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266Y1 - 승마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266Y1
KR200446266Y1 KR2020090001630U KR20090001630U KR200446266Y1 KR 200446266 Y1 KR200446266 Y1 KR 200446266Y1 KR 2020090001630 U KR2020090001630 U KR 2020090001630U KR 20090001630 U KR20090001630 U KR 20090001630U KR 200446266 Y1 KR200446266 Y1 KR 200446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ase frame
unit
driven gea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송식
Original Assignee
최송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5626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6266(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송식 filed Critical 최송식
Priority to KR2020090001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승마운동기구에 있어서, 바디와,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는 안장부와, 안장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안장부를 좌우운동 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우운동부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안장부를 상하운동 시키면서 일단이 베이스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 되는 상하운동부와, 안장부의 타단이 베이스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와, 좌우운동부 및 상하운동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선택부와, 구동부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한다.
승마, 상하, 좌우, 운동

Description

승마운동기구{DEVICE FOR HORSE RIDING EXERCISE}
본 고안은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승마는 고대 부터 이용되는 교통 수단 이었고 말을 다루는 기술은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현대에 와서 말은 고급 스포츠로 자리를 잡았고 1912년 국제 마술연맹이 창립되었고, 조선 광해군 때에는 하나의 무예로서 발전되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말을 사육하여 승마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승마운동기구의 경우는 이용자가 올라앉을 수 있는 구동 안장을 만들고, 구동 안장을 말안장처럼 구동 하므로 전신의 유산소 운동을 유도하는 승마 운동구를 제공하였다.
종래에는 승마운동을 할 수 있는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99481호에 승마겸용 헬스 자전거가 게시 되었다.
종래의 승마 운동구는 평행 베이스파이프,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 한 쌍의 지지판, 핸들파이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페달 풀리, 대략 직사각형인 틀 고정대, 회전 바퀴 및 회전바퀴 풀리, 동력 전달용 벨트, 안장 파이프를 구비하고, 다시 회전바퀴에 설치되는 캠, 캠과 접촉하는 로울러, 안장파이프에 연결되는 쇽업서버, 쇽업소버 스프링, 지렛대 등으로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경제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고, 사용자가 스스로 폐달을 굴러야 하는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승마의 동작을 느끼기에 부족한 것이었다.
또한,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47777호는 전원인가에 따라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모터와, 제1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모터의 원동풀리에 동력연결되면서 양쪽으로 편심회전되는 편심축이 일체결합된 복수개의 연동풀리와, 제2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기 연동풀리에 동력연결되면서 양쪽으로 편심회전되는 편심축이 결합된 종동풀리와, 이들 연동풀리와 종동풀리의 각 편심축에 결합되어 지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편심풀리와, 기구하우징의 각 로드승강홈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편심회전되는 해당 편심축 위에 안착체결된 다수의 승강로드와, 이들 승강로드) 상단의 로드케이싱 사이에 균형스프링이 탄지연결되면서 이용자가 올라탈 수 있는 동물모형로 구성되는 승마운동기구가 게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마운동기구는 안장의 동작이 전후방 향으로만 반복되는 동작이 되므로 승마 동작과는 상이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부피가 작아 설치공간이 절약되며, 사용자가 말을 탄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하운동만 하거나, 상하운동 및 좌우운동을 함께할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바디,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는 안장부, 안장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안장부를 좌우운동 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우운동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안장부를 상하운동 시키면서 일단이 베이스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 되는 상하운동부, 안장부의 타단이 베이스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 구동부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통상의 승마운동기구에 있어서, 구동부는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 되는 나사모양의 웜기어, 웜기어에 의해 회전되며, 상하운동부를 구동시키는 제1피동기어, 상하운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2피동기어, 제2피동기어의 일측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좌우운동부를 구동시키는 좌우피동기어, 제2피동기어의 동력을 좌우피동기어에 전달 및 차단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며, 선택부는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브라켓, 복수개의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홀이 하부에 형성되며, 제2피동기어 및 좌우피동기어에 함께 맞물리는 선택기어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선택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부피가 작아 설치 공간이 절약되며, 사용자가 말을 탄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하운동만 하거나, 상하운동 및 좌우운동을 함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승마운동기구에 있어서, 바디(10)와, 바디(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에 배치되는 안장부(20)와, 안장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30)와,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안장부(20)를 좌우운동 시키도록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좌우운동부(40)와,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안장부(20)를 상하운동 시키면서 일단이 베이스프레임(11)에 지지 및 가이드 되는 상하운동부(50)와, 안장부(20)의 타단이 베이스프레임(11)에 지지 및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60)와, 구동부(3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10)는 약1m의 높이로 제작되며, 바디(10)의 상부에는 안장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발을 얹을 수 있는 발판(도시생략)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안장부(20)는 안장판(21)과, 안장판(21)의 설치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부재(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안장부(20)의 앞쪽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도시생략)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안장부(20)의 하부에는 좌우운동부(40), 상하운동부(50) 및 구동부(30)가 배치되고, 구동부(30)는 좌우운동부(40), 상하운동부(50)를 함께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는 컨트롤박스(70)와 전원선 및 통신케이블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되도록 컨트롤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박스(70)는 구동부(30)의 속도를 저속 및 고속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부(30)는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모터(31)와, 모터(31)에 의해 정역회전 되는 나사모양의 웜기어(32)와, 웜기어(32)에 의해 회전되며, 상하운동부(50)를 구동시키는 제1피동기어(33)와, 상하운동부(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2피동기어(34)와, 제2피동기어(34)의 일측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좌우운동부(40)를 구동시키는 좌우피동기어(35)와, 제2피동기어(34)의 동력을 좌우피동기어(35)에 전달 및 차단하는 선택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운동부(5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제1피동기어(33) 및 제2피동기어(34)가 연결된다. 이때, 웜기어(32)가 회전되면 제1피동기어(33)가 회전되므로, 제2피동기어(34)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피동기어(34)는 선택기어(36)의 선택에 따라 좌우피동기어(35)와 연결되어 좌우피동기어(35)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좌우피동기어(35)는 좌우운동부(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사용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허리운동 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부(36)는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36b)가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브라켓(36a)과, 복수개의 결합돌기(36b)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홀(36d)이 하부에 형성되며, 제2피동기어(34) 및 좌우피동기어(35)에 함께 맞물리는 선택기어(36e)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선택하우징(36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하우징(36c)의 결합홀(36d)을 결합돌기(36b)에 결합시키면 제2피동기어(34) 및 좌우피동기어(35)에 선택기어(36e)가 맞물리게 된다. 그러면, 제2피동기어(34)가 회전되면 선택기어(36e)가 회전되므로, 좌우피동기어(35)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36b)는 사이홈(36f)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사이홈(36f)을 오므리면 결합돌기(36b)에 결합된 결합홀(36d)은 결합돌기(36b)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결합홀(36d) 및 결합돌기(36b)를 이용하여 선택부(36)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홀(36d) 및 결합돌기(36b)를 대신하여 볼트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부(36)를 이용하여 상하운동만 선택하거나, 상하운동 및 좌우운동을 함께 선택하여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운동부(40)는 안장부(20)의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축(41)과, 수평축(41)이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안내되며 좌 우측이 구속되는 "U"자형안내부재(42a), "U"자형안내부재(42a)의 하부에 좌우로 수평되게 형성되는 좌우관통홀(42b), 좌우관통홀(42b)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돌기(42c)를 갖는 좌우이동부재(42)와, 좌우관통홀(42b)에 삽입되는 좌우샤프트(43)와, 좌우샤프트(43)의 양쪽을 고정되게 지지하며, 베이스프레임(11)의 중간부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좌우브라켓(44)과, 좌우샤프트(43)의 하부에서 나란히 배치되도록 좌우브라켓(44)의 하부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며,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되는 좌우회전축(45)과, 좌우회전축(45)에 설치되며, 하부돌기(42c)를 좌우로 안내하는 좌우홈(46a)이 형성된 좌우안내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안내부재(46)는 원통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 좌우안내부재(46)의 외주면에는 좌우홈(46a)이 폐곡선형상의 캠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좌우샤프트(43)는 복수개의 좌우브라켓(44)에 설치되는 좌우베어링(44a)에 의해 회전지지 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되는 좌우피동기어(35)가 좌우회전축(45)에 연결되면, 좌우피동기어(35)의 회전에 의해 좌우회전축(45)이 회전되면, 좌우안내부재(46)가 회전되므로, 하부돌기(42c)가 좌우홈(46a)을 따라 좌우로 이동된다.
이어서, 좌우이동부재(42)는 좌우관통홀(42b)에 수평하게 삽입되는 좌우샤프트(43)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U"자형안내부재(42a)에 좌우로 구속되는 수평축(41)이 좌우로 이동되므로, 안장부(20)도 함께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안장부(20)에 앉은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운동부(50)는 안장부(20)의 하부에서 전방의 양측에 설치되며, 각각 전방가이드홀(52)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방브라켓(51)과, 복수개의 전방가이드홀(52)에 회전되게 삽입되는 전방회전축(53)과, 전방회전축(53)의 양단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방베어링(56)과, 전방베어링(56)을 지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의 전방부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회전홈(5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회전축(53)의 일단 및 타단에는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되게 제1피동기어(33) 및 제2피동기어(34)가 설치된다. 이때, 설치된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제1피동기어(33)가 회전되면 전방회전축(53)은 캠형상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면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전방회전축(53)이 회전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전방브라켓(51)이 승강되므로, 복수개의 전방브라켓(51)과 연결되는 안장부(20)가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제2피동기어(34)는 선택부(36)의 선택에 의해 좌우피동기어(35)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장부(20)에 앉은 상태로 허리운동을 상하로 할 수 있다. 이때, 제2상하피동기어(55)가 회전되면서 제1상하피동기어(54)에 전달된 동력을 좌우운동부(50)에 전달하면 좌우운동부(50)도 함께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60)는 상하운동부(5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방회전축(53)이 회전되면 안장부(20)에 형성되는 전방브라켓(51) 과 가이드부(60)가 지지되도록 각각 후방가이드홀(62)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후방브라켓(61)이 상하로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운동부(60)의 상하운동에 따라 가이드부(60)도 함께 상하운동하게 되어 안장부(20)는 용이하게 상하운동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승마운동기구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좌우운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하운동부 및 가이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20 : 안장부
30 : 구동부 40 : 좌우운동부
50 : 상하운동부 60 : 가이드부
70 : 컨트롤박스

Claims (5)

  1.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에 배치되는 안장부(20), 상기 안장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30),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장부(20)를 좌우운동 시키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좌우운동부(40),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장부(20)를 상하운동 시키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지지 및 가이드 되는 상하운동부(50), 상기 안장부(20)의 타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지지 및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60), 상기 구동부(3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70)를 포함하는 통상의 승마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모터(31), 상기 모터(31)에 의해 정역회전 되는 나사모양의 웜기어(32), 상기 웜기어(32)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상하운동부(50)를 구동시키는 제1피동기어(33), 상기 상하운동부(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2피동기어(34), 상기 제2피동기어(34)의 일측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좌우운동부(40)를 구동시키는 좌우피동기어(35), 상기 제2피동기어(34)의 동력을 상기 좌우피동기어(35)에 전달 및 차단하는 선택부(36)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부(36)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36b)가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브라켓(36a);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36b)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홀(36d)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피동기어(34) 및 좌우피동기어(35)에 함께 맞물리는 선택기어(36e)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선택하우징(36c)을 포함하는 승마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운동부(40)는
    상기 안장부(20)의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축(41);
    상기 수평축(41)이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안내되며 좌우측이 구속되는 "U"자형안내부재(42a)와, 상기 "U"자형안내부재(42a)의 하부에 좌우로 수평되게 형성되는 좌우관통홀(42b)과, 상기 좌우관통홀(42b)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돌기(42c)를 갖는 좌우이동부재(42);
    상기 좌우관통홀(42b)에 삽입되는 좌우샤프트(43);
    상기 좌우샤프트(43)의 양쪽을 고정되게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중간부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좌우브라켓(44);
    상기 좌우샤프트(43)의 하부에서 나란히 배치되도록 상기 좌우브라켓(44)의 하부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회전되는 좌우회전축(45);
    상기 좌우회전축(45)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돌기(42c)를 좌우로 안내하는 좌우홈(46a)이 형성된 좌우안내부재(46)를 포함하는 승마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운동부(50)는
    상기 안장부(20)의 하부에서 전방의 양측에 설치되며, 각각 전방가이드홀(52)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방브라켓(51);
    상기 복수개의 전방가이드홀(52)에 회전되게 삽입되는 전방회전축(53);
    상기 전방회전축(53)의 양단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방베어링(56);
    상기 전방베어링(56)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전방부분에 형 성되는 복수개의 회전홈(57)을 포함하는 승마운동기구.
KR2020090001630U 2009-02-13 2009-02-13 승마운동기구 KR200446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30U KR200446266Y1 (ko) 2009-02-13 2009-02-13 승마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30U KR200446266Y1 (ko) 2009-02-13 2009-02-13 승마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266Y1 true KR200446266Y1 (ko) 2009-10-14

Family

ID=4156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30U KR200446266Y1 (ko) 2009-02-13 2009-02-13 승마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2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68B1 (ko) * 2012-07-20 2013-05-03 주식회사 네잎플러스 승마 운동 기구
KR101413861B1 (ko) 2014-02-21 2014-07-04 주식회사 라이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KR101514618B1 (ko) * 2014-12-26 2015-04-23 주식회사 라이더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1A (ko) * 2003-07-16 2005-01-25 지용구 운동용 승마기구
JP2007275138A (ja) * 2006-04-03 2007-10-25 Daito Denki Kogyo Kk 着座型運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1A (ko) * 2003-07-16 2005-01-25 지용구 운동용 승마기구
JP2007275138A (ja) * 2006-04-03 2007-10-25 Daito Denki Kogyo Kk 着座型運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68B1 (ko) * 2012-07-20 2013-05-03 주식회사 네잎플러스 승마 운동 기구
KR101413861B1 (ko) 2014-02-21 2014-07-04 주식회사 라이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KR101514618B1 (ko) * 2014-12-26 2015-04-23 주식회사 라이더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643B1 (ko) 헬스 자전거
US20180154204A1 (en) Recumbent therapeutic and exercise device
KR200446266Y1 (ko) 승마운동기구
KR200416551Y1 (ko) 승마운동기구
US4889335A (en) Compound bicycle exercising apparatus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231994B1 (ko) 승마형 헬스 자전거
CN210078833U (zh) 自助驱动型游乐运动设备
KR20100002068U (ko) 헬스 자전거
KR101666218B1 (ko) 승마형 헬스 자전거
CN102895783B (zh) 一种轮-腿混合型机械马
KR101357700B1 (ko) 승강 및 진동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20100109185A (ko) 운동기구
KR100893378B1 (ko) 승마 운동구
KR100868496B1 (ko) 운동기구
KR20100006851A (ko) 킥보드용 구동 장치
KR200383167Y1 (ko) 승마운동기구
WO2004105889A1 (en) Forward/reverse pedalled exercise bike
KR200361425Y1 (ko) 승마용 기구
CN219700976U (zh) 一种老幼互动健身器材
KR200415309Y1 (ko) 헬스용 자전거의 정역회전 구동장치
KR101594683B1 (ko) 연동형 그네
CN100364843C (zh) 用身体起伏动作驱动的自行车
KR100761746B1 (ko)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