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167Y1 - 승마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승마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167Y1
KR200383167Y1 KR20-2005-0002785U KR20050002785U KR200383167Y1 KR 200383167 Y1 KR200383167 Y1 KR 200383167Y1 KR 20050002785 U KR20050002785 U KR 20050002785U KR 200383167 Y1 KR200383167 Y1 KR 200383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addle rod
guide
rod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점
Original Assignee
화랑헬스뱅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랑헬스뱅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랑헬스뱅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2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1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스용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는,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30); 상기 크랭크축(30)을 주축으로 회전되는 크랭크암(40); 하단이 상기 크랭크암(40)에 핀(41)으로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암(40)의 회전에 따라 상하전후로 왕복되는 안장로드(50); 상기 안장로드(5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장로드(50)에 의해 상하전후로 왕복되는 안장(60); 및 상기 안장로드(5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안장로드(50)의 상하전후 왕복운동을 직립상태로 지탱하고 안내하는 가이드기구(70); 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기구(70)는, 상기 안장로드(50)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안장로드(50)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탱하고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71), 상기 가이드롤러들(7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유지편(72), 상기 롤러유지편(72)에 형성된 회전축(73), 및 상기 회전축(73)을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하는 축받이(7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들(71)의 회전과 상기 회전축(73)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가이드롤러들(71)의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안장로드(50)의 이동을 직립상태로 지탱하고 안내한다.

Description

승마운동기구{Riding-Type Athletic Device}
(기술분야)
본 고안은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승마운동으로 얻을 수 있는 운동효과와 유사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헬스용 승마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승마는, 허리 운동 및 유연성 향상, 자세 교정, 장운동 유도에 의한 변비와 위장병 예방, 장 및 소화기능 강화, 심폐기능강화, 골반강화, 신체의 리듬감 형성, 관절염 예방, 정신집중력 상승 등에 효과가 있는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승마를 하기 위해서는 말과 마구를 갖추어야 하고 승마장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필요로 하며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현실적으로 일반인들이 승마운동을 접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이런 승마의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승마로 얻을 수 있는 운동효과와 유사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계적인 헬스용 승마운동기구들이 널리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기계적인 승마운동기구는 실제로 말을 타지 아니하면서도 승마와 유사한 운동효과들을 향유할 수 있으며, 특히 유산소 허리운동효과가 탁월하여 복부비만을 예방하고 제거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널리 주목을 받고 있다.
종래 승마운동기구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61425호(2004.09.14 등록공고)의 '승마용 기구' 등이 있다. 상기 '425의 승마 운동구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기구의 원리를 적용한 운동기구로서, 크랭크기구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을 지지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직선 운동하는 지지축에 안장을 장착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모터로부터 지지축(로드)으로 연결되는 동력전달구조와 지지축(로드)을 지지(안내)하는 구조(가이드기구)가 복잡하여 고장이 잦고 소음이 클 뿐만 아니라 안장에 전방을 향해서만 앉아서 운동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승마운동기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특히 안장이 장착되는 로드를 안내하는 가이드기구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과 소음이 적은 승마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안장에 전방을 향해서는 물론 측방을 향하여 앉은 자세로 운동할 수 있어서 특히 옆구리 운동을 강화할 수 있는 승마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승마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는,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주축으로 회전되는 크랭크암; 하단이 상기 크랭크암에 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암의 회전에 따라 상하전후로 왕복되는 안장로드; 상기 안장로드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장로드에 의해 상하전후로 왕복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로드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안장로드의 상하전후 왕복운동을 직립상태로 지탱하고 안내하는 가이드기구; 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기구는, 상기 안장로드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안장로드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탱하고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유지편, 상기 롤러유지편에 형성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하는 축받이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롤러들의 회전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가이드롤러들의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안장로드의 이동은 직립상태로 지탱되고 안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장에는 전방을 향해 앉을 때 잡기 위한 전방손잡이와 측방을 향해 앉을 때 상기 전방손잡이와 함께 잡기 위한 후방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승마운동기구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승마운동기구의 내부 구조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승마운동기구의 개략 측면도, 도4는 가이드기구의 개략 평면도, 도5는 가이드기구의 시소운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승마운동기구의 작동도이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는, 지지프레임(10), 구동모터(20), 크랭크축(30), 크랭크암(40), 안장로드(50), 안장(60) 및 가이드기구(7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이 수용 및 설치되고 기승자의 하중이 지지되는 골격부재이다. 도1과 도3에서는 직육면체의 하부프레임(11) 위에 사다리꼴의 상부프레임(12)을 부착한 구조의 지지프레임(10)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승마운동기구로서 어울리도록 지지프레임(10)의 외관은 말의 몸통을 연상케 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1에서 도면부호 14는 발판을 나타낸다.
구동모터(20)는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기관이며, 적당한 감속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상기 크랭크축(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구동모터(20)의 회전을 감속시켜 적당한 속도의 크랭크축(30)의 회전으로 전달할 있는 기구이면 충분하고, 바람직하게 도2와 같은 구조와 배치의 동력전달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에서는,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된 구동모터(20)에 형성된 소직경 구동풀리(21), 상부프레임(12)에 전후로 나란히 평행하게 부착한 지지대(13)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감속회전축(22), 감속회전축(22)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대직경의 피동풀리(23)와 소직경의 제1 감속풀리(24),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된 크랭크축(30)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대직경의 제2 감속풀리(25), 구동풀리(21)와 피동풀리(23) 사이에 걸리는 제1 벨트(26), 및 제1 감속풀리(24)와 제2 감속풀리(25) 사이에 걸리는 제2 벨트(27)로 구성된 동력전달기구를 예시하고 있다.
이로써, 구동모터(20)의 회전은 구동풀리(21), 제1 벨트(26), 피동풀리(23), 감속회전축(22), 제1 감속풀리(24), 제2 벨트(27) 및 제2 감속풀리(25)를 거쳐 크랭크축(30)을 회전시키며, 이런 동력전달과정에서 구동모터(20)의 회전은 구동풀리(21), 피동풀리(23), 제1 감속풀리(24) 및 제2 감속풀리(25)의 직경차이에 의해 감속되어 크랭크축(30)의 회전속도를 적절히 감속시킨다.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30)에는 크랭크암(40)이 형성되어 크랭크축(3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도2에는 크랭크축(30)의 일단만을 지지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크랭크축(30)의 타단에 원판 형상의 크랭크암(40)을 형성하고 크랭크암(40)의 편심 위치에 안장로드(50: 크랭크구조에서 커넥팅로드에 해당함)를 핀(41; 크랭크구조에서 크랭크핀에 해당)으로 결합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널리 엔진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0)에 크랭크축(3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크랭크축에 한쌍의 크랭크암을 형성하여 크랭크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크랭크암에 안장로드를 핀 연결하는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크랭크축(30), 크랭크암(40) 및 안장로드(50)의 구조에 따라, 크랭크암(40)의 회전은 크랭크축(30)과 핀(41) 사이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이동하는 안장로드(50)의 상하전후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본 고안에서는 크랭크축(30)과 크랭크암(40)의 회전에 따른 안장로드(50)의 하단 및 상단 그리고 안장(60)의 운동패턴(원을 그리면서 상하로 오르내리고 전후로 진퇴하는 운동)을 '상하전후 왕복운동'이라 한다.
일단이 크랭크암(40)에 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된 안장로드(50)는, 지지프레임(10)의 상측 위로 길게 신장되어 있다. 도1에서 상부프레임(12)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은 안장로드(50)가 충분한 유격을 가지고 관통하는 로드공(15)이다.
안장로드(50)의 상단에는 기승자가 앉기 위한 안장(60)이 장착되어 있고, 따라서 안장(60)은 안장로드(50)의 상하전후 왕복운동에 대응하는 상하전후의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은 왕복운동은 그대로 기승자에게 전해져서 승마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안장(60)에는 기승자가 전방으로 앉아서 운동할 때 잡기 위한 전방손잡이(61)만을 형성하여도 좋지만, 기승자가 측방으로 앉아서 운동할 때 전방손잡이(61)와 함께 잡기 위한 후방손잡이(62)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장(60)에 측방으로 앉아서 전방손잡이(61)와 후방손잡이(62)를 잡고 운동하게 되면, 안장(60)의 전후방향 요동에 의해 옆구리 운동을 강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안장로드(5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지점에는 안장로드(50)의 상하전후 왕복운동을 직립상태로 지탱하고 안내하는 가이드기구(70)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장로드(50)는 그 하단이 핀-결합으로 회전 가능하게 크랭크암(4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 이외의 적어도 한 지점에서 지지하여 주지 아니하면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 가이드기구(70)는 안장로드(50)를 상하전후 왕복운동 가능한 상태로 직립상태가 유지되도록 지탱하고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가이드기구(70)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롤러(71), 롤러유지편(72), 회전축(73) 및 축받이(7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71)는 안장로드(50)를 가운데 두고 그 전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안장로드(50)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감싼다. 안장로드(50)는 환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안장로드(50)가 접하게 되는 각 가이드롤러(71)의 윤곽도 안장로드(50)를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오목한 원호형(장구 형성, 실패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전후로 배치된 두 가이드롤러(71) 사이에는 그 사이에 삽입될 안장로드(50)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대략 원형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유지편(72)은 가이드롤러들(7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며,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2장의 롤러유지편(72) 사이에 가이드롤러(71)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볼트(72A)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롤러유지편(72)의 좌우로는 회전축(7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73)은 축받이(74)에 의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프레임(10)에 유지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상기 한쌍의 지지대(13)에 각각 축받이(74)를 설치하고 축받이(74)에 걸쳐 회전축(73)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크랭크암(40)이 회전으로 안장로드(50)의 하단이 크랭크축(30)과 핀(41) 사이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이동하는 상하전후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기구(70)의 두 가이드롤러(7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지나가는 부분에서의 안장로드(50)는 일정한 폭(상기 반지름의 2배인 지름의 폴)으로 가이드롤러(71)를 통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고 일정한 각으로 주기적으로 전후의 각도가 변화되는 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전자의 상하이동은 가이드롤러(71)의 회전에 의해 수용되고 후자의 각도변화는 축받이(74)에 대한 회전축(73)의 회전에 따른 가이드롤러들(71)의 시소운동(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소가 움직이는 것과 같이 움직이는 운동)에 의해 수용되며, 따라서 안장로드(50)는 가이드기구(70)에 의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운동이 지탱하고 안내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가이드기구(70)가 가이드롤러(71)의 회전과 가이드롤러들(71)의 시소운동으로 안장로드(50)의 상하전후 왕복운동을 유연성 있게 수용함으로써, 본 고안의 승마운동기구는 구조가 단순하면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에 의하면, 구동모터(20), 크랭크축(30), 크랭크암(40), 안장로드(50) 및 가이드기구(70)의 작용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60)이 최상부로 상승된 상태(A), 약간 하강하면서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B), 최하부로 하강된 상태(C), 및 약간 상승하면서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D)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최소한의 소음만을 발생시키면서 상하전후 왕복운동을 유연하게 하게 되고, 이런 왕복운동은 그대로 기승자에게 전해져서 승마운동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1)에도 승마운동기구의 작동 속도, 작동 시간, 소모 칼로리 등 각종 작동과 기능을 표시하고 조작할 수 있는 계기판(80)이 포함되며, 상기 계기판(80)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 그리고 계기판(80)과 구동모터(20)의 작동 회로 등은 본 고안의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주지의 기술을 본 고안에 맞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계기판(80)이 안장(60)에 장착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안장(60)의 요동에 의해 계기판(80)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0)이나 바닥에 포스트를 세워 계기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8은 감속회전축(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는 전체적으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특히 안장로드를 상하전후 왕복운동 가능하게 직립상태로 안내하고 지탱하는 가이드기구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과 소음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승마운동기구는 안장에 전방손잡이(61)와 함께 후방손잡이(62)가 구비되어 있어서, 전방을 향해서는 물론 측방을 향하여 앉은 자세로 운동할 수 있어서 특히 옆구리 운동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승마운동기구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승마운동기구의 내부 구조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승마운동기구의 개략 측면도,
도4는 가이드기구의 개략 평면도,
도5는 가이드기구의 시소운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승마운동기구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승마운동기구 10: 지지프레임 11: 하부프레임
12: 상부프레임 13: 지지대 14: 발판
15: 로드공 20: 구동모터 21: 구동풀리
22: 감속회전축 23: 피동풀리 24: 제1 감속풀리
25: 제2 감속풀리 26: 제1 벨트 27: 제2 벨트
28: 축받이 30: 크랭크축 40: 크랭크암
41: 핀 50: 안장로드 60: 안장
61: 전방손잡이 62: 후방손잡이 70: 가이드기구
71: 가이드롤러 72: 롤러유지편 73: 회전축
74: 축받이 80: 계기판

Claims (2)

  1.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30); 상기 크랭크축(30)을 주축으로 회전되는 크랭크암(40); 하단이 상기 크랭크암(40)에 핀(41)으로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암(40)의 회전에 따라 상하전후로 왕복되는 안장로드(50); 상기 안장로드(5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장로드(50)에 의해 상하전후로 왕복되는 안장(60); 및 상기 안장로드(5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안장로드(50)의 상하전후 왕복운동을 직립상태로 지탱하고 안내하는 가이드기구(70);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기구(70)는, 상기 안장로드(50)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안장로드(50)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탱하고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71), 상기 가이드롤러들(7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유지편(72), 상기 롤러유지편(72)에 형성된 회전축(73), 및 상기 회전축(73)을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지지하는 축받이(7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들(71)의 회전과 상기 회전축(73)을 중심으로 한 상기 가이드롤러들(71)의 시소운동에 의해 상기 안장로드(50)의 이동을 직립상태로 지탱하고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60)에는 전방을 향해 앉을 때 잡기 위한 전방손잡이(61)와 측방을 향해 앉을 때 상기 전방손잡이(61)와 함께 잡기 위한 후방손잡이(6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운동기구.
KR20-2005-0002785U 2005-01-31 2005-01-31 승마운동기구 KR200383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785U KR200383167Y1 (ko) 2005-01-31 2005-01-31 승마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785U KR200383167Y1 (ko) 2005-01-31 2005-01-31 승마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167Y1 true KR200383167Y1 (ko) 2005-05-03

Family

ID=4368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785U KR200383167Y1 (ko) 2005-01-31 2005-01-31 승마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1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745B1 (en) Seated stepper
US6964614B1 (en) Riding device
US5836855A (en) Recumbent elliptical exercise machine
CN201415026Y (zh) 一种仿骑马的脚踏健身车
US6808458B1 (en) Sporting apparatus for horse riding
US6017295A (en) Recumbent mobile exercise apparatus
US7670230B2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balance training apparatus
US20070099767A1 (en) Body training machine
JPH0284970A (ja) 自転車運動器具
SE467997B (sv) Motionscykel
KR200416551Y1 (ko) 승마운동기구
CN112546551B (zh) 可实现三维度踩踏训练的椭圆机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US4889335A (en) Compound bicycle exercising apparatus
KR200383167Y1 (ko) 승마운동기구
KR200344972Y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20100053051A (ko) 승마형 운동기구
KR200446266Y1 (ko) 승마운동기구
WO2009051286A1 (en) Bicycle with handle rotatable back and forth
CN200966714Y (zh) 扭腰运动机
US9144706B1 (en) Exercise apparatus
US20070099762A1 (en) Elliptical trainer
KR200361425Y1 (ko) 승마용 기구
KR10146320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