练装置
TWI626073B (zh) Sports Equipment
KR200487923Y1 (ko) 복합 헬스기구
KR102434920B1 (ko) 계단 오르기
KR100584788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2361660B1 (ko) 외팔형 철봉
CN214286539U (zh) 多功能的健身器械
CN220860581U (zh) 一种硬拉训练器
CN210302260U (zh) 一种攀爬健身器
KR102681520B1 (ko) 근육 강화용 운동장치
CN212235851U (zh) 一种便于调节训练难度的引体向上基础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