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618B1 -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618B1
KR101514618B1 KR1020140190874A KR20140190874A KR101514618B1 KR 101514618 B1 KR101514618 B1 KR 101514618B1 KR 1020140190874 A KR1020140190874 A KR 1020140190874A KR 20140190874 A KR20140190874 A KR 20140190874A KR 101514618 B1 KR101514618 B1 KR 10151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interlocking
unit
accommodating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0539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146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더
Priority to KR102014019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위치 이동되는 요동부에 의해 운동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요동판, 상기 요동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요동판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상기 요동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수용부를 지지하는 제1 수용부장착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수용부를 지지하는 제2 수용부장착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동회전부; 및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요동부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연동회전부와 상기 요동부를 연결시키는 연동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Driving device and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승마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운동 효과를 구현하도록 하는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승마는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사용하게 되어 운동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동물과의 유대감을 증대시키고, 야외에서 행해진다는 점에서 많은 흥미를 유발시킨다.
또한,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승마를 하게 되면 올바른 자세를 위해 상체를 곧게 세우게 되고, 이로 인해 상체가 바르게 교정되며, 반복된 요동 운동으로 허리가 유연해지고 튼튼해지며, 달리기의 효과를 주어 폐활량이 늘어나고, 전신에 긴장감과 운동감을 주며 특히, 장 기능 및 골반이 강화되며 신체 각 부분의 평형감각과 유연성이 길러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신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를 하기 위해서는 승마장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필요로 하며,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실제로 승마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승마의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승마를 즐길 수 있으며,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 운동 기구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승마 운동 기구는 대부분 안장의 운동을 위해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고장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이 고가라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부하가 크게 걸리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모터 구동력의 효율성 저하라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승마 운동 기구는 안장의 이동 방향의 단순화로 인해 실제 승마를 하는 느낌을 가질 수 없고 운동 효과도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장의 이동 방향을 다양화하여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운동 효과를 구현토록 하는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로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위치 이동되는 요동부에 의해 운동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요동판, 상기 요동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요동판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상기 요동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수용부를 지지하는 제1 수용부장착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수용부를 지지하는 제2 수용부장착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동회전부; 및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요동부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연동회전부와 상기 요동부를 연결시키는 연동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상기 연동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상기 연동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각각 상기 제1 수용부장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상기 연동연결부는,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기초하여 일측 및 타측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상기 요동부는,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상기 요동판에 연결하는 레그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연결부는, 상기 레그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상기 연동회전부는, 상기 연동연결부의 일측을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연동연결부의 타측을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연결부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은,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수용된 채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는, 상기 연동회전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함입부에 수용된 상기 연동연결부의 일측의 분리를 방지하는 일측분리방지부; 및 상기 레그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함입부에 수용된 상기 연동연결부의 타측의 분리를 방지하는 타측분리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의 상기 연동연결부는, 일측 및 타측 각각이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수용된 채 회전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구 및 제2 회전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구와 상기 제2 회전구를 서로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구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는, 구동 장치; 및 상기 요동판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석을 위한 자리를 제공하며, 위치 이동되는 상기 요동판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운동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안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에 의하면, 안장의 이동 방향을 다양화하여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운동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조의 단수화로 인하여 내구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부하를 최소화하여 구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실내 운동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와 외관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전후 및상하 방향으로 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회전 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회전 운동되는 과정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좌우 방향으로 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좌우 방향으로 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와 외관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1)는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운동 효과를 내는 운동 기구로, 구동 장치(100), 상기 구동 장치(100)가 설치되는 외관부(10), 상기 구동 장치(100)에 의해 다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안장부(20), 손잡이부(30), 기둥부(40), 받침부(50) 및 조작패널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관부(10)는 말의 몸통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구동 장치(100)가 실장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안장부(20)는 상기 외관부(10)의 상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고 다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요동부(110)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운동 효과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는 일종의 고삐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 외관부(10) 또는 안장부(2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를 잡고 승마 운동을 할 수 있어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또한, 기둥부(40)는 상기 외관부(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으며, 받침부(50)는 상기 기둥부(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면과 접촉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1)를 지지할 수 있고, 조작패널부(60)는 안장부(2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1)에 제공되는 구동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위치 이동되는 요동부(110)에 의해 승마 운동의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안장부(20)가 장착되는 상기 요동부(110)는 전후 방향(X), 상하 방향(Z), 회전 방향(R) 및 좌우 방향(Y)으로 동시에 위치 이동되어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요동부(110)가 전후 방향(X), 상하 방향(Z), 회전 방향(R) 및 좌우 방향(Y)으로 동시에 위치 이동될 수 있으나, 어느 한 방향, 두 방향 또는 세 방향으로만 위치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요동부(11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요동부(110),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120),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130), 상기 요동부(110)가 장착되는 제1 수용부장착부(140) 및 제2 수용부장착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동부(110)는 요동판(112), 상기 요동판(112)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수용공간(S1)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114) 및 상기 요동판(112)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수용공간(S2)을 구비하는 제2 수용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부(110)는 상기 제1 수용부(114) 및 상기 제2 수용부(116)을 상기 요동판(112)에 연결하는 레그(11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요동판(11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장부(20)가 장착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요동판(112)의 위치 이동에 의해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부(2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정의 면적을 제공하는 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레그(118)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강성 확보를 위해 격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력제공부(120)는 요동부(11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일종의 모터로, 상기 구동력제공부(12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은 웜(122)과 헬리컬기어와 유사한 웜휠(124)을 포함하는 웜기어에 의해 회전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웜휠(124)은 원동기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헬리컬 기어의 특성 상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130)는 상기 웜휠(1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웜휠(124)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일종의 회전축일 수 있다.
제1 수용부장착부(140)는 상기 회전부(130)의 회전에 기초하여 편심되게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130)에 편심되게 장착되고, 요동부(110)의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수용부(114)를 편심되게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장착부(140)는 예를 들어 원통형의 편심캠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수용부(114)는 편심 회전되어 요동부(110)의 일측도 편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요동부(110)의 일측은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결국,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용부(116)는 상기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수용부(114)의 위치 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요동부(110)의 제2 수용공간(S2)에 수용되는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즉,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부(114)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상기 제2 수용부(116)의 위치 이동 방향이라 함은 상기 제1 수용부(114) 및 상기 제2 수용부(116)의 이동 궤적 또는 이동 패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130)가 구동력제공부(12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에 의해 제1 수용부(114)는 편심 회전을 하게 되고,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에 의한 요동부(110)의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의 위치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제2 수용부장착부(150)는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제2 수용부(116)도 직선 왕복 운동 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8을 참조로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제2 수용부장착부(150)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면 지지프레임(160)이 회전 운동을 하게 되어 요동부(110)도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60)은 회전부(130)가 위치가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130)를 지지하는 일종의 프레임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60)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70)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프레임(170)과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를 연결하는 회전유도부(180, 도 9 참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유도부(180)는 상기 지지프레임(16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60)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70)에 장착되는 회전기준부(182, 도 9 참조) 및 상기 회전기준부(18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기준부(182)와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184, 도 9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연결부(184)는 상기 회전기준부(182)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회전연결부(184)의 회전에 의해 지지프레임(160) 자체가 회전되어 요동부(110)도 회전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회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내지 12를 참조로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회전부(13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연동회전부(190)의 회전에 의해 좌우 방향(Y)으로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연동회전부(190)는 연동연결부(200)에 의해 상기 요동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동연결부(200)의 일측은 상기 연동회전부(190)의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회전되어 타측을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좌우 방향(Y)으로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로 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요동부(110)의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의 왕복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120),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130), 상기 회전부(130)의 회전에 기초하여 편심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130)에 편심되게 장착되고, 제1 수용부(114)의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되어 제1 수용부(114)를 편심되게 회전시키는 제1 수용부장착부(140) 및 상기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수용부(114)의 위치 이동 방향과 제2 수용부(116)의 위치 이동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S2)에 수용되는 제2 수용부장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는 상기 제2 수용부(116)가 수평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수용부(116)를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조작패널부(60)의 조작에 의해 구동력제공부(120)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력제공부(120)는 동작하게 되어 웜(12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웜(122)이 회전하게 되면, 축을 달리하는 원동기어인 웜휠(124)이 회전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웜휠(124)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인 회전부(1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130)가 회전되면,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30)에 편심되게 장착되는 제1 수용부장착부(140)가 편심되게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에 의해 요동부(110)의 제1 수용부(114)도 편심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에 의해 요동부(110)의 일측은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에 의한 상기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은 제2 수용부장착부(150) 및 제2 수용부(116)를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에 의한 요동부(110)의 일측의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에 따른 위치 이동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회전부(130)가 위치가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13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60) 및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이동제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는 상기 지지프레임(160)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60)은 본체부(162), 상기 본체부(162)로부터 상기 이동제한부(152)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이동제한부(152) 및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60)은 상기 본체부(162)로부터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커버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벽부(166) 및 상기 이동제한부(152)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차단부(164)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제한부(15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68)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에 의한 제1 수용부(114)의 편심 회전 시, 제2 수용부장착부(150)에 장착되는 이동제한부(152)가 차단부(164) 사이에서 전후 방향(X)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구현되게 되어 요동부(110)의 타측은 전후 방향(X)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구동력제공부(12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부(130)가 회전되게 되면, 제1 수용부장착부(140)에 의한 편심 회전에 의해 요동부(110)의 일측은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요동부(110)의 타측은 전후 방향(X)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는 직선 왕복 운동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6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변형은 변형방지부(210)에 의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210)는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162)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요동부(110)의 제2 수용부(116)는 사용자의 하중의 분산을 위해 상기 차단부(164)의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수용부및 제2-2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 및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요동부(110)를 위치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부하를 최소화하여 구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하중은 승마용 운동 기구에 있어서 제2 수용부장착부(150)에 가장 많이 집중하게 되며, 사용자의 하중에 대해 수직하게 운동하는 직선 운동이 편심 회전보다 부하가 덜 걸리게 되므로, 본 발명은 종래보다 구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회전 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회전 운동되는 과정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에 의해 제2 수용부장착부(150)는 전후 방향(X)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프레임(160)은 회전 방향(R)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이는 회전유도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유도부(180)는 지지프레임(160)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70)과 제2 수용부장착부(150)에 장착되는 이동제한부(152)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60)이 상기 고정프레임(170)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유도부(180)는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유도부(180)는 상기 지지프레임(16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60)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70)에 장착되는 회전기준부(182) 및 상기 회전기준부(18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기준부(182)와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 즉, 이동제한부(152)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준부(182)는 상기 고정프레임(170)에 위치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60)은 상기 회전기준부(18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184)는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기준부(182)와 상기 이동제한부(152)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60)을 회전 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기준부(182)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유도부(180)가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에 직접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회전연결부(184)는 상기 회전기준부(182)와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60)을 회전 운동시킬 수 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에 의해 제1 수용부장착부(140)가 전방으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연결부(184)는 전후방을 향한 힘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연결부(184)는 상기 회전기준부(182)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므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연결부(184)는 상기 회전기준부(18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준부(18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는 상기 회전기준부(182)와의 연결이 유지된 채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연결부(184)는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이 직선 왕복 운동 하는 동안 상기 회전기준부(182) 및 상기 이동제한부(152) 각각에 연결된 부분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유도부(180)가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에 직접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회전연결부(184)는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동안 상기 회전기준부(182) 및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 각각에 연결된 부분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결국, 지지프레임(160) 자체가 회전 방향(R)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어 요동부(110)도 회전 방향(R)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60)의 차단부(164) 및 측벽부(166)는 회전연결부(184)와 이동제한부(152)의 상대운동을 차단하여 지지프레임(160) 자체가 고정프레임(170)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유도부(180)에 의해 요동부(110)의 회전 방향(R)으로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에서는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에 의한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회전연결부(184)가 회전되어 지지프레임(160)이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수용부장착부(140) 및 제2 수용부장착부(150)가 동시에 전후 방향(X)으로 왕복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지지프레임(160)의 회전 방향(R)으로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좌우 방향으로 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에 제공되는 요동부가 좌우 방향으로 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 및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요동부(110)의 전후 방향(X), 상하 방향(Z) 및 회전 방향(R)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연동회전부(190) 및 연동연결부(200)에 의해 좌우 방향(Y)으로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전후 방향(X), 상하 방향(Z) 및 회전 방향(R)으로 위치 이동과 무관하게 좌우 방향(Y)으로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구동력제공부(12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부(130)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130)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132)도 회전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13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종동기어(13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전달기어(134)도 회전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전달기어(134)와 동심축 상에 배치되는 연동회전부(190)도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종동기어(132) 및 상기 전달기어(134)는 일종의 헬리컬 기어일 수 있으며, 헬리컬 기어의 특성 상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연동연결부(200)는 상기 연동회전부(19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요동부(110)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연동회전부(190)와 요동부(11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요동부(110)의 레그(11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동연결부(200)는 제1 회전구(202), 제2 회전구(204) 및 상기 제1 회전구(202)와 상기 제2 회전구(204)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구연결부(20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동회전부(190)는 상기 연동연결부(200)의 일측인 제1 회전구(202)를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19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레그(118)는 상기 연동연결부(200)의 타측인 제2 회전구(204)를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11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동연결부(200)의 일측 및 타측, 즉, 제1 회전구(202) 및 제2 회전구(204)는 각각 제1 함입부(192) 및 제2 함입부(119)에 수용된 채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구(202) 및 상기 제2 회전구(204)는 각각 일측분리방지부(210) 및 타측분리방지부(220)에 의해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일측분리방지부(210)는 상기 연동회전부(190)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함입부(192)에 수용된 상기 연동연결부(200)의 일측인 제1 회전구(202)의 상기 제1 함입부(192)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타측분리방지부(220)는 상기 레그(118)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함입부(119)에 수용된 상기 연동연결부(200)의 타측인 제2 회전구(204)의 상기 제2 함입부(119)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제공부(120)의 구동력에 의해 전달기어(134)가 회전되고, 상기 전달기어(134)의 회전에 의해 연동회전부(190)가 회전되면, 연동연결부(200)의 일측인 제1 회전구(202)는 상기 연동회전부(190)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연동회전부(19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연결부(200)의 일측인 제1 회전구(202)가 상기 연동회전부(19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회전 운동하면, 상기 연동연결부(200)의 타측인 제2 회전구(204)는 상기 연동회전부(190)의 회전에 기초하여 레그(118)를 제2 수용부장착부(150)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요동부(110)는 좌우 방향(Y)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동연결부(200)는 상기 연동회전부(190)의 회전에 기초하여 일측 및 타측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수용부장착부(140)와 상기 제1 수용부(114) 사이 및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150)와 제2 수용부(116) 사이에는 윤활유를 주입될 수 있으며, 상기 윤활유에 의해 상기 제1 수용부(114) 및 상기 제2 수용부(116)의 좌우 방향(Y)으로의 왕복 운동 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100)에 있어서, 요동부(110)의 전후 방향(X), 상하 방향(Z), 회전 방향(R) 및 좌우 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100)는 요동부(110)를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현하는데 있어서, 다른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을 구현하는 수단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며,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 않은 공지의 수단이 적용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요동부(110)의 좌우 방향(Y)으로의 왕복 운동은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 및 제2 수용부장착부(150)의 직선 왕복 운동과 무관하게 구동력제공부(120)에 의한 구동력이 연동회전부(19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프레임(160)의 회전 방향(R)으로의 왕복 운동은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편심 회전과 무관하게 공지의 수단을 이용한 제1 수용부장착부(14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1: 운동 기구
10: 외관부
20: 안장부
30: 손잡이부
40: 기둥부
50: 받침부
100: 구동 장치
110: 요동부
120: 구동력제공부
130: 회전부
140: 제1 수용부장착부
150: 제2 수용부장착부
160: 지지프레임
170: 고정프레임
180: 회전유도부
190: 연동회전부
200: 연동연결부

Claims (9)

  1. 위치 이동되는 요동부에 의해 운동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요동판, 상기 요동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요동판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상기 요동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수용부를 지지하는 제1 수용부장착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수용부를 지지하는 제2 수용부장착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제공부;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동회전부; 및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요동부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연동회전부와 상기 요동부를 연결시키는 연동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회전 운동을 하는 구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각각 상기 제1 수용부장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장착부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연결부는,
    상기 연동회전부의 회전에 기초하여 일측 및 타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는,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를 상기 요동판에 연결하는 레그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연결부는, 상기 레그와 연결되는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회전부는, 상기 연동연결부의 일측을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연동연결부의 타측을 수용하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동연결부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은,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수용된 채 회전하는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회전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함입부에 수용된 상기 연동연결부의 일측의 분리를 방지하는 일측분리방지부; 및
    상기 레그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함입부에 수용된 상기 연동연결부의 타측의 분리를 방지하는 타측분리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연결부는,
    일측 및 타측 각각이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수용된 채 회전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회전구 및 제2 회전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구와 상기 제2 회전구를 서로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구연결부를 구비하는 구동 장치.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장치; 및
    상기 요동판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석을 위한 자리를 제공하며, 위치 이동되는 상기 요동판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운동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안장부;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KR1020140190874A 2014-12-26 2014-12-26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KR101514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874A KR101514618B1 (ko) 2014-12-26 2014-12-26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874A KR101514618B1 (ko) 2014-12-26 2014-12-26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618B1 true KR101514618B1 (ko) 2015-04-23

Family

ID=5305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874A KR101514618B1 (ko) 2014-12-26 2014-12-26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6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66Y1 (ko) * 2009-02-13 2009-10-14 최송식 승마운동기구
KR20100053051A (ko) * 2008-11-12 2010-05-20 홍진레포츠(주) 승마형 운동기구
KR20120040169A (ko) * 2012-03-08 2012-04-26 유동진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KR101413861B1 (ko) * 2014-02-21 2014-07-04 주식회사 라이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051A (ko) * 2008-11-12 2010-05-20 홍진레포츠(주) 승마형 운동기구
KR200446266Y1 (ko) * 2009-02-13 2009-10-14 최송식 승마운동기구
KR20120040169A (ko) * 2012-03-08 2012-04-26 유동진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KR101413861B1 (ko) * 2014-02-21 2014-07-04 주식회사 라이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114B1 (ko) 밸런스 훈련장치
US20070275358A1 (en) Balance exercise machine
KR101413861B1 (ko)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JP2001286578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2007275138A (ja) 着座型運動装置
KR101514618B1 (ko)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JP2006271496A (ja) マッサージ機
KR101514617B1 (ko)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KR101514619B1 (ko)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KR101485011B1 (ko) 승마 운동 기구
JP5291018B2 (ja) スイング運動ベンチ
JP3885819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3983267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1506462B1 (ko) 농산물 선별기의 흔들림 감쇠 장치
JP387400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1260268B1 (ko) 승마 운동 기구
KR101972044B1 (ko)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US20190200772A1 (en) Sway-yaw motion device and chair assembly with the same
KR101589052B1 (ko) 박동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JP6882818B1 (ja) 動揺装置
JP2007054600A (ja) 着座型運動装置
KR20170047521A (ko) 승마 운동기구 구동장치
KR101242077B1 (ko) 전동 실린더를 이용한 안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기
JP459586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170017108A (ko)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